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Mr.シャーデンフロイデ}}}'''[br](Mr.Schadenfreude)[br](Mr.샤덴프로이데) || || '''가수''' ||<-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9C5BB; font-size: 0.95em" [[하츠네 미쿠|{{{#fff 하츠네 미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A500; font-size: 0.95em" [[카가미네 린·렌|{{{#fff 카가미네 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E211; font-size: 0.95em" [[카가미네 린·렌|{{{#373A3C 카가미네 렌}}}]]}}}[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9CA25; font-size: 0.95em" [[GUMI|{{{#fff GUMI}}}]]}}}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0CB; font-size: 0.95em" [[메구리네 루카|{{{#fff 메구리네 루카}}}]]}}}[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94D9E; font-size: 0.95em" [[가쿠포이드|{{{#fff 가쿠포이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FF; font-size: 0.95em" [[KAITO|{{{#fff KAITO}}}]]}}}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0000; font-size: 0.95em" [[MEIKO|{{{#fff MEIKO}}}]]}}} |||| || '''작곡가''' ||||<-2> [[히토시즈쿠P]]×[[야마△]] || || '''작사가''' ||||<|2> [[히토시즈쿠P]] || || '''조교자''' |||| || '''일러스트레이터''' |||| 스즈노스케 || || '''페이지''' |||| [[https://www.nicovideo.jp/watch/sm39734551|[[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 [[https://youtu.be/ADy8Xlj0mB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7]]]] || || '''공개일''' ||<-2> 2021년 12월 10일 || || '''투고일''' ||<-2> 2021년 12월 11일 || || '''달성 기록''' ||<-2> [[VOCALOID 전당입성]] || [목차] [clearfix] == 개요 == '''Mr.シャーデンフロイデ'''는 [[히토시즈쿠P]]와 [[야마△]]가 2021년 12월 10일 공개 , 2021년 12월 11일 투고한 [[KAITO]], [[MEIKO]], [[하츠네 미쿠]], [[카가미네 린·렌]], [[메구리네 루카]], [[카무이 가쿠포]], [[GUMI]]의 [[VOCALOID 오리지널 곡]]이다. [[샤덴프로이데]]는 독일어로 남의 불행에 기뻐하는 감정을 말한다. 우리말로는 고소하다나 쌤통과 비슷하기는 하지만 약간 어감이 다르다. vocalodelight feat.Hatsune Miku 앨범에 수록되었다. == 영상 == || [[니코니코 동화|[[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 {{{#fff '''니코니코 동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nicovideo(39734551, width=640, height=360)]}}} || || 【보카로8인】Mr.샤덴프로이데【오리지널MV】 || || [[유튜브|[[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7]] {{{#fff '''YouTube'''}}}]]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Dy8Xlj0mBc, width=640, height=360)]}}} || || 【보카로8인】Mr.샤덴프로이데【오리지널MV】 || == 가사 == ||<-10> '''{{{#ffffff 부분합창}}}''' || ||<:><-2> '''{{{#ffffff 카가미네 린}}}''' ||<:><-2> '''{{{#ffffff KAITO}}}''' ||<:><-2> '''{{{#ffffff MEIKO}}}''' ||<:><-2> '''{{{#ffffff 메구리네 루카}}}'''|| ||<:><-2>
