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아이유)] ||<-2> '''{{{+1 Love poem}}}[br]Pre-Release Singl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1297613_1572591843714_1_600x600.jpg|width=100%]]}}} || ||<-2> '''아이유 선공개 싱글''' || || '''발매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9년]] [[11월 1일]] || || '''기획사''' ||<|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padding: 4px 4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F;" [[카카오엔터테인먼트|[[파일:카카오엔터테인먼트 로고.svg|width=80]]]]}}} || || '''유통사''' || || '''곡 수''' || 1곡 || || '''재생 시간''' || 04:18 ||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OLAK5uy_mtFQH7RCDeQiAoXYe4qr2AJ2pAmcRhc4M| {{{#000 '''곡 듣기'''}}}]] || [목차] [clearfix] == 개요 == ||
{{{#454545 '''트랙''' }}} || {{{#454545 '''곡명''' }}} || {{{#454545 '''작곡''' }}} || {{{#454545 '''작사''' }}} || {{{#454545 '''편곡''' }}} || || 01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E2E3DE; background: #E2E3DE; font-size: 0.6em; color: #000;" '''TITL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999; background: #999; font-size: 0.6em; color: #ffffff;" '''선공개'''}}}[br]'''Love poem''' || 이종훈 || [[아이유]] || 홍소진, [[적재]] || ||<-5> {{{#454545 '''그렇게 차례대로 서로의 시를 들어 주면서, 크고 작은 숨을 쉬면서 살았으면 좋겠다.'''}}} || [include(틀:영상 정렬,url=kcx0a2OAhN0)] 2019년 11월 1일에 발매된 [[아이유]]의 미니 5집 [[Love poem]]의 선공개 곡이자 타이틀 곡 중 하나.[* 동명의 미니 앨범 [[Love poem]]은 11월 18일에 발매되었으며, 다른 타이틀 곡은 <[[Blueming]]>이다.] 중후한 피아노 반주와 기타 리프로 편곡된 리드미컬한 어쿠스틱 곡으로, 코러스에는 가수 [[하동균]]이 참여했다. == 발매 전 == 본래 해당 곡을 10월 28일에 선공개 한 후 4일 뒤인 11월 1일에 동명의 미니 앨범 [[Love poem]]을 발매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설리(1994)|설리]]의 [[설리 사망 사건|부고]]로 인해 선공개 곡을 포함한 앨범의 모든 발매 일정을 잠정 연기했고, 결국 앨범 발매 예정일이었던 11월 1일에 이 곡을 선공개 했다. 이후 〈[[Love, Poem]]〉의 광주 일요일 공연에서 연기되었던 미니 앨범을 11월 18일에 발매한다고 밝혔다. 즉, 11월 16일에 진행되었던 부산 공연과 11월 23일, 24일에 진행되었던 서울 공연 사이에 앨범이 발매가 된 것이었다.[* 각종 팬 커뮤니티에서는 미니 앨범이 2020년 연초에 발매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2019년 내에 발매하려면 콘서트 일정 중간에 앨범을 내야 했는데, 그렇게 되면 일부 공연에서만 신곡을 부를 수 있는 등 혼선이 오기도 하고, 투어 도중에 앨범을 발매하는 것 자체가 드문 일이었기 때문이다.] == 음반 소개 == >'''"[[이기적 유전자|인간의 이타성이란 그것마저도 이기적인 토대 위에 있다.]]"''' > >사랑하는 사람이 홀로 고립되어 가는 모습을 보는 것은 힘든 일이다. >아무것도 해 주지 못하고 지켜보기만 하는 것이 괴로워 재촉하듯 건넸던 응원과 위로의 말들을, >온전히 상대를 위해 한 일이라고 착각하곤 했다. >나는 여전히 누군가 내 사람이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면 참견을 잘 참지 못한다. >하지만 이제는 나의 그런 행동들이 온전히 상대만을 위한 배려나 위로가 아닌 그 사람의 평온한 일상을 보고 싶은 나의 간절한 부탁이라는 것을 안다. >염치 없이 부탁하는 입장이니 아주 최소한의 것들만 바라기로 한다. >이 시를 들어 달라는 것, >그리고 숨을 쉬어 달라는 것. > >누군가의 인생을 평생 업고 갈 수 있는 타인은 없다. 