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BASH_VERSION == 현재 사용하고 있는 bash쉘의 버젼. (echo $BASH_VERSION) == HOSTNAME == 현재 사용 중인 컴퓨터의 이름 정확히는 /etc/hostname파일의 내용을 읽어온다. == HISTFILE == 사용된 명령어들이 저장될 파일의 이름. history 명령어와는 달리 꺼지기 전의 명령어가 입력되어 있음. 또한 아래서 다룰 histfilesize의 개수만큼만 저장되고 이전에 있던 명령어들은 사라짐. == HISTFILESIZE == 사용된 명령어들을 저장한 한계치를 정한다. 파일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닌 history 명령어 출력시의 명령어 수도 제한함. (기본값으로 500이 잡혀있으며, 500개의 명령어가 넘어가면 이전 것부터 사라짐.) == IFS == The Internal Field Separator(내부 공간 구분자)의 줄임말로써 제작된 명령어의 옵션과 명령어를 구별해주는 등의 역할을 하는 환경변수이다. (기본값으로 을 갖고 있다.) 이걸 이용한 exploit이 존재한다고 한다. == TMOUT == 리눅스 쉘에서 로그인한 사용자를 일정 시간 이후 로그아웃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윈도우의 절전모드같은 식이다. 동작이 없으면 그뒤로 초를 계산함.) 단위는 초 단위를 이용한다. (0이면 무한대이다.) 그리고 bash에서 사용된다고 한다. == SHELL == 기본적으로 사용할 쉘을 지정한다. 로그인시 바로 그 쉘로 접속하게 됨. == DISPLAY == window x의 디스플레이 이름을 정한다. == EDITOR == 기본에디터를 설정한다. 대개 export EDITOR=/usr/bin/vi 이렇게 정한다. [[분류:Linu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