[[분류:Limbus Company]][[분류:OST]] [include(틀:상위 문서, top1=Limbus Company)] [include(틀:Limbus Company/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Limbus Company의 OST. 메인 보스전 및 메인 타이틀 음악은 인디 밴드 [[Mili]]에서, 그 외의 모든 음악은 [[Studio EIM]]에서 작곡되었다. ##각 챕터마다 노래를 추가할 때 아래 양식에 맞게 써주세요. (세번째 줄 문단은 ##를 빼주세요) ##||
'''OST 링크&제목''' || '''작곡자''' || '''나오는 때''' || '''참고''' || ##|| [[유튜브 링크|제목]] || 작곡가 || 나오는 때 || == 일반 == ##챕터와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재생되는 음악을 추가해주세요. ||<-2> [[In Hell We Live, Lament|{{{#eca019 '''In Hell We Live, Lament'''}}}]] || || 보컬 || [[Mili/멤버#Cassie Wei|Cassie Wei]] & KIHOW from [[MYTH & ROID]] || || 음악 || [[Mili]] || ||<-2> 가사[*PV기준 풀버전 가사는 [[In Hell We Live, Lament|해당 문서]] 참조] || ||<-2>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2 {{{#990000,#ff8888 '''Cassie'''}}} {{{#0068b3,#75b0e7 '''KIHOW'''}}} {{{#010101,#fff '''합창'''}}}}}} {{{#990000,#ff8888 '''I walked down a path'''}}} 나는 길을 따라 걸었네 {{{#0068b3,#75b0e7 '''Leading to the past'''}}} 과거로 향하는 길을 {{{#990000,#ff8888 '''Stole from the tree's hands'''}}} 뻗어나온 나뭇가지에서 무언갈 훔쳤지 {{{#0068b3,#75b0e7 '''A regretter's friend - the forbidden fruit'''}}} 후회하는 이의 벗, 금단의 열매를 {{{#990000,#ff8888 '''I bite off the skin'''}}} 그 열매의 껍질을 물어뜯어 {{{#0068b3,#75b0e7 '''Chewing on its tender flesh'''}}} 부드러운 과육을 씹으며 {{{#990000,#ff8888 '''Quaff down its lukewarm pus'''}}} 그 속의 뜨뜻미지근한 고름을 삼켰네 {{{#0068b3,#75b0e7 '''You became the "me" who you despised'''}}} 그렇게 당신은 그렇게나 경멸하던 "내"가 되었지 {{{#010101,#fff '''We swallowed the time'''}}} 우리는 시간을 집어삼켰네 {{{#010101,#fff '''Let us rewind'''}}} 되감아보자 {{{#990000,#ff8888 '''Lament'''}}} 애탄할지어다 {{{#010101,#fff '''If you wanted me to live'''}}} 내가 살기를 원한 거라면 {{{#010101,#fff '''If you want me to forgive'''}}} 내가 용서를 베풀기를 원한 거라면 {{{#010101,#fff '''If you want us to pretend like we're civilized humans'''}}} 우리가 문명 사회의 인간인 것처럼 행세하기를 원한 거라면 {{{#990000,#ff8888 '''Each loop we die through '''}}} 반복되는 시간 속에서 죽을 때마다 {{{#0068b3,#75b0e7 '''(Each loop we die through)'''}}} (반복되는 시간 속에서 죽을 때마다) {{{#990000,#ff8888 '''The justice inside me,'''}}} 내 내면의 정의가, {{{#0068b3,#75b0e7 '''the ego fending me'''}}} 나를 지키는 자존심이 {{{#990000,#ff8888 '''Rationalize my sin'''}}} 나의 죄를 정당화하네 {{{#0068b3,#75b0e7 '''Lament'''}}} 애탄할지어다 {{{#010101,#fff '''Why do deaths end my torture?'''