'''{{{#ffffff GUMI}}}''' ||<:><-2> '''{{{#ffffff 카무이 가쿠포}}}''' ||<:><-2> '''{{{#ffffff 하츠네 미쿠}}}''' ||<:><-2> '''{{{#373A3C 카가미네 렌}}}''' || ||<-10> '''{{{#ffffff GM·Mr.S}}}''' || ||<-60> {{{#ffffff 「救いようのない罪に……救済と復讐を……∞」 }}} || ||<-60> {{{#373A3C 스쿠이요-노나이 츠미니 큐-사이토 후쿠슈-오 }}} || ||<-60> {{{#373A3C 「속죄할 수 없는 죄악에…… 구원과 복수를……∞」 }}} || ||<-10> {{{#ffffff 惡魔のような所業で }}} ||<-10> {{{#ffffff 開演 }}} || ||<-10> {{{#373A3C 아쿠마노요-나 소교-데 }}} ||<-10> {{{#373A3C 카이엔 }}} || ||<-10> {{{#373A3C 악마같은 소행으로 }}} ||<-10> {{{#373A3C 시작되는 연극 }}} || ||<-10> {{{#ffffff 【Mr. }}} ||<-10> {{{#ffffff Schadenfreude】 }}} {{{#ffa500 ■}}}{{{#ffe211 ■}}}{{{#ffc0cb ■}}}{{{#d80000 ■}}}{{{#594d9e ■}}} || ||<-10> {{{#373A3C 미스터 }}} ||<-10> {{{#373A3C 샤덴프로이데 }}} || ||<-10> {{{#373A3C 【Mr. }}} ||<-10> {{{#373A3C Schadenfreude】 }}} || ||<-60> {{{#ffffff 絶望に口づけ }}} {{{#0000ff ■}}}{{{#d80000 ■}}} || ||<-60> {{{#373A3C 제츠보-니 쿠치즈케 }}} || ||<-60> {{{#373A3C 절망에 입맞추고 }}} || ||<-60> {{{#ffffff 醜くしがみついて }}} {{{#39ca25 ■}}}{{{#594d9e ■}}} || ||<-60> {{{#373A3C 미니쿠쿠 시가미츠이테 }}} || ||<-60> {{{#373A3C 꼴사납게 매달리며 }}} || ||<-10> {{{#ffffff その[ruby(生, ruby=罪)]を味わえ…… }}} {{{#ffa500 ■}}}{{{#ffe211 ■}}} ||<-10> {{{#373A3C [ruby(∞, ruby=Infinity)] }}} || ||<-10> {{{#373A3C 소노 츠미오 아지와에 }}} ||<-10> {{{#373A3C 인피니티 }}} || ||<-10> {{{#373A3C 그 [ruby(삶, ruby=죄)]을 맛보기를…… }}} ||<-10> {{{#373A3C ∞ }}} || ||<-60> || ||<-60> {{{#ffffff ==神託== }}} || ||<-60> {{{#373A3C ==신탁== }}} || ||<-60> {{{#ffffff 『気高き古の惡魔が 蘇り「誰か」に憑き }}} || ||<-60> {{{#373A3C 케타카키 이니시에노 아쿠마가 요미가에리 다레카니 츠키 }}} || ||<-60> {{{#373A3C 『고귀한 고대의 악마가 되살아나 「누군가」에 씌여 }}} || ||<-60> {{{#ffffff 穢れし村人の魂に [ruby(死, ruby=救済)]を施すだろう』 }}} || ||<-60> {{{#373A3C 케가레시 무라비토노 타마시-니 큐-사이오 호도코스다로- }}} || ||<-60> {{{#373A3C 부정한 마을 사람들의 영혼에 [ruby(죽음, ruby=구원)]을 베푸리라』 }}} || ||<-60> {{{#ffffff 【[ruby(神官, ruby=プリスト)]】が淡々と読み上げる横で }}} || ||<-60> {{{#373A3C 푸리스토가 단단토 요미아게루 요코데 }}} || ||<-60> {{{#373A3C 【[ruby(신관, ruby=프리스트)]】이 담담하게 읽어내려가는 옆에서 }}} || ||<-10> {{{#373A3C 泣き崩れる【[ruby(村人5, ruby=双生)]】}}} ||<-10> {{{#ffffff 【葬儀屋】はエンバーミング }}} || ||<-10> {{{#373A3C }}} 나키쿠즈레루 소-세- ||<-10> {{{#373A3C }}} 소-기야와 엔바-밍구 || ||<-10> {{{#373A3C 쓰러져 울부짖는 【[ruby(마을 사람5, ruby=쌍둥이)]】 }}} ||<-10> {{{#373A3C 【장의사】는 [[엠버밍|염(殮)을 하네]] }}} || ||<-60> {{{#ffffff 惡魔のゲームはまだ序章に過ぎず }}} || ||<-60> {{{#373A3C 아쿠마노 게-무와 마다 조쇼-니 스기즈 }}} || ||<-60> {{{#373A3C 악마의 게임은 아직 서막에 지나지 않아 }}} || ||<-60> {{{#ffffff [ruby(人か悪魔, ruby=どちら)]かが滅ぶまで 逃れられない }}} || ||<-60> {{{#373A3C 도치라카가 호로부마데 노가레라레나이 }}} || ||<-60> {{{#373A3C [ruby(사람이든 악마든, ruby=어느 한쪽이)] 스러질 때까지 도망칠 수 없어 }}} || ||<-60> {{{#373A3C この中の誰かが……!? }}} || ||<-60> {{{#373A3C 코노 나카노 다레카가 }}} || ||<-60> {{{#373A3C 우리 중에 누군가가……!? }}} || ||<-60> {{{#ffffff 【[ruby(村人1, ruby=あの子)]】をあんな目に……? }}} || ||<-60> {{{#373A3C 아노코오 안나 메니 }}} || ||<-60> {{{#373A3C 【[ruby(마을 사람1, ruby=그 아이)]】를 저렇게……? }}} || ||<-60> {{{#ffffff 惡魔だとか、ゲーム?だとか……興味ない }}} || ||<-60> {{{#373A3C 아쿠마다토카 게-무 다토카 쿄-미나이 }}} || ||<-60> {{{#373A3C 악마든, 게임? 이든 그런 거…… 관심 없어 }}} || ||<-60> {{{#ffffff はぁ? 誰なの!? 名乗りでなさい!!!! }}} || ||<-60> {{{#373A3C 하아 다레나노 나노리데나사이 }}} || ||<-60> {{{#373A3C 하? 누구야!? 당장 튀어나와!!!! }}} || ||<-60> {{{#ffffff 惡魔など……非科学的 }}} || ||<-60> {{{#373A3C 아쿠마나도 히카가쿠테키 }}} || ||<-60> {{{#373A3C 악마같은 건…… 과학적이지 못해 }}} || ||<-60> {{{#ffffff 大丈夫! 【[ruby(騎士, ruby=ぼく)]】が皆を守るさ }}} || ||<-60> {{{#373A3C 다이죠-부 보쿠가 민나오 마모루사 }}} || ||<-60> {{{#373A3C 괜찮아! [ruby(【기사】, ruby=내)]가 모두를 지킬 거야 }}} || ||<-60> {{{#ffffff 救いようのない不条理? }}} {{{#ffe211 ■}}}{{{#ffc0cb ■}}}{{{#39ca25 ■}}}{{{#594d9e ■}}} || ||<-60> {{{#373A3C 스쿠이요-노나이 후죠-리 }}} || ||<-60> {{{#373A3C 구원할 수 없는 부조리? }}} || ||<-60> {{{#ffffff 騙り合い? すでにギャンビット? }}} {{{#ffe211 ■}}}{{{#ffc0cb ■}}}{{{#39ca25 ■}}}{{{#594d9e ■}}} || ||<-60> {{{#373A3C 카타리아이 스데니 걈빗토 }}} || ||<-60> {{{#373A3C 속고 속이고? 벌써 갬빗[* 선수(先手). 먼저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책략.]? }}} || ||<-60> {{{#ffffff 惡魔の常套 暴け }}} {{{#ffe211 ■}}}{{{#ffc0cb ■}}}{{{#39ca25 ■}}}{{{#594d9e ■}}} || ||<-60> {{{#373A3C 아쿠마노 죠-토- 아바케 }}} || ||<-60> {{{#373A3C 악마의 뻔한 수법을 까발려라 }}} || ||<-60> {{{#ffffff 「Are you Mr. Schadenfreude?」 }}} {{{#ffe211 ■}}}{{{#ffc0cb ■}}}{{{#39ca25 ■}}}{{{#594d9e ■}}} || ||<-60> {{{#373A3C 아 유 미스터 샤덴프로이데 }}} || ||<-60> {{{#373A3C 「Are you Mr. Schadenfreude?」 }}} || ||<-60> {{{#ffffff 惑い惑い、選べ 吊し上げる[ruby(死, ruby=トロフィー)] }}} {{{#39c5bb ■}}}{{{#d80000 ■}}}{{{#0000ff ■}}} || ||<-60> {{{#373A3C 마도이 마도이 에라베 츠루시아게루 토로휘- }}} || ||<-60> {{{#373A3C 흔들리고 동요하다, 선택해 매다는[* 吊し上げる에는 '매달아 올리다'라는 의미 외에도 '여럿이서 하나를 규탄하다'라는 의미도 있다. 노래의 모티브([[마피아 게임|인랑 게임]])를 생각해보면 중의적으로 쓰인 가사.] [ruby(죽음, ruby=트로피)]을 }}} || ||<-10> {{{#ffffff 揃えるまで 終われない }}} {{{#39c5bb ■}}}{{{#d80000 ■}}}{{{#0000ff ■}}} ||<-10> {{{#ffffff Massaker? }}} || ||<-10> {{{#373A3C 소로에루마데 오와레나이 }}} ||<-10> {{{#373A3C 마사카 }}} || ||<-10> {{{#373A3C 전부 모을 때까지 끝나지 않는 }}} ||<-10> {{{#373A3C Massaker[* 독일어 : 학살, 살육. 일본어로 설마를 뜻하는 まさか와 동음으로 언어유희를 준 듯하다.]? }}} || ||<-60> || ||<-60> {{{#ffffff ==神託== }}} || ||<-60> {{{#373A3C ==신탁== }}} || ||<-60> {{{#ffffff 『怒れる古の惡魔が 哀れなる【[ruby(騎士, ruby=ナイト)]】を救い }}} {{{#ffc0cb ■}}}{{{#0000ff ■}}} || ||<-60> {{{#373A3C 이카레루 이니시에노 아쿠마가 아와레나루 나이토오 스쿠이 }}} || ||<-60> {{{#373A3C 『분노한 고대의 악마가 가엾은【[ruby(기사, ruby=나이트)]】를 구원하였으니 }}} || ||<-60> {{{#ffffff 穢れし村人も 残らず[ruby(■, ruby=救済)]してみせるだろう』 }}} {{{#ffc0cb ■}}}{{{#0000ff ■}}} || ||<-60> {{{#373A3C 케가레시 무라비토모 노코라즈 큐-사이시테미세룬다로- }}} || ||<-60> {{{#373A3C 죄 깊은 마을 사람들도 남김없이 [ruby(■여, ruby=구원해)] 보이리라』 }}} || ||<-60> {{{#ffffff 【[ruby(神官, ruby=プリスト)]】は淡々と読み上げるばかり }}} || ||<-60> {{{#373A3C 푸리스토와 단단토 요미아게루바카리 }}} || ||<-60> {{{#373A3C 【[ruby(신관, ruby=프리스트)]】은 담담하게 읽어내려갈 뿐 }}} || ||<-10> {{{#ffffff 怒り狂う【[ruby(村人2, ruby=盟友)]】 }}} ||<-10> {{{#ffffff 【葬儀屋】はエンバーミング }}} || ||<-10> {{{#373A3C 이카리 쿠루우 메-유- }}} ||<-10> {{{#373A3C 소-기야와 엔바-밍구 }}} || ||<-10> {{{#373A3C 격노하는 【[ruby(마을 사람2, ruby=맹우)]】 }}} ||<-10> {{{#373A3C 【장의사】는 염을 하네 }}} || ||<-60> {{{#ffffff さながら [ruby(患者, ruby=クランケ)]を治療するがごとく(笑)? }}} || ||<-60> {{{#373A3C 사나가라 크랑케오 치료-스루가고토쿠 }}} || ||<-60> {{{#373A3C 마치 [ruby(환자, ruby=크랑케)]를 치료하는 것마냥(웃음)? }}} || ||<-60> {{{#ffffff 傲慢な「救済劇」続くのなら…… }}} || ||<-60> {{{#373A3C 고-만나 큐-사이게키 츠즈쿠노나라 }}} || ||<-60> {{{#373A3C 오만하기 짝이 없는 