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MBC 가요대제전)] [목차] == 개요 == [[MBC 가요대제전]]의 역사를 정리한 문서다. 2005년 이전 10대가수 가요제 시절은 [[MBC 가요대제전]] 본 문서 참조. == 목록 == === 2006년 === ''''2006 대한민국 가요대제전''''이라는 제목으로 시상식 없이 '''[[임진각]] 평화누리'''에서 진행되었다. MC는 [[김성주]]와 [[김제동]]. 아이돌의 경우, [[동방신기]], [[BIGBANG]], [[SUPER JUNIOR]], [[SS501(아이돌)|SS501]] 등 2세대 신인들이 주로 등장한 가운데, [[이미자]]의 무대와 MC들이 함께 한 [[김광석]] 헌정 공연 등 전 세대를 아우르는 무대가 많이 배치되었다. === 2007년 === ||<-2> '''{{{#B45F04 2007 대한민국 가요대제전}}}''' || || '''{{{#B45F04 편성}}}''' ||12월 31일 (월) 밤 9시 55분 || || '''{{{#B45F04 장소}}}''' ||일산 드림센터 ST 6[br][[임진각 평화누리공원]] || || '''{{{#B45F04 연출}}}''' ||권석 || || '''{{{#B45F04 진행}}}''' ||[[무한도전]] 팀[* [[유재석]], [[박명수]], [[정준하]], [[정형돈]], [[하하(가수)|하하]], [[노홍철]].], [[윤은혜]] (일산)[br][[김인석]], [[서현진(방송인)|서현진]] (임진각) || ||<-2> [[http://www.imbc.com/broad/tv/ent/event/2007music/|[[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일산 드림센터 준공 이후 첫 생방송이며, 임진각 2원 생방송으로 진행되었다. 이 해부터 청백전 방식이 도입되었다. 출연: [[BIGBANG]][* [[T.O.P]]은 건강상 이유로 불참.], [[원더걸스]], [[박진영]], [[SG워너비]], [[휘성]], [[서인영]], [[장윤정]], [[씨야]], [[이루(가수)|이루]], [[백지영]], [[양파(가수)|양파]], [[이수영(가수)|이수영]]/[[윤하]], [[FTISLAND]] (임진각) 방송 직전 [[SUPER JUNIOR]] [[강인]]의 MBC-SBS 겹치기 출연 논란으로 MBC와 [[SM엔터테인먼트]]의 관계가 악화되면서 SM 소속 가수들이 출연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슈퍼주니어,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등 SM 주축 가수들은 [[KBS 1TV]]의 보신각 제야의 종 타종 행사에 출연했다. 그럼에도 이 해 가요대제전에서는 팬들의 기억에 남은 명장면들이 많이 나왔다. 박진영과 원더걸스의 'Tell Me' 합동공연, 빅뱅&원더걸스의 그리스 특별 공연은 지금도 회자되고 있고, 훗날 연인 관계로 발전했다가 결별한 노홍철과 [[장윤정]]이 한 무대에 서기도 했다. === 2008년 === ||<-2> '''{{{#000000 2008 대한민국 가요대제전}}}''' || || '''{{{#000000 편성}}}''' ||12월 31일 (수) 밤 9시 55분 || || '''{{{#000000 장소}}}''' ||일산 드림센터 ST 6[br][[임진각 평화누리공원]] || || '''{{{#000000 연출}}}''' ||서창만 || || '''{{{#000000 진행}}}''' ||[[김구라]], [[윤종신]], [[유세윤]], [[김민정(1982)|김민정]] (일산)[br][[김성주]], [[붐(연예인)|붐]] (임진각) || ||<-2> [[http://www.imbc.com/broad/tv/ent/event/2008music/|[[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드림센터: [[BIGBANG]], [[원더걸스]], [[비(연예인)|비]], [[박진영]][* 옛 제자 비와의 댄스 배틀을 위해 출연.], [[소녀시대]], [[김종국]], [[쥬얼리]], [[MC몽]], [[손담비]], [[2AM]], [[태진아]], [[송대관]], [[장윤정]], [[박현빈]] 임진각: [[SHINee]], [[2PM]], [[브라운아이드걸스]], [[SG워너비]] 등 SM과의 갈등이 해결되면서 전년보다 많은 가수들이 출연했다. [[홍백가합전]] 출연 관계로 불참한 [[동방신기]]와 이효리를 제외한 거의 모든 2008년 인기 가수들이 총출동했다. 특히 [[1박 2일]] 스케줄 문제로 [[쇼! 음악중심]]에 출연하지 않았던 MC몽도 출연해 눈길을 끌었다. 가요대제전 직전 MBC 노조의 파업으로 정상 진행이 불투명했지만, 전반적으로 큰 문제 없이 무사히 진행되었다. 빅뱅과 원더걸스는 전년도에 이어 합동 무대를 가졌다. 이번에는 둘씩 짝을 지어 각자의 히트곡을 불렀다. === 2009년 === ||<-2> '''{{{#000000 2009 MBC 가요대제전}}}''' || || '''{{{#000000 편성}}}''' ||12월 31일 (목) 밤 9시 55분 || || '''{{{#000000 장소}}}''' ||일산 드림센터 ST 6[br][[임진각 평화누리공원]] || || '''{{{#000000 연출}}}''' ||서창만 || || '''{{{#000000 진행}}}''' ||[[김구라]], [[신정환]], [[이보영]] (일산)[br][[오상진]], [[정가은]] (임진각) || ||<-2> [[http://www.imbc.com/broad/tv/ent/event/2009music/|[[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출연팀: [[김태우(god)|김태우]], [[다비치]], [[박진영]], [[박현빈]], [[백지영]], [[브라운아이드걸스]], [[소녀시대]], [[손담비]], [[SUPER JUNIOR|슈퍼주니어]], [[신문희]], [[애프터스쿨]], [[이승기]], [[쥬얼리]], [[최소리]], [[카라]], [[케이윌]], [[태진아]], [[티아라(아이돌)|티아라]], [[4minute|포미닛]], [[홍진영]], [[2PM]], [[f(x)]], [[MC몽]], [[SG워너비]], [[SHINee]] ''' 2년 전과 달리 이번에는 [[YG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들이 출연하지 않았다. 지난 2년간 빅뱅&원더걸스의 합동 공연에 이어 이번에는 2PM&소녀시대의 합동 공연이 있었다. 스케줄상 음악 프로그램에 출연하지 않았던 [[이승기]]가 출연해 [[백지영]]과 ''''내 귀에 캔디'''' 무대를 펼쳤다. === 2010년 === ||<-2> '''{{{#000000 2010 MBC 가요대제전}}}''' || || '''{{{#000000 편성}}}''' ||12월 31일 (금) 밤 9시 55분 || || '''{{{#000000 장소}}}''' ||일산 드림센터 ST 6 || || '''{{{#000000 연출}}}''' ||박현호 || || '''{{{#000000 진행}}}''' ||[[류시원]], [[유리(소녀시대)|유리]], [[티파니 영|티파니]] || ||<-2> [[http://www.imbc.com/broad/tv/ent/event/2010music/|[[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출연팀: [[나르샤(브라운아이드걸스)|나르샤]], [[다비치]], [[레인보우(아이돌)|레인보우]], [[미쓰에이]], [[보아]], [[비스트(아이돌)|비스트]], [[서인영]], [[소녀시대]], [[손담비]], [[송대관]], [[SUPER JUNIOR|슈퍼주니어]], [[슈프림팀]], [[시크릿(아이돌)|시크릿]], [[씨스타]], [[아이유]], [[애프터스쿨]], [[유키스]], [[윤하]], [[인피니트(아이돌)|인피니트]], [[임정희]], [[제국의 