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2> {{{#fff {{{+2 '''Made in Heaven'''}}}}}} || ||<-2>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vBCTasRgFqo, height=175, whidth=100%)]}}}|| || '''수록 앨범''' ||'''[[Mr. Bad Guy]]'''|| || '''발매일''' ||[[1985년]] [[7월 1일]]|| || ''' 싱글 B면''' ||She Blows Hot and Cold|| || '''러닝 타임''' ||4:05|| || '''장르''' ||[[신스팝]]|| || '''작사/작곡''' ||[[프레디 머큐리]]|| || '''프로듀서''' ||프레디 머큐리/라인홀트 맥|| || '''레이블''' ||컬럼비아 레코드|| ||<-2> {{{#!folding 싱글 커버 [ 펼치기ㆍ접기 ]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Made_in_Heaven_single_(1985).jpg|width=100%]] }}}}}} || [clearfix] [목차] == 개요 == [[퀸(밴드)|Queen]]의 맴버 [[프레디 머큐리]]의 싱글곡. 프레디 머큐리의 미성과 신명나는 기타 리프가 인상적이다. 1985년 앨범 '[[Mr. Bad Guy]]'에 수록되어 발매되었다. 프레디 머큐리 사후 퀸이 [[신디사이저]]가 가미된 팝 음악인 이 곡을 10년만에 락버전으로 리워크하여 1995년 앨범 '[[Made in Heaven]]'에 수록했다. Made in heaven의 의미는 하늘이 정한 운명. 이 곡이 가지는 의미를 생각해 본다면 말그대로 천국에서 만든 곡이라고도 해석할 수도 있다. 일종의 중의적 표현이다. == 가사 == ||<:> ---- {{{+2 '''Made in Heaven'''}}} ---- I'm taking my ride with destiny 난 내 운명을 타고 달리고 있어 Willing to play my part 내 역할을 기꺼이 치러낼 거야 Living with painful memories 고통스런 기억을 안고 살면서도 Loving with all my heart 온 마음을 다해 사랑할 거야 Made in heaven, made in heaven 하늘의 뜻이야, 하늘의 뜻이야 It was all meant to be, yeah 모두 정해져 있었던거야 Made in heaven, made in heaven 하늘의 뜻이야, 하늘의 뜻이야 That's what they say 그들이 말하는 게 바로 그거지 Can't you see 모르겠어요? That's what everybody says to me 모두가 나에게 그렇게 말하죠 Can't you see 모르겠니? Oh I know, I know, I know that it's true 알아요, 나도 알아요, 그것이 진실이라는 걸 Yes it's really meant to be 그래요 다 정해져 있는 거예요 Deep in my heart 마음속 깊은 곳에서부터 I'm having to learn to pay the price 난 대가를 치르는 법을 배워야 해 They're turning me upside down 그들은 나를 거꾸로 뒤집어 버리니 Waiting for possibilities 가능성을 기다리면서도 Don't see too many around 수많은 기회를 보지 못했지 Made in heaven, made in heaven 하늘의 뜻이야, 하늘의 뜻이야 It's for all to see 모두 알게 돼있어 Made in heaven, made in heaven 하늘의 뜻이야, 하늘의 뜻이야 That's what everybody says 이게 모든 사람들이 내게 말하는거야 Everybody says to me 모든 사람들이 내게 말하지 It was really meant to be 다 그럴 예정이었던 거야 Oh can't you see 모르겠어요? Yeah everybody, everybody says 그래 모두, 모두들 말하지 Yes it was meant to be 그래요 다 정해져 있는 거에요 Yeah yeah When stormy weather comes around 폭풍 치는 날씨가 닥쳐 올 때에도 It was made in heaven 다 하늘의 뜻이에요 When sunny skies break through behind the clouds 맑은 하늘이 구름 뒤에서 모습을 드러낼 때면 I wish it could last forever, yeah 그것이 영원히 지속되었으면 해요 Wish it could last forever, forever 영원히 지속되었으면, 영원히 Made in heaven 하늘의 뜻이야 I'm playing my role in history 난 역사 속에서 내 역할을 하고 있는 거야 Looking to find my goal 내 목표를 찾고 Taking in all this misery 이 모든 고통을 받아들이면서 But giving it all my soul 그런데도 내 모든 영혼을 바치며 Made in heaven, made in heaven 하늘의 뜻이야, 하늘의 뜻이야 It was all meant to be 모두 정해져 있던거야 Made in heaven, made in heaven 하늘의 뜻이야, 하늘의 뜻이야 That's what everybody says 모두가 말하던 것이야 Wait and see, it was really meant to be 기다려 봐, 모두 정해져 있는거야 So plain to see 너무 명백하지 Yeah, everybody, everybody, everybody tells me so 모두, 모두가, 모두가 나에게 그렇게 말하지 Yes it was plain to see, yes it was meant to be 그래요 아주 자명한 사실이에요, 모든것이 정해져 있는거죠 Written in the stars 별에 쓰인 대로 Written in the stars 별에 쓰인 대로 Written in the stars 별에 쓰인 대로 ---- [[퀸(밴드)|[[파일:퀸(밴드) 로고.svg|width=100]]]] || [[https://youtu.be/SBraliHI5mc|출처]] == [[Made in Heaven]]버전 == ||
