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MWRaircraft.jpg|width=100%]]|| || 군용기에 탑재된 MWR의 모습 || ||[[파일:MWR1.jpg|width=100%]]|| || MWR 모듈의 모습 || '''M'''issile '''W'''arning '''R'''eceiver 미사일 경보 수신기 [목차] == 개요 == [[전투기]] 및 [[헬리콥터]]에서 [[RWR]]와 더불어 사용되는 장비로써 기체에 접근하고 있는 투사체(Projectile)를 탐지하여 조종사에게 경보해주는 전자장비이다. [[RWR]]의 작동 방식과는 살짝 다른 능동방식도 존재한다. [[배틀필드 시리즈]]등에서 항공기를 탑승하고 있을때 미사일 접근 경고를 해주는 장치이다. [[ECM]], [[플레어(무기)|플레어]], [[채프]] 등의 작동 타이밍의 설정에 아주 중요한 장치. == 종류 == === 펄스 도플러 (Pulse Doppler) 방식 === [[레이더]] [[전파]] 펄스를 주기적으로 쏘아 반사되는 전파를 분석하는 방식이다. 한마디로 미사일처럼 작은 물체를 탐지하기 위한 레이더라고 보면 된다. 접근 중인 투사체(미사일)의 거리 및 속도를 측정 할 수 있으며 플레어, 채프, ECM 등의 효과적인 사용 타이밍을 계산 가능하게 해주고, 기상 조건에 덜 민감하다. 다만 미사일 탐지를 위해 쏜 펄스가 상대의 RWR 안테나, 즉 패시브레이더에 잡히게 되면 항공기가 탐지될수 있다. 게다가 단면적이 작은[* 예: [[맨패즈]]] 미사일 같은 경우에는 탐지가 힘들다. === 적외선 (Infrared) 방식 === [[적외선|적외선(IR)]]을 이용하여 탐지하는 방식이다. 적 미사일의 로켓 모터에서 방사되는 열을 적외선 센서로 찾아낸다. 자외선은 구름, 비 같은 습기에 흡수되기 때문에 전천후로 사용하기가 힘들다. 극미세량의 물도 영향을 미칠 정도. 게다가 태양빛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미사일로 잘못 판단하여 틀린 경고를 할 수도 있다. 탐지 거리가 짧기 때문에, 낮은 고도에서 비행하고 있을 때 갑자기 지상에서 날아오는 [[맨패즈|휴대용 대공 미사일]]을 미리 발견하고 회피하려는 목적으로 주로 사용한다. === 자외선 (Ultra violet) 방식 === [[자외선|자외선(UV)]]을 이용하여 탐지하는 방식. 적 미사일의 로켓 모터에서 방사되는 열을 자외선 센서로 찾아낸다. 태양의 자외선 중 대다수는 대기에서 걸러진다. 항공기의 활동 범위까지 닿지 못하는 자외선의 파장을 이용하기 때문에 태양 간섭이 없으며 구름, 비 등의 습기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전천후에서의 활용이 가능하다. 무엇보다 상단의 두 가지 시스템보다 간단하다. 다만 자외선은 적외선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방사되기 때문에 적 미사일의 추진부 온도가 높아야 찾아낼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 관련 문서 == * [[RWR]] * [[ECM]] * [[플레어(무기)]] * [[채프]] [[분류:두문자어]][[분류:전자기기]][[분류:군사기술]][[분류:군 장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