아이들]], [[카라]], [[케이윌]], [[태진아]], [[티아라(아이돌)|티아라]], [[4minute|포미닛]], [[홍진영]], [[2AM]], [[2NE1]], [[2PM]], [[CNBLUE]], [[f(x)]], [[FT아일랜드]], [[GD&TOP]], [[Homme]], [[SG워너비]], [[SHINee]] ''' [[구제역]] 방역 문제로 인해 임진각 관련 행사가 취소되면서 5년만에 임진각 야외 무대가 없이 일산 드림센터에서만 진행되었다. === 2011년 === ||<-2> '''{{{#000000 2011 MBC 가요대제전}}}''' || || '''{{{#000000 편성}}}''' ||12월 31일 (토) 밤 9시 50분 || || '''{{{#000000 장소}}}''' ||[[광명스피돔|광명 돔경륜장]][br]일산 드림센터 ST 6 || || '''{{{#000000 연출}}}''' ||박현호 || || '''{{{#000000 진행}}}''' ||[[강소라]], [[이특]], [[이장우(배우)|이장우]], [[함은정]][br][[조권]], [[가인(브라운아이드걸스)|가인]], [[닉쿤]], [[빅토리아 송|빅토리아]] || ||<-2> [[http://www.imbc.com/broad/tv/ent/event/2011music/|[[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출연팀: [[걸스데이]], [[김범수(가수)|김범수]], [[권리세]], [[다비치]], [[달샤벳]], [[데이비드 오]], [[동방신기]], [[레인보우(아이돌)|레인보우]], [[미쓰에이]], [[박상철]], [[박정현]], [[박현빈]], [[백지영]], [[백청강]], [[보이프렌드]], [[브라운아이드걸스]], [[비스트(아이돌)|비스트]], [[소녀시대]], [[SUPER JUNIOR|슈퍼주니어]], [[시크릿(아이돌)|시크릿]], [[신문희]], [[씨스타]], [[아이유]], [[애프터스쿨]], [[엠블랙]], [[유키스]], [[이소라(가수)|이소라]], [[인피니트(아이돌)|인피니트]], [[원더걸스]], [[카라]], [[케이윌]], [[티아라(아이돌)|티아라]], [[틴탑]], [[4minute|포미닛]], [[2PM]], [[Apink]], [[B1A4]], [[CNBLUE]], [[f(x)]], [[FT아일랜드]], [[G.NA]], [[SHINee]] ''' 매 해마다 밖에서 방송하는 [[SBS 가요대전]]을 따라해보려 했는지, MBC 본사 대신 광명스피돔을 메인 스테이지로 방송했는데, 장소가 바뀌어서 그런지 각종 [[방송사고]]를 터뜨렸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은 2PM 공연 도중 [[풍선]]이 카메라를 가려버려서 정작 2PM은 거의 잡히지도 않았던 일. 안그래도 [[MBC 방송연예대상]] 관련으로 사고를 크게 터뜨려버린 덕분에 곱절은 더 욕을 먹고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방송사고를 냈는데, 출연자와 제작진 사이 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아 생긴 [[유키스]]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09&aid=0002291501|방송사고]]라든가, 처음부터 끝까지 음향이 불안정했던 [[엠블랙]]의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112312331071001|음향사고]] 등이 있었고, [[애프터스쿨]]이나 [[브라운아이드걸스]] 등의 무대에서도 음향은 꾸준히 불안했다. 무대와 카메라 뿐만이 아니라 MC 체계도 문제였다. 이 날 생방송 MC는 당시 자사 예능 프로 [[우리 결혼했어요|우결]] 출연진 전원을 내세웠는데, 문제는 인원 수도 너무 많았고 다들 이런 고정 MC 경험이 전무하다시피 해서 진행도 발진행이라는 평가가 있었다. 게다가 신인들의 합동 무대 때는 이미 곡이 시작했는데도 MC석을 비춘다던가, 거대 소속사 소속 그룹의 무대는 엄청났던 데에 비해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걸그룹의 분량은 너무나 적었다. 이를테면 [[걸스데이]]의 가요대제전 무대 분량은 단 2분이었다.[* 사실 인기가 낮은 그룹들에게 주어지는 분량이 적은 것은 하루이틀의 일이 아니다. 메이저 그룹들도 분량이 넉넉지 않은 것은 마찬가지였다. 당장 매주 방송되는 음악 방송들만 해도 방송 분량에 맞추기 위해서 3분 30초가 넘는 곡을 2분 30초까지 줄이는 경우가 다반사고, 이는 타이틀곡 활동이 끝나가는 메이저 그룹들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생방송으로 진행되는 방송이라는 점도 염두에 둬야 한다.] 또한 [[SHINee]]가 본무대를 끝내고 새로운 앨범 스포를 살짝 내보여주는데, 다음 순서 걸그룹의 VCR를 내보내 샤이니의 곡을 다음 걸그룹 VCR의 BGM으로 만드는 엄청난 사고를 저질렀다. 이래저래 2011년은 총체적으로 망했다는 분위기. 그래도 내용면만 보면 방송 3사 중에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다. 타 방송사는 아이돌 중심으로 출연진을 이뤘다면 이쪽은 [[박상철]], [[박현빈]] 등 트로트 가수들도 나왔고, [[나는 가수다]]를 통해 인기를 얻은 가수 [[김범수(가수)|김범수]], [[박정현]], [[이소라(가수)|이소라]]가 나왔는데, 같은 날 이들이 출연한 콘서트를 녹화 중계했다. 그 해 대박난 [[티아라(아이돌)|티아라]] 멤버 [[함은정|은정]]이 [[이장우(배우)|이장우]]와 함께 무대를 출연하여 눈요기 거리를 하였다. 그리고 다른 방송사보다도 세트도 멋있었다는 평이 나왔고, 사고만 없었더라면 이렇게 욕은 안 들어먹고 최고라는 찬사도 받았을지도. 실제로 사고가 없었던 무대들의 경우 상당한 퀄리티를 보여주기도 했다. 일본에서는 [[KNTV]]를 통해 HD, SD 2가지 방식으로 생중계되었다.[* [[KNTV]]는 [[SBS 가요대전]]도 생중계했다.] === 2012년 === ||<-2> '''{{{#ffffff 2012 MBC 가요대제전 : The History of K-POP}}}''' || || '''{{{#white 편성}}}''' ||12월 31일 (월) 밤 8시 50분 || || '''{{{#white 장소}}}''' ||일산 드림센터 ST 5, 6[br][[임진각]] 평화누리공원 || || '''{{{#white 연출}}}''' ||민철기 || || '''{{{#white 진행}}}''' ||[[이휘재]], [[붐(연예인)|붐]], [[이준(배우)|이준]], [[서현]] (일산)[br][[정성호(코미디언)|정성호]], [[김나영(1981)|김나영]] (임진각)[br][[오승훈(아나운서)|오승훈]] (임진각 타종행사)[br][[이재은(아나운서)|이재은]] (세종시 타종행사) || ||<-2> [[http://www.imbc.com/broad/tv/ent/event/2012music/|[[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출연팀: [[가인(브라운아이드걸스)|가인]], [[노지훈]], [[다이나믹 듀오]], [[동방신기]], [[미쓰에이]], [[백퍼센트]], [[빅스타]], [[박명수]], [[박진영]], [[BIGBANG|빅뱅]]], [[비스트(아이돌)|비스트]], [[비투비]], [[손담비]], [[SUPER JUNIOR|슈퍼주니어]], [[시크릿(아이돌)|시크릿]][* 교통사고로 입원 치료 중이던 [[정하나(시크릿)|정하나]]를 제외한 3인 체제로 출연하였다.], [[씨스타]], [[애프터스쿨]], [[에일리]], [[에픽하이]], [[엠블랙]], [[이하이]], [[인피니트(아이돌)|인피니트]], [[주니엘]], [[케이윌]], [[크레이지노]], [[타이거JK]]&[[윤미래]]&[[Bizzy]], [[티아라(아이돌)|티아라]], [[틴탑]], [[카라]], [[코요태]], [[쿨(혼성그룹)|쿨]][* 미국으로 건너가 생활하던 [[유리(쿨)|유리]]가 불참하였고, 여성 보컬은 [[4minute|포미닛]]의 [[허가윤]], [[시크릿(아이돌)|시크릿]]의 [[송지은]], [[씨스타]]의 [[소유(가수)|소유]]가 객원 멤버로 무대를 꾸몄다.], [[프라이머리]], [[4minute|포미닛]], [[황광희]], [[2AM]], [[2NE1]], [[A-JAX]], [[Apink]], [[B.A.P]], [[B1A4]], [[CNBLUE]], [[EXO-K]], [[f(x)]], [[FT아일랜드]], [[SHINee]], [[VIXX]]''' [[2011년]]과 달리 예년처럼 일산 MBC 드림센터와 파주 임진각에서 동시에 진행하였다. 