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현대전/미합중국 공군 항공기)] [[파일:Avenger_9614a4edfc4a6d35698cd02634fa1fd5.png|width=500]] == 개요 == MQ-20 Avenger/Predator C [[미국]]에서 개발된 [[UAV|무인 공격기]]로 [[MQ-9]] 리퍼에 [[스텔스]] 기능을 추가하고 엔진을 [[터보프롭]] 엔진에서 [[터보팬]] 엔진으로 변경한 모델이다. == 제원 == ||<-2><#120a8f>{{{#FFFFFF General Atomics MQ-20 Avenger/Predator C}}}|| || 임무 || 중고도 무인 공격기 || || 초도비행 || 2009년 4월 4일 || || 전장 || 13m || || 전폭 || 20m || || 공허중량 || || || 적재중량 || || || 최대이륙중량 || 8,255kg || || 엔진 || PW Canada PW 545B 터보팬[BR]추력 17.75 kN || || 순항속도 || 648km/h || || 최대속도 || 740km/h || || 항속거리 || || || 항속능력 || 18시간 || || 실용 상승 한도 || 15,240m || || 하드포인트 || 동체 내부무장창 + 주익 하면 6개소 || == 특징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redator-c-avenger-5.jpg|width=500]] [[파일:Avenger_5ee2f84682c00a12ec615c46f4ed1358.jpg|width=500]] 원본인 [[MQ-9]] 리퍼처럼 무장탑재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하며, 내부무장창을 통해 운용되는 [[AGM-114 헬파이어]] [[대전차미사일]]과 [[GBU-12]] 페이브 웨이 [[LGB|레이저 유도 폭탄]] 및 [[JDAM]]·[[SDB]] 등을 내부무장창에 탑재하여 [[화력지원]] 임무에 투입될 수 있다. 원본인 MQ-9 리퍼가 [[MQ-1|MQ-1 프레데터]]의 개량형이라는 의미에서 '프레데터 B(Predator B)'라고 불리고 있듯이, 이쪽도 역시 같은 의미에서 '프레데터 C(Predator C)'라고도 불린다. [[터보프롭]] 엔진 대신 [[터보팬]] 엔진을 채용하였기 때문인지 묘하게 [[RQ-4|RQ-4 글로벌 호크]]의 축소판처럼 생겼다. [[파일:MQ-20_Avenger_0f5246eef01f7123470d0f03a4e9a0d8_EEQJHKCSRFGW7OXDO73ZFLJPZM.webp|width=500]] [[스텔스]] 기술이 적용되었기 때문인지, 주익의 형태도 꽤 독특하다. 프레데터나 리퍼의 주익이 테이퍼익인 것과는 달리, 완만한 각도이긴 하지만 후퇴각이 주어진 [[후퇴익]]을 주익으로 채용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본]]에서 도입을 검토중이라고 한다.[[https://www.yomiuri.co.jp/politics/20181109-OYT1T50062.html?from=tw#|#]] [[미 공군]]의 자율 비행 [[인공지능|AI]] 개발계획인 --[[스카이넷]]--스카이보그(Skyborg) 계획에서 테스트베드로 쓰이고 있는 무인기 중 하나로, 2021년 6월 24일 자율 비행 [[인공지능]]을 탑재한 어벤저의 비행 테스트가 [[https://www.defensenews.com/unmanned/2021/06/30/skyborg-makes-its-second-flight-this-time-autonomously-piloting-general-atomics-avenger-drone/|실시되었다고 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MQ-9, version=286, paragraph=4)]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어벤저, version=239, paragraph=3.6)] [[분류:UCAV]][[분류:미군/항공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