「구원의 극劇」이 계속된다면…… }}} || ||<-60> {{{#ffffff 夕刻までに惡魔を吊す }}} || ||<-60> {{{#373A3C 유-코쿠마데니 아쿠마오 츠루스 }}} || ||<-60> {{{#373A3C 저녁이 되기 전에 악마를 매달자 }}} || ||<-60> {{{#373A3C 僕が仇をとってやるさ }}} || ||<-60> {{{#373A3C 보쿠가 카타키오 톳테야루사 }}} || ||<-60> {{{#373A3C 내가 원수를 갚아 주겠어 }}} || ||<-60> {{{#ffffff どうせこのまま皆、皆、死んじゃうんだぁ!! }}} || ||<-60> {{{#373A3C 도-세 코노 마마 민나 민나 신쟈운다 }}} || ||<-60> {{{#373A3C 어차피 이대로 모두, 모두, 죽을 거야!! }}} || ||<-60> {{{#ffffff もう辞めて! 疑い合うのなら、【[ruby(村人3, ruby=わたし)]】が吊されましょう…… }}} || ||<-60> {{{#373A3C 모- 야메테 우타가이아우노나라 와타시가 츠루사레마쇼- }}} || ||<-60> {{{#373A3C 이제 그만해! 서로 의심할 거라면, 【[ruby(마을 사람3, ruby=내)]】이 매달릴 테니…… }}} || ||<-60> {{{#ffffff とろこで……何故、【[ruby(村人2, ruby=きみ)]】のチョーカーを騎士[ruby(の, ruby=かれ)]遺体が持っていたの? }}} || ||<-60> {{{#373A3C 토로코데 나제 키미노 쵸-카-오 카레가 못테이타노 }}} || ||<-60> {{{#373A3C 그런데…… 어째서, 【[ruby(마을 사람2, ruby=너)]】의 [[초커]]를 기사[ruby(의, ruby=그)] 시체가 가지고 있던 거지? }}} || ||<-60> {{{#ffffff 疑心暗鬼に溺れ }}} {{{#ffe211 ■}}}{{{#d80000 ■}}}{{{#594d9e ■}}} || ||<-60> {{{#373A3C 기신안키니 오보레 }}} || ||<-60> {{{#373A3C 의심암귀에 빠져서 }}} || ||<-60> {{{#ffffff 禊ぎ合う果てのブーセ? }}} {{{#ffe211 ■}}}{{{#d80000 ■}}}{{{#594d9e ■}}} || ||<-60> {{{#373A3C 미소기아우 하테노 부-세 }}} || ||<-60> {{{#373A3C 얽히고 섥힌 정화 끝의 Buße[* 독일어 : 회개, 속죄.]? }}} || ||<-60> {{{#ffffff 惡魔の罪状を裁け }}} {{{#ffe211 ■}}}{{{#d80000 ■}}}{{{#594d9e ■}}} || ||<-60> {{{#373A3C 아쿠마노 자이죠-오 사바케 }}} || ||<-60> {{{#373A3C 악마의 죄목을 심판하라 }}} || ||<-60> {{{#ffffff 投了? Mr. Schadenfreude }}} {{{#ffe211 ■}}}{{{#d80000 ■}}}{{{#594d9e ■}}} || ||<-60> {{{#373A3C 토-료-? 미스터 샤덴프로이데 }}} || ||<-60> {{{#373A3C 항복인가?[* 투료 : (장기나 바둑에서) 한쪽이 진 것을 자인하고 대국을 끝냄, 던짐.] Mr. Schadenfreude }}} || ||<-60> {{{#ffffff 震える手で祈れ }}} {{{#39c5bb ■}}}{{{#ffc0cb ■}}}{{{#39ca25 ■}}}{{{#594d9e ■}}} || ||<-60> {{{#373A3C 후루에루 테데 이노레 }}} || ||<-60> {{{#373A3C 떨리는 손으로 기도하라 }}} || ||<-60> {{{#ffffff 絞首台へのビリエット }}} {{{#39c5bb ■}}}{{{#ffc0cb ■}}}{{{#39ca25 ■}}}{{{#594d9e ■}}} || ||<-60> {{{#373A3C 코-슈다이에노 비리엣토 }}} || ||<-60> {{{#373A3C 교수대를 향한 Biglietto[* 이탈리아어 : 표, 티켓] }}} || ||<-10> {{{#ffffff 捌けるまで 終われない }}} {{{#39c5bb ■}}}{{{#ffc0cb ■}}}{{{#39ca25 ■}}}{{{#594d9e ■}}} ||<-10> {{{#ffffff Richten}}} || ||<-10> {{{#373A3C 