혹평을 받은 전년과는 달리 2012년은 다행히 별 사고 없이 무난하게 진행됐다. [[MBC 뉴스데스크|뉴스데스크]]가 8시로 옮겨가면서 해당 연도부터 시작 시간이 9시로 당겨졌다. 이라는 주제로 K-POP의 역사를 다루었는데, 90년대 스타인 [[코요태]], [[쿨(혼성그룹)|쿨]], [[박진영]] 등이 출연하였다. 그동안 --SBS하고만 놀면서-- MBC에 자주 출연하지 않았던 [[YG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들이 대거 출연하기도 했다([[BIGBANG]], [[2NE1]], [[에픽하이]], [[이하이]]). 당초 [[싸이]]도 출연할 것으로 알려졌었지만, 싸이가 [[라스베가스]] 공연을 준비하는 관계로 직접 출연이 아닌 현지 인터뷰 영상과 싸이 측이 직접 찍었다는 해외 공연 하이라이트 영상만 제공되었다. 문제는 MBC에서 마치 싸이가 [[미국]] 현지에서 가요대제전을 위해 찍어둔 녹화분이 방영될 것처럼 홍보한 데 있다. 실제로 방송 시작부터 끝까지 MC들도 '싸이가 출연하니 기대하시라~' 같은 멘트를 치니 시청자들은 깜빡 속을 수밖에... 설마 인터뷰와 이것저것 짜깁기한 '[[강남스타일]]' 뮤비가 나올 줄은 아무도 예상하지 못한 것이다. 결국 거의 3시간 넘게 싸이만 기다렸던 사람들은 이건 대국민 사기극이라며 MBC 사이트로 달려가 욕하기 바빴다.[* 사실 그 YG 편향의 SBS의 가요대전에도 나오지 못할 정도로 바쁜 해외 활동 중인 싸이를 그렇게나마 출연시킨 것도 상당히 어려운 일이었을 것이다.] [[박명수]]가 가수로서 특별 출연하기도 했다. 다른 연말 가요제처럼 여기서도 마지막 주인공은 [[동방신기]]. YG 가수들의 출연과 쿨, 코요태 등의 출연, 결론적으로 낚시이긴 했으나 싸이의 출연으로 관심이 높아서인지 문자투표가 총 60만건 정도 들어왔다(27만:33만).[* 그러나 바로 다음 해인 2013년엔 20여만 건으로 줄었고, 2014년엔 15만건으로 2년만에 4분의 1토막 났다.] 엔딩곡은 '페스티벌'이었다. [[동방신기]], [[BIGBANG]], [[SUPER JUNIOR]], [[씨스타]], [[Apink]], [[미쓰에이]], [[싸이]], [[SHINee]], [[인피니트(아이돌)|인피니트]], [[씨엔블루]], [[FT아일랜드]] 등이 출연했고, [[소녀시대]]는 불참했다. === 2013년 === ||<-2> '''{{{#ffffff 2013 MBC 가요대제전 : 지금은 K-POP 시대}}}''' || || '''{{{#white 편성}}}''' ||12월 31일 (화) 밤 8시 50분 || || '''{{{#white 장소}}}''' ||일산 드림센터 ST 5, 6[br][[임진각]] 평화의종 || || '''{{{#white 연출}}}''' ||민철기 || || '''{{{#white 진행}}}''' ||[[정준하]], [[노홍철]], [[클라라(배우)|클라라]], [[김성주]], [[박형식]][br][[김대호(아나운서)|김대호]] (임진각 타종행사) || ||<-2> [[http://www.imbc.com/broad/tv/ent/event/2013music/|[[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출연팀: [[걸스데이]], [[달샤벳]], [[레이디스 코드]], [[레인보우(아이돌)|레인보우]], [[미쓰에이]], [[박현빈]], [[방탄소년단]], [[블락비]], [[비스트(아이돌)|비스트]], [[비투비]], [[설운도]], [[소녀시대]], [[손진영]]&[[JOHA|박수진]]&[[한동근]], [[시크릿(아이돌)|시크릿]], [[씨스타]], [[아이유]], [[애프터스쿨]], [[에일리]], [[이적(가수)|이적]], [[이효리]], [[인순이]], [[인피니트(아이돌)|인피니트]], [[임창정]], [[제국의아이들]], [[케이윌]], [[크레용팝]], [[타이거JK]]&[[윤미래]]&[[Bizzy]], [[티아라(아이돌)|티아라]], [[틴탑]], [[카라]], [[태진아]], [[4minute|포미닛]], [[홍진영]], [[2PM]], [[Apink]], [[B.A.P]], [[B1A4]], [[CNBLUE]], [[EXO]], [[f(x)]], [[SHINee]], [[VIXX]]''' 작년과 달리 일산 MBC 드림센터에서만 진행. 이 해부터 임진각 무대는 사실상 폐지되었다.[* 그러나 후술할 2014년에는 임진각은 아니지만 야외 무대가 다시 부활했다.] 다만 예전보다 1시간이나 더 긴 '''5시간'''이나 방송됐다. 안 그래도 길다고 지적받았던 방송 시간이 더 늘어난 것. MC는 [[정준하]], [[노홍철]], [[김성주]], [[클라라(배우)|클라라]], [[박형식]]. 작년과 달리 YG 소속 가수들은 나오지 않았지만 대신 대국민 사기극도 없었고(...) 전체적으로 내용면에서는 괜찮은 방송이었지만, 후반부에서 [[카라]]의 무대를 앞두고 이번 무대가 ''''5인조 카라가 공식적으로 서는 마지막 무대''''라는 [[http://star.mbn.co.kr/view.php?no=336&year=2014|박형식의 멘트가 문제가 되었다.]] 실제로 [[카라]]의 [[니콜(카라)|니콜]]이 2014년 1월로 계약이 만료되기에 많은 사람들이 이번 무대가 5인조 카라의 마지막 무대가 될 확률이 높다고 생각하긴 했지만, 공식적으로 그 당시 마지막 무대에 대한 발표는 없었고 소속사가 갈려도 팀 활동은 지속되는 경우도 있기에 팬들의 관심이 매우 높은 상황인데, 불확실한 이야기를 단독 콘서트장도 아니고 기자회견장도 아닌 데서 멤버도 아닌 '''제3자'''가 함부로 결론지어 말한다는 것 자체가 매우 경솔하고 무례한 행동이었다. 물론 이는 박형식이 아니라 대본을 쓴 작가의 책임이겠지만. 결국 카라의 무대가 끝난 이후 잘못된 정보였다고 정정을 하긴 했는데[* 현장에서 본 팬들의 말로는 박형식의 멘트가 나온 후 본방 무대에 들어가기 이전에 사녹 분량이 방영되는 와중에 '''카라 멤버들이 직접 MC들을 찾아가서''' 수정을 요구했다고 한다.], 그나마도 제대로 사과하는 게 아니라 농담조로 대충 웃으면서 넘어가는 바람에 결국 팬들의 분노가 폭발했고, 덕분에 많은 팬들이 MBC와 박형식에게 진지한 사과를 요구하거나 과도한 비난 및 욕설을 쏟아냈다. 물론 어떤 이유에서든 비난과 욕설이 좋은 일은 결코 아니고, 따지고 보면 박형식도 억울하게 휘말린 셈이지만 이 일에 대해서 MC들이 아무 일 아니었다는 듯이 그저 웃으며 넘어가는 방식에는 분명 문제가 있었고, 결국 해당 멘트를 언급한 박형식이 덤터기를 쓴 셈. 게다가 방송 후 [[트위터]]에도 카라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었기에 한창 예민해진 [[카밀리아|카라 팬들]]의 어그로를 본의아니게 끈 셈이 되었다. 결과적으로는 정니콜과 [[DSP미디어]]의 재계약이 불발됨으로서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박형식의 말 그대로 5인조 카라의 마지막 무대가 되었지만]], 여기서 중요한 점은 그 말이 사실인가 아닌가를 떠나서 한 그룹과 그 팬들에게 있어서 중요한 문제를 제3자가 함부로 가벼이 말했다는 데 있다. 그리고 이 해에는 다른 해보다 기성 트로트 가수들이 상당히 많은 분량을 가져갔는데, 기본적으로 3~4곡 이상 불렀다. 특이점으로 [[태진아]]가 후배들을 한 팀씩 직접 이름을 불러줬는데, [[비투비]]를 [[인피니트(아이돌)|인피니트]]라고 부르는 방송사고를 냈다. 