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b2a529 {{{+1 [[빌보드 핫 100]] 역대 1위 곡}}}}}}''' || || ''[[Girl I'm Gonna Miss You]]''[* 1989년 9월 넷째 주부터 다섯번째 주까지 2주 연속 1위] {{{-2 [[Milli Vanilli|{{{#8086a0 Milli Vanilli}}}]]}}} || {{{+1 →}}} || ''' Miss You Much[br](4주 연속)[* 1989년 10월 첫째 주부터 넷째 주까지 4주 연속 1위][br]{{{-2 [[Janet Jackson|{{{#8086a0 Janet Jackson}}}]]}}}''' || {{{+1 →}}} || ''[[Listen to Your Heart]]''[* 1989년 11월 첫째 주, 1주 1위] {{{-2 [[Roxette|{{{#8086a0 Roxette}}}]]}}} || ||<-5> '''{{{+1 [[Janet Jackson]] {{{#b2a529 역대 싱글}}}}}}''' || || ''2300 Jackson Street''[br](1989) || {{{+1 →}}} || ''' ''Miss You Much''[br](1989)''' || {{{+1 →}}} || ''[[Rhythm Nation]]'' (1989) || ||<-2> {{{+2 '''Miss You Much'''}}}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ss_You_Much.jpg|width=100%]]}}}|| || '''아티스트''' ||'''[[Janet Jackson]]''' || || '''수록 음반''' ||'''[[Janet Jackson's Rhythm Nation 1814]]''' || || '''발매일''' ||'''1989년 8월 21일''' || || '''녹음 기간''' ||'''1988년 ~ 1989년''' || || '''스튜디오''' ||'''Flyte Tyme ([[미네소타 주]] [[미니애폴리스]])''' || || '''장르''' ||'''[[댄스 팝]], [[뉴 잭 스윙]]''' || || '''길이''' ||'''4:12 (앨범 버전)[br]3:52 (인터네셔널 에딧)''' || || '''레이블''' ||'''A&M''' || || '''송라이터''' ||'''[[Janet Jackson]], [[James Harris III]], [[Terry Lewis]]''' || || '''프로듀서''' ||'''[[Jimmy Jam and Terry Lewis]], [[Janet Jackson]]'''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가수인 [[자넷 잭슨]]의 히트곡. 자넷 잭슨의 싱글이며 그녀의 4집 앨범 [[Janet Jackson's Rhythm Nation 1814]]의 첫 싱글로 1989년 8월 21일에 발매되었다. 첫 싱글로, 뉴잭스윙 장르의 대중성 있는 멜로디와 따라 부르기 쉬운 가사로 빌보드 4주간 1위를 거머쥐며 4집의 성공 신호를 알렸다. == 오디오/뮤직 비디오 == || 오디오 (앨범 버전)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2cv70nLwo)]}}}|| || 뮤직 비디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VF0zcqr9Dg)]}}}|| == 가사 == ||<전주> Shot like an arrow going through my heart 내 심장을 관통하는 화살처럼 쏘아 That's the pain I feel 그게 내가 느끼는 고통이야 I feel whenever we're apart 나는 우리가 떨어져 있을 때마다 느껴 Not to say that I'm in love with you 내가 너와 사랑에 빠졌다는 말은 아니야 But who's to say that I'm not 하지만 누가 내가 아니라고 말할 수 있겠어 I just know that it feels wrong 기분이 나쁘다는 것만 알지만 When I'm away too long 내가 너무 오래 떨어져 있을 때 It makes my body hot, so let me tell ya, baby 몸이 뜨거워, 그러니 내가 말해줄게, 자기야 I'll tell your mama 네 엄마에게 말할 거야 I'll tell your friends 네 친구들에게 말할 거야 I'll tell anyone whose heart can comprehend 내 마음을 이해할 수 있는 사람에게 말할 거야 Send it in a letter baby 편지로 보내줘 자기야 Tell you on the phone 전화로 알려줘 I'm not the kinda girl 난 그런 여자가 아니야 Who likes to be alone 혼자 있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 I miss ya much (boy-oh-I miss you much) 네가 많이 보고 싶어 (소년이여-오-네가 많이 보고 싶어) I really miss you much (M-I-S-S you much) 정말로 너무 보고 싶어 (M-I-S-S 많이) I miss ya much (boy-oh-I miss you much) 네가 많이 보고 싶어 (소년이여-오-네가 많이 보고 싶어) Baby I really miss you much (M-I-S-S you much) 자기야 정말로 너무 보고 싶어 (M-I-S-S 많이) I'm rushing home 나는 집으로 가고 있지 Just as soon as I can 최대한 빨리 I'm rushing home to see 널 보려고 집에 달려가는데 Your smiling face 너의 웃는 얼굴 And feel your warm embrace 그리고 너의 따뜻한 포옹을 느껴 It