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000000 '''Moon Safari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90년대의 100대 명반)]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항목=올타임 명반,순위=151)]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68, 연도=2000)]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항목=1990년대 최고의 앨범,순위=103)] ---- [include(틀:100BEAT 선정 90년대 베스트 앨범, 순위=54)] ---- [include(틀:Indiehoy 선정 1990년대 50대 명반, 순위=23)]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180)]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순위=214)] ---- [include(틀:VPRO 선정 299대 명반)] ---- [include(틀:Q 매거진 선정 156대 가장 영향력 있는 레코드)] ----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음반명=Moon Safari)] ---- }}} || ||<-2><#ffffff> '''{{{#000000 {{{+1 Moon Safari}}}}}}'''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oon_Air_Safari.jpg|width=100%]]}}} || || '''발매일''' ||[[1998년]] [[1월 16일]] || || '''녹음일''' ||[[1997년]] 4월 - 6월 || || '''장르''' ||스페이스 팝, [[일렉트로닉 뮤직|일렉트로니카]], [[라운지#s-2]], [[칠 아웃]], [[다운템포]], [[스페이스 록]], [[네오 사이키델리아]] || || '''재생 시간''' ||43:35 || || '''곡 수''' ||10곡 || || '''프로듀서''' ||장 베누아 뒹켈, 니콜라 고댕 || || '''레이블''' ||소스 레코드, 버진 레코드 || || '''스튜디오''' ||어라운드 더 골프, 갱, [[애비 로드 스튜디오|애비 로드]] || [목차][clearfix] == 개요 == [[1998년]] 발매된 [[에어#s-4.1]][* 프랑스의 뮤지션이므로 엄밀히 말하자면 에어가 아니라 에르라고 표기해야 한다.]의 데뷔 앨범. == 상세 == 전체적으로 복고풍을 지향하고 있는 앨범이지만 동시에 상당히 미래적인 감각을 품고 있는 앨범으로, 프랑스의 고전 대중음악을 일렉트로니카의 감성을 섞어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듯한 감각적인 음악이 돋보이는 앨범이다. 이는 에어의 멤버인 장 베누아 뒹켈과 니콜라 고댕 특유의 [[무그 신디사이저]]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등의 아날로그스러운 스튜디오 녹음 방식에서 기인하고 있다. 일렉트로니카 앨범이지만 대중적인 팝송스러운 곡도 수록되어 있고 곡들의 길이도 비교적 짧아서 나름대로 쉽게 들을 수 있는 앨범으로, 발매 당시 영국 차트에서는 6위까지 오르는 성과를 내었으며, 그외에 아일랜드에서 7위, 유럽 차트에서 19위에 올랐다. 데뷔 앨범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그럭저럭 상업적인 성공도 거두었다고 볼 수 있겠다. 평론적으로 큰 찬사를 받아 전문가들에게는 '''일렉트로닉 뮤직 최고의 명반 중 하나'''이자 '''프랑스 대중음악 역사상 최고의 명반 중 하나'''로 아주 높게 평가받는 앨범으로, 발매 당시 거의 모든 매체에서 고평가를 받았다. 특히 다운템포 음악계에 끼친 영향이 아주 크다고 평가받는다. [[올뮤직]]에서는 이 앨범을 '일렉트로니카가 어떻게 들릴 수 있거나 들려야 하는지에 대한 장벽을 허물면서도 훌륭한 댄스 음악의 감정적 힘을 전달했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어클레임드 뮤직]]에서는 올타임 앨범 차트에서 151위에 올라 [[다프트 펑크]]의 [[Homework(음반)|Homework]]와 [[Discovery(음반)|Discovery]], [[세르쥬 갱스부르]]의 [[Histoire de Melody Nelson]], [[Jus†ice|저스티스]]의 [[†(음반)|†]] 등의 쟁쟁한 앨범들을 누르고 프랑스 뮤지션의 앨범 중에서는 '''1위'''를 차지하였다. == 트랙 리스트 == ||
{{{#000 '''트랙'''}}} || {{{#000 '''곡명'''}}} || {{{#000 '''작사 / 작곡'''}}} || {{{#000 '''재생 시간'''}}} || || 1 || La femme d'argent ||<|2> 장 베누아 뒹켈, 니콜라 고댕 || 7:08 || || 2 || Sexy Boy || 4:57 || || 3 || All I Need || 장 베누아 뒹켈, 니콜라 고댕, 베스 허쉬 || 4:28 || || 4 || Kelly Watch the Stars ||<|2> 장 베누아 뒹켈, 니콜라 고댕 || 3:44 || || 5 || Talisman || 4:16 || || 6 || Remember || 장 자크 페리, 장 베누아 뒹켈, 니콜라 고댕 || 2:34 || || 7 || You Make It Easy || 장 베누아 뒹켈, 니콜라 고댕, 베스 허쉬 || 4:00 || || 8 || Ce matin là || 장 베누아 뒹켈, 니콜라 고댕, 패트릭 우드콕 || 3:38 || || 9 || New Star in the Sky (Chanson pour Solal) ||<|2> 장 베누아 뒹켈, 니콜라 고댕 || 5:38 || || 10 || Le voyage de Pénélope || 3:10 || === La femme d'argent === [Youtube(BswuwCn1hBo)] * 에어의 곡 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곡 중 하나이다. === Sexy Boy === [Youtube(7y9jHFe1D7A)] * 에어의 대표곡 중 하나로, 인트로의 베이스가 깔리는 부분이 매우 유명하다. 특히 한국에서는 제목에 걸맞게도 이 인트로 부분을 각종 예능에서 섹시한 분위기를 표현할 때 뻔질나게 사용하는지라 곡과 에어를 몰라도 인트로 부분만은 들어본 사람들이 매우 많다. === All I Need === [Youtube(Mx1NwIaQbbE)] === Kelly Watch the Stars === [Youtube(62hGO3ptI2c)] === Talisman === [Youtube(IKIpsr5AhKc)] === Remember === [Youtube(6tLZrNswQZQ)] === You Make It Easy === [Youtube(k-FDyIeyqoE)] === Ce matin là === [Youtube(jIQziWqjnOc)] === New Star in the Sky (Chanson pour Solal) === [Youtube(fwZ1hXvAc70)] === Le voyage de Pénélope === [Youtube(FEp99DhntDA)] [[분류:1998년 음반]][[분류:프랑스의 음반]][[분류:일렉트로니카 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