}}} 왜 죽음은 내 고통을 끊는 건가요? {{{#010101,#fff '''Why can't anyone feel my hurt?'''}}} 왜 누구도 나의 아픔을 느낄 수 없는 건가요? {{{#010101,#fff '''Why'd you crown the most violent to be champions?'''}}} 왜 가장 잔혹한 이들에게 영예를 안기는 건가요? {{{#0068b3,#75b0e7 '''In this inferno '''}}} 이 지옥에 {{{#990000,#ff8888 '''(inferno)'''}}} (지옥에) {{{#0068b3,#75b0e7 '''We built for ourselves'''}}} 우리가 스스로 만든 {{{#990000,#ff8888 '''Reviving each'''}}} {{{#010101,#fff '''other in this hell'''}}} 이 지옥 속에서 서로를 부활시키며 }}} || ||
'''OST 링크&제목''' || '''작곡자''' || '''나오는 때''' || '''참고''' || || [[https://www.youtube.com/watch?v=5Jtysd16c-g|Theme 1]] || Studio EIM || 리바이어던 PV 테마. || 어째서인지 게임 파일에 존재할 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전투 테마에 이 브금의 모티브가 들린다. || || [[https://www.youtube.com/watch?v=ZzzBmRkrpj0|In Hell We Live, Lament (인스트루멘탈)]] || Mili || 게임 타이틀 테마. || - || || [[https://www.youtube.com/watch?v=8984sH3n4E8|환상체 선택 테마]] || Dr. Reb || 선택지 테마. || - || || [[https://www.youtube.com/watch?v=FsFNFydBxWk|던전 테마]] || Studio EIM || 거울 던전 및 스토리 던전 테마. || - || || [[https://www.youtube.com/watch?v=AG0m_aqxjN4|추출 테마 1]] || Studio EIM || 인격 추출(가챠)을 시작할 때 재생된다. 전작 게임 시작 전 브금과 동일. || - || || [[https://www.youtube.com/watch?v=2ZKnm1jCc0M|추출 테마 2]] || Studio EIM || 인격 추출(가챠)을 진행할 때 재생된다. 인격 파편으로 캐릭터/E.G.O를 얻을 때도 동일. || - || || [[https://www.youtube.com/watch?v=bz_RhfPjkZI|승리 테마]] || Studio EIM || 전투 승리 후 결산 창에서 재생. || - || || [[https://www.youtube.com/watch?v=z3wSvcCnPyQ|메인 메뉴 테마]] || Studio EIM || 게임 메인 메뉴 테마. || - || || [[https://www.youtube.com/watch?v=Qau-TCehEGs|뒷골목 스토리 테마]] || Studio EIM || 뒷골목을 지나갈 때 재생된다. || - || || [[https://www.youtube.com/watch?v=ozWcEZbo3a4|우울한 스토리 테마]] || Studio EIM || 우울하고 긴장되는 상황에서 재생된다. || - || || [[https://www.youtube.com/watch?v=xf0UQFuCXok|행복한 스토리 테마]] || Studio EIM || 행복하거나 엉뚱한 상황에서 재생된다. || - || || [[https://www.youtube.com/watch?v=H_qT4YStgqI|인격 스토리 테마]] || Studio EIM || 범용 인격 3동기화 스토리 전용 테마. || - || || [[https://www.youtube.com/watch?v=I1L-tD-_8Hw|메피스토텔레스 스토리 테마]] || Studio EIM || 메피스토텔레스 안에 있을 때 재생된다. || - || || [[https://www.youtube.com/watch?v=w9lgjKdu31E|긴장되는 스토리 테마]] || Studio EIM || 두렵고 중압감이 있을 때 재생된다. || - || || [[https://www.youtube.com/watch?v=a1tdEd-pX6s|진지한 스토리 테마]] || Studio EIM || 진지한 상황이 있을 때 재생된다. || - || == 지옥편 == === 1장: 속하지 못하는 === ||
