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샤오미 스마트폰 브랜드)] [목차] == 개요 == [[Xiaomi]]의 [[스마트폰]] 브랜드인 [[Xiaomi(스마트폰 브랜드)|Mi]]의 [[Android One]] 플랫폼 적용 하위 라인업. 즉, A는 Android One의 A이다. [[안드로이드(운영체제)|Android]] 기반의 커스텀 운영체제인 [[MIUI]]를 탑재하지 않고 AOSP를 탑재한다. 그마저도 [[Android One]] 플랫폼을 적용하기 때문에 '''순정 Android를 탑재'''한다. == 배경 == 사실, 해당 라인업의 뒷배경은 약간 복잡한 부분이 있다. 우선, Xiaomi는 여러 문제로 인해서 중국 내에서만 집중적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고 그 이외의 국가 및 지역에서는 매우 소극적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물론, 진출한 국가 및 지역은 상당히 많지만 Xiaomi가 직접 지사를 설립한 경우는 드물고 현지에서 판매 및 지원 절차를 대행할 총판들이 Xiaomi에 물량을 요청하면 중국에 위치한 Xiaomi 본사가 물량을 넘겨주는 우회 방법을 이용한다. 이 때문에 아무리 글로벌 펌웨어를 개발한다 하더라도 [[MIUI]]는 중국을 중심으로 개발될 수 밖에 없다.[* 그렇다고 글로벌 펌웨어 개발 및 지원에 소홀히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그리고 Google은 중국 정부와의 관계 문제로 인해 중국 내 사업에서 철수한 지 오래인 상황이다. 다시 말하면 중국 시장에 출시되는 [[안드로이드(운영체제)|Android]] [[스마트폰]]들은 각종 Google 콘텐츠들이 탑재되지 않고[* 단, Google 콘텐츠의 중심이자 [[안드로이드(운영체제)|Android]]의 [[ESD]]인 [[Google Play]]는 중국 정부와 Google의 협의를 통해 중국 정부의 검열 내지 중국 정부가 제시한 가이드라인이 우선적으로 적용되는 조건에서 탑재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중국 정부의 검열을 통과하지 못한 [[애플리케이션]]들은 표기되지 않으며 따라서 완전한 형태의 [[Google Play]]가 탑재되지는 않는다.] 이를 중국 내 포털들과 제휴해서 그들의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거나 제조사가 자체적으로 준비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해서 보완하고 있다.[* 이 때문에 Google이 관여한 [[구글 넥서스|넥서스 시리즈]]와 [[Google Pixel 시리즈|픽셀 시리즈]]는 중국 시장에 출시되지 못했다. 예외적으로 [[모토로라]]가 [[넥서스 6]]에서 Google 콘텐츠를 포함한 Google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는 모든 것들을 제거한 다음 [[모토로라 모토 X#s-2.2.2.2|모토 X Pro]]로 정식 발매명을 변경해 출시한 적은 있었다. 다만, 이 당시에도 [[모토로라]]는 사실상 순정 안드로이드 위주로 탑재하고 있어서 그렇게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러한 상황들로 인해 [[Android One]] 플랫폼을 적용한 해당 라인업은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사업이 진행되는 [[샤오미]]의 [[스마트폰]] 임에도 불구하고 '''중국 시장에 출시되지 않는다'''는 매우 이질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중국 시장에 출시된 [[샤오미]]의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개발되며 이 때, 기반이 되는 중국 내의 [[스마트폰]]들은 글로벌 시장에 출시되지 않고 오로지 중국 시장에만 출시된다. 따라서 3G [[TD-SCDMA]]나 [[CDMA]] 계열 이동통신 등 중국 내에서만 주로 사용되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들은 지원하지 않는다. == 소속 기기 == * [[Mi A1]] * Mi A2 제품군 * [[Mi 6 시리즈#s-2|Mi A2]] * [[Redmi 6 시리즈#s-2|Mi A2 Lite]] * [[Xiaomi CC9 시리즈#s-2.2|Mi A3]] [[분류:샤오미]][[분류:안드로이드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