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Innuendo)] ---- ||<-4><#fff> {{{+2 {{{#CD5C5C '''Lost Opportunity''' }}} }}} || ||<-4>{{{#!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eK4fwHHTGQs, height=175, width=100%)]}}}|| || '''앨범 발매일''' ||[[1991년]] [[2월 5일]]||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CD5C5C; background: #FFF; font-size: .9em" [[Innuendo|'''{{{#CD5C5C Innuendo}}}''']]}}} || || '''장르''' ||[[블루스 록]] || || '''작사/작곡''' ||[[브라이언 메이]]|| || '''러닝 타임''' ||3:53|| || '''프로듀서''' ||[[퀸(밴드)|퀸]]|| || '''레이블''' ||[[파일:영국 국기.svg|width=28px]] 팔로폰 레코드[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8px]] 할리우드 레코드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록 밴드 [[퀸]]의 앨범 [[Innuendo]]에 수록된 곡이다. == 소개 == 앨범의 두 번째 트랙인 '[[I'm Going Slightly Mad]]'의 B면에 수록되었다. 평소에는 등장하지 않던 [[블루스 록]]의 분위기가 잘 드러나는 곡이다. 제목의 'Lost Opportunity'는 '잃어버린 기회'로 해석된다. 반면에 퀸의 일부 팬들은 이 음악을 [[Innuendo]] 앨범의 '''최악의 트랙'''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평소 [[퀸(밴드)|퀸]]이 시도하던 [[하드 록]]이나 [[팝 록]]같은 장르와는 다른 [[블루스 록]]의 분위기가 지루하다는 것이 그 이유다. == 가사 == || ----- '''{{{+2 Lost Opportunity}}}''' ----- Every morning, I face the sun 매일 아침, 나는 태양을 마주해요 I lift my head and smile at everyone 고개를 들고 모두에게 미소를 지어요 Every afternoon you'll find me workin' on 매일 오후 당신은 내가 일하고 있는 걸 보게 될 거예요 I've got my new shoes on 나는 새 신발을 신었어요 Got to keep movin' on, that's what they say 계속 움직여야 해요, 사람들이 그렇게 말하잖아요 Every night I'm tossed 매일 밤 난 버려져요 And I shake my fevered brow 그리고 나는 열이 난 이마를 흔들었어요 Thinking of my lost opportunity 잃어버린 기회를 생각하면서 Oh, yeah Yes, every morning I face the sun 그래요, 매일 아침 나는 태양을 마주해요 I get so positive with everyone 나는 모든 사람에게 아주 긍정적이예요 On every afternoon 매일 오후에 They find the cracks showing through 그들은 틈 사이로 보이는 균열을 발견해요 They know what I'm going through 그들은 내가 겪고 있는 일을 알고 있어요 Oh, yes they do 아, 그렇죠 Every evening finds me 매일 저녁 나를 찾아요 The optimist behind me 내 뒤의 낙천주의자 Gone with my lost opportunity 잃어버린 기회와 함께 사라졌어요 ---- [[퀸(밴드)|[[파일:퀸(밴드) 로고.svg|width=100]]]] || [[분류:1991년 노래]][[분류:퀸/노래 목록]][[분류:블루스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