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미국 기갑차량)]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24.jpg|width=100%]]}}} || || '''Light Tank, M24''' ||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pdGyL01GT8)]}}}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cFC7hjoEjI)]}}} || || '''M24 채피 기동 영상''' ||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군]]에서 채용한 [[경전차]]. [[스튜어트 전차|M3/M5 스튜어트 경전차]]의 후계차량이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 참전했던 경전차 중에서 최고의 성능을 지니고 있던 차량이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6.25 전쟁]]에서도 투입, 동란 와중에 [[대한민국 국군]]에 잠깐 공여되어 사용하였다. 이밖에도 친미 국가나 도로 사정이 열악한 국가들에 판매되어 여러 전장에서 나타나 활약하기도 하는 등, 제 본분을 다한 경전차라 평가받는다. == 제원 == ||<-2>
'''{{{#FFFFFF M24 경전차}}}''' || ||<-2> '''{{{#FFF 제원}}}''' || || '''{{{#FFF 개발기관}}}''' ||[[캐딜락|캐딜락 모터스]] || || '''{{{#FFF 개발연도}}}''' ||1943년 ~ 1944년 || || '''{{{#FFF 생산기관}}}''' ||캐딜락 모터스, 매시-해리스 주식회사 || || '''{{{#FFF 생산연도}}}''' ||1944년 4월 ~ 1945년 8월 || || '''{{{#FFF 생산 댓수}}}''' ||4,731대 || || '''{{{#FFF 운용 연도}}}''' ||1944년 ~ '''현재'''[* 일부 국가 한정. 본 사용국인 미국에서는 1953년에 퇴역 후 치장장비로 전환되었다.] || || '''{{{#FFF 운용 국가}}}''' ||[[미국]] 포함 도합 38개국 사용 || || '''{{{#FFF 전장}}}''' ||5.56m || || '''{{{#FFF 전폭}}}''' ||3.00m || || '''{{{#FFF 전고}}}''' ||2.77m || || '''{{{#FFF 전비 중량}}}''' ||18.4t || || '''{{{#FFF 탑승 인원}}}''' ||5명 (전차장, 조종수, 포수, 장전수, 부조종수) || || '''{{{#FFF 엔진}}}''' ||캐딜락 시리즈 44T24 [[8기통|W형 8기통]] 엔진 || || '''{{{#FFF 최고 출력}}}''' ||300hp || || '''{{{#FFF 출력비}}}''' ||16.09hp/t || || '''{{{#FFF 현가 장치}}}''' ||[[토션바 서스펜션]] || || '''{{{#FFF 최고 속도}}}''' ||56km/h / 40km/h (평지 주행 시 / 야지 주행 시) || || '''{{{#FFF 항속 거리}}}''' ||161km || || '''{{{#FFF 주무장}}}''' ||[[75mm 전차포 M2–M6|75mm 39구경장 M6 저반동포]] 1문 (48발) || || '''{{{#FFF 부무장}}}''' ||7.62mm [[M1919 브라우닝|M1919A4]] 2정[* 부조종수 겸 차체기관총 사수석과 공축기관총으로 각각 1정씩 있다.] (3,750발) [br]12.7mm [[M2 브라우닝 중기관총|M2HB]] 1정[* 포탑 후방 대공마운트에 탑재되었다.] || == 내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24-cutaway.jpg|width=100%]]}}} || || '''M24 채피 내부 구조도''' || '''M24 채피'''의 내부는 상단의 사진과 같다. 세계 최초로 [[저반동포]]를 채용한 경전차로 알려져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에 사용되었던 경전차 중에서 최강이라고 평가받는다. 현대 미국 전차의 디자인 계보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고 있는데, 미군 전차 중 양산형으로는 최초로 [[토션바 현가장치]]를 장착한 전차였기 때문이다.[* 모든 기갑차량을 따지자면 [[M18 헬캣]] 대전차 자주포가 시기상으로는 가장 먼저다.] 이는 실전에서 [[HVSS]]나 [[VVSS]]를 장착한 차량들보다 훨씬 이점이 있었다. 이외 추가적 보완으로 좁은 궤도폭으로 인한 접지압의 부족을 차량 자체의 전폭을 늘려 해결했으며, 무게중심을 맞추기 위하여 셔먼과 같이 정중앙에 위치하여 있는 둥그스름한 포탑과, 약한 장갑을 보완하기 위한 전방위 경사장갑, 또한 체급에 비하여 강력한 포를 얹었던 것 등, 현대 미국 전차와 유사한 점이 매우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구식적인 부조종수 구조는 채피와 [[M26 퍼싱]] 및 그에 기반한 [[M46 패튼|M46]], [[M47 패튼]]까지 이어졌고, 이 이후에 나온 [[M41 워커 불독]]과 [[M48 패튼]], [[M103 전차]]부터는 승무원 유형이 넷[* 전차장, 조종수, 포수, 탄약수.]으로 고정됐다. 또한 2차 대전에 초반부터 후반까지 미국이 생산한 전차의 특징인 보병/승무원 중 손이 노는 인원이 전차 차체 상부에 올라타 포탑 후방 상부에 설치된 [[M2 브라우닝 중기관총]]을 이용하는 구조는 채피와 [[M26 퍼싱]]을 끝으로 미국에서 사용되질 않으며, 중기관총을 전차장 해치 앞에 설치하기 시작한다. 이중 [[M48 패튼]]은 전차장 M2 중기관총을 [[M60 기관총]]으로 바꾸기도 했다. == 개발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24.jpg|width=100%]]}}} || || '''시제 경전차 T24''' || M3/M5 스튜어트 경전차의 성능은 동급 차량 중 가장 우수한 것이었으나 설계사상이 낡은 탓에 한계 또한 명백했다. 특히 기존의 37mm M6 전차포는 37mm급에서는 우수한 포지만, 이미 대전 초반을 넘어간 상황에서는 대전차용으로도 보병지원용으로도 전혀 쓸모가 없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았다. 