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01년 공개]][[분류:2007년 출시]][[분류:드론]][[분류:항공 병기/현대전]][[분류:미군/항공기]][[분류:정찰기]][[분류:공격기]][[분류:대잠초계기]] ||<-2> '''[[무인기|{{{#FFFFFF 무인 공격기}}}]][br]{{{+2 MQ-9 리퍼}}}[br]{{{-1 General Atomics MQ-9 Reaper | 프레데터 B(Predator B)}}}'''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media.dma.mil/090127-F-7383P-001.jpg|width=100%]]}}}|| ||<-2> {{{#ffffff {{{-2 2009년 3월 17일, [[GBU-12]] 페이브웨이 II 레이저 유도탄과 [[AGM-114 헬파이어]] 미사일로 무장하고 아프가니스탄 남부 상공에서 작전중인 모습.}}}}}} || || '''국가'''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미국]] || ||<|2> '''개발''' ||[[2001년]] ~ [[2006년]] || ||[[파일:darpa_02.jpg|width=28]] [[DARPA|미 국방고등연구계획국]][br][[이미지:제너럴 아토믹스 로고.jpg|width=24]] 제너럴 아토믹스 에어로노티컬 시스템 || || '''운용''' ||[[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width=28]] [[미합중국 공군]][br][[파일:220px-Logo_of_the_Royal_Air_Force.svg.png|width=28]] [[영국 공군]][br][[파일:external/media.bestofmicro.com/internal-revenue-service-irs-logo,4-D-431725-1.jpg|width=28]] [[미국 국세청|미합중국 국세청]][* 비살상 공무 수행 목적(변경지대 밀수 감시). 군사용 무인기를 관공서에서 쓸 정도로 넉넉한 나라는 미국뿐이다.] || || '''초도비행''' ||[[2001년]] [[2월 2일]][* 이미 배치 중인 MQ-1 프레데터(Predator) 무인기를 기반으로 하여, 개발 초기부터 비행 시험을 하는 것이 가능했다.] || || '''배치''' ||[[2007년]] [[5월 1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 '''임무''' ||<-4>정보 수집, 합동·정찰 및 목표 공격 || ||<:> '''생산 대수''' ||최소 250기 이상 || ||<:> '''승무원''' ||0명(오퍼레이터 2명) || ||<:> '''전장''' ||10.97 m (36 ft 1 in) || ||<:> '''전폭''' ||19.81 m (65 ft 7 in) || ||<:> '''전고''' ||3.65 m (12 ft 6 in) || ||<:> '''공허중량''' ||2,223 kg (4,900 lb) || ||<:> '''적재중량''' ||1,701 kg (3,750 lb) || ||<:> '''최대이륙[br]중량''' ||4,760 kg (10,494 lb) || ||<:> '''연료탑재량''' ||1,814 kg (4,000 lb) || ||<:> '''엔진''' ||Honeywell TPE331-10GD [[터보프롭]] 엔진 x1기, 950 hp (710 kW) || ||<:> '''순항속도''' ||280 km/h~313 km/h || ||<:> '''최대속도''' ||482 km/h || ||<:> '''항속거리''' ||1,852 km (1,000 nmi, 1,151 mi) || ||<:> '''항속능력''' ||30시간 체공 (ISR 임무시)[br]14시간 체공 (무장최대적재시) || ||<:> '''작전고도''' ||7,500 m (25,000 ft) || ||<:> '''실용 상승[br]한도''' ||15,000 m (50,000 