그 외 특이사항으로 [[씨엔블루]]가 [[말(동물)|말]]의 해를 맞이 해 '''경마장'''에서 특별 무대를 가졌다. 엔딩곡은 '쿵따리 샤바라'였다. [[방탄소년단]]이 처음 출연했으며 [[소녀시대]], [[EXO]], [[씨스타]], [[미쓰에이]], [[아이유]], [[Apink]], [[인피니트(아이돌)|인피니트]], [[2PM]], [[씨엔블루]], [[SHINee]] 등이 출연했다. === 2014년 === ||<-2> '''{{{#white 2014 MBC 가요대제전 : B.I.G.I.N}}}''' || || '''{{{#white 편성}}}''' ||12월 31일 (수) 밤 8시 55분 || || '''{{{#white 장소}}}''' ||일산 드림센터 ST 6[br]상암문화광장[br][[임진각]] || || '''{{{#white 연출}}}''' ||전성호 || || '''{{{#white 진행}}}''' ||[[김성주]], [[혜리]], [[전현무]], [[소유(가수)|소유]], [[이유리(배우)|이유리]] || ||<-2> [[http://www.imbc.com/broad/tv/ent/event/2014music|[[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라인업: [[2PM]], [[AOA(아이돌)|AOA]], [[Apink]], [[B1A4]], [[CNBLUE]], [[EXO]], [[GOT7]], [[VIXX]], [[Zion.T]], [[걸스데이]], [[규현]], [[다이나믹 듀오]], [[동방신기]], [[러블리즈]], [[Red Velvet|레드벨벳]], [[마마무]], [[방탄소년단]], [[보이프렌드]], [[블락비]], [[비스트(아이돌)|비스트]], [[비투비]], [[선미]], [[씨스타]], [[소녀시대]], [[시크릿(아이돌)|시크릿]], [[에일리]], [[인피니트(아이돌)|인피니트]], [[임창정]], [[정기고]], [[종현]], [[주영(가수)|주영]], [[카라]], [[Crush(가수)|크러쉬]], [[태진아]], [[티아라(아이돌)|티아라]], [[틴탑]], 플래닛쉬버, [[플라이 투 더 스카이]], [[4minute|포미닛]], [[허각]], [[형돈이와 대준이]], [[홍진영]]''' 2014년에는 12월 31일 밤 8시 55분부터 4시간 30분 가량 이어졌으며, [[김성주]], [[혜리]]는 백팀, [[전현무]]와 [[소유(가수)|소유]]는 청팀으로 꾸려져 [[이유리(배우)|이유리]]와[* 청/백 어느 팀에도 속하지 않아 사실상 심판격이다.] 함께 진행했다. 전년과 달리 신사옥 이전으로 상암동 MBC 신사옥 야외 무대와 일산 MBC 드림센터에서 이원 생중계를 했고, 임진각에 3원으로 연결하여 타종 행사를 하였다. 문제는 상암동 신사옥의 야외 무대를 스케이트장에 설치하면서 임진각 못지않은 추위가 펼쳐졌다는 것. 무려 '''44팀의 170여명'''이라는 역대 최대 규모의 가수들이 참석했고, 가요계를 ‘B.E.G.I.N’의 5가지로[* Birth, Ensemble, Girl, Imagine, Never ending.] 정리하며 청팀이 7만 7359표, 백팀이 7만 2897표를 받아 대역전극으로 2년 연속 청팀이 이겼다. 음향 문제는 없었지만 MC들이 많아서인지 정신 없고 어수선한 진행과 자막 오류 등의 자잘한 방송사고는 흠이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109&aid=0002963990&viewType=pc|#]],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13&aid=0000609256&viewType=pc|#]],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13&aid=0000609257&viewType=pc|#]] 특이 사항으로 1부 마지막 순서로 [[신성우]]가 출연해 [[넥스트(밴드)|N.EX.T]]와 합동 공연을 가졌는데, [[영혼기병 라젠카]]의 OST, 전 출연진과 '[[그대에게]]'를 불러 [[신해철]]을 추모했다. 그 밖에 2015년에 스무살이 되는 [[걸그룹]] [[1996년]]생 멤버 3인방([[Apink|에이핑크]]의 [[오하영]], [[Red Velvet]]의 [[조이(Red Velvet)|조이]], [[AOA(아이돌)|AOA]]의 [[임도화|찬미]])이 [[박지윤(가수)|박지윤]]의 '성인식' 무대를 선보여 실시간 검색어에 오르기도 했다. 이번에도 [[동방신기]]가 가장 마지막에 나와 공연을 펼쳤다. 물론 동방신기는 이 무대가 연말 가요 무대에서 [[입대|마지막 공연]]이 되었다. 그리고 AOA가 2013년 7월 이후 오랜만에 밴드 무대를 선보였는데, [[홍유경|유경]]이 2016년 10월 15일 계약만료와 동시에 탈퇴하면서 이것이 사실상 마지막 밴드 활동이 되었다. 엔딩곡은 '젊은 그대'였다. === [[2015 MBC 가요대제전: 가요대백과|2015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15 MBC 가요대제전: 가요대백과)] === 2016년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img.imbc.com/131262590208325022_Big_C.png|width=100%]]}}} || ||<-2> '''{{{#white 2016 MBC 가요대제전}}}''' || || '''{{{#white 편성}}}''' ||12월 31일 (토) 밤 8시 55분 || || '''{{{#white 장소}}}''' ||일산 드림센터 ST 6[br]상암 본사 방송센터 A스튜디오[br]코엑스 앞 [[영동대로]] || || '''{{{#white 기획}}}''' ||박정규 || || '''{{{#white 연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3e8597; font-size: 0.8em" {{{#ffffff '''일산'''}}}}}} 정창영[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3e8597; font-size: 0.8em" {{{#ffffff '''코엑스'''}}}}}} 김준현, 장승민[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3e8597; font-size: 0.8em" {{{#ffffff '''상암'''}}}}}} 조욱형 || || '''{{{#white 진행}}}'''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3e8597; font-size: 0.8em" {{{#ffffff '''일산'''}}}}}} [[김성주]], [[윤아]][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3e8597; font-size: 0.8em" {{{#ffffff '''코엑스'''}}}}}} [[김초롱(아나운서)|김초롱]] || ||<-2> [[http://www.imbc.com/broad/tv/ent/event/2016mbc/program/music.htm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tqYizcPqxZQkSJVVjW7Fx9BZJdv2zoY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라인업: [[AOA(아이돌)|AOA]], [[Apink]], [[B1A4]], [[B.A.P]], [[CNBLUE]], [[EXID]][* 건강 문제로 활동을 중지했던 [[솔지]]를 제외한 4인 체제로 출연하였다.], [[EXO]], [[GOT7]], [[S.E.S.]], [[TWICE]], [[VIXX]], [[비투비]], [[Red Velvet|레드벨벳]], [[마마무]], [[몬스타엑스]], [[방탄소년단]], [[SHINee|샤이니]], [[신화(아이돌)|신화]], [[씨스타]], [[업텐션]],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 [[인피니트(아이돌)|인피니트]], [[태연]], [[태진아]], [[터보]], [[하현우]], [[한동근]], [[홍진영]]''' 이 해를 기점으로 로고의 글씨체가 기존의 'HY헤드라인'에서 'a컴퓨터C'[* [[닌텐도]] 게임들이 한국 발행본에서 많이 쓰는 글씨체이다. 