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MTAR211.jpg]] [목차] == 사양 == || || '''R211A''' || '''R211T''' || '''R211S''' || || 열차 형식 ||||||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 || 구동 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 || 제질 |||||| 스테인리스강/유리섬유 || || 제작 회사 |||||| [[가와사키 차량|[[파일:가와사키 중공업 로고.svg|width=130]]]] || || 도입 연도 |||||| 2022년~ || || 차량 번호 || 4060–4499 || 4040-4059 || 100-174 || || 전장 |||||| 18,350mm (60.21피트) || || 전폭 |||||| 3,048mm (10피트) || || 전고 |||||| 3,658mm (12피트) || || 궤간 |||||| 1,435 mm [[표준궤]] || || 차륜 배치 |||||| Bo'Bo' || || 최고 속도 |||||| 90 km/h (55 mph) || || 기동가속도 |||||| 4 km/h/s || || 감속도 |||||| 상용 : 4.8 km/h/s , 비상 : 5.1 km/h/s || || 신호 방식 |||| [[CBTC]] || 차내신호 || || 급전 방식 |||||| 600 V [[직류]] [[제3궤조]] || || 제어 방식 |||||| [[알스톰]] Optonix [[IGBT]]-[[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제어|VVVF]] || || 동력 장치 |||||| 교류 유도전동기 || || 편성 대수 || 5량 1편성[* [[MTA]]가 계약 옵션을 발동한다면 4량 1편성 추가 발주 예정] |||||| == 개요 == [[뉴욕 지하철]]과 [[스태튼 아일랜드 철도]]에 [[2022년]]부터 도입 중인 최신형 전동차. 뉴욕 지하철의 R46 전동차와 스태튼 아일랜드 철도의 R44 전동차를 전량 대차할 예정이다. == 특징 == [[파일:뉴욕지하철R211첫운행.jpg]] ▲ 2023년 3월 10일, 첫 운행을 시작하는 R211 전동차. [[파일:R211A_A_Train_Interior_4070.jpg]] ▲ 뉴욕 지하철 R211 전동차의 실내 모습. 기존의 최신 전동차였던 [[MTA R179 전동차]]보다도 한 단계 더 나아간 다양한 분야에서의 혁신이 적용되었다. 문의 넓이가 20cm 더 넓어져 역 대기 시간이 줄어들게 되고, 뉴욕 지하철에서는 기대도 하기 힘들었던[* 2023년 현재 대부분의 역들에서는 와이파이가 제공되지만, 운행중인 객차 내에서는 3G 신호조차 잡히지 않는 경우가 태반이다.] 무료 와이파이가 탑재된다. USB 충전기와 디지털 안내판, 그리고 문이 열릴 때 불이 들어오는 안내등, [[배리어프리]]를 위해 휠체어 이용객을 위한 접이식 의자 등 편의시설이 적용되고, 무엇보다 [[CCTV]]가 설치되어 치안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R211T로 분류된 차량들 20대에는 우리나라의 대부분 전동차들처럼 객차간 열린 통로(open gangway)가 적용되어 자유롭게 객차 사이를 오갈 수 있다. == 역사 == [[2011년]]부터 계획과 디자인에 들어갔고, [[2018년]] [[가와사키 중공업]]과 계약을 체결해 535량을 발주하여 생산에 들어갔다. 하지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와 일부 결함들로 인해 생산이 지연되다가 [[2021년]] 6월 29일 첫 시험 차량이 도입되었고, 이후 9월 들어 시험운행을 시작했다. 이후 2023년 3월 10일부터 30일간의 인수 시험 서비스에 투입되었다. 정식 운행이 아닌 시범 서비스로 운영되지만, 실제 운행 시 이용객들에게 어떤 느낌을 줄까 하여 투입시킨 모양이다. == 관련 문서 == * [[뉴욕 지하철]] * [[전동차]] [[분류:미국의 철도차량]] [[분류:전동차]] [[분류:뉴욕 지하철]] [[분류:2021년 출시]] [[분류:가와사키 중공업/생산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