makes f-feel so g-g-g good 기-기분이 너무 조-조-조 좋아 So I'll tell you, baby 그래서 내가 너에게 말할 거야, 자기야 I'll tell your mama 네 엄마에게 말할 거야 I'll tell your friends 네 친구들에게 말할 거야 I'll tell anyone whose heart can comprehend 내 마음을 이해할 수 있는 사람에게 말할 거야 Send it in a letter baby 편지로 보내줘 자기야 Tell you on the phone 전화로 알려줘 I'm not the kinda girl 난 그런 여자가 아니야 Who likes to be alone 혼자 있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 I miss ya much (boy-oh-I miss you much) 네가 많이 보고 싶어 (소년이여-오-네가 많이 보고 싶어) I really miss you much (M-I-S-S you much) 정말로 너무 보고 싶어 (M-I-S-S 많이) I miss ya much (boy-oh-I miss you much) 네가 많이 보고 싶어 (소년이여-오-네가 많이 보고 싶어) Baby I really miss you much (M-I-S-S you much) 자기야 정말로 너무 보고 싶어 (M-I-S-S 많이) I miss ya much (boy-oh-I miss you much) 네가 많이 보고 싶어 (소년이여-오-네가 많이 보고 싶어) I really miss you much (M-I-S-S you much) 정말로 너무 보고 싶어 (M-I-S-S 많이) I miss ya much (boy-oh-I miss you much) 네가 많이 보고 싶어 (소년이여-오-네가 많이 보고 싶어) Baby I really miss you much (M-I-S-S you much) 자기야 정말로 너무 보고 싶어 (M-I-S-S 많이) I miss you much 네가 많이 보고 싶어 I really really miss you much 정말로 정말로 너무 보고 싶어 I miss you much 네가 많이 보고 싶어 I'm not ashamed to tell the world 세상에 말하는 것이 부끄럽지 않아 I miss you 네가 보고 싶어 I'll tell your mama 네 엄마에게 말할 거야 I'll tell your friends 네 친구들에게 말할 거야 I'll tell anyone whose heart can comprehend 내 마음을 이해할 수 있는 사람에게 말할 거야 Send it in a letter baby 편지로 보내줘 자기야 Tell you on the phone 전화로 알려줘 I'm not the kinda girl 난 그런 여자가 아니야 Who likes to be alone 혼자 있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 I miss ya much (boy-oh-I miss you much) 네가 많이 보고 싶어 (소년이여-오-네가 많이 보고 싶어) I really miss you much (M-I-S-S you much) 정말로 너무 보고 싶어 (M-I-S-S 많이) I miss ya much (boy-oh-I miss you much) 네가 많이 보고 싶어 (소년이여-오-네가 많이 보고 싶어) Baby I really miss you much (M-I-S-S you much) 자기야 정말로 너무 보고 싶어 (M-I-S-S 많이) I miss ya much (boy-oh-I miss you much) 네가 많이 보고 싶어 (소년이여-오-네가 많이 보고 싶어) I really miss you much (M-I-S-S you much) 정말로 너무 보고 싶어 (M-I-S-S 많이) I miss ya much (boy-oh-I miss you much) 네가 많이 보고 싶어 (소년이여-오-네가 많이 보고 싶어) Baby I really miss you much (M-I-S-S you much) 자기야 정말로 너무 보고 싶어 (M-I-S-S 많이) That's the end? 그게 끝이야?|| == 차트 성적 == [[빌보드 R&B 차트]]에서 1989년 10월 둘째 주부터 셋째 주까지 2주 연속 1위, [[빌보드 핫 100]]에서 1989년 10월 첫째 주부터 넷째 주까지 4주 연속 1위를 기록했다. [[1989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5위, 1989년 빌보드 R&B 연말 차트에선 22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1958년-2018년|1958년~2018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에선 216위에 올랐다. == 여담 == [[미녀는 괴로워(한국 영화)]] 초반부에 작중 유명 여가수인 '아미'가 콘서트장에서 이 노래를 부르는 장면이 나온다. 헌데 알고보니 아미는 [[립싱크]] 중이었고, 노래는 잘 하지만 뚱뚱한 [[김아중|한나]]가 무대 뒤에 숨어서 대신 열창하고 있었다. [[제니퍼 로페즈]] 주연 영화 [[허슬러(영화)|허슬러]]의 Ost로 쓰였다. 뮤직비디오 감독판에는 의자춤(Chair Routine)이 등장한다. 이후 [[브리트니 스피어스]] 등 팝스타들의 의자를 사용하는 안무의 시초이기도 하다. [[분류:자넷 잭슨]][[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빌보드 R&B 차트 1위 노래]][[분류:빌보드 연말 차트 5위 노래]][[분류:1989년 노래]][[분류:1989년 싱글]][[분류:댄스 팝]][[분류:뉴 잭 스윙]][[분류:Jimmy Jam and Terry Lew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