예를 들면 [[리듬 세상 Wii]], [[슈퍼 마리오 메이커 2]] 등.]로 변경되었다. 2015년 상당한 호평을 얻은 [[김성주]]와 [[윤아]]가 지난 해에 이어 또 다시 MC로 낙점되었다. 상암동 본사, 일산 드림센터, [[영동대로]] 특설 무대[* [[http://www.c-festival.com/winter2016/2017countdown.html|2016 무역센터 겨울축제]]와 연계되어 치러졌으며, 4팀([[방탄소년단]], [[VIXX]], [[Red Velvet]], [[세븐틴]])의 무대가 여기서 진행됐다. 해당 행사에는 가요대제전과는 별개로 [[젝스키스]]와 [[에픽하이]]도 출연. 이곳 현장 MC는 MBC 아나운서 [[김초롱(아나운서)|김초롱]]이 맡았다.] 3원 생중계로 진행되었다. 당초 예정된 [[임진각]] 평화의 종 타종 행사는 [[2016~2017년 대한민국 AI 유행|전국적인 조류 인플루엔자 대유행]] 사태로 인해 경기도와 파주시가 행사를 취소하면서 없던 일이 되었다. [[https://tour.paju.go.kr/user/board/BD_board.view.do?seq=20161226122306317&bbsCd=2001&q_ctgCd=1003|파주시 홈페이지 공지사항]] 2016년 상반기 최고의 화제였던 [[우리 동네 음악대장]]의 [[하현우]]가 출연하여 '[[Lazenca, Save Us|라젠카 세이브 어스]]'와 '[[하여가(서태지와 아이들)|하여가]]'를 불렀다.[* 헌데 하현우 본인이 방송 전날을 포함해 하반기에 계속 콘서트를 했던지라 목 상태가 별로 좋지 않은 듯 보였다. 그리고 가수석의 출연자들 일부가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는 듯한 모습이 잡혀, [[국카스텐]] 팬들 사이에서는 '선배 노래하는데 뭐하는 짓이냐'며 논란이 일기도 했다.] SES[* SES는 동시간대 단독 콘서트를 진행하기 때문에 사전녹화로 진행.]와 터보가 출연하는 것을 감안한 듯 Time Slip 컨셉을 내세웠고, 영화 [[큐브(영화)|큐브 시리즈]]를 패러디하기도 했다. 그리고 작년과 마찬가지로 청백전 대결 형식이 아닌 축제 형식으로 진행됐다. 아이돌 팬들의 반응은 대부분 '조명과 카메라 모두 괜찮았다'는 반응이다. 진행도 안정적이고 깔끔하다고. 단, 음향은 전년도의 호평에 자만했는지 저음을 못 살리는 등 오락가락한 모습이었다. 이전 가요대제전에서는 음향 면에서도 호평을 받았던 것과 대비되는 반응. 다만 시청률은 역대 최악급으로 나왔다. 두 연기대상과 겹친다는 점이 가장 크고[* 참고로 시청률 1위는 KBS 연기대상인데, MBC 가요대제전과 SBS 연기대상을 합쳐도 KBS 연기대상에도 못 미친다. KBS에 [[태양의 후예]], [[동네변호사 조들호(드라마)|동네변호사 조들호]], [[구르미 그린 달빛]], [[월계수 양복점 신사들]] 등 대박급 드라마가 많이 나왔다 보니... 그리고 가요대제전이 연기대상을 시청률 싸움에서 이기기는 힘들다.] 솔직히 구성에 있어서는 이미 앞서 두 차례의 지상파 연말 가요 프로그램과 큰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에 그렇다. 다만 라인업이 타 사와는 달리 중견 가수들의 출연이 많았고, 컨셉 무대들의 비중도 높았던 탓에 2016년에도 꾸준히 활동했던 [[러블리즈]], [[오마이걸]], [[우주소녀]], [[라붐(아이돌)|라붐]], [[아이오아이]][* 물론 러블리즈 같은 경우 2주 뒤 [[겨울나라의 러블리즈|단독 콘서트]] 준비로 인해 불참했을 가능성이 크고, 아이오아이는 MBC 본사 자체에서 [[프로듀스 101]] 출신에 대한 출연 규제를 하고 있기 때문에 어차피 출연하지 못했을 상황이었다. 그나마 [[한혜리]]나 [[연정(우주소녀)|유연정]] 등이 개별 또는 [[우주소녀|그룹]]과 함께 나오면서 그 벽이 허물어지고는 있고, 게다가 곧 프로젝트 활동도 끝나는 만큼 이 규제가 풀리는 날이 머지 않았다.] 등의 걸그룹들과 [[원더걸스]], [[2PM]][* 원더걸스 같은 경우 유빈의 부친상과 멤버 재계약 문제로 인해 불참했는데, 2017년 2월 10일에 팀이 해체되면서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고, 2PM은 이번 가요 무대가 완전체로서는 마지막이 될 가능성이 큰 게 주요 멤버인 [[JUN. K]]와 [[택연]]이 2017년에 입대가 예정되어 있다. 다시 완전체가 되려면 2019년 이후를 기다려야 한다.] 등의 베테랑 아이돌 그룹들이 라인업에서 대거 제외되었다. 아쉬운 점은 가요대제전이 가면 갈수록 매번 구성이 비슷비슷해지고 있다는 점인데, 안정적으로 진행된다는 점은 좋지만 2016년은 KBS 가요대축제보다 지루했다는 평들이 늘어 2017년엔 조금 변화를 줘야 할 것으로 보인다. [[씨스타]]가 이듬해 6월 공식적으로 활동을 종료하면서 마지막으로 출연한 연말 가요제가 되었고, [[SHINee]]는 [[종현]]이 2017년 12월 생을 마감하면서 5인 완전체가 출연한 마지막 가요대제전이 되었다. 그리고 [[인피니트(아이돌)|인피니트]]는 [[이호원|호야]]의 탈퇴와 [[김성규(인피니트)|김성규]]를 필두로 멤버들이 순차적으로 입대할 예정이라 당분간 보기 어려워졌다. === [[2017 MBC 가요대제전: THE FAN|2017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17 MBC 가요대제전: THE FAN)] === 2018년 === ||<-2> [br] [[파일:logo_gayo18.png|width=200]] [br] [br] || ||<-2> '''{{{#white 2018 MBC 가요대제전 : The Live}}}''' || || '''{{{#white 편성}}}''' ||12월 31일 (월) 밤 8시 45분 || || '''{{{#white 장소}}}''' ||일산 드림센터 ST 6[br]상암 본사 방송센터 A스튜디오[br][[임진각]] 평화의종 || || '''{{{#white 기획}}}''' ||강영선 || || '''{{{#white 연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53302e; font-size: 0.8em" {{{#ffffff '''일산'''}}}}}} 박창훈[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53302e; font-size: 0.8em" {{{#ffffff '''상암'''}}}}}} 최행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53302e; font-size: 0.8em" {{{#ffffff '''임진각'''}}}}}} 박석원 || || '''{{{#white 진행}}}'''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53302e; font-size: 0.8em" {{{#ffffff '''일산'''}}}}}} [[노홍철]], [[윤아]], [[차은우]], [[민호]][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53302e; font-size: 0.8em" {{{#ffffff '''임진각'''}}}}}} [[김정현(아나운서)|김정현]], [[이영은(아나운서)|이영은]] || ||<-2> [[http://www.imbc.com/broad/tv/ent/event/2018mbc/gayo/index.htm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라인업''' * 일산 드림센터 공개홀(ST 6): [[Apink]], [[비투비]], [[EXO]], [[GOT7]], [[NCT DREAM]], [[Stray Kids]], [[더보이즈]], [[Wanna One]], [[WINNER]], [[구구단(아이돌)|구구단]], [[동방신기]], [[러블리즈]], [[Red Velvet]], [[모모랜드]], [[몬스타엑스]], [[VIBE|바이브]], [[방탄소년단]], [[백지영]], [[벤(가수)|벤]], [[볼빨간사춘기]], [[비지(래퍼)|비지]], [[선미]], [[선우정아]], [[세븐틴]],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 [[윤미래]], [[타이거JK]], [[홍진영]], [[환희(플라이 투 더 스카이)|환희]] * 일산 드림센터 ST 5: [[TWICE]][* 다른 팀과는 달리 일정 문제로 인해 비공개 녹화로 진행되었다.] * 상암 방송센터 A 스튜디오(사전녹화): [[iKON]], [[골든차일드]], [[노라조]], [[마마무]], [[VIXX]], [[(여자)아이들]], [[오마이걸]], [[우주소녀]] 올해의 부제는 '''The Live'''[* 의미가 단순하다. 2018 MBC 가요대제전 The Live의 MC인 [[윤아]]가 소개하길 MBC 가요대제전의 무대들을 생생하게 전달하기 위함이라고 한다. 