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냉전/미국 기갑차량)] [include(틀:베트남전/미군 및 다국적군 기갑차량)]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50_Ontos.jpg|width=100%]]}}} || || '''Rifle, Multiple 106 mm, Self-propelled, M50''' || [목차] == 개요 == 미국에서 개발된 [[자주무반동포]]. [[1951년]]에 개발되어 [[1957년]]까지 297대가 생산되었고, [[1969년]]에 퇴역했다. 공수 가능한 경량 대전차차량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중량과 장갑을 줄이게 되었다. 원래는 [[미합중국 육군|육군]]에서 개발계획을 세웠지만, 육군은 발주하지 않고 비슷한 체급이지만 90mm 전차포를 장착한 평범한 구축전차인 [[M56 스콜피온]]을 해당 용도로 양산했다. 그 대신 개발 도중에 참가한 [[미합중국 해병대|해병대]]가 채택하여 297대를 생산했고, [[베트남 전쟁]]에서 유용하게 사용하였다. == 제원 == * 전장: 3.83m * 전폭: 2.598m * 전고: 2.131m * 중량: 8.641t * 승차인원: 3명 * 주무장: 26구경장 106mm [[무반동총]]([[M40 무반동포|M40 106mm 무반동포]]) 6문 (휴대탄수 18발) * 부무장: [[12.7mm]] [[스포팅 라이플]] 4문, [[7.62mm]] [[기관총]] 1문(휴대탄수 1,000발) * 속도: 48.28km/h * 항속거리: 185km == 특징 == 차체 앞부분 왼쪽에 조종석이 있고, 오른쪽에 기관실이 있다. 중앙부에 [[포탑]]이 있으며 여기에 [[주포]]로 6문의 [[M40 무반동포|M40 106mm 무반동포]]를 장착하고 있다. 보조 무장으로 [[7.62mm]] [[기관총]]도 1문 달려 있고, 4문의 [[12.7mm]] [[스포팅 라이플]]은 [[예광탄]]을 쏴서 조준을 하는데 쓰인다. [[주포]]로 장착한 6문의 [[무반동포]]의 재장전은 차량 밖에서 실시해야 하며, [[포탑]] 아래에 18발의 무반동포탄을 저장해놓고 있다. 재장전에는 한 문당 약 1분이 걸렸다. 하지만 [[무반동포]]를 6발이나 달다보니 후폭풍이 크고, 애버딘에서 6문 동시사격 테스트를 했을 때는 그 후폭풍만으로 옆에 있던 건물의 벽돌이 빠지고 자동차들의 유리창들이 박살났다고 한다. 재장전을 하려면 차량 밖에서만 할 수 있고, 재장전 시간이 매우 긴 것도 문제였다. 개량안으로 [[무반동총]]의 재장전을 위해 [[리볼버]] [[권총]]과 같은 기구를 달려는 개량안이 있었지만 실현되지 않았다. 솔직히 '''106mm 무반동총 포탄 3발'''을 저높이까지 들어서 재장전한다라... 덤으로 [[장갑(무기)|장갑]]도 소총탄이나 막을 수준이라서 적군의 [[장갑차]]라도 추격해오면 포탄을 다 쏘고 튀는 상황에서는 매우 난감해진다. 하부 장갑은 5mm에 불과했으며 지뢰에 매우 취약했다. 정비성도 나빴고 부족한 휴행탄수도 단점. 이런저런 이후로 소량만 생산되었으며, 베트남 전쟁 이후에 빠르게 퇴역하게 된다. 비슷한 컨셉의 무기로 [[일본]] [[자위대]]에서 쓰인 [[60식 자주무반동포]]가 있다. [[파일:/20150410_208/limabravo447_14286581077610OTIp_JPEG/Ontos0.jpg]] 초기 기획안 중에는 주무장이 1문이나 3문, 혹은 4문 달린 형태도 있었다. 다만 역시 재장전이 힘들기 때문에 최대한 화력을 발휘할 수 있게 6문을 장착한 것으로 보인다. == 실전 == === [[베트남 전쟁]] === [[베트남 전쟁]]에 실전투입되었다. 중량이 9톤으로 M113 장갑차보다도 가벼워서 손쉽게 투입할 수 있었고, 적군 측에 [[전차]]가 별로 없어서 주목적인 대전차 용도보다는 무지막지한 화력으로 대보병 전투에서 큰 활약을 했다. 당장 [[일제사격]]이 가능하므로 [[철근 콘크리트]]제로 만들어진 제대로 된 건물이 아니라면 105mm급 포탄이 한꺼번에 6발 명중되는 충격을 이기지 못하고 완파되는 일이 많았다. 덤으로 자주무반동포이므로 사격후에는 즉시 사격위치를 고속으로 이탈할 수 있어서 적의 반격에 상대적으로 안전했다. 또한 당시 몇 안되는 [[시가전]]인 [[후에]] 공세에서도 상당한 활약을 했다. [[M48 패튼]] 같은 큼직한 전차는 시가전에선 시야확보와 기동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데, 온토스는 상대적으로 작아서 그런 문제에서 비교적 자유로웠다. === [[도미니카 내전]] === == 미디어 == === [[메탈 맥스 2]] === 몬스터로 등장한다. === [[Tanktastic]] === 미국 자주포 트리 2티어로 등장한다. === [[워 썬더]] === 5티어 구축전차로 등장한다. --골목대장-- 워 썬더에서의 성능과 포지션은 [[워 썬더/지상 병기/미국 트리/경전차#M50|문서 참조]]. [[파일:shot 2018.02.27 11.32.50.jpg]] === [[워게임 시리즈]] === 미국 차량 탭에 등장한다. 스팸전차 상대로 유용하다. === [[강철의 왈츠]] === 2018년 12월 5일 업데이트때 5도면 [[강철의 왈츠/전차 소녀/장갑차|장갑차]]로 등장했다. === [[도미네이션즈]] === 전술성 병력으로 등장한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M50 온토스(도미네이션즈))] === [[배틀 네이션스]] === 탱크 킬러의 모티브로 보인다. == 기타 == == 모형 == 특이한 외형 덕분인지 실전 배치 기간이 길지 않은 차량임에도 여러 곳에서 모형화되었다. 아래 목록은 인젝션 킷만 기재한 것으로, [[개라지 킷]] 형태로도 여러 곳에서 출시되어 있다. * 1/16 * 타콤 2023년 1월 출시가 예고되었다. * 1/32 * 렌왈 1955년 제품이다. * [[레벨(모형 메이커)|레벨]] 렌왈 제품의 재포장판이다. * 1/35 * [[아카데미과학]] 2010년 발매된 제품이다. 타미야나 이탈레리, 드래곤 등의 메이저 회사들은 아예 건드리지도 않았기 때문에 현 시점에서 독보적으로 결정판이라고 할 수 있는 제품이다. 크기가 작지만 디테일이 준수하다. 다만 조립 편의성은 다소 아쉽다는 평이다. 전용 디테일 업 파츠들도 여러 곳에서 많아 출시되어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분류:자주무반동포]][[분류:대전차 차량]][[분류:지상 병기/냉전]][[분류:지상 병기/현대전]][[분류:미군/기갑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