하지만 방향이 맞으면 얼마든 함께 걸을 수는 있다. >또 배운 게 도둑질이라, 나는 나의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얼마든 노래를 불러 줄 수 있다. >내가 음악을 하면서 세상에게 받았던 많은 시들처럼 나도 진심 어린 시들을 부지런히 쓸 것이다. > >'''그렇게 차례대로 서로의 시를 들어 주면서,''' >'''크고 작은 숨을 쉬면서, 살았으면 좋겠다.''' 곡 소개글이 꽤 많은 화제가 되었다. 소개글과 함께 들으니 비로소 노래가 완성되는 것 같다는 후기도 많이 보인다. == 가사 == || '''{{{#454545 〈Love poem〉}}}''' || || 누구를 위해 누군가 기도하고 있나 봐 숨죽여 쓴 사랑시가 낮게 들리는 듯해 너에게로 선명히 날아가 늦지 않게 자리에 닿기를 I’ll be there 홀로 걷는 너의 뒤에 Singing till the end 그치지 않을 이 노래 아주 잠시만 귀 기울여 봐 유난히 긴 밤을 걷는 널 위해 부를게 또 한 번 너의 세상에 별이 지고 있나 봐 숨죽여 삼킨 눈물이 여기 흐르는 듯해 할 말을 잃어 고요한 마음에 기억처럼 들려오는 목소리 I’ll be there 홀로 걷는 너의 뒤에 Singing till the end 그치지 않을 이 노래 아주 커다란 숨을 쉬어 봐 소리 내 우는 법을 잊은 널 위해 부를게 (다시 걸어갈 수 있도록) 부를게 (다시 사랑할 수 있도록) Here I am 지켜봐 나를, 난 절대 Singing till the end 멈추지 않아 이 노래 너의 긴 밤이 끝나는 그날 고개를 들어 바라본 그곳에 있을게 ''누구를 위해 누군가'' ''기도하고 있나 봐'' ''숨죽여 쓴 사랑시가'' ''네게 들렸으면 해''[* 기울임체로 되어 있는 파트는 공식 음원에 존재하지 않지만, 라이브 무대에서 추가하여 부른다.] || === 가사의 의미 === 진지한 위로의 곡이다. 그런데, 흔한 위로의 말을 건네는 대신 최대한 조심스러운 위로를 전하며 네가 이겨내기만을 가만히 기다려주겠다고 하는 화자의 메시지는 결코 흔해 보이지 않는다. 소개글에서 "나의 간절한 부탁은 다름아닌 너의 평온한 일상을 보는 것이다"라는 메시지가 가사의 마지막 소절 "너의 긴 밤이 끝나는 그날 고개를 들어 바라본 그곳에 있을게"를 통해 세련되게 담겼다고 볼 수 있다. 상세한 노래 해석을 한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047/0002246292|기사]]도 있다. 이 기사에서는, 반복되는 '기도'와 '사랑시'의 메시지는 한 개인의 마음속에 내면화된 메시지를, '별이 지는 세상'은 사회의 각종 조건부적 가치들의 방해로 내가 원하는 삶, 내가 되고자 하는 나의 모습으로 살아갈 수 없음을 깨닫는 순간 경험하는 상실감과 절망을 의미한다고 해석했다. == 성과 == ||<-3> [[멜론(음원 서비스)|[[파일:멜론 로고.svg|width=100]]]][br]'''{{{#white 멜론 월간차트 1위}}}''' || || {{{#white '''2019년 10월'''}}} || {{{#white '''2019년 11월'''}}} || {{{#white '''2019년 12월'''}}} || || [[파일:악동뮤지션 항해.png|height=70]][br]'''[[AKMU|{{{#gray,#7f7f7f AKMU}}}]]'''[br]'''[[어떻게 이별까지 사랑하겠어, 널 사랑하는 거지|{{{#gray,#7f7f7f 어떻게 이별까지 사랑하겠어,[br]널 사랑하는 거지}}}]]''' || [[파일:아이유.Love Poem.jpg|height=70]][br]'''[[아이유|{{{#white 아이유}}}]]'''[br]'''[[Love poem(노래)|{{{#white Love poem}}}]]''' || [[파일:아이유.Love Poem.jpg|height=70]][br]'''[[아이유|{{{#gray,#7f7f7f 