때문에 이를 대체하기 위한 방편이 연구되어, 1943년 3월, 개발중이던 [[T7 / M7|M7]] 중형전차를 소형화하는 초기안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게 너무 무겁다는 이유로 군부가 이를 거부했고, 다시 M5A1 경전차와 동일한 동력계통을 가진 75mm 포 장비형 경전차가 제시되었으나 이것도 무장과 차체가 균형을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거부당해서 최종적으로는 [[M18 헬캣]]에 도입된 신형 토션바 현가장치를 참고하여 현가장치를 만든 후 신형 차체와 포탑을 개발해서 만든 것이 채피다. '채피'라는 이름은 이 전차가 영국군에 공여되었을 때, 영국군이 미군 제2대 [[육군참모총장]]인 애드너 채피의 아들이자 미군 기갑부대의 아버지라 할 수 있는 [[https://en.m.wikipedia.org/wiki/Adna_R._Chaffee_Jr.|애드너 R. 채피 2세(Adna R. Chaffee, Jr.)]] 소장의 이름을 붙여준 데서 유래한다. == 성능 == 아무래도 [[경전차]]인 이상 20톤 이하여야 한다는 요구사항에 맞추느라 [[장갑(무기)|장갑]] [[방어력]]에서는 포탑 전면 38mm (1.5인치), 차체 전면 25mm (1인치) 경사장갑으로 M5 스튜어트보다 장갑이 얇다. 그래서 더 큰 체급의 [[독일 국방군|독일군]] 중전차들에게 맞장뜨는 것은 무리이긴 했으나 [[경사장갑]]의 채택과 신형 엔진 도입으로 사실상 현대 [[주력 전차]]가 사용하는 [[파워팩]] 구조를 2차 대전때 완성했기 때문에 차체가 많이 낮아지고 토션바 현가장치로 험지기동력이 크게 향상되어 전반적으로 스튜어트에 비해 상당한 개선이 이루어졌다. 화력 면에서는 원래 계획은 셔먼의 [[75mm 전차포 M2–M6|M3 75mm 전차포]]를 탑재하려 했으나 포탑이 너무 작고 차대가 버텨내지 못한다는 결론에 따라 [[B-25]] 폭격기 개조 건쉽용으로 개발되어 포탄 호환이 가능한 M5 75mm [[저반동포]]를 전용한 M6 전차포를 탑재했는데, 이 포는 구경이 [[M4 셔먼]]의 75mm 포와 동급이었다. 여기에 부무장으로 [[M2 브라우닝 중기관총]]을 탑재, 당대 경전차 중에서는 그야말로 압도적 화력. 일본군의 경우 기관총이나 37mm, 또는 57mm 주포를 탑재, 독일군도 20mm 기관포나 50mm 주포가 고작이었다. == 형식 == M24 채피는 당대 기술로 선진적, 인체공학적인 구조가 다수 반영되었는데, 이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초기형과 후기형의 사양 차이가 있다는 것으로, 초기형에는 정면 하단에 발판이 있고, 후기형에는 발판 대신 M3 불도저 날을 장착할 수 있는 마운트가 설치되어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75E1_T85E1_tracks.jpg|width=100%]]}}} || || '''T72E1 궤도(위), T85E1 궤도(아래)''' || 이 외에도 M24 채피는 41cm 길이의 T72E1 강철제 무한궤도와 36cm 길이의 T85E1 쐐기형 고무패드 장착 무한궤도를 사용했는데, 이 때문에 미국에서는 채피를 구매한 국가의 환경에 따라서 궤도를 분배하여 공여했다. === 초기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24_초기형.jpg|width=100%]]}}} || || '''M24 초기형''' || 초기형에는 탑승의 편리에 중점을 두어, 조종수 및 동축사수 탑승 시 사용 가능한 발판을 부착하였다. === 후기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24-후기형.jpg|width=100%]]}}} || || '''M24 후기형''' || 후기형에 들어서면서 초기형에 부착되어 있던 탑승용 발판이 제거되고, 그 대신 M3 도저블레이드 마운트가 해당 위치에 신설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affee_late.jpg|width=100%]]}}} || || '''M24 채피 M3 도저블레이드 장착 후기형''' || 이 도저 마운트 덕분에 후기형/개조형 채피의 경우 유사시 공병전차 대용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 [[M24 채피/파생형|파생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24 채피/파생형)] == [[M24 채피/실전|실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24 채피/실전)] == [[M24 채피/운용국|운용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24 채피/운용국)] == [[M24 채피/미디어|미디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24 채피/미디어)] == 모형 == === 프라모델 === ==== [[이탈레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talerichaffee.jpg|width=100%]]}}} || || '''M24 Chaffe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ot_chaffee_1.jpg|width=100%]]}}} || || '''World Of Tank M24 Chaffee''' || 1:35 스케일로 출시하였으며, 월드 오브 탱크 버전도 출시하였다. ==== [[타미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ckagelarge.jpg|width=100%]]}}} || || '''U.S. LIGHT TANK M24 CHAFFEE''' || 1/35 스케일의 이탈레리 재포장. ==== AFV 클럽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0426_033429.jpg|width=100%]]}}} || || '''M24 채피''' || ==== 브롱코 모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0426_033445.jpg|width=100%]]}}} || || '''M24 채피(한국전쟁 사양)''' || === 브릭 === ==== [[브릭매니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reen_M24_chaffee.