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아프리카계 미국인]][[분류:인종차별]] [[파일:external/4.bp.blogspot.com/mammy2shoes.jpg]] [[톰과 제리]]에 등장하는 [[매미 투슈]]. 전형적인 Mammy 스테레오타입을 따르고 있다. [목차] == 개요 == 19세기~20세기 경 [[미국 백인]] 가정의 [[유모]] 및 [[하녀]]나 [[가정부]]로 고용된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에 대한 [[스테레오타입]]. [[블랙페이스]] 만큼이나 흑인에 대한 [[인종차별]] 요소이기 때문에 현대에는 이런 묘사가 금기시되어 있으나, 고전 영화나 애니메이션에서 종종 볼 수 있다. == 특징 == * 머리에는 [[원색]](특히 빨간색) [[터번]](헤드랩)을 두르고 있다. * 고전 [[미국 남부]] 드레스 차림에 반[[앞치마]]를 두르고 있다. * [[블랙페이스]] 요소를 공유하기도 해서 새까만 얼굴에 빨간색 두툼한 입술로 그려진다. * 작품 내에서 [[백인]] [[아가씨]]의 수발을 드는 장면으로 많이 묘사된다. * 대부분의 Mammy 캐릭터는 [[비만]] 내지는 [[고도비만]]에 준하는 뚱뚱한 모습으로 그려진다. * [[노예]], [[노비]], [[농노]]에 대한 모습처럼 학교 정규 교육을 받지 못해 순진하고 멍청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 관련 작품 == * '''[[미국 남부]]를 배경으로 하는 대부분의 고전 매체'''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마미 * [[남부의 노래]]: [[월트 디즈니 프로덕션]] 작품. 인종차별 논란으로 인해 1980년대 이후로 재배급되지 않아 [[환상의 에피소드]]가 되었다. * [[대령의 유산]]: 셀리, 케이준 사투리와 복장, 체형 등 전형적인 Mammy 캐릭터다. * [[톰과 제리]]: [[매미 투슈]] * [[퀘이커 오츠]]: 앤트 재미마 / 논란에 굴복하여 2020년대 들어 포장지에서 흑인 여성의 얼굴이 사라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