ft) || ||<:> '''하드[br]포인트''' ||'''7개소''' [br] 동체하부 중앙 (장착x) [br] 날개 첫번째 2개소 (680 kg, 1,500 lb) [br] 날개 두번째 2개소 (340 kg, 750 lb) [br] 날개 세번째 2개소 (68 kg, 150 lb) || ||<:> '''무장''' ||[[AGM-114|AGM-114 헬파이어]] x4기 [br] [[GBU-12|GBU-12 페이브웨이 II]] x4기 [br] [[JDAM|GBU-38]] x4기 [br] [[브림스톤]] 미사일 x18기 || ||<:> '''항전장비''' ||'''AN/APY-8 Lynx II''' [[레이더]] [br] '''AN/DAS-1 MTS-B''' 멀티-스펙트럼 목표지시 시스템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gTPTHP0y5E)]}}} || || {{{#000,#fff {{{-1 아프가니스탄 칸다하르 미군기지에서 이륙하는 모습.}}}}}} || [목차] [clearfix] == 개요 == 제너럴 아토믹스(General Atomics) '''MQ-9 Reaper/Predator B'''는 [[MQ-1|MQ-1 프레데터]]의 공격형 모델을 재차 개량하여 만든 [[UAV|무인 공격기]]이다. 제식명칭이 MQ-9, 별칭은 '[[사신(死神)]]', '수확자'라는 뜻의 '[[리퍼]](Reaper)'이며, 때로는 MQ-1 프레데터의 개량형이라는 의미에서 '프레데터 B(Predator B)'라고 불리기도 한다. MQ-1 프레데터가 정찰 기능을 주임무로 하는 기종에 간단한 무장을 장착한 반면, MQ-9 리퍼는 기체 규모의 대폭적인 확충을 통해 프레데터보다 무장 기능이 양적, 질적으로 크게 높아졌다. [[AGM-114 헬파이어]] [[대전차미사일]]뿐만 아니라 [[GBU-12]] 페이브 웨이 [[LGB|레이저 유도 폭탄]]도 장착가능하다. 외견상으로는 프레데터와 별 차이가 없어 보일지 모르지만, 기체 규모는 리퍼가 더 대형이다. 구분 포인트는 꼬리날개가 차이점. 간단히 비교하자면 프레데터가 소형 [[경비행기]] 크기인 반면, 리퍼는 [[A-10]] 대전차 [[공격기]]에 맞먹는 크기다. == 특징 == 비교적 근래에 개발된 기종이나 [[리비아 내전]]에서 실질적인 주력으로 온갖 목표물에 [[AGM-114 헬파이어]]를 날리면서 반군에게 [[화력지원]]을 해주는 등 대활약을 보였다. 아무래도 유인기가 아니다보니 위험지역에 보내서 막 굴려도 별 부담이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매력요소이다. 무엇보다 유지비가 상당히 싸다! 다만, 기체 단가는 싼 편이지만 시스템 구축비용은 비싸다.--헬파이어 미사일은 비싸다-- [[A-29|슈퍼 투카노]] 등 유인 프롭기와 비교하면 유연성은 유인기에 못 미치지만 몇 배에 달하는 체공시간과 인명손실이 없다는 점이 큰 장점. 그리고 리퍼의 전자 광학 장비는 원격 조종에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동급 유도 무장을 운용하려면 유인기에도 달아야 한다. [[미국]]에서는 리퍼를 비롯한 [[UAV]]로 [[테러리스트]]의 수뇌부를 화끈하게 암살하는 작전을 실시하고 있다. 예시로 [[ISIL]]의 서방인질 참수 담당인 [[지하디 존]], [[이란]]의 장군 [[카셈 솔레이마니]]를 이걸로 지옥으로 날려버렸으며, 2021년 카불 공항 테러범들과 IS-K 간부를 이걸로 지옥행을 보냈다. 이름 그대로 '''[[헬파이어|지옥불]]로 보내버리는 [[저승사자]]인 셈.''' 타국의 영역내에 마음대로 [[특수부대]]를 투입해서 제거하기는 어려운 일에 쓴다든지, 레이더에 잘 잡히지 않는 UAV를 미리 침투시켜놓고 적측 내부고발자가 위치를 알려주면 헬파이어나 레이저 유도폭탄 등으로 그냥 [[시밤쾅]]!해서 해결한다. 게다가 암살 작전 중 붙잡히거나 전사하면 상당히 곤란한 특수부대원과 달리 이 물건은 그냥 격추되어도 비용적인 손실만 있을 뿐.