'''OST 링크&제목''' || '''작곡자''' || '''나오는 때''' || '''참고''' || || [[https://www.youtube.com/watch?v=R-9NVy-0UWg|1장 전투 테마 - A1]] || Studio EIM || 기본/지는 전투 테마. || - || === 2장: 사랑할 수 없는 === === 3장: 마주하지 않는 === ==== 3.5장: 헬스 치킨 ==== === 4장: 변하지 않는 === ==== 4.5장: 신기한 지옥버스 ==== === 5장: 악으로 규정되는 === ==== 5.5장: 20번구의 기적 & 육참골단 ==== === 6장: 마음이 어긋나는 === == 최종 보스전 테마 == Mili에 의해 작곡되었다. 1장, 2장은 없다. 화면에서는 해당 노래의 가사가 순서에 맞춰 글자로 떠다닌다. ||<-2> [[Between Two Worlds|{{{#eca019 '''Between Two Worlds'''}}}]] || || 보컬 || [[Mili/멤버#Cassie Wei|Cassie Wei]] || || 음악 || [[Mili]] || ||<-2> 가사 || ||<-2>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010101,#fff '''Ooh''' 오오오 '''[[크리스마스|It's this time of the year]]''' [[크리스마스|일 년에 한 번뿐인 그 때가 돌아왔네]] '''A very so merry night we hold dear''' 무척이나 즐거우며 소중한 밤이 '''So many, so many regrets bring me to tears''' 너무나 많은 후회에 눈물이 차오르지만 '''Not many, not many notice nor care''' 눈치채는 이도 신경쓰는 이도 몇 없네 '''Ooh''' 오오오 '''My saviour''' 우리의 구세주여 '''Ooh''' 오오오 '''Why does a common fire hold so much power?''' 흔하디 흔한 불꽃이 어찌 이리도 강한 힘을 품고 있나요? '''If only we could be forever naive and pure''' 언제까지고 순진무구한 채로 있었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If only we could lead painless futures''' 고통 없는 미래를 이끌 수 있었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If only there could be a forgiving World''' 용서를 베풀어 줄 세계가 있었더라면 '''Maybe that was when''' 어쩌면 그때가 바로 '''I chose to stay fallen''' 타락한 채로 남기로 결심한 때일까 '''Lights''' 반짝임 '''A star''' 별 '''[[C(Project Moon 세계관)|A voice]]''' [[C(Project Moon 세계관)|목소리]] '''[[크로머|A twisted thought]]''' [[크로머|일그러진 생각]] '''A touch''' 감촉 '''A kiss''' 입맞춤 '''[[뒤틀림(Project Moon 세계관)|A distorted dream]]''' [[뒤틀림(Project Moon 세계관)|뒤틀린 꿈]] '''Ripples''' 잔물결 '''A well''' 우물 '''A stone''' 돌 '''A multiplying desire''' 불어나는 욕망 '''[[선악과|A fruit]]''' [[선악과|과일]] '''A sin''' 죄 '''A holy mother''' 성모 '''I'm infected I'm infected''' 난 감염됐어, 네게 감염 되어 '''You have invaded and re-created me''' 네게 잠식당해 나는 새로 거듭나 '''Stepped over my body''' 내 시체를 밟고 일어서 '''Found a sunny spot''' 볕이 잘 드는 곳을 찾아 '''Curled into a ball''' 몸을 둥글게 말고 '''Spinning out the silk''' 실을 짜내 '''From my head to toe''' 머리부터 발끝까지 '''Inside the warm cocoon,I dreamt to be like you''' 따뜻한 고치 속에서 나는 너와 같은 존재가 되기를 꿈꾸었어 '''Though I know there's no undo''' 돌이킬 길이 없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What do I have left to lose?''' 