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MP-443 Grach}}}'''[br]''Mechanical Plant-443 Грач[br]Пистолет Ярыгина''[br]''야리긴 권총''}}}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ya_profile 0.jpg|width=100%]]}}}|| || '''종류''' ||[[자동권총]]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2003년]]~현재 || || '''개발''' ||이젭스크 기계공장 || || '''생산''' ||이젭스크 기계공장[br][[칼라시니코프|JSC 칼라시니코프 콘체른]] || || '''사용국'''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br][include(틀:국기, 국명=아르메니아)][br][include(틀:국기, 국명=카자흐스탄)] || ||<-2> {{{#white '''기종'''}}} || || '''파생형''' ||[[MP-446]][br]MP-353[br]LT-110PYa || ||<-2> {{{#white '''제원'''}}} || || '''탄약''' ||[[9×19mm 파라벨룸]][br][[7N21/7N31|9×19mm 7N21 +P+]] || || '''급탄''' ||17, 20발들이 박스탄창 || || '''작동방식''' ||반동 이용식[br][[더블 액션|더블 액션식]] || || '''총열길이''' ||112.5mm || || '''전장''' ||198mm || || '''전고''' ||140mm || || '''중량''' ||930g || || '''탄속''' ||335m/s(9×19mm 파라벨룸)[br]450m/s(9×19mm 7N21) || || '''유효사거리''' ||5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oUtcuD2Po1I)] [[러시아군]]의 현용 제식권총 중 하나인 MP-443 그라치(Грач; 떼까마귀)는 [[러시아]] [[이젭스크]] 기계공장(현 [[칼라시니코프|JSC 칼라시니코프 콘체른]] 사)에서 개발되었으며, 주요 설계자인 블라디미르 알렉산드로비치 야리긴의 이름에서 비롯된 야리긴 권총(Пистолет Ярыгина, ПЯ)으로도 불린다. 또한 이는 [[GRAU 코드명]] [[GRAU 코드명#s-4.3.1|6P35(6П35)]]가 부여되어 있다. 러시아어 : Механический Завод(МЗ) 로마자 : Mekhanicheskiy Zavod(MZ) 영어 : Mechanical Plant(MP) 특이하게도 러시아어 소스에서도 라틴어 스크립트로 랜더링된다. 일부 서양 자료에선 키릴 문자 МР로 착각해 MR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 상세 == === 역사 === [[파일:makarov-pm_russian 1.jpg]] 1990년 [[소련군]]은 기존의 [[9×18mm 마카로프]] 및 [[7.62×25mm 토카레프]] 외에도 서방의 [[9×19mm 파라벨룸]] [[탄약]]을 발사할 수 있는 [[자동권총]] 개발을 위한 [[까마귀|그라치(Грач)]] 사업을 출범하였는데, 여기에는 [[이젭스크]] 기계공장, [[중앙정밀기계공학연구소]], [[KBP|계측기설계국]], 소화기연구소가 참여하여 경합을 벌였다. 그러나 곧이은 소련의 [[소련 해체|해체]]로 이어진 자금난 때문에 [[러시아]] 승계 이후인 1993년부터 5년 동안 개발이 중지되었다가 1998년에 이르러서야 간신히 재개될 수 있었으며, 그동안 거의 모든 성능 실험을 통과한 이젭스크 기계공장의 야리긴 권총(Пистолет Ярыгина)은 마지막까지 경쟁을 벌였던 중앙정밀기계공학연구소의 [[SR-1 벡터|세르듀코프 자동권총(Самозарядный Пистолет Сердюкова)]], 계측기설계국의 [[GSh-18|P-96(П-96)]]과 함께 2003년부터 도입이 결정되었다. [[파일:mp-443_russian 0.jpg]] 다만 1990년대 재정 악화 시기에서부터 현재까지도, 신뢰성 문제부터 러시아군의 낮은 권총 필요성 등등으로 인해 아직도 [[경찰]]과 후방부대, 예비군 등지에서는 [[소련]] 시절부터 오래동안 쓰여온 [[마카로프 권총|PM]] 등을 완전히 대체하지 못했다. 오랜 기간에 걸친 개발 비용을 제대로 환수받지 못한 [[이젭스크]] 기계공장에서는 민간 시장과 해외 수출을 노린 파생형인 [[MP-446]]를 출시하기도 했다. === 특징 === [[파일:mp-443_disassembled 1.jpg]] [[탄약]]을 발사할 때 생기는 [[뉴턴의 운동법칙#s-2.3|작용 및 반작용]]을 통한 전형적인 단주퇴 반동 이용식(Short recoil) 구조이면서 슬라이드 내부의 [[폐쇄기|폐쇄기(Breechblock)]]가 [[총열]]에 잠긴 상태로 격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노리쇠#s-2.2|블로우백 방식]]에 비해 불의의 안전사고가 방지되며, 부품의 숫자도 적어 유지 보수에 유리하다. [[파일:mp-443_hammer 0.jpg|width=100%]] [[홀스터#s-2|권총집]]에서 꺼낼 때 옷이나 기타 요소에 걸려 젖혀지지 않도록 바깥 노출을 최대한 줄인 [[공이치기|공이치기(Hammer)]], 슬라이드 측면 대신에 상단 배치된 [[익스트랙터#s-2|탄피추출기(Extractor)]] 등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해서 설계가 이루진 