사바케루마데 오와레나이 }}} ||<-10> {{{#373A3C 리시튼 }}} || ||<-10> {{{#373A3C 밝혀질 때까지 끝낼 수 없는 }}} ||<-10> {{{#373A3C Richten[* 독일어 : 심판하다, 재판하다.] }}} || ||<-60> || ||<-60> {{{#ffffff 夜明けの鐘が沈黙を歌う }}} || ||<-60> {{{#373A3C 요아케노 카네가 친모쿠오 우타우 }}} || ||<-60> {{{#373A3C 새벽을 알리는 종이 침묵을 노래해 }}} || ||<-60> {{{#ffffff 【[ruby(神官, ruby=主)]】の[ruby(死, ruby=眠り)]を守るように }}} || ||<-60> {{{#373A3C 아루지노 네무리오 마모루요-니 }}} || ||<-60> {{{#373A3C 【[ruby(신관, ruby=주인)]】의 [ruby(죽음, ruby=잠)]을 지키는 것처럼 }}} || ||<-60> {{{#373A3C 村はずれの墓地で 自刃した【[ruby(村人4, ruby=かのじょ)]】 }}} || ||<-60> {{{#373A3C 무라하즈레노 보치데 지진시타 카노죠 }}} || ||<-60> {{{#373A3C 마을 변두리의 묘지에서 손목을 그은【[ruby(마을 사람4, ruby=그녀)]】 }}} || ||<-10> {{{#ffffff 今際の[ruby(遺書, ruby=てがみ)]には }}} ||<-10> {{{#ffffff 「早ク[ruby(■, ruby=救済)]シニ来テ……!!」 }}} || ||<-10> {{{#373A3C 이마와노 테가미니와 }}} ||<-10> {{{#373A3C 하야쿠 코로시니 키테 }}} || ||<-10> {{{#373A3C 삶의 마지막 [ruby(유서, ruby=편지)]에는 }}} ||<-10> {{{#373A3C 「어서 [ruby(■이, ruby=구원하)]러 와 줘……!!」[* PV의 편지를 해석하면 「빨리 와서 나를 죽여!」] }}} || ||<-60> {{{#373A3C 騙り合い 吊るし合うより }}} || ||<-60> {{{#373A3C 카타리아이 츠루시아우요리 }}} || ||<-60> {{{#373A3C 서로 속이며 매다는 것보다 }}} || ||<-60> {{{#373A3C [ruby(善良, ruby=ヒト)]のままで[ruby(殺, ruby=救済)]されたい? }}} || ||<-60> {{{#373A3C 히토노 마마데 큐-사이사레타이 }}} || ||<-60> {{{#373A3C [ruby(선한, ruby=사)] [ruby(마음을, ruby=람)] [ruby(가진, ruby=인)] 채로 [ruby(죽, ruby=구원받)]고 싶어? }}} || ||<-60> {{{#ffffff 秘めたSchad[ruby(enf, ruby=本性)]reudeが目覚める? }}} || ||<-60> {{{#373A3C 히메타 혼쇼-가 메자메루 }}} || ||<-60> {{{#373A3C 숨겨뒀던 Schade[ruby(n, ruby=본성)]freude가 깨어나? }}} || ||<-60> {{{#ffffff 「誰かの[ruby(死, ruby=不幸)]が気持ちイイ……」 }}} {{{#39c5bb ■}}}{{{#fff211 ■}}} || ||<-60> {{{#373A3C 다레카노 후코-가 키모치이-}}} || ||<-60> {{{#373A3C 「누군가의 [ruby(죽음, ruby=불행)]이 기분 좋아……」 }}} || ||<-60> {{{#ffffff いったい「誰」が[ruby(惡魔ゲーム, ruby=こんなこと)]を? }}} || ||<-60> {{{#373A3C 잇타이 다레가 콘나 코토오 }}} || ||<-60> {{{#373A3C 대체 「어떤 사람」이 [ruby(악마의 게임, ruby=이런 짓)]을? }}} || ||<-10> {{{#373A3C 全部「惡魔の[ruby(所業, ruby=せい)]」にする }}} ||<-10> {{{#ffffff 「誰か」…… }}} {{{#39c5bb ■}}}{{{#fff211 ■}}} || ||<-10> {{{#373A3C 젠부 아쿠마노 세이니 스루 }}} ||<-10> {{{#373A3C 다레카 }}} || ||<-10> {{{#373A3C 전부 「악마의 [ruby(짓, ruby=탓)]」으로 돌리는 }}} ||<-10> {{{#373A3C 