<#3b4583><-2> {{{#fff {{{+2 '''Made in Heaven'''}}}}}} || ||<-2> {{{#!wiki style="margin:-6px -10px" [youtube(Rix3hoKJoMA, height=175, whidth=100%)]}}}|| || '''발매일''' ||[[1995년]] [[11월 6일]]||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e2023; font-size: .9em" [[Made in Heaven|'''{{{#FFFFFF Made in Heaven}}}''']]}}}'''|| || '''장르''' ||[[록]]|| || '''작사/작곡''' ||[[프레디 머큐리]]|| || '''프로듀서''' ||[[퀸(밴드)|퀸]]|| || '''레이블''' ||팔로폰 레코드|| || '''러닝 타임''' ||5:25|| == 가사 == ||<:> ---- {{{+2 '''Made in Heaven'''}}} ---- I'm taking my ride with destiny 난 내 운명을 타고 달리고 있어 Willing to play my part 내 역할을 기꺼이 치러낼 거야 Living with painful memories 고통스런 기억을 안고 살면서도 Loving with all my heart 온 마음을 다해 사랑할 거야 Made in heaven, made in heaven 하늘의 뜻이야, 하늘의 뜻이야 It was all meant to be, yeah 모두 정해져 있었던거야 Made in heaven, made in heaven 하늘의 뜻이야, 하늘의 뜻이야 That's what they say 그들이 말하는 게 바로 그거지 Can't you see 모르겠어요? That's what everybody says to me 모두가 나에게 그렇게 말하죠 Can't you see 모르겠니? Oh I know, I know, I know that it's true 알아요, 나도 알아요, 그것이 진실이라는 걸 Yes it's really meant to be 그래요 다 정해져 있는 거예요 Deep in my heart 마음속 깊은 곳에서부터 I'm having to learn to pay the price 난 대가를 치르는 법을 배워야 해 They're turning me upside down 그들은 나를 거꾸로 뒤집어 버리니 Waiting for possibilities 가능성을 기다리면서도 Don't see too many around 수많은 기회를 보지 못했지 Made in heaven, made in heaven 하늘의 뜻이야, 하늘의 뜻이야 It's for all to see 모두 알게 돼있어 Made in heaven, made in heaven 하늘의 뜻이야, 하늘의 뜻이야 That's what everybody says 이게 모든 사람들이 내게 말하는거야 Everybody says to me 모든 사람들이 내게 말하지 It was really meant to be 다 그럴 예정이었던 거야 Oh can't you see 모르겠어요? Yeah everybody, everybody says 그래 모두, 모두들 말하지 Yes it was meant to be 그래요 다 정해져 있는 거에요 Yeah yeah When stormy weather comes around 폭풍 치는 날씨가 닥쳐 올 때에도 It was made in heaven 다 하늘의 뜻이에요 When sunny skies break through behind the clouds 맑은 하늘이 구름 뒤에서 모습을 드러낼 때면 I wish it could last forever, yeah 그것이 영원히 지속되었으면 해요 Wish it could last forever, forever 영원히 지속되었으면, 영원히 Made in heaven 하늘의 뜻이야 I'm playing my role in history 난 역사 속에서 내 역할을 하고 있는 거야 Looking to find my goal 내 목표를 찾고 Taking in all this misery 이 모든 고통을 받아들이면서 But giving it all my soul 그런데도 내 모든 영혼을 바치며 Made in heaven, made in heaven 하늘의 뜻이야, 하늘의 뜻이야 It was all meant to be 모두 정해져 있던거야 Made in heaven, made in heaven 하늘의 뜻이야, 하늘의 뜻이야 That's what everybody says 모두가 말하던 것이야 Wait and see, it was really meant to be 기다려 봐, 모두 정해져 있는거야 So plain to see 너무 명백하지 Yeah, everybody, everybody, everybody tells me so 모두, 모두가, 모두가 나에게 그렇게 말하지 Yes it was plain to see, yes it was meant to be 그래요 아주 자명한 사실이에요, 모든것이 정해져 있는거죠 Written in the stars 별에 쓰인 대로 Written in the stars 별에 쓰인 대로 Written in the stars 별에 쓰인 대로 ---- [[퀸(밴드)|[[파일:퀸(밴드) 로고.svg|width=100]]]] || [[https://youtu.be/SBraliHI5mc|출처]] == 기타 == Made In Heaven 앨범의 수록곡들이 그렇듯, A winter's Tale이나 Mother Love에 비할 정도는 아니더라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곡. 본 곡이 수록된 동명의 앨범과 함께 일본의 만화 [[죠죠의 기묘한 모험]]의 [[스톤 오션|6부 스톤 오션]]에서 등장하는 [[스탠드(죠죠의 기묘한 모험)|스탠드]] [[메이드 인 헤븐(죠죠의 기묘한 모험)|메이드 인 헤븐]]의 이름의 모티브가 된 곡이다. 퀸의 마지막을 장식한 앨범의 이름을 가진 스탠드가, 작중 세계관의 마지막을 장식하고 [[일순 후의 세계|새로운 세계]]를 탄생시켜 세계관을 리부트해버린 행적을 고려했을 때 상당히 오묘한 감정이 와닿는 부분.[* 해당 곡 및 Made in Heaven의 앨범은 전체적으로 프레디 머큐리의 유작이자 추모곡으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에, 이 곡에 대한 죠죠드립에는 부정적인 팬들도 상당수 존재한다. 여타 스탠드의 모티브가 된 곡들도 대개 그렇지만 해당 곡에서는 특히 퀸의 팬들을 배려해 과한 죠죠드립은 자제하도록 하자.]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Made in Heaven, version=185, paragraph=2)] [[분류:1985년 노래]][[분류:1995년 노래]][[분류:퀸/노래 목록]][[분류:프레디 머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