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머라이어 캐리)] {{{#!wiki style="word-break:keep-all" ||<-3><#b16f65> '''{{{-2 [[머라이어 캐리|{{{#fff 머라이어 캐리}}}]]의 [[머라이어 캐리/음반 목록|{{{#fff 음반}}}]]}}}''' || || {{{#8c8c8c ←}}} ||<|2><#b16f65> {{{#f5f5f5 {{{-1 '''라이브 / EP 1집'''}}}[br]{{{+1 ''' ''MTV Unplugged'' '''}}}[br]{{{-1 (1992)}}}}}} || {{{#8c8c8c →}}} || || {{{#8c8c8c {{{-2 2집}}}}}} [br][[Emotions|{{{#734E39 {{{-1 ''' ''Emotions'' '''}}}}}}]][br]{{{#8c8c8c {{{-2 (1991)}}}}}} || {{{#8c8c8c {{{-2 3집}}}}}}[br][[Music Box|{{{#403B32,#BFB4AA {{{-1 ''' ''Music Box'' '''}}}}}}]][br]{{{#8c8c8c {{{-2 (1993)}}}}}} || ||<-2> '''{{{-2 The 1st Live / EP Album}}}[br]{{{+2 ''MTV Unplugged''}}}'''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mcmtv.jpg|width=100%]]}}} || || '''발매''' || 1992년 6월 2일 || || '''프로듀서''' || [[머라이어 캐리]], 월터 아파나시에프 || || '''장르''' || [[팝 음악|팝]], [[컨템퍼러리 R&B|R&B]] || || '''레이블''' || [[컬럼비아 레코드|[[파일:컬럼비아 레코드 로고.svg|width=120]]]] || || '''녹음기간''' || 1992년 3월 16일 || || '''길이''' || 28:45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MARIAH3.gif|width=100%]]}}}|| ||<#fff,#191919> {{{#000,#fff '''{{{#!html“vocal Tour de force”}}}[br]{{{-3 “[[역작]]과도 같은 보컬” }}}'''}}} {{{-4 ''- Entertainment Weekly -'' }}} || 1992년 6월 2일에 발매된 [[머라이어 캐리]]의 라이브 앨범으로, [[MTV 언플러그드]] 공연을 녹음했다. 이 공연에서 완벽한 라이브를 선보여 자신을 둘러싼 각종 의혹들을 말끔히 타파해냈다. == 평가 == 당시에 머라이어 캐리가 [[MTV 언플러그드]] 공연을 했었던 이유가 놀랍게도 '''대리 가창(립싱크)논란''' 때문이었다. 거의 같은 시기에 데뷔했던 밀리 바닐리가 자기 목소리가 아닌 다른 사람들이 불러줬던 음원으로 활동했던 것이 들통나 미국 음악계가 뒤숭숭한 가운데, 갑자기 머라이어 캐리한테도 의심이 집중되기 시작했다. 왜냐하면 2집 Emotions에서 보여준 엄청난 기교,가창력과는 다르게 이때는 머라이어 캐리의 외모가 왠만한 영화배우 뺨치게 예뻐서 밀리 바닐리처럼 누군가가 그녀의 노래를 대신 불러주는거 아니냐며 이상한 소문이 돈 것.[* 밀리 바닐리가 처음에 히트한것도, 그들의 잘생긴 외모와 패션센스의 영향이 컸다.] 거기다 갑자기 흑인(혼혈)여자 가수가 5연속 싱글1위, 음반도 1000만장씩 팔아재껴대니 안티팬들의 의심과 함께 이러한 논란을 더욱 커져갔다.[* 이때까지만 해도 휘트니 휴스턴, 마돈나급 가수 아니면 여자가수가 1000만 이상 파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그나마 같은 흑인여가수 자넷 잭슨이 Rhythm Nation 1814으로 1200만장 이상 판매한거 조차 초대박으로 여겨졌다.] 이에 가뜩이나 2집 Emotions가 소모포어 징크스에 걸려 커리어에 위기가 생겼으니[* 사실 2집도 1집에 비해 덜 히트한거지 top5 싱글 3개나 배출한 히트음반이다.]머라이어 캐리나 소속사 입장에선 돌파구를 마련해야 했고, 그 해결책으로 [[MTV 언플러그드]] 무대를 마련한 것. 머라이어 캐리는 당연하게도 자기가 직접 부른 노래들 이었으니 컨디션 조절 뒤, 바로 환상적인 무대를 선보였다. 그리고 당시 자신을 의심하던 대중들에게 엄청난 충격을 선사하며 립싱크 의혹을 말끔히 씻어낸다. 당시 소속사에선 이러한 긍정적인 반응을 곧바로 알아챘고, 사장 토미 머톨라는--돈냄새 맡고-- 언플러그드 무대를 음반으로 발매, I'll be there 같은 경우에는 곧바로 싱글 컷해 그녀의 인기를 더욱 올려준다. 이때 또 무대영상(음원)을 조작한거 아니냐며....의혹을 제기한 사람들도 있었는데 나중에 소니뮤직에서 해킹된 원본영상을 보면 약간은 차이가 있으나 별반 다를 것도 없어서 바로 뭍혔다.