아이유}}}]]'''[br]'''[[Blueming|{{{#gray,#7f7f7f Blueming}}}]]''' || ||<-5>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padding: 3px 1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F;" [[가온차트|[[파일:external/image.chosun.com/2015010800997_1.jpg|width=90]]]]}}}[br]'''{{{#blue,#orange 가온 디지털 차트 월간 1위}}}''' || || '''2019년 10월''' || '''2019년 11월''' || '''2019년 12월''' || || [[파일:악동뮤지션 항해.png|height=70]] || [[파일:아이유.Love Poem.jpg|height=70]] || [[파일:아이유.Love Poem.jpg|height=70]] || || '''[[AKMU|{{{#000,#ddd AKMU}}}]]'''[br]'''[[어떻게 이별까지 사랑하겠어, 널 사랑하는 거지|{{{#000,#ddd 어떻게 이별까지 사랑하겠어,[br]널 사랑하는 거지}}}]]''' || '''[[아이유|{{{#000,#ddd 아이유}}}]]'''[br]'''[[Love poem(노래)|{{{#000,#ddd Love poem}}}]]''' || '''[[아이유|{{{#000,#ddd 아이유}}}]]'''[br]'''[[Blueming|{{{#000,#ddd Blueming}}}]]''' || ||<-5>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padding: 3px 1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F;" [[가온차트|[[파일:external/image.chosun.com/2015010800997_1.jpg|width=90]]]]}}}[br]'''{{{#blue,#orange 가온 스트리밍 차트 월간 1위}}}''' || || '''2019년 10월''' || '''2019년 11월''' || '''2019년 12월''' || || [[파일:악동뮤지션 항해.png|height=70]] || [[파일:아이유.Love Poem.jpg|height=70]] || [[파일:아이유.Love Poem.jpg|height=70]] || || '''[[AKMU|{{{#000,#ddd AKMU}}}]]'''[br]'''[[어떻게 이별까지 사랑하겠어, 널 사랑하는 거지|{{{#000,#ddd 어떻게 이별까지 사랑하겠어,[br]널 사랑하는 거지}}}]]''' || '''[[아이유|{{{#000,#ddd 아이유}}}]]'''[br]'''[[Love poem(노래)|{{{#000,#ddd Love poem}}}]]''' || '''[[아이유|{{{#000,#ddd 아이유}}}]]'''[br]'''[[Blueming|{{{#000,#ddd Blueming}}}]]''' || * 발매 직후 [[멜론(음원 서비스)|멜론]]을 포함한 각종 음원차트 1위로 진입했고, 특히 멜론에서는 '''점유율 50%를 넘긴 채로 24시간 이상 유지'''하며 '믿고 듣는 아이유'임을 또 한번 증명했다. 또한 진입 이용자 수 '''121,111명'''을 기록하며 당시 '''역대 1위''' 기록을 경신했다.[* 기존의 1위 기록은 아이유의 <[[삐삐(아이유)|삐삐]]> (113,923명). 본인이 세운 역대 기록을 1년 만에 본인이 다시 깬 것이다.] [[https://glkjg.tistory.com/329|#]] 그 결과 멜론 24시간 이용자 수 '''1,303,668명'''을 기록하며 '''역대 7위''' 및 방송음원 제외 역대 5위 기록을 경신했다.[* 참고로 역대 멜론 24시간 이용자 수 1위는 다름아닌 아이유의 <[[삐삐(아이유)|삐삐]]> (146만 명).]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iu_new&no=4433250&exception_mode=recommend&page=2|#]] * 멜론에서 '''주간차트 1위 1주'''를 달성했다.[* 그 다음 주엔 주간 2위를 기록했는데, [[노을(보컬그룹)|노을]]의 신곡이 주간 1위를 차지했다.] [[가온차트|가온]] 주간 디지털 차트에서도 '''1주 1위'''를 달성했다. * MBC [[쇼! 음악중심]]에서 2관왕, KBS2 [[뮤직뱅크]]와 SBS [[인기가요]]에서 각각 1관왕을 차지하여 음악방송에서 총 '''4관왕'''을 기록했다. ||