[* 혹여나 기술력 유출에 대한 우려가 있을 수 있지만, 상대가 테러리스트 따위라면 그럴 기술이 있을 리가 없으니 실컷 보낼 수 있고 복제할 기술이 있는 나라에게는 대놓고 [[인공위성|이걸 보낼 필요성이 떨어진다.]] 물론, 테러세력 측이 의외로 빽이 있다면 곤란해지니 그때는 다른 스트라이크 패키지나 특수부대 등 병력을 증파해서 아주 다 아작을 내려 드는 미군이지만(...).] 더군다나 작전고도가 7,500m인데, 애초에 스텔스 기술이 들어간 기체라 레이더에 잘 잡히지도 않는데다 저 정도 고도면 설령 레이더에 잡힌다고 해도 격추하기도 어렵다. 맨패즈로는 아예 어림도 없고 자주대공포 중에서도 최신형을 동원하거나 아예 중방공, 공군을 불러야 한다.[* 예시로 좀 구식 자주대공포인 [[9K330 토르]]는 미사일의 상승한도가 6km로, 리퍼를 봐도 못 잡는다.] 정규군도 저런 고고도에서 노는 무인기는 격추하기가 상당히 까다로운데 정규군보다 못한 테러리스트라면 애초에 [[답이 없다|격추할 방법이 없다.]] == 운용 == * '''미국''' * [[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width=23]] [[미 공군]]: 2022년 기준 260기를 운용중이다. * [[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width=23]] [[주방위군|미 주방위공군]] * [[파일:NASA 로고.svg|width=23]] [[NASA]]: 암스트롱 비행연구센터에서 Altair, Ikhana라 명명된 MQ-9을 운용중이다.[* 이 쪽은 주로 항공전자 연구용으로 쓰이지만 NASA 암스트롱의 비행기들이 다 그렇듯이 서부지역 산불 진화작업에서도 활약한다. 2014년 12월에는 [[오리온 다목적 유인 우주선]]의 무인 비행 귀환과 회수 작업을 촬영하기도 했다.] * [[파일:external/media.bestofmicro.com/internal-revenue-service-irs-logo,4-D-431725-1.jpg|width=23]] [[미국 관세국경보호청]]: 국경 순찰용으로 운용중이다. * '''영국''' * [[파일:220px-Logo_of_the_Royal_Air_Force.svg.png|width=23]] [[영국 공군]]: 10기를 운용중이다. 2023년까지 개량형 MQ-9B(Protector RG.1)가 인도될 예정이다. * '''인도''' * [[파일:1920px-Naval_Ensign_of_India.svg.png|width=23]] [[인도 해군]]: 22기를 운용중이다. * '''프랑스''' *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로고.svg|width=23]] [[프랑스 항공우주군]]: 16기를 운용중이다. * '''스페인''' * [[파일:external/www.docelinajes.org/FAS.png|width=23]] [[스페인군#s-5|스페인 공군]]: 4기 운용중이다. * '''이탈리아''' * [[이미지:Aeronautica_Militare_1.png|width=23]] [[이탈리아 공군]]: 6기 운용중이다. * '''대만'''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epublic_of_China_Air_Force_%28ROCAF%29_Logo.svg.png|width=23]] [[대만 공군]]: 대만 공군이 4대를 운용 중이다. == 파생형 == * '''MQ-9 Block 5''' MQ-9 Block 1 이후 개량형의 명칭이며 기존 MQ-9 Block 1에 비해서 출력의 증가, 통신 보안 강화, 자동 착륙기능, 총 이륙 중량 증가(GTOW), 무기 탑재량 증가 및 페이로드 통합 기능의 간소화, 듀얼 ARC-210 VHF/UHF 라디오 안테나의 설치가 이루어졌다. 2013년 10월 15일, 미 공군은 제너럴 아토믹스와 MQ-9 Block 5 24기 도입 계약을 체결했다. MQ-9 Block 5는 2017년 6월 23일에 첫 번째 임무를 수행했다. * '''MQ-9B Sea Guardian''' [[이미지:MQ-9B_Sea_Guardian_000.jpg|width=500]] [[이미지:MQ-9B_Sea_Guardian_001.jpg|width=500]] [[이미지:MQ-9B_Sea_Guardian_002.jpg|width=500]] MQ-9의 해상초계기 버전. 