아마도 이 때문에 송출 전 광고 BGM으로 [[Live Wire]]가 쓰였다.] MC는 [[노홍철]], [[윤아]], [[민호]], [[차은우]]가 맡았다. [[임진각]] 생방송이 2015년 이후 3년만에 다시 부활했다. 이 때문에 임진각 유배 공연이 열릴 거라는 이야기가 있었으나, 이런 추위에 여자 아이돌에게 핫팬츠 같은 의상을 입히면 문제의 소지가 있다고 판단한 건지 임진각 무대는 따로 하지 않고 [[평화누리공원]]에서 열리는 경기도 주관 타종 행사만 [[김정현(아나운서)|김정현]], 이영은 아나운서가 리포터로 파견하여 현장 중계했다.[* 원래 타종 행사 직후 [[이재명]] 신임 경기도지사와 새해 인사 겸 인터뷰를 가질 예정이었으나, 이재명 지사가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5&aid=0002874895|이러한 것이 선거법 위반과 관련해 오해의 여지가 있다며 선관위에 자문했고]], 결국 해당 행사에는 불참했다.] 그리고 [[부산문화방송|부산]]과 [[대구문화방송|대구]]는 자체 타종 행사를 생중계했는데, 하필 타종 이후 [[TWICE]]의 공연이 이어지면서 이들 지방에서는 무대가 짤리는 일이 발생했다. 그나마 대구 쪽은 무대 뒷부분이라도 나왔지만, 부산 쪽은 타종행사 중계가 끝났을 때는 이미 다음 팀인 [[WINNER]]가 나오고 있어 TWICE 무대를 시청하지 못했다. 다른 방송사의 연말 가요제와 다르게 아이돌 그룹이 아닌 가수들도 많이 참여했으며, 편곡도 원곡을 망치지 않는 선에서 적절하게 잘 했다는 평가가 많다. 다만 참가한 그룹의 수가 많아서 그런지 대부분 한 곡씩만 무대를 가졌다는 게 아쉬운 점. 일산 드림센터 공개홀에서 진행된 생방송은 좌측에 가수석과 MC석이 있고, 중앙과 우측에 무대가 있어 두 무대를 번갈아가며 생방송을 진행했으며, 상암 MBC 공개홀에서 진행된 사전녹화는 중앙에 무대가 있고 그 주위를 팬들이 둘러싸는 구조로 무대가 꾸며졌다. 마지막으로 전 출연자들이 부르는 노래가 바뀌어서 [[무한궤도(밴드)|무한궤도]]의 '그대에게'가 아닌 [[H.O.T.]]의 '빛'을 부르면서 끝냈다. 다만 오프닝과 엔딩곡을 모두 [[SM엔터테인먼트]]의 곡으로 도배하고 중간에 스페셜 무대들까지 동방신기의 노래들로만 채워놓는 바람에, 'SM 연말축제에 다른 가수들을 들러리로 세웠다'는 비판들이 많으며, 여기뿐만 아니라 앞서 방송된 SBS 가요대전과 KBS 가요대축제에서도 마지막 무대를 전부 방탄소년단이 아닌 EXO가 장식했다는 이유로 '방송사들이 방탄에게 엑소 참교육 시전했다', 'SM과 그곳 가수들은 가요계 적폐다'라는 등의 엄청난 비난글들이 기사마다 쇄도했을 정도로 이 해는 유독 SM 몰아주기가 3사 모두 매우 심한 편이었다.[* 대형 기획사 독점은 매년 3대 방송국 가요제에서 지적되는 사항이기도 하지만, KBS 가요대축제에서 보여준 아모르 파티 엔딩과 비교된다는 평이 많다.] 또한 음향 쪽에서도 문제가 있어서 레드벨벳의 등장 때에는 사운드가 가사를 뭉갰다. 특히 방탄소년단은 무대가 1부와 2부에 쪼개져 나오는 등 여러모로 차별대우를 당했다. 결국 이에 제대로 앙갚음을 하기 위해서인지 빅히트는 '''이듬해부터 [[MBC 일부 프로그램 HYBE 불화 의혹|MBC 프로그램에 대한 출연을 보이콧하기 시작했다.]]''' 여담으로 2018 MBC 가요대제전 The Live가 끝나고 바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사우디]]와의 [[벤투호/2019년#s-2.3|평가전]]이 새벽 1시부터 [[MBC|같은 채널]]에서 생중계되었다. 이 때문에 가요대제전과 축구를 이어 시청하면서 밤을 샌 사람들이 많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최근에 했던 가요대제전 중에서는 평가가 좀 떨어지지만, 타사의 가요 시상식에 비교하면 무난했다고 할 수 있는 가요대제전이었다. 시청률에서는 [[SBS 연기대상]]과 1, 2부 모두 동률을 기록하며 예상밖의 선전을 기록했다. 가요대상 시청률이 연예대상/연기대상과 비교해 불리한 것을 생각하면 최고의 결과다. 참고로 이날 SBS 연기대상은 드라마 가뭄 속 막장 진행으로 큰 혹평을 받았는데, 이 점이 한 몫 한 것으로 보인다. 방송 당일부로 계약이 종료되는 [[Wanna One]]의 마지막 완전체 지상파 출연이 되었는데, 2019년이 되기 약 15분 전에 무대가 나왔다.[* 2019년 1월 5일과 6일 양일간 개최되는 제33회 골든디스크 어워즈는 JTBC에서 생방송되었고, 15일에 개최되는 서울가요대상은 KBS N 계열에서 생방송되었으며, 1월 파이널 콘서트를 끝으로 워너원의 모든 활동이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 또한 걸그룹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가 '여자친구'라는 이름으로 사실상 마지막으로 출연한 가요대제전이 되었다. 이듬해 하반기 빅히트 레이블 인수 직후부터 [[MBC 일부 프로그램 HYBE 불화 의혹|MBC와 빅히트 간 갈등 점화로]] 가요대제전을 비롯한 MBC TV 프로그램에 일체 출연하지 않게 되었고, 그 후 2021년 5월 22일 [[여자친구 쏘스뮤직 전속계약 종료 논란|갑작스러운 활동 종료 사태]]를 맞았기 때문. [[구구단(아이돌)|구구단]] 역시 이 해가 마지막 출연이었는데 이듬해부터 본격적으로 개인 활동 위주의 수납 상태에 들어가기 시작하더니 그 다음해인 2020년 꾸준히 해체설이 나왔고, 결국 그 해 12월 31일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그리고 [[Apink]]가 6인 체제로 출연한 마지막 가요대제전이 되었다. 2019년부터 계속 출연하지 않았고, 2022년에는 [[손나은]]이 팀을 떠났기 때문. === 2019년 === ||<-2> [br] [[파일:2019 MBC 가요대제전 로고.png|width=200]] [br] [br] || ||<-2> '''{{{#white 2019 MBC 가요대제전 : THE CHEMISTRY}}}''' || || '''{{{#white 편성}}}''' ||12월 31일 (화) 밤 8시 55분 ~ || || '''{{{#white 장소}}}''' ||MBC 일산 드림센터 ST 6[br]MBC 상암 방송센터 A스튜디오[br][[롯데월드타워]] || || '''{{{#white 기획}}}''' ||강영선 || || '''{{{#white 연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231c1a; font-size: 0.8em" {{{#ffffff '''일산'''}}}}}} 강성아[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231c1a; font-size: 0.8em" {{{#ffffff '''잠실'''}}}}}} 최민근 [br]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231c1a; font-size: 