'''{{{#454545 날짜}}}''' || '''{{{#454545 곡명}}}''' || '''{{{#454545 음악방송}}}''' || '''{{{#454545 비고}}}''' || || 2019. 11. 16. ||<|4> {{{-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2E3DE;" [[Love poem(노래)|{{{#454545 '''Love poem'''}}}]]}}}}}}[br]'''4관왕''' || 쇼! 음악중심 || || || 2019. 11. 17. || 인기가요 || || || 2019. 11. 23. || 쇼! 음악중심 || 2주 연속 || || 2019. 11. 29. || 뮤직뱅크 || [* 과 <[[Blueming]]>이 함께 1위 후보에 올랐다. 음반 점수를 제외한 의 점수(5110점)가 의 점수(4959점)보다 더 높아 음반 점수가 쪽으로 들어갔다. 뮤직뱅크의 음반 점수는 2곡이 동일 앨범 수록곡일 경우 해당 앨범 수록곡 1곡에만 들어가며, 다른 1곡은 음반 점수가 0점으로 처리된다. (2곡이 다른 앨범 수록곡일 경우에는 각자의 판매량이 반영된다.)] || * 11월 18일 동명의 앨범 [[Love poem]]이 나오기 전까지 3~4위를 왔다갔다 하고 있었다. 앨범이 발매되자 타이틀 곡 <[[Blueming]]>이 1위를 차지하는 동시에 이 곡이 다시 2위로 올라섰다.[* 다시 노을의 곡에 밀린 후에는 1~3위가 아이유-노을-아이유인 흐름이 한동안 이어졌다.] 선공개 3주차[* [[Love poem]] 앨범 발매 1주차] 및 4주차에는 주간차트 3위를 차지했고, 결국 '''2019년 11월 멜론 월간차트 1위''' 및 '''가온 월간 디지털 차트 1위'''를 차지했다. 다른 모든 음원 사이트에서도 월간차트 1위 차지했다. 이어 12월 멜론 월간차트에서는 6위를 기록하며 롱런에 성공했고, 발매된 지 70여 일이 지난 2020년 1월 초까지 일간차트 10위 이내를 지켰다. 또한 가온 주간 디지털 차트 '''10주 연속 TOP 10'''에 차트인 하는 기록을 세웠다. * 11월 1일에 발매되어 당해 연간차트에 60일밖에 집계되지 않았음에도 2019년 멜론 연간차트 '''85위''', 가온 연간 디지털 차트에서 '''76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 제9회 [[가온차트 뮤직 어워드]]에서 '''올해의 가수상 디지털음원 부문 (11월)'''[* 일명 '가온상']을 수상했다. 당시 후보 5곡에 이 모두 올랐는데, 매우 근소한 차이로 을 이기고 수상하게 되었다.[* 의 점수는 235,840,241점. 은 228,094,049점으로 최종 2위를 차지했다. 이렇게 '가온상'을 두고 아이유의 곡들끼리 대결을 펼친 건 제7회 가온차트 뮤직어워드에서 4월 가온상을 두고 <[[사랑이 잘]]>과 <[[팔레트(노래)|팔레트]]>가 경쟁한 이후 2번째이다. 참고로 그 당시 가온상은 <팔레트>가 가져갔다.] [[https://youtu.be/rj3VVmrpW9Q|영상]] * 2020년 27주차 가온차트에서 '''[[써클차트/자료/1억 스트리밍|1억 스트리밍]]''' 인증을 받았다.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241/0003036961|#]] 이는 발매 9개월 만에 달성한 기록이다. * 2020년 멜론 연간차트 '''32위''', 가온 연간 디지털 차트 '''22위'''를 기록했다. * 2021년 7월, 멜론 주간차트 '''90주 연속 차트인'''을 돌파하였고, 아이유의 곡들 중 3번째로 오랫동안 차트인 한 곡이 되었다.[* <[[밤편지]]>가 120주로 1위, <[[금요일에 만나요]]>가 96주로 2위.] * 2021년 7월 26일, 멜론 24Htis 차트에서 차트아웃 되었다. 이로써 은 멜론 일간차트 '''633일 연속 차트인''' 및 주간차트 '''91주 연속 차트인'''이라는 엄청난 롱런 기록을 남겼다. * 2021년 멜론 연간차트 '''76위''', 가온 연간 디지털 차트 '''66위'''를 기록하며 '''3년 연속 연간차트에 진입'''하는 기염을 토했다. * 2023년 9주차 써클차트에서 '''[[써클차트/자료/2억 스트리밍|2억 스트리밍]]''' 인증을 받았다. [[https://www.nspna.com/news/?mode=view&newsid=624652|#]] 2억 스트리밍을 달성한 아이유의 '''5번째''' 곡이며,[* 발매 순서대로 <[[금요일에 만나요]]>, <[[밤편지]]>, , <[[Blueming]]>, <[[에잇]]>이 2억 스트리밍을 달성했다. 참고로 <밤편지>는 3억 스트리밍을 돌파했다.] 동시에 아이유는 최다 2억 스트리밍 곡 보유 가수이기도 하다. 또한 <[[Blueming]]>에 이어 2억 스트리밍을 달성함으로써 미니 5집 [[Love poem]]의 '''두 타이틀 곡이 모두 2억 스트리밍을 달성'''한 대기록을 세우게 되었다. == 관련 영상 == ||