대만이 도입한 MQ-9 4대가 이 사양이다. 일본은 이 MQ-9B에 대잠기능[* 원격으로 소노부이를 투하하고 적 잠수함을 탐지하면 경어뢰를 투하할 수 있다.]까지 추가된 [[대잠초계기]] 버전을 도입했다.[[https://www.navalnews.com/naval-news/2022/04/japan-selects-mq-9b-seaguardian-for-coast-guard-rpas-project/|#]][[https://m.yna.co.kr/view/AKR20221019026100073?section=international/all|#]] * '''MQ-9B STOL''' [[이미지:MQ-9B_STOL_001.jpg|width=500]] [[이미지:MQ-9B_STOL_002_FSbg8wzXEAAMlka.jpg|width=500]] 위 MQ-9B 시 가디언의 [[강습상륙함]]/[[경항공모함]] [[함재기]] 사양이다. STOL 업그레이드 키트를 통해 기존 시 가디언을 STOL로 개량할 수 있다. 즉, 업그레이드 키트를 제거하면 다시 원래의 시 가디언으로 돌아올 수도 있다고 한다.[[https://www.janes.com/defence-news/air-platforms/latest/general-atomics-announces-mq-9b-stol-upgrade-for-carrier-operations|#]] 이름 그대로 단거리 이착륙이 가능하여, 별도의 [[스키점프대]]나 [[캐터펄트]]의 도움 없이 이함이 가능하고, 착함도 [[어레스팅 기어]] 등의 보조 장치 없이 자력으로 착함하는 방식이다. 원본과 마찬가지로 소노부이가 탑재 가능해 대잠 임무가 가능하며, [[AGM-114 헬파이어]], [[AIM-9 사이드와인더]] 등의 무장도 탑재 가능하다고 한다.[[https://www.navalnews.com/event-news/indo-pacific-2022/2022/05/general-atomics-unveils-mq-9b-stol-for-small-flat-tops/|#]] * '''Sky Guardian''' 유럽의 무인기 사업인 MALE RPAS에 제너럴 아토믹스가 후보로 제시한 기체이다. * '''Protector RG.1''' [[영국 공군]]의 무인기 사업인 Protector MALE UAV 프로그램에 선정된 기체이며 기존 MQ-9A 10기를 대체할 것이다. * '''MQ-20 Avenger/Predator C'''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redator-c-avenger-5.jpg|width=500]] [[파일:Avenger_9614a4edfc4a6d35698cd02634fa1fd5.png|width=500]] [[파일:Avenger_5ee2f84682c00a12ec615c46f4ed1358.jpg|width=500]] [[스텔스]] 기술을 적용하고 [[엔진]]을 [[터보프롭]] 엔진에서 [[터보팬]] 엔진으로 변경한 [[어벤저#s-3.5|어벤저]](Avenger) UAV도 있다. 이쪽도 원본인 리퍼처럼 무장탑재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하며, 내부무장창을 통해 운용되는 [[AGM-114 헬파이어]] [[대전차미사일]]과 [[GBU-12]] 페이브 웨이 [[LGB|레이저 유도 폭탄]] 및 [[JDAM]]·[[SDB]] 등으로 [[화력지원]] 임무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원본인 리퍼가 [[MQ-1|MQ-1 프레데터]]의 개량형이라는 의미에서 '프레데터 B(Predator B)'라고 불리고 있듯이, 이쪽도 역시 같은 의미에서 '프레데터 C(Predator C)'라고도 불린다. 