0.8em" {{{#ffffff '''상암'''}}}}}} 허항 || || '''{{{#white 진행}}}''' ||[[장성규]], [[윤아]], [[차은우]] || ||<-2> [[http://www.imbc.com/broad/tv/ent/event/2019mbc/gay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 라인업 * 일산 드림센터 공개홀: [[AOA(아이돌)|AOA]], [[ASTRO]], [[GOT7]], [[ITZY]], [[몬스타엑스]], [[국카스텐]], [[Stray Kids]], [[노라조]], [[뉴이스트]], [[러블리즈]], [[마마무]], [[셀럽파이브]], [[(여자)아이들]], [[오마이걸]], [[장우혁]], [[청하]], [[홍진영]] * 상암 방송센터 A 스튜디오: [[던(가수)|던]], [[TWICE]], [[규현]], [[더보이즈]], [[Red Velvet]][* [[웬디(Red Velvet)|웬디]]의 [[SBS 가요대전 웬디 추락 사건|추락 사고]]로 완전체 무대가 취소되었고, 나머지 4명이서 성시경과의 콜라보 무대만 같이 했다.], [[성시경]], [[이석훈]], [[태민]], [[현아]] * 롯데월드타워: [[NCT]], [[김재환(가수)|김재환]], [[세븐틴]], [[송가인]][* 무대 이후 다시 일산으로 이동했다.], [[우주소녀]][* 건강 문제로 활동을 중지했던 [[다원(우주소녀)|다원]]을 제외한 9인 체제로 출연하였다.] 부제는 '''The Chemistry'''. 12월 31일 화요일 MBC 드림센터에서 진행되며 [[장성규]], [[윤아]], [[차은우]]가 MC를 맡는다. 윤아는 5년 연속으로, 차은우는 3년 연속으로 MC를 맡게 되었다. 경기도 주관 신년 타종 행사가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예방 차원으로 파주 임진각에서 광주 남한산성으로 옮겨갔고, 주관방송사도 CBS로 변경되면서 예년과 달리 [[롯데]]와 협업해 [[롯데월드타워]] 앞 야외광장에서 일부 가수들의 무대를 꾸몄고 월드타워 신년 카운트다운을 생중계했다. [[https://youtu.be/URb180Ev8mo|#]][* 참고로 롯데월드타워는 2017년 5월 제19대 대통령선거 당시 [[MBC 선택|MBC 개표방송]]에서 개표 현황을 보여주는 야외 스코어보드로 이용되었던 적이 있다.] 당시 [[프로듀스 101 시리즈 투표 조작 사건]]으로 활동 중단 상태에 있던 [[IZ*ONE]]과 [[X1]]은 라인업에서 배제되었고[* 이 중 엑스원은 해를 넘기자마자 해체되면서 결국 가요대제전에는 한 번도 나온 적 없게 되었다.], 약 1주일 가량 앞서 진행된 [[SBS 가요대전]]에서 [[Red Velvet]]의 [[웬디(Red Velvet)|웬디]]가 리허설 중 추락사고로 중상을 입어 [[Red Velvet]]은 단독 무대 없이 남은 4명이서 [[성시경]]과 콜라보레이션 무대만 진행하였다. 그리고 앞선 두 방송사에서 연속으로 푸대접을 당한 [[Apink]] 역시 불참하였다. 게다가 '''연말 [[타임스 스퀘어#s-1.1|Dick Clark's New year's Rockin' Eve]]''' 공연으로 인한 [[방탄소년단]]의 가요대제전 출연 불발에 [[MBC]]가 빅히트의 [[투모로우바이투게더]], 빅히트 산하 레이블 [[쏘스뮤직]]의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에게 [[MBC 일부 프로그램 빅히트 레이블 소속 아티스트 출연 제한 의혹|보복성 갑질을 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4140932|#1]]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4141097|#2]], 해당 그룹의 팬들, 그중에서도 특히 [[BUDDY|여자친구 팬덤]]의 반발이 있었다.[* 특히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는 언젠가부터 음악방송 이외에는 TV에서 자취를 감춰버렸는데, 이에 대해 [[SM엔터테인먼트]], [[CJ ENM]], [[YG엔터테인먼트]], [[JYP엔터테인먼트]]를 비롯한 대형 기획사들의 견제와 압력으로 방송사들로부터 출연 제한을 당하고 있는게 아니냐는 의혹이 이전부터 제기되던 상황. 거기에 2019년에 진행된 여러 시상식 ([[골든디스크어워즈|골든디스크 시상식]], [[더팩트 뮤직 어워즈]] 등) 에서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가 본상 사전 투표에서 1위를 기록했음에도 알 수 없는 이유로 상 자체를 받지 못하면서 더더욱 짙어졌다. 다만 [[쏘스뮤직]]이 [[빅히트]] 산하 레이블로 편입되면서 방송국들이 빅히트 눈치를 보기 시작했는지 [[아는 형님]], [[도레미 마켓|놀라운 토요일 - 도레미 마켓]] 등에 조금씩 출연하는 등 어느 정도는 풀린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앞선 시기 같은 방송사의 [[아육대|연례 체육 대회]] 설특집 녹화 때 한 스태프가 [[이달의 소녀|여성 그룹]]의 [[츄(가수)|멤버]] 머리채를 잡아당긴 일이 있었는데다, SBS와 KBS가 연달아 가요제에서 구설수를 내는 바람에 평이 좋지 않았다.] 생방송 초반 롯데월드타워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해 [[김재환(가수)|김재환]]의 무대 때 준비한 2곡 중 54초 분량의 한 곡이 잘리는 사고가 발생했다. [[https://twitter.com/nyangjj/status/1211988757194235906?s=21|#1]], [[https://twitter.com/527__S2/status/1211987994372001792|#2]], [[https://entertain.v.daum.net/v/20191231214020760|기사 1]], [[https://entertain.v.daum.net/v/20200101005524167|기사 2]],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477/0000225709?cluid=enter_202001010840_00000047|지상파, 방송사고 그랜드슬램]].[* 여담으로, 김재환은 방송이 되지 않는 현장 무대에서도 음향 사고가 일어났다. 슈가맨에서도 선보였던 [[양준일]]의 '리베카' 커버 무대 후 2번째 앨범 수록곡인 'Who am I' 무대를 진행하기로 되어있었으나, 'Who am I' 의 반주가 먼저 나온 것.] 허나 이를 제외하고는 비교적 안정적이라고 할 수 있는 방송국 공개홀에서 진행되었다는 특성 때문에 앞서 진행된 두 사보다 발카메라, 음향 문제가 훨씬 적었다. 거기에 아래 서술한 가수들 간 콜라보 무대 등 볼거리가 넘쳐나면서 앞서 진행된 SBS, KBS보다[* 웬디의 낙상사고로 최악의 평가를 받았던 SBS는 물론, KBS도 [[에이핑크]]의 무대를 잘라먹고 MC [[신동엽]]이 생방송 진행 도중 주의 방송을 할 정도로 관객 통제를 못하는 등 운영 면에서 상당히 준비가 미흡했던 모습을 보였다.] 압도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Chemistry'라는 부제답게 여러 아티스트 간 콜라보 무대들이 많았는데, 이들의 평이 상당히 좋았다. [[NCT DREAM]]과 [[Stray Kids]], 그리고 MC [[장성규]]가 함께한 오프닝[* 마지막에 나와서 두 팀의 멤버들과 방탄소년단의 작은 것들을 위한 시 무대를 꾸몄다. 의외로 굉장히 잘 춰서 놀라웠다는 평과 함께, 대부분의 네티즌은 학교 발표회에서 담임 선생님과 제자들이 함께한 완성도 높은 공연이라는 평(...)