{{{#454545 '''Love poem[br][[유희열의 스케치북|{{{#454545 유희열의 스케치북}}}]] 라이브''' - {{{-1 2020. 9. 18.}}}}}}[* 2020년 9월 18일에 방송된 《[[유희열의 스케치북]]》 509화에서 선보인 무대로, 아이유가 단독으로 100분 편성을 받아 미니 콘서트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참고로 [[9월 18일]]은 아이유의 데뷔일로, 방송이 된 이날은 데뷔 12주년이 되던 날이었다. 본래 이 날짜에 맞춰 [[서울올림픽주경기장]]에서 단독 콘서트를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대관이 취소되었으며, 그로부터 정확히 2년이 지난 2022년 9월 17-18일 〈[[The Golden Hour : 오렌지 태양 아래]]〉를 통해 서울올림픽주경기장에서 콘서트를 진행하게 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opjqIdPlwQ)]}}} || ||
{{{#454545 '''Love poem[br]Live Clip''' - {{{-1 2020. 11. 1.}}}}}}[* 곡이 발매된 지 정확히 1년이 되던 날에 라이브 클립이 업로드 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cVmaIlHZ1o)]}}} || ||
{{{#454545 '''Love poem[br]제35회 [[골든디스크어워즈|{{{#454545 골든디스크어워즈}}}]] 라이브''' - {{{-1 2021. 1. 9.}}}}}}[* 제35회 [[골든디스크어워즈]]에 출연하여 <[[Blueming]]>과 함께 라이브 무대를 선보였다. 참고로 이날 아이유는 으로 '''디지털 음원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mQvHHukW8M)]}}} || == 다른 가수의 [[커버(음악)|커버]] == 다양한 곳에서 커버가 굉장히 많이 이루어진 곡이며, 발매된 지 꽤 오랜 시간이 흘렀음에도 여전히 많은 가수들에 의해 커버되고 있다. 워낙 대중적인 가수라 여러 곳에서 아이유의 곡을 많이 부른 것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이 곡은 <[[밤편지]]>와 함께 공영방송에서 유독 많이 커버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그래서인지 중년층에게는 <[[Blueming]]>보다 의 인지도가 더 높은 것으로 보인다. * [[유명가수전]] (JTBC) * [[https://youtu.be/RevYAhCjLWk|이승윤]][* [[싱어게인 - 무명가수전]]의 우승자. 아이유가 출연했던 JTBC 유명가수전 2화에서 이 곡을 불렀다.] * [[비긴어게인 시리즈]] (JTBC) * [[https://youtu.be/_QLWtoOoHkM|정승환X이수현]] * [[https://youtu.be/wSyhUL1DF-g|소향]] * [[https://youtu.be/x6V1drisyYU|윤도현]] * [[팬텀싱어 3]] (JTBC) * [[https://youtu.be/m3JrzfVLE7U|안동영과 유채훈]][* 성악 버전으로 커버를 하여 많은 관심을 받았다.] *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MBC) * [[https://youtu.be/KE-6Vm4ePw8|이무진]][* 두 번째 가왕 방어전에서 이 곡을 불렀다.] * [[불후의 명곡 2]] (KBS2) * [[https://youtu.be/E78ZdBNOR-Q|김신의]] * [[킹덤: 레전더리 워]] (Mnet) *[[https://youtu.be/5Rl67uU_oJs|메이플라이]][* [[비투비]], [[Stray Kids]], [[ATEEZ]]가 속한 그룹이다. 