어차피 더 잃을 것이 무엇 있으리? '''Split''' 분열 '''A sky''' 하늘 '''An earth''' 대지 '''I fell into a crack''' 틈새 사이로 떨어져 '''A birth''' 탄생 '''[[싱클레어(Project Moon 세계관)|An egg]]''' [[싱클레어(Project Moon 세계관)|알]] '''A freshly opened membrane''' 갓 벌어진 막 '''A cell''' 세포 '''A rot''' 부패 '''A face returned to ashes''' 재로 변한 얼굴 '''A wound''' 상처 '''An art''' 예술 '''A sentient canvas''' 지각이 있는 화폭 '''[[데미안(소설)|Breaking breaking breaking the shell]] ''' [[데미안(소설)|깨부숴, 깨부숴, 껍데기를 깨부수고]] '''Breaking out,oh break it now''' 깨어난다, 그래 지금 깨는 거야 '''Show me how, show me how''' 알려주세요, 보여주세요 '''Listen up, my broken child''' 잘 들으렴, 우리 부서진 아이야 '''Let's lament, let's lament''' 애탄하자, 애탄하자꾸나 '''The life, the death, the good, the bad''' 삶과 죽음과 선과 악 '''The never ending curse we cast''' 우리가 건 끝나지 않는 저주 '''Control, control, control, release''' 지배, 지배, 지배, 해방 '''Control, betray, control, let go''' 지배, 배신, 지배, 포기 '''Conceal, reveal, unreal, surreal''' 은폐, 폭로, 비현실, 초현실 '''Invoke, evoke, decode, reload''' 기원, 환기, 해독, 재독 '''Let's lament, let's lament''' 애탄하자, 애탄하자꾸나 '''The past that only got to live in the incomplete holy land''' 미완성된 성지에서밖에 살 수 없었던 과거여 '''Celestial(Ayiah)''' 하늘의 우리(Ayiah) '''We're astral(Ayiou)''' 별의 우리(Ayiou) '''I'm reborn(Le rheaiah)''' 다시 태어나(Le rheaiah) '''Total liberation(Katre o lamenta)''' 완전한 자유(Katre o lamenta) '''My tender skin''' 내 연한 피부 '''A vagitus song(Essentia)''' 갓난아이가 우는 가곡(본질적) '''I breathed(Eventual)''' 숨을 쉬었고(궁극적) '''And screamed(Eternal)''' 비명을 질렀다(영원) '''From my new lungs (Inevitable freeing of the soul)''' 내 갓 난 폐로 목청껏(영혼의 불가피한 해방) }}} }}} || ||<-2> [[Fly, My Wings|{{{#eca019 '''Fly, My Wings'''}}}]] || || 보컬 || [[Mili/멤버#Cassie Wei|Cassie Wei]] || || 음악 || [[Mili]] || ||<-2> 가사 || ||<-2>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010101,#fff '''Fly, broken wings''' [[날개(소설)|날자꾸나]], 부러진 날개야 '''I know you are still with me''' 아직 내 곁에 있다는 걸 알아 '''All I need is a nudge to get me started''' 밀어만 준다면 출발할 수 있어 '''Fly, broken wings''' 날자꾸나, 부러진 날개야 '''To somewhere we can be free''' 자유를 줄 수 있는 곳을 향하여 '''Closer to our (ideal)''' 우리의 “[[이상(Project Moon 세계관)|이상]]”에 다가가자 '''Teary eyed''' 글썽이는 눈을 한 '''Once-gentle soul''' 한때 온화했던 영혼 '''I watched as you rotted away''' 그대가 썩어가는 것을 지켜보았지 '''The mirror says''' 거울이 그러기를 '''That I still remember hope''' 나는 아직 희망을 기억한다 하네 '''Mmm''' 으으음 '''You're doing what you love''' 좋아하는 일을 하고 있는데 '''Isn't that enough? Isn't that enough?''' 