이 주류를 이뤘다.], [[ITZY]]와 [[(여자)아이들]], [[ASTRO]]와 [[오마이걸]][* 특히 이 무대는 2017년 빅스 도원경 무대와 함께 역대 연말 가요제를 통틀어 최고의 무대로 꼽히며, 해당 그룹의 콜라보는 두 그룹의 그룹명을 합쳐 '옴스트로' 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셀럽파이브]]와 [[AOA(아이돌)|AOA]], [[장우혁]]과 [[청하]], [[마마무]]와 [[세븐틴]], [[태민]]과 [[TWICE]], [[김재환(가수)|김재환]]과 [[연정(우주소녀)|유연정]], [[Kei|케이]] 등 예상치도 못한 조합이 많았고, 그로 인해 팬들 역시 상당히 파격적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그 동안 합동무대를 할 때에는 대부분 같은 기획사에 속한 남녀아이돌끼리 무대 퍼포먼스를 꾸미는 경우가 많았다는 점에서 이번 조합은 소속사와 전혀 관계가 없는 다른 조합이었기에 파격적일 수밖에 없었다. 실제로 태민, 트와이스는 각각 SM, JYP에 속한 기획사고, ITZY와 (여자)아이들은 각각 JYP, 큐브에 속한 기획사라는 건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었기 때문에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가수들의 조합에 대해서 '얘네들 혹시 같은 기획사 식구가 아닐까?'라면서 콜라보 무대 가수들의 해당 기획사를 조사하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그러다가 같은 기획사가 아닌 전혀 관계가 제로인 기획사라는 사실을 파악한 이후에는 정말이지 신선한 충격을 많이 받았을 것이다. 해당 방송의 클립들은 네이버 TV로만 올라왔다시 며칠 뒤 유튜브 'MBCKpop' 채널에 본방 영상과 직캠이 모두 풀린 상태.[* 참고로 2019년 12월 21일을 기해 네이버/카카오와의 독점 계약으로 유튜브 이용이 제한되었던 국내 방송사들의 다시보기들이 해제된 상황. 허나 그동안 제한되어 있던 영상의 양이 워낙 방대해 국가제한이 해제되지 않은 영상이 2020년 5월 기준으로도 아직까지 상당히 많은 편.] 셀럽파이브는 AOA와의 합동 무대에서 전혀 밀리지 않는 춤솜씨를 선보였는데, 특히 [[신봉선]]과 [[안영미]]의 댄스 실력이 시청자들을 놀라게 했다. [[NHK 홍백가합전]] 생방송에 출연해 당일 생방송에 설 수 없었던 [[TWICE]]의 무대는 작년과 마찬가지로 비공개 사전녹화로 진행되었다. 올해도 레전드를 찍으면서 [[ONCE(TWICE)|원스]]들은 "좋은 거 너네들만 보냐"는 아쉬움을 보이기도 했으며, 작년보다 늦은 뒤에서 두번째 순서로 방송되어 전년도처럼 지방 타종 행사로 날아가는 일은 없었다. 여담으로 [[엠넷]]의 [[컴백전쟁: 퀸덤|퀸덤]]의 출연자들이 [[박봄]]을 제외하고는 모두 출연한 유일한 연말 가요제였다. [[러블리즈]]와 [[(여자)아이들]]이 앞선 두 방송사 라인업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 그래서인지 마마무와 (여자)아이들은 퀸덤 파이널 경연곡이었던 '우린 다시 만날 운명이었지' 와 'LION'을 불렀다. 예년과는 다르게 출연자 모두가 부른 엔딩곡이 따로 없었으며, 마지막 무대로 [[국카스텐]]과 [[송가인]]이 [[마그마]]의 '해야'[* 2012년 [[나는 가수다 2]] 슈퍼 디셈버 가왕전 파이널 당시 국카스텐이 축하무대를 펼쳤던 그때의 편곡을 거의 그대로 가져왔다. 아무래도 이는 MBC라서 가능한 일.]를 부르면서, 마지막 무대를 비 아이돌 가수가 꾸미는 상당히 파격적인 구성을 선보였다. 아무래도 선술했듯 [[방탄소년단]]의 출연 불발과 지난해 SM 곡으로 오프닝과 엔딩이 채워지는 바람에 방송에 대한 비판과 SM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이 추락한 탓인지 마지막 무대까지도 예상치 못한 무대로 구성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앞서 진행된 SBS와 KBS는 모두 [[방탄소년단]]이 마지막 순서를 장식했는데, 이 중 KBS는 이들에게 '''20분'''이 넘는 분량을 할애해 지상파 음악방송을 팬미팅으로 만들었다는 비판을 받았다.] 해당 영상은 네이버 TV 기준으로 당해년도 가요대제전 클립 중 압도적으로 가장 높은 조회수를 기록했다. 다만 좋은 평가에도 불구하고 1부는 4.3%, 2부는 5.2%를 기록하면서 오히려 역대 최저 시청률을 기록한 것은 물론 당해 3사 연말 가요제 중 꼴찌를 기록했다.[* 다만 동시간대 진행된 연기대상들도 예년보다 떨어진 시청률을 기록했는데, KBS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 공동 수상을 남발하고도 유력 대상 후보였던 [[남궁민]], [[김해숙]] 등이 무관에 그치며 많은 논란이 일었다. SBS는 대상 수상자가 [[열혈사제]]의 [[김남길]]로 거의 확정된 분위기였던지라 주목도 자체가 떨어졌고, 역시 공동수상 남발에 역시 유력 대상 후보였던 [[김선아]], [[지성(배우)|지성]] 등의 무관, [[수지(1994)|배수지]]의 단독 최우수상 수상 등으로 비난받았다.] 시청률 하락의 이유는 [[방탄소년단]]의 출연 불발, 그 과정에서 빅히트의 [[투모로우바이투게더]], 빅히트 레이블 쏘스뮤직의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에게 가해진 보복성 갑질 의혹, 음원 사재기 세력의 득세로 2018년에 비해 부진했던 아이돌들(특히 걸그룹)의 음원 성적과 화제성[* 이 때문인지 당해년도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와 [[멜론 뮤직 어워드]]는 TV 생중계조차 따내지 못했으며,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는 역대 2번째로 낮은 시청률을 기록했다. 2018년에 [[바이브(가수)|바이브]]와 [[벤(가수)|벤]]을 섭외했던 MBC는 물론이고 나머지 지상파 방송사들도 자사 연말 가요제에 음원 사재기 의혹의 중심에 서 있는 [[메이저9|바이브 사단]] 및 [[리메즈 엔터테인먼트|리메즈 사단]] 가수들 그 누구도 라인업에 넣지 않았다.]으로 시청률이 하락했다는 분석이다. [[AOA(아이돌)|AOA]]와 [[러블리즈]]가 사실상 마지막으로 출연한 연말가요제가 되었다. 먼저 AOA는 이듬해 7월 [[신지민]]이 [[AOA 지민 권민아 괴롭힘 논란|前 멤버 괴롭힘 논란]]으로 탈퇴한 후로 해체 직전까지 가는 위기를 맞았고, 메인보컬인 [[서유나|유나]],팀의 핵심 인기 멤버인 [[설현]]까지 계약 만료와 함께 탈퇴하면서 사실상 개점 휴업 상태인 상황였는데 2022년 10월에 사실상 해체를 하게 되였다. 러블리즈는 이듬해인 2020년에 출연하지 않았고, 2021년 11월 [[이수정(가수)|베이비소울]]을 제외한 나머지가 전부 울림과의 재계약 없이 떠나며 사실상 기약 없는 휴지기에 들어갔다. [[우주소녀]]는 2023년 3월 팀의 중국인 멤버 [[성소]]와 [[미기(중국 가수)|미기]], [[우쉬안이|선의]]가 대한민국 스타쉽과 중국 위에화간의 업무협약이 종료되면서 자동적으로 팀에서 탈퇴을 했으며 반면 한국인 멤버 [[루다]]와 [[다원(우주소녀)|다원]]이 스타쉽와의 전속계약을 만료하고 팀에서 탈퇴하면서 8인 체제로 재편했다. === [[2020 MBC 가요대제전: THE MOMENT|2020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0 MBC 가요대제전: THE MOMENT)] === [[2021 MBC 가요대제전: TOGETHER|2021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1 MBC 가요대제전: TOGETHER)] === [[2022 MBC 가요대제전: With Love|2022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2 MBC 가요대제전: With Love)]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MBC 가요대제전, version=904)] [[분류:MBC 가요대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