여담으로 이 무대는 팀전 경연이었는데, 이 곡을 부른 메이플라이가 33:0으로 완승을 거두었다. 자세한 내용은 [[킹덤: 레전더리 워#s-6.4.1|해당 문서]] 참고.] * [[내일은 국민가수]] (TV CHOSUN) * [[https://youtu.be/U-wiSjA6mbM|상경부]][* 왼쪽부터 [[조연호]], [[김동현(국민가수)|김동현]], [[손진욱]], [[이솔로몬]]. 여담으로 이 곡을 부른 4명 모두 TOP10에 진출하였다.] * 개인 유튜브 * [[https://youtu.be/WzpauG2zTlE|정은지]] * [[https://youtu.be/cmX5Oyag2UE|세븐틴 승관]] * [[https://youtu.be/y8E8re7M-_c|SF9]] == 여담 == * 도입부와 곡의 전체적인 분위기가 데뷔 곡인 <[[미아(아이유)|미아]]>와 비슷하다는 평이 많다.[* 실제로 이 곡의 작곡가 이종훈이 작업할 당시 미야의 코드 진행을 차용하되 후렴구와 전체적인 방향성을 훨씬 마이너한 버전의 곡으로 만들었다고 밝혔다.] 아이유가 아이돌 노래에서 노선을 변경한 이후 좀처럼 듣기 힘들었던 분위기의 노래라 반갑다는 평이 대부분. * 대중들 사이에서는 불과 발매 3주 전에 안타깝게 생을 마감한 아이유의 절친 [[설리(1994)|설리]]가 생각난다는 반응이 굉장히 많다. 물론, 시기가 겹쳐서 그렇게 느껴지는 것이고 실제로는 [[설리 사망 사건|해당 사건]] 발생 한참 전에 이미 만들어진 곡임이 분명하다.[* 다음 앨범 얘기하면서 가수가 그 전부터 '큰 노래'라고 칭하는 다음 앨범에 실릴 노래가 있었는데 아무래도 그 '큰 노래'가 이것인 것 같다는 팬의 추측도 있다. 여튼 플랜과 그에 맞춘 투어 셋리스트도 다 나와 있었던 상황에 앨범 작업도 막바지였기 때문에 이 곡 자체는 안타까운 사건 전에 나온 곡인 것은 확실하다.] 다만, 화제가 되었던 소개글은 이 사건의 영향이 있다고 추측하는 이들이 많다. * 앨범 [[Love poem]]의 더블 타이틀 곡 중 한 곡이자 마지막 트랙이다. 정규 4집 [[Palette]]에서 <[[이름에게]]>가 마지막 트랙이자 더블 타이틀이었던 것과 유사하다. 일각에서는 아이유가 담고자 하는 메시지가 다소 무거워 <이름에게>와 을 마지막 트랙에 배치한 게 아니냐는 의견도 나왔다. * '''"아이유의 적은 아이유"''', 일명 아적아를 가장 많이 보여주었던 곡이다. 상대는 같은 앨범의 더블 타이틀 곡 <[[Blueming]]>이었다. 첫 번째 아적아는 [[뮤직뱅크]]에서 벌어졌다. 1위 후보에 이 나란히 올라오면서 아이유와 아이유가 맞붙는 진풍경이 벌어졌고, 결과는 '''의 승리'''였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911292073071167|#]] 두 번째 아적아는 [[SBS 인기가요|인기가요]]에서 벌어졌다. 역시 1위 후보에 두 곡 모두 올랐고, 결과는 '''의 승리'''였다. [[https://www.insight.co.kr/news/257320|#]] 그렇게 사이좋게 1승을 나눠가졌다는 훈훈한 결말...인 줄 알았으나, 제9회 [[가온차트 뮤직 어워드]]에서 세 번째 아적아가 벌어졌다. '올해의 가수상 디지털음원 부문 (11월)'[* 일명 가온상]을 놓고 5곡의 후보 중에서 이 1, 2위를 다퉜는데, 결과는 간발의 차이로 '''의 승리'''였다. [[https://youtu.be/rj3VVmrpW9Q|#]] 해당 시상식에서 아적아를 보여주면서 많은 보는 이들로 하여금 재밌는 볼거리를 주었지만, 한편으로는 이 하루만 일찍 발매되어 10월에 공개됐다면 10월과 11월 가온상 모두 받을 수 있었다는 아쉬움을 남겼다. * 콘서트에서 밝히길 후렴 부분의 분위기 선택에 많은 고민을 했다고 한다. 여러 선택지 중에서 흥행을 포기하더라도 약간 [[성가|'''성(聖)스러운 분위기''']]가 나도록 노력했다고 한다. * 라이브 버전의 경우 마지막 부분에 추가되는 파트가 있다. == [[리듬 게임]] 수록 == === [[더플레이어 : 연주로 즐기는 음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더플레이어 : 연주로 즐기는 음악/뮤지션즈 수록곡/팅커벨, 앵커=Love poem)] [각주] [[분류:2019년 싱글]][[분류:2019년 노래]][[분류:아이유의 노래]][[분류:Love poem]][[분류:타이틀 트랙]][[분류:아이유/음반/디지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