「누군가」…… }}} || ||<-60> {{{#ffffff ……のせいにする【誰か】が……? }}} {{{#39c5bb ■}}}{{{#fff211 ■}}} || ||<-60> {{{#373A3C 노 세이니 스루 다레카가 }}} || ||<-60> {{{#373A3C ……의 탓으로 돌리는 【누군가】가……? }}} || ||<-60> {{{#373A3C 舌なめずりの死体愛好者 }}} || ||<-60> {{{#373A3C 시타나메즈리노 시타이아이코-샤 }}} || ||<-60> {{{#373A3C 입맛을 다시는 [[네크로필리아|시체성애자]] }}} || ||<-60> {{{#373A3C どう見たって【[ruby(葬儀屋, ruby=おまえ)]】が惡魔だ! }}} || ||<-60> {{{#373A3C 도-미탓테 오마에가 아쿠마다 }}} || ||<-60> {{{#373A3C 어떻게 봐도 【[ruby(장의사, ruby=네놈)]】가 악마다! }}} || ||<-60> {{{#ffffff なんて醜惡で冒涜的……人間の[ruby(嗜好, ruby=ソレ)]じゃない!! }}} || ||<-60> {{{#373A3C 난데 슈-아쿠데 보-토쿠테키 닝겐노 소레쟈나이 }}} || ||<-60> {{{#373A3C 이 얼마나 추악하고 모독적인…… 인간의 [ruby(취향, ruby=그것)]이 아니야!! }}} || ||<-60> {{{#ffffff そう……? 僕はただの[ruby(死体のプロ, ruby=葬儀屋)] [ruby(死体, ruby=かれら)]しが愛せないだけ }}} || ||<-60> {{{#373A3C 소- 보쿠와 타다노 소-기야 카레라시카 아이세나이다케 }}} || ||<-60> {{{#373A3C 그래……? 나는 그저 [ruby(시체의 프로, ruby=장의사)] [ruby(시체, ruby=그들)]만을 사랑할 수 있을 뿐 }}} || ||<-60> {{{#ffffff そして…… 僕が愛でた[ruby(死体, ruby=かれら)]は皆、【[ruby(人間, ruby=ヒト)]】だったさ }}} || ||<-60> {{{#373A3C 소시테 보쿠가 메데타 카레라와 민나 히토닷타사 }}} || ||<-60> {{{#373A3C 그리고…… 내가 사랑했던 [ruby(시체, ruby=그들)]는 모두 【[ruby(인간, ruby=사람)]】이었어 }}} || ||<-60> {{{#ffffff 苦し紛れの弁明 }}} {{{#39c5bb ■}}}{{{#ffe211 ■}}}{{{#594d9e ■}}} || ||<-60> {{{#373A3C 쿠루시마기레노 벤메- }}} || ||<-60> {{{#373A3C 궁지에 몰린 쥐의 변명 }}} || ||<-60> {{{#ffffff 重ねるほどにFoolish!! }}} {{{#39c5bb ■}}}{{{#ffe211 ■}}}{{{#594d9e ■}}} || ||<-60> {{{#373A3C 카사네루호도니 풀리쉬 }}} || ||<-60> {{{#373A3C 거듭할수록 바보 같아!! }}} || ||<-60> {{{#ffffff 惡魔の正体、晒せ! }}} {{{#39c5bb ■}}}{{{#ffe211 ■}}}{{{#594d9e ■}}} || ||<-60> {{{#373A3C 아쿠마노 쇼-타이 사라세 }}} || ||<-60> {{{#373A3C 악마의 정체, 드러내! }}} || ||<-60> {{{#ffffff 「You are Mr. Schadenfreude!! 」}}} {{{#39c5bb ■}}}{{{#ffe211 ■}}}{{{#594d9e ■}}} || ||<-60> {{{#373A3C 유 아 미스터 샤덴프로이데 }}} || ||<-60> {{{#373A3C 「You are Mr. Schadenfreude!!」 }}} || ||<-60> {{{#ffffff 惡魔をついに成敗 }}} || ||<-60> {{{#373A3C 아쿠마오 츠이니 세-바이 }}} || ||<-60> {{{#373A3C 악마를 마침내 처단했어 }}} || ||<-60> {{{#ffffff 勝利の杯 交わしたら }}} || ||<-60> {{{#373A3C 쇼-리노 하이 카와시타라 }}} || ||<-60> {{{#373A3C 승리의 축배를 나누면 }}} || ||<-60> {{{#ffffff 【[ruby(狂, ruby=過)]】ってしまった【[ruby(人, ruby=わたし)]】も……? }}} || ||<-60> {{{#373A3C 