그걸로 됐잖아? 그걸로 됐잖아? '''A genius, perfect job''' 천재에 일도 완벽하게 해내는데 '''Isn't that enough? Isn't that enough?''' 그걸로 됐잖아? 그걸로 됐잖아? '''Again and again''' 다시 또 다시 '''You locked me down, I locked me down''' 네가 나를 걸어 잠그고, 내가 나를 걸어 잠그며 '''We staked me to the ground''' 우리는 나를 땅에 못박았지 '''The soil gave me warmth''' 흙이 내게 온기를 주었네 '''Please die, little dreams''' 죽어 다오, 작은 꿈들이여 '''Kill the camellias in me''' 내 안에 핀 [[동백꽃(소설)|동백꽃]]을 죽여다오 '''Wouldn't it be easier to give in?''' 굴하는 편이 더 편치 않을까? '''Why are these hands chasing dreams out of my reach?''' 이 손은 어째서 닿지 않는 꿈을 쫓고 있는 것일까? '''Is my thirst for normalcy (odd?)''' 내 정상성을 향한 갈망은 “이상”한가? '''Fly, perfect wings''' [[날개(소설)|날자꾸나]], 완전한 날개야 '''(Goodbye, goodbye, goodbye)''' (안녕, 안녕, 안녕) '''Where have you been hiding?''' 지금까지 어디에 숨어 있었던 게니? '''(Goodbye, goodbye, goodbye)''' (안녕, 안녕, 안녕) '''Bring me to the mind that got us started''' [[구인회(Project Moon 세계관)|우리의 시작을 이끈 그 지성]]에게 나를 데려다 주렴 '''Fly, perfect wings''' 날자꾸나, 완전한 날개야 '''(Goodbye, goodbye, goodbye)''' (안녕, 안녕, 안녕) '''Show them who I can be''' 내가 어떤 사람이 될 수 있는지 보여 주자 '''(Goodbye, goodbye, goodbye)''' (안녕, 안녕, 안녕) '''For the one last time, if you will''' 마지막으로 감히 한 번만 더 말씀드리리니 '''THAT'S ALL''' [[이상(Project Moon 세계관)|"이상이오."]] }}} }}} || ||<-2> [[Compass|{{{#eca019 '''Compass'''}}}]] || || 보컬 || [[Mili/멤버#Cassie Wei|Cassie Wei]] || || 음악 || [[Mili]] || ||<-2> 가사 || ||<-2>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010101,#fff '''Bon Voyage''' [[모비 딕(소설)|Bon Voyage]] '''Your mermaid's setting sail''' 그대의 인어가 출항하네 '''At last''' 이제서야 '''Full speed towards your heart''' [[에이해브(Project Moon 세계관)|그대의 심장]]을 향해 전속력으로 '''Full speed towards your heart''' 그대의 심장을 향해 전속력으로 '''I've had enough''' 이제 그만해도 돼 '''I'm reclaiming myself''' 이제 내 [[이스마엘(Project Moon 세계관)|자신]]을 되찾을 거야 '''The aft''' 후미 '''Leaving behind the hurt''' 고통을 뒤로하고 '''Leaving behind the hurt''' 고통을 뒤로하고 '''When it snapped''' 그것이 끊어졌을 때 '''My compass was swallowed by the sea''' 나의 나침반은 대양에 먹혀버렸어 '''My compass was swallowed by the sea''' 나의 나침반은 대양에 먹혀버렸어 '''I cursed this relationship between you and me''' [[에이해브(Project Moon 세계관)|그대]]와 [[이스마엘(Project Moon 세계관)|나]]의 이 연결을 저주했지 '''I wanted blood''' 피가 보고 싶었어 '''I wanted