반면, [[더블 액션|더블 액션식]]에 필수적인 장전 해제장치(Decocker)는 생략되었다. [[파일:2ks+ltsu_package 0.jpg|width=100%]] [[스테인리스강]] [[총열]]과 [[고분자|폴리머]] 권총 손잡이 등을 제외한 나머지는 [[강철]] 소재여서 기본 중량이 무거운 편에 속하며, [[피카티니 레일]]에 맞춘 전용 목표지시조명장치인 제니트(Zenit) 사의 [[https://www.zenitco.ru/catalog/flashlights/oruzheynye/svetodiodnyy_fonar_kleshch_mini_2ks_ltsu/|2KS+LTSU(2КС+ЛЦУ)]]를 부착하려면 하부 프레임 앞부분에 B-8(Б-8) 부착대를 달아야 한다. == 종류 == === MP-443 === [[파일:mp-443_left 0.jpg|width=100%]] 1993년 [[러시아군]]의 차기 제식권총 선정을 위한 [[까마귀|그라치]] 사업에 제출된 원형으로, 요구 조건을 모두 충족했음에도 [[소련 해체]] 이후의 [[러시아]]가 겪고 있는 열악한 경제 상태, 낮은 수준의 권총 필요성, 그리고 신뢰성 때문에 실전 배치가 더뎌졌다. === [[MP-446]] === [[파일:mp-446(9mm_luger)_left 0.jpg]] 2001년에 해외 수출 목적으로 출시된 민수형으로, 하부 프레임이 [[강철]]에서 [[고분자|폴리머]] 소재로 바뀌어 기본 중량이 감소하였다. 자세한 건 [[MP-446|문서 참조]]. === LT-110PYa === [[파일:lt-110Pya_left 0.jpg|width=100%]] [[빨간색|적색]] [[가시광선]]이 발산되는 훈련형으로, P-446이라는 각인이 되어 있지만 MP-443과 동일한 [[강철]] 소재의 하부 프레임을 갖추었다. ==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 게임 === [youtube(HMEGHReirBc)] * [[메달 오브 아너(2010)]] 사막도색이 된 채로 Tariq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Tariq는 이라크제 [[베레타 M1951]]을 뜻한다.] * [[배틀필드 시리즈]] [youtube(BMXs3rU9LqA)] * [[배틀필드 배드 컴퍼니 2]] [[M1911]]만큼은 아니지만 인기가 좋은 권총. 대미지는 별로지만 권총 주제에 명중률이 돌격소총보다 높다. 그리고 캠페인에선 유일한 권총이다. 여담으로 모델링이 이상하다. 실총은 해머가 총 뒤에 숨겨져 있지만 게임에선 아예 해머가 존재하지 않는다. * [[배틀필드 3]] 러시아군의 기본 보조무장으로 등장. 성능은 게임 내의 다른 자동권총들과 비슷비슷한 편. 상대 진영인 미군의 M9보다 장탄수가 많아서 여러모로 더 쓰기 편하다. * [[배틀필드 4]] 전작과 달리 진영별로 기본 무장이 다른 것이 아니고 모든 진영이 기본 무기 하나로 통합되었기 때문에 러시아군의 기본 권총도 [[SIG P226]]으로 바뀌어 바로 쓸 수는 없게 되었지만 여전히 넉넉한 장탄수를 바탕으로 무난하게 쓸 수 있는 권총. 다만 연사력과 탄속이 미묘하게 느려졌다. * [[소녀전선]] 권총 카테고리의 3성 전술인형, 출석보상으로 등장한다. 자세한 건 [[MP-443(소녀전선)]] 참고. * [[워페이스]] [[FN Five-seveN|파이브 세븐]]과 비슷한 밸런서 계열 권총이지만, 성능이 약간씩 애매하고 이것보다 좋은 권총이 많아 잘 쓰이지 않는다. 특이점으로 여기선 장탄수가 18발이다. 실총은 17, 20발.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 [[콜 오브 듀티: 고스트]] 권총 중 연사력이 가장 빠르고 반동이 적은 권총으로 등장한다. * [[콜 오브 듀티: 어드밴스드 워페어]] 본작 기준 60년 넘게 장수하는 권총으로 등장했다. 캠페인에서는 단발, 멀티플레이에서는 2점사로 등장한다. * [[ARMA 3]] [[CSAT]] 소속 [[이란군]]의 부무장으로 등장한다. * [[Contract Wars]] 2014년 8월에 Grach라는 이름으로 등장. 13발이라는 많은 장탄수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 [[Squad]] 러시아군 부무장으로 등장한다. * [[Escape from Tarkov]] 게임을 처음 시작할 때 BEAR 진영을 선택하면 기본적으로 2자루를 주며 프라퍼 1레벨 때 구매가 가능하다. == 에어소프트건 == Gletcher에서 CO2 가스건으로 발매한 적이 있다. Raptor 사에서 가스권총으로 2020년 발매되었다. 더블액션 방식인 실총과 달리 싱글액션 방식으로 작동된다.[[https://www.octagonairsoft.com/product-page/raptor-mp443-gas-blow-back-pistol-international-version|#]] == 영상 == [youtube(G_ymnRA8v0o)] 작동 방식 영상 [youtube(dqzGOoXzTI8)] 분해, 조립 영상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러시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아르메니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자동권총]][[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러시아군/장비]][[분류:칼라시니코프]][[분류:2003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