터보프롭 엔진 대신 터보팬 엔진을 채용하였기 때문인지 묘하게 [[RQ-4|RQ-4 글로벌 호크]]의 축소판처럼 생겼다. [[이미지:MQ-20_Avenger_0f5246eef01f7123470d0f03a4e9a0d8_EEQJHKCSRFGW7OXDO73ZFLJPZM.jpg|width=500]] 상기한 대로 [[스텔스]] 기술이 적용되었기 때문인지, 주익의 형태도 꽤 독특하다. 프레데터나 리퍼의 주익이 테이퍼익인 것과는 달리, 완만한 각도이긴 하지만 후퇴각이 주어진 [[후퇴익]]을 주익으로 채용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미 공군]]의 자율 비행 [[인공지능|AI]] 개발계획인 --[[스카이넷]]--스카이보그(Skyborg) 계획에서 테스트베드로 쓰이고 있는 무인기 중 하나로, 2021년 6월 24일 자율 비행 [[AI]]를 탑재한 어벤저의 비행 테스트가 [[https://www.defensenews.com/unmanned/2021/06/30/skyborg-makes-its-second-flight-this-time-autonomously-piloting-general-atomics-avenger-drone/|실시되었다고 한다]]. == 사건 사고 == 2022년 8월 23일, [[리비아]] 벵가지 인근에서 MQ-9과 유사한 기체가 추락해 잿더미가 됐다. 이에 대한 [[조셉 뎀시]]의 [[https://twitter.com/JosephHDempsey/status/1561779423220727816|분석 트윗]]이 있다. 어떤 나라의 MQ-9인지는 불명이라고 한다. 2023년 2월 [[프랑스 항공우주군]] 소속 MQ-9A 한 대가 아프리카 말리에서 추락했다. 이 지역 반군의 빈약한 방공능력으로 볼 때 조종자의 실수나 기계 결함으로 추정되고 있다. 2023년 3월 14일 [[흑해]] 상공에서 [[미 공군]] 소속 MQ-9 리퍼 1대가 [[러시아 항공우주군]] 소속 [[Su-27]] 2대로부터 요격 시도를 받아, 충돌에 의한 프로펠러 손상으로 추락 후 완파되었다고 하며 러시아 항공기들은 상태를 알 수 없으나 기지로 일단 복귀했다고 한다[[https://www.bbc.com/news/world-europe-64957792|#]][[https://ria.ru/20230314/su-27-1857882287.html|#]] == 기타 == 미군의 구입가격은 4대 한 세트로 1대당 360억원 가량, 영국과 이탈리아는 3천-4천만 달러, 일본의 구입가격은 대당 90 억엔(약 100억원), UAE가 18대를 도입한 가격은 대당 1800억원 가량이라고 한다. 즉 무장과 옵션, 지상 장비수, 판매 상대국에 따라 가격차이가 커서 정확한 가격을 매기기가 어렵다. [[한국 공군]]이 개발 중인 중고도 무인기가 MQ-9 Reaper/Predator B의 성능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한국 육군]]의 차기 군단급 무인기는 [[MQ-1]] 프레데터의 개량형인 MQ-1C 그레이 이글에 해당하는 성능을 갖추도록 개발될 계획이다.] 기본적으로는 정찰용이지만 필요할 경우 전술기에 준하는 규모의 공대지 무장을 탑재하여 북한군 지상 방공망의 요격권 밖에서 긴급표적(예: 탄도미사일 발사대, 갱도포병)을 감시하다가 공격도 할 수 있도록 한다는 개념이다. == 대중매체 == === 영화 === ==== [[스카이라인(영화)|스카이라인]] ==== 제트엔진을 달고나온다. ==== [[A특공대]] ==== 2대가 등장한다. 작중 미군의 [[C-130]] 수송기를 탈취하고 도주하는 A특공대원을 공격하는데, 공대공 미사일뿐만 아니라 무려 '''기총'''이 달려 있다. 그렇게 맹공격을 퍼부어 C-130을 격추시키고, [[M8 뷰포드|M8 공수전차]]로 갈아탄(...) 특공대원들을 다시 공격하는데, 한 대는 멋쟁이의 50구경 난사에 파괴, 나머지 한 대는 '''M8의 주포에 장렬히 산화한다.'''(...)[* 주포를 쏜 이유는 '''주포를 쏘는 반동으로 하늘에서 비행하려고...'''] ==== [[아이 인 더 스카이]] ==== 진주인공이라 할만큼 극을 이끌어나가는 소재로 쓰인다. ==== [[이글 아이(영화)|이글아이]] ==== 제리 쇼와 레이첼이 [[이글 아이(영화)/아리아|아리아]]의 범죄 행위(반역)를 저지하지만 이것을 출격시켜 터널에서 방해 공작을 시전한다. 