black and white''' 흑백이기를 원했어 '''Clear cut''' 모든 게 단정된 '''Your evils predefined''' 네 악을 규정해놓고 '''Your evils predefined''' 네 악을 규정해놓고 '''Hold on tight''' 꽉 붙들어 매 '''My compass is curiosity''' 나의 호기심을 나침반 삼아 '''My compass is curiosity''' 나의 호기심을 나침반 삼아 '''I'm piercing through the rope that strangled you and me''' [[이스마엘(Project Moon 세계관)|난]] [[피쿼드호|우리]]의 [[에이해브(Project Moon 세계관)|목을 조르던 밧줄]]을 끊어내고 '''Let us be free''' 자유롭게 될 거야 '''High tide, Low tide.''' 밀물, 썰물. '''High tide, Low tide.''' 밀물, 썰물. '''High tide, Low tide.''' 밀물, 썰물. '''High tide, Low tide.''' 밀물, 썰물. }}} }}} || == 거울굴절철도 == == 사라지네 == ||<-2> {{{#eca019 '''사라지네'''}}} || || 보컬 || LCB 수감자[* 챕터 마지막 스테이지를 끝낼 때마다 크레딧과 함께 해당 챕터의 주인공인 수감자가 노래를 부른다.] || || 음악 || [[스튜디오 EIM]][* 각 장마다 다른 악기를 중심으로 어레인지되어있다. 1장은 일렉기타, 2장은 피아노, 3장은 어쿠스틱 기타, 4장은 드럼.] || || 링크 || [[https://youtu.be/SupBa5JJuO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그레고르]][* 앨범 소개 <1장>: 전쟁이 끝난 지는 오래었지만 그레고르는 아직도 전쟁터에 벗어 나지 못한 상태였다. 전체적으로 들리는 거친 사운드는 그레고르의 지쳐 있는 내면과 과거의 역경을 드러내지만 경쾌하고 시원한 전개로 그 안에서 흔들리지 않고자 하는 전진감이 나타난다. 이제는 희미하게 보이는 한 줌의 희망으로 허심탄회하게 새 출발을 해 보려고 하는 그레고르의 바램이 담겨 있는 록 형식의 노래.] [[https://youtu.be/dM5gOSaX5X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로쟈]][* 앨범 소개 <2장>: 메이저와 마이너를 오가는 첼로와 바이올린 중심의 현악 구성은 로쟈가 가진 은밀한 이중성을 표현한다. 전반적으로 얼음 동굴을 연상시키는 공간감과 반향은 공허하고 차가운 느낌이 들도록 구성하였으며, 아직은 완전히 나아갈 길에 대해 갈피를 잡지 못한 로쟈의 내면을 표현하고자 했다.] [[https://youtu.be/4l6c1xubWX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싱클레어]][* 앨범 소개 <3장>: 끔찍했던 과거에 맞서야 했던 싱클레어의 불안함과 그의 미숙한 내면을 표현하고자 했던 모던 록의 곡. 절규 섞인 그의 울음이 아직 완전히 말라버리진 않았지만, 성장하고 싶은 간절함과 그 안에서 오는 떨림을 의도적으로 드러내고자 했다. 초반의 약하게 들리는 일렉트릭 기타는 싱클레어의 미약한 상태를 대변하지만 후반부에 찾아오는 코러스와 현악 세션을 통해 성장을 향해 나아가고자 하는 그의 간절함이 돋보인다.] [[https://youtu.be/Hk65t2TlAi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이상]][* 앨범 소개 <4장>: 거울 속에 비친 날개는 현실의 한계를 보여준 것이 아닌, 미래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깨달은 이상은 비로소 날갯짓을 시작하게 된다. 적은 악기 구성으로 시작되는 옅은 색채의 사운드는 점점 다채로워지듯 점층되는데, 초반에는 아무런 기대가 없는 상태였지만 순간순간 행복을 느끼는 것에 최선을 다할 거라는 이상의 내면의 변화와 맞닿아 있다. 랩의 가사는 이상의 <절벽> 시를 인용하였으며 읊조리는 듯한 나레이션과 노래 가사의 교차는 거울 속의 이상과 거울 밖의 이상의 대화를 연상시킨다.] [[https://youtu.be/VoBSDHfOdfw?si=OOpSJTb_ZQ2gC5Pf|[[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이스마엘]][* 앨범 소개 <5장>: 나침반은 멀리 있지 않았다. 