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Mob Talker)] [목차] 몹토커 모드의 스크립팅 방법에 대해 다루는 문서이다. = 몹토커 1 = '''가장 배우기 쉬운 스크립트.''' 텍스트 파일에 글을 써 넣으면 대사가 되며, 몇 가지 명령어만 입력해 주면 스크립트를 만들 수 있다. == 공통 명령어 == === '''#SET_NAME''' === 사용례 : #SET_NAME 이름 띄어쓰기 주의. 위 명령어로 이름 창에 출력되는 이름을 바꿀 수 있으며, === '''#Face''' === 사용례 : #Face Angry 위 명령어로 몬스터의 표정을 바꿀 수 있다. 지원 표정은 다음과 같다. Angry Happy Normal Sad Shy Tired === '''#END''' === 해당 스크립트를 끝낸다. 스크립트가 끝날 때마다 불러와야 한다. === '''#CONDITION''' === 사용례 : #SET_NAME Cupa 고... 고양이...!!! 저리 치워줘! 저리! 제발! 부탁이야! !!!!! #CONDITION{[네 옆에 있는 거 같은데?,Option1A],[무슨 고양이? ,Option1B],[내가 데리고 있는 얘 말이야?,Option1C]} #END 선택지를 출력하고, 선택 시 해당하는 파일의 스크립트를 읽어 온다.[* 위 예시에서 네 옆에 있는 거 같은데?를 선택했을 경우 Option1A.script의 스크립트를 읽어 온다는 뜻.] [[밸브 코퍼레이션|3 초과로 쓰인 스크립트가 없어]] 3가지 이상 선택지를 주었을 경우는 불명. === '''#MAKESHADOW''' === #INCREASE_LOVE와 함께 몹토커 모드의 핵심이다. Friendly 폴더 전 몬스터의 이름이 쓰인 폴더 내 Normal.script에 들어가는 스크립트. 이 스크립트를 읽어올 경우 Shadow 모드에 진입해 다음 대화부터는 Friendly 폴더 내의 love0.script를 읽어오게 되며, 몬스터가 하던 행동 양식은 그대로 따라하나 공격을 하진 않는다. [* 스노우 골렘으로 실험했으며, 스켈레톤에게 눈덩이를 던지던 스노우 골렘을 Shadow 모드로 진입시킨 결과 눈덩이를 던지지 않았음] === '''#FETCH_NAME''' === 플레이어 이름을 스크립트 내에 사용하기 전 꼭 불러와야 한다. 예를 들면 #FETCH_NAME (playername) 이라고 썼을 경우 대사에는 플레이어의 이름이 출력되지만, fetchname을 불러오지 않았을 경우 (playername)이라고 그대로 출력되니 주의. === :: === 콜론 두개 맞다. 몹토커1의 스크립트는 엔터가 쳐졌을 때는 다음 대사로 인식한다. ㅁ ㄴ 이라고 스크립트가 써졌을 경우 ㅁ라는 대사가 출력된 뒤 클릭해 다음 대사로 넘기면 ㄴ가 출력된다는 것. 그러나 ㅁ::ㄴ 라고 썼을 경우 줄바꿈이 되어 ㅁ ㄴ 라고 출력되게 된다. === '''#SELF_DEAD''' === 불러왔을 시 몬스터가 사라져, 다시는 나타나지 않는다. SELF_DEAD 명령어를 사용했을 시 REV_TRANS 명령어로 해당 몬스터의 기억을 없애 줘야 한다. 예시 : #SELF_DEAD #REV_TRANS == Shadow 모드 전용 == === '''#REV_TRANS''' === 후술할 Shadow 모드에서 빠져나간다. === '''#ATTACK''' === 이 명령어를 호출했을 경우 attack 명령어 뒤의 숫자만큼 플레이어가 데미지를 입는다. === '''#INCREASE_LOVE''' === '''몹토커 1의 핵심.''' 몹토커 1의 경우 대사를 love0.script, love1.script...등으로 관리하는데, 예를 들어 love0.script에서 #INCREASE_LOVE 1을 호출했을 경우 다음 대화에서는 love1.script의 대사를 출력한다. 이 경우 100을 넘어가면 게임이 깨진다고 하니 주의 요망. === '''#DECREASE_LOVE''' === INCREASE_LOVE와 비슷한 효과를 내나, 이 경우 1->0으로 내리는 등의 효과를 내며, 0 아래로 내려가게 될 경우 마찬가지로 게임이 깨져 버린다고 한다. === '''#FINISH_DAY''' === 그 날의 대화를 끝낸다. 이 명령어를 읽었을 경우 마인크래프트 상에서 하루가 지나기 전까진 해당 날짜의 default.script 파일의 대사만 출력한다. === '''#SET_FOLLOW''' === true로 설정했을 경우 몬스터가 자신을 따라다니며, false로 설정했을 경우 해제된다. 대화를 걸었을 때 몬스터가 보던 방향 그대로 따라온다는 점과, 거미 및 동굴거미의 경우 벽타기가 불가능하다는 점 등이 소소하게 아쉽다. === '''#SET_ESCORT''' === ON으로 했을 경우 몬스터가 주변의 적대적 몬스터를 공격하며, OFF로 했을 경우 취소한다. ON/OFF를 쓰지 않았을 경우 토글한다. === '''#SET_ACTIVE_ATTACK''' === 공식 위키에 따르면, Shadow화된 몹이 플레이어에게 적대적[* 공격한다.]이 된다고 하며, 완벽하게 작동되는 기능인지 알지 못한다고 한다. = 몹토커 2 = Lua 언어를 사용하는지라 상당히 복잡하다. 그러나 [[http://www.mobtalker.net/forums/viewtopic.php?f=10&t=40|포럼]]에 몹토커 1의 스크립트를 몹토커 2의 스크립트로 바꿔 주는 프로그램[* 자바로 만든 것으로 보인다.]이 있으며, Lua 언어에 대해 해박하지 않은 경우 몹토커 1으로 스크립트를 짜 몹토커 2로 바꾸는 것이 더 나을 것이다. 변환 시 주의점으로, 한글을 사용 시 사용된 한글*2만큼 공백 또는 영어, 특수문자를 맨 끝에 넣어 줘야 한다[* 한글 등 2바이트 문자를 제대로 잡지 못해 일어나는 현상으로 보이며, 이렇게 들어간 1바이트 문자는 마인크래프트 내에서 출력할 때 사라진다.] . 이렇게 하지 않고 한글만 넣은 경우 마인크래프트가 멈추거나 고장나므로 주의. 예시 : 난 크리퍼야! 라는 대사를 사용하고 싶다면, 난 크리퍼야!.......... 같은 식으로 쓴 뒤 변환해 줘야 한다. [[분류:마인크래프트/모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