강인공지능 AI의 정밀한 조종을 받아서 무려 터널 안까지 날개 일부를 희생하면서까지 추적해 오는 모습이 압권. ==== [[터미네이터 시리즈]] ==== * [[터미네이터: 다크 페이트]]: 국경 순찰용 MQ-9이 등장한다. 미국에서 벗어나려는 일행을 체포하고 따로 떨어진 주인공에게 카미카제를 시전하고 등장은 끝(...) === 게임 === ==== [[ARMA 3]] ==== Grayhawk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여기서는 에디터를 통해 [[AGM-65 매버릭|매버릭]]급의 미사일을 6발이나 들고 날 수 있다. ==== [[Squad]] ==== 미군과 영국군의 정찰드론으로 등장한다. ==== [[콜 오브 듀티 시리즈]] ====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3]]: 인도의 안전가옥에서 탈출하려는 유리를 공격하는 기체로 나온다. 그런데 이걸 운용하는 것이 미국에서 잡아죽이려고 드는 [[블라디미르 마카로프]] 휘하 이너 서클이다.(...) ==== [[모던 워십]] ==== || [[이미지:1D7BCC6A-16C5-4C42-8E77-6B0BD8FB51B8.jpeg.webp|width=500&hight=500]] || [[이미지:20221129_194346.jpg|width=500&hight=500]] || || MQ-9 'Reaper' || MQ-20 'Avenger' || [[모던 워쉽]]에서 2티어의 유일한 드론으로 등장. 2티어에서 드론을 운용하는 유일한 항모가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이라서 정작 미국 항모에는 장비 못하고 영국 항모가 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11월 배틀 패스로 파생형인 MQ-20이 나왔다. ==== [[도미네이션즈]] ==== 드론 시대 티져 영상 [[https://cafe.naver.com/nexondominations/306573|티져]] 드론 시대 로고 [[https://m.cafe.naver.com/nexondominations/306762|로고1]] [[https://xen.bighugegames.com/index.php?threads/drone-age-is-almost-here.28128/page-2#post-185799|로고2]] 드론 시대의 정찰기인 선봉 정찰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정찰기(도미네이션즈))] == 관련 문서 == * [[항공 병기/현대전]] * [[UAV]] * [[UCAV]] * [[MQ-1]] * [[A특공대]]: [[M8 뷰포드|하늘을 나는 전차(...)]]에 격추당한다. * [[아이 인 더 스카이]] * [[미국 관세국경보호청]] * [[미국 국세청]] * [[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미합중국 공군 항공기)] [include(틀:현대전/영국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프랑스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스페인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네덜란드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벨기에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대만 항공병기)] [include(틀:현대전/모로코 항공병기)] [include(틀:항공병기 둘러보기)] [include(틀:포크됨2, title=MQ-9, d=2022-07-10 11:3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