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rickmania_M24.jpg|width=100%]]}}} || || '''아미맨 M24 채피''' || '''구형 M24 채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rickmania_normal_M24.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rickmania_M24_chaffee.jpg|width=100%]]}}} || || '''구형 M24 채피''' || '''신형 M24 채피''' || 총 4종을 출시하였다. ==== 배틀브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ttle_brick_M24.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attle_brick_chaffee.jpg|width=100%]]}}} || || '''M24 채피''' || '''M24 채피''' || 총 2종을 출시하였다. ==== [[코비(기업)|코비 블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obi_block_2457_M24.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obiblock_M24.jpg|width=100%]]}}} || || '''M24 채피''' || ''' M24 채피'''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obiblock_WoT_M24.jpg|width=100%]]}}} || ||<-2> '''월드 오브 탱크 M24 채피''' || 총 3종을 출시하였다. == 참고 문헌 및 사이트 == * [[https://en.wikipedia.org/wiki/M24_Chaffee|M24 채피 위키피디아 영문판]] * [[https://mikesresearch.com/2020/10/25/m24-chaffee-in-combat/|M24 채피의 전투 역사]] * [[http://the.shadock.free.fr/Surviving_M19_GMC.pdf|M19 더스터 잔존 개체 목록]] * [[http://the.shadock.free.fr/Surviving_M37_HMC.pdf|M37 자주곡사포 잔존 개체 목록]] * [[https://ja.wikipedia.org/wiki/%E8%A9%A6%E8%A3%BD56%E5%BC%8F105mm%E8%87%AA%E8%B5%B0%E7%A0%B2|시제 56식 105mm 자주유탄포 위키피디아 일어판]] * [[https://www.oryxspioenkop.com/2021/11/forgotten-designs-turkish-cemal-tural.html|케말 투랄 APC 개발사]] == 둘러보기 == [include(틀:캐딜락의 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소련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영국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캐나다 기갑차량)] [include(틀:2차 세계대전/호주 기갑차량)] [include(틀:6.25 전쟁/유엔군 기갑차량)] [include(틀:6.25 전쟁/공산군 기갑차량)] [include(틀:냉전/미국 기갑차량)] [include(틀:냉전/소련 기갑차량)] [include(틀:냉전/이라크 기갑차량)] [include(틀:베트남전/월맹 기갑차량)] [include(틀:베트남전/미군 및 다국적군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미국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오스트리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호주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벨기에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영국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프랑스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한국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일본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대만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중국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그리스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스페인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포르투갈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파키스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네덜란드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이란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이탈리아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캐나다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방글라데시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베트남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튀르키예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덴마크 기갑차량)] [include(틀:현대전/노르웨이 기갑차량)]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M37 HMC, version=22, title2=M41 HMC, version2=41, title3=M19 대공 전차, version3=26)] [[분류:M24 채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