[* 당연하게도 방송영상으로 송출시키는 음성이나, 상업적으로 판매할 경우 다 보정하고 보내는거지 아예 원본으로 트는건 말이 안된다. 애초에 조작하고 보냈으면 촬영중에 같이 있던 방청객들이나 스텝들이 폭로했을것이다.] 어쨌든 머라이어 캐리는 이 공연, 앨범으로 다시 한번 반등의 기회를 잡았고 다음 앨범 Music box로 초대박을 낸다. == 성적 == [include(틀:RIAA 플래티넘, pt=4)] ||<#000>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f5f5f5 '''차트 및 판매량'''}}}}}}||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ededed,#4a4a4a> '''국가''' ||<#ededed,#4a4a4a> '''순위''' ||<#ededed,#4a4a4a> '''판매량''' ||<#ededed,#4a4a4a> '''인증''' || || '''[[뉴질랜드]]''' || '''1''' || 40,000 || 4x 플래티넘 || || '''[[미국]]''' || 3 || 3,100,000 || 4x 플래티넘 || || '''[[일본]]''' || 13 || 525,000 || 2x 플래티넘 || || '''[[영국]]''' || 3 || 300,000 || 플래티넘 || || '''[[캐나다]]''' || 6 || 200,000 || 7x 플래티넘 || || '''[[오스트레일리아]]''' || 7 || 150,000 || 5x 플래티넘 || || '''[[독일]]''' || 30 || 300,000 || - || || '''[[프랑스]]''' || - || 225,000 || - || || '''[[오스트리아]]''' || 39 || 25,000 || 3× 플래티넘 || || '''[[브라질]]''' || - || 150,000 || - || || '''[[이탈리아]]''' || - || 75,000 || - || || '''[[네덜란드]]''' || 9 || 240,000 || 플래티넘 || || '''[[스웨덴]]''' || 36 || 40,000 || 플래티넘 || || '''[[스위스]]''' || 19 || 35,000 || 골드 || || '''[[한국]]''' || - || 410,000[br] ^^비공식 550,000^^ || 4x 플래티넘 || ||<-1><#ededed,#4a4a4a> '''월드''' ||<-3> '''7,000,000'''[* 아시아: 1,300,000 유럽:1,610,000] ||}}} || == 싱글 == ||<#000><:>{{{#fff 리드 싱글[br]'''I'll Be There'''}}}||<#000><:>{{{#fff 한정 발매 싱글[br]'''If It's Over'''}}}|| ||<#000><:>{{{#fff 1992.05.26}}} ||<#000><:>{{{#fff 1992.08.28}}} || ||<#fff><:> [[I'll Be There(머라이어 캐리)|[[파일:ibt_mc.jpg|width=250]]]] ||<#fff><:> [[If It's Over|[[파일:iio_mc.jpg|width=25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머라이어 캐리/싱글 목록)] == 트랙리스트[* [[파일:single_sign.png|width=15]] = 정식 싱글 [[파일:singlepromo_sign.png|width=15]] = 프로모, 홍보, 한정 발매 싱글] == ||<-2><#000> {{{#fff '''{{{#!htmlMTV Unplugged}}}'''}}} || || {{{-1 '''트랙'''}}} || {{{-1 '''제목'''}}} || || {{{-1 1}}} || {{{-1 [[Emotions(싱글)|Emotions]]}}} || || {{{-1 2}}} || [[파일:single_sign.png|width=10]] {{{-1 [[If It's Over]]}}} || || {{{-1 3}}} || {{{-1 [[Someday(머라이어 캐리)|Someday]]}}} || || {{{-1 4}}} || {{{-1 [[Vision of Love]]}}} || || {{{-1 5}}} || {{{-1 [[Make It Happen]]}}} || || {{{-1 6}}} || {{{-1 [[파일:single_sign.png|width=10]] [[I'll Be There(머라이어 캐리)|I'll Be There]]}}} || || {{{-1 7}}} || {{{-1 [[Can't Let Go]]}}} || [[분류:머라이어 캐리]][[분류:미국의 R&B 음반]][[분류:라이브 앨범]][[분류:1992년 음반]][[분류:빌보드 3위 앨범]][[분류:컨템퍼러리 R&B]][[분류:팝]][[분류:MTV 언플러그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