미련일지도 모른 듯한 희미한 파도 소리와 감성적인 현악 세션으로 시작했지만 이내 시원하고 후련하게 과거의 미련들을 털어내고 새로운 항해가 시작된다. 담담하게 시작한 보컬은 점차 격정적이고 강하게 표현되며 자신만의 방향으로 나아가려는 굳은 의지를 드러낸다. 이제 항해는 무슨 일이 닥쳐올지 모르는 불안이 아닌, 무슨 일이 닥쳐와도 목적지를 향해 나아가는 모험이 되었다. 그제야 우리는 그 이름, 이스마엘을 불러줄 수 있다.] || ||<-2> 가사 || ||<-2>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010101,#fff 그림자를 쫓던 나날들 남은 건 허망한 기억 불길이 나를 태운 것처럼 내 손엔 잿빛 먼지뿐 쉼없이 달려 왔던 나를 죄여오던 시간들 이조차 그리워질까 먼 훗날 언젠가는 돌이켜볼 기억 속에 미소지을 수 있기를 내게 남은 알 수 없는 시간과 이제는 나아가야 할 때 자신을 태워 사라져 가는 촛불과 닮아 있구나 숨 고를 새도 없이 떠밀려 던져진 날 속에 내 길을 갈 수 있기를 먼 훗날 언젠가는 돌이켜볼 기억 속에 미소 지을 수 있도록 멀리 멀리 날아가고 싶어 밤하늘의 새처럼 별에 닿을 수 있게 이 밤 이 밤 또 다시 찾아오겠지만 괜찮아 다 살아지네 괜찮아}}} }}} || ||<-2> 가사 ver.이상[* 랩 부분은 [[이상(작가)|이상]] 시인이 1936년에 지은 시 '절벽'을 인용한 부분이다.] || ||<-2>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010101,#fff ''꽃이 보이지 않는다'' ''꽃이 향기롭다.'' ''향기(香氣)가 만개(滿開) 한다'' ''나는 거기 묘혈을 판다'' 그림자를 쫓던 나날들 남은 건 허망한 기억 불길이 나를 태운 것처럼 내 손엔 잿빛 먼지 뿐 ''향기가 만개(滿開) 한다'' ''나는 거기 묘혈을 판다'' ''묘혈도 보이지 않는다'' ''보이지 않는 묘혈 속에 나는 들어 앉는다'' ''나는 눕는다'' 쉼 없이 달려 왔던 나를 죄여오던 시간들 이조차 그리워질까 먼 훗날 언젠가는 돌이켜 볼 기억 속에 미소 지을 수 있기를 ''향기가 만개 한다'' ''나는 잊어버리고 재차 거기 묘혈(墓穴)을 판다'' ''묘혈은 보이지 않는다'' ''보이지 않는 묘혈로 나는'' ''꽃을 깜빡 잊어 버리고 들어간다'' 내게 남은 알 수 없는 시간과 이제는 나아가야 할 때 자신을 태워 사라져 가는 촛불과 닮아 있구나 숨 고를 새도 없이 떠밀려 던져진 날 속에 내 길을 갈 수 있기를 먼 훗날 언젠가는 돌이켜 볼 기억 속에 미소 지을 수 있도록 ''나는 정말 눕는다'' ''꽃이 또 향기롭다'' 멀리 멀리 날아가고 싶어 밤하늘의 새처럼 별에 닿을 수 있게 이 밤 이 밤 또 다시 찾아오겠지만 괜찮아 다 살아지네 ''보이지 않는 꽃이'' ''보이지도 않는 꽃이'' 괜찮아}}} }}} || == 여담 == * 승리 테마는 있으나 따로 패배 테마는 없다. 다만 결산창이 아닌 전투에서 재생되는 음악에서는 적군이 유리할 때(=아군이 불리할 때) 재생되는 테마가 따로 나뉘어진다. * 적과 아군의 유불리에 따라 아군 테마 1~3개와 적군 테마 1~3개가 재생되는데, 이것은 전작의 [[라이브러리 오브 루이나]]에서 적과 아군의 감정 고조에 따라 브금이 바뀌던 것을 똑같이 가져온 것이다. 다만 승자 독식이 위주인 림버스 컴퍼니의 특징 때문에, 자주 그리고 오래 듣기는 어렵다. 이 때문인지는 몰라도 이후 출시되는 스토리 챕터에서는 아군과 적군의 유불리를 무시하고 테마가 재생되기도 하며, 아예 이벤트 전투에서는 적군 테마만 존재하기도 한다.[* 본래는 아군이 우세하면 아군 테마로 바뀌었으나, 5.5장에서는 크리스마스 분위기에 맞게 적군 테마를 더 듣고 싶다는 사람이 많아져서 결국 특정 이벤트 챕터에서는 상황을 무시하고 적군 전용 테마가 연출되게 바뀌었다.] * 전작의 지정 사서가 모두 테마를 공유한 것과 마찬가지로, 많은 전투 테마가 Theme 1의 모티프가 들어간다. 또한 유명한 곡이 모티프가 되기도 하는데, 20번 구의 기적 OST는 크리스마스 캐롤, 캐논 등이 들어갔다. * 2023년 만우절 날 재생된 브금은 저작권이 없는 OST를 사용한 것이다. 총 3개로 각각 블루아카이브의 퓨처 베이스, 명일방주의 어둡고 잔잔한 피아노, 우마무스메의 게임 브금을 패러디한 것이다.[[https://www.youtube.com/watch?v=TUEVnsRgCZE|#]]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Limbus Company, version=2623, paragraph=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