아야맛테시맛타 와타시모 }}} || ||<-60> {{{#373A3C 【[ruby(미쳐, ruby=실수해)]】버린 【[ruby(사람, ruby=나)]】도……? }}} || ||<-60> {{{#373A3C さあ、安らかなまま……お眠リ }}} || ||<-60> {{{#373A3C 사아 야스라카나마마 오네무리 }}} || ||<-60> {{{#373A3C 자, 편안하게…… 잠들어라 }}} || ||<-60> {{{#373A3C [ruby(救, ruby=●)][ruby(わ, ruby=●)][ruby(れ, ruby=●)][ruby(な, ruby=●)][ruby(い, ruby=●)]世界で }}} || ||<-60> {{{#373A3C 스쿠와레나이 세카이데 }}} || ||<-60> {{{#373A3C [ruby(구, ruby=●)][ruby(원, ruby=●)][ruby(받, ruby=●)][ruby(지, ruby=●)] [ruby(못, ruby=●)][ruby(하, ruby=●)][ruby(는, ruby=●)] 세상에서 }}} || ||<-60> {{{#373A3C 【[ruby(悪魔, ruby=ぼく)]】とともに踊ろうよ }}} || ||<-60> {{{#373A3C 보쿠토 토모니 오도로-요 }}} || ||<-60> {{{#373A3C 【[ruby(악마, ruby=나)]】와 함께 춤추자 }}} || ||<-60> {{{#373A3C 果たされない救済劇 }}} || ||<-60> {{{#373A3C 하타사레나이 큐-사이게키 }}} || ||<-60> {{{#373A3C 끝날 수 없는 구원의 극 }}} || ||<-60> {{{#373A3C 気休めのGolden slumber }}} || ||<-60> {{{#373A3C 키야스메노 골든 슬럼버 }}} || ||<-60> {{{#373A3C 한순간의 위안인 Golden slumber }}} || ||<-60> {{{#373A3C 見果てぬ夢の中、終劇! ……最後の[ruby(救済, ruby=仕上げ)] }}} || ||<-60> {{{#373A3C 미하테노 유메노 나카 슈-게키 사이고노 시아게 }}} || ||<-60> {{{#373A3C 만족할 수 없는 꿈 속, 종극! ……최후의 [ruby(구원, ruby=마무리)] }}} || ||<-60> {{{#373A3C そして誰もいなくなってさ…… }}} || ||<-60> {{{#373A3C 소시테 다레모 이나쿠낫테사 }}} || ||<-60> {{{#373A3C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그리고 아무도 없어져 버렸어……]] }}} || ||<-60> {{{#ffffff 【GM·Mr.S】「また誰も救えないまま……∞」 }}} || ||<-60> {{{#373A3C 마타 다레모 스쿠에나이 마마 }}} || ||<-60> {{{#373A3C 【GM·Mr.S】「또다시 누구도 구원하지 못한 채로……∞」 }}} || == 동인 해석 == 어느 마을에서 린(마을 사람1)이 악마에게 죽임을 당한다.[* 마을사람1의 카드가 찢어지며 불타는 연출이 있다.] 루카(신관)은 "고대의 악마가 되살아나 마을 사람들을 구제할(죽일) 것이다"라는 예언을 읽는다. 마을 사람들은 원탁에 모여 범인(악마)이 누구인지에 대해 회의를 한다. 린의 쌍둥이였던 렌(마을사람5)이 가장 크게 분개하고, 가쿠포(장의사)는 린의 시체를 방부처리한다. 미쿠(마을사람3)는 경악하고 구미(마을사람4)은 시니컬한 태도를 보이며 메이코(마을사람2)는 빨리 정체를 밝히라며 소리친다. 카이토(기사)는 자신이 모두를 지킬 거라며 사람들을 안심시키지만 '''그날 밤 악마에게 희생당하고 만다.'''[* 기사의 카드가 찢어지며 불타는 연출이 있다.] 카이토의 가장 친한 친구였던 메이코는 분노하고 가쿠포는 카이토의 시체를 방부처리한다. 또다시 원탁에 모여 마을 사람들이 회의를 한다. 렌은 전과 비슷하게 강한 태도를 보이고, 구미는 미쳐버린 듯 모두 죽을 거라며 웃고, 미쿠는 서로가 서로를 의심할 거라면 자신이 죄를 뒤집어쓰겠다며 운다. 그러던 중 가쿠포가 메이코의 초커를 내밀며 '''"어째서 그가 네 초커를 가지고 있지?"'''라며 메이코를 추궁한다. 결국 메이코는 마을 사람들의 투표로 처형당한다.[* 마을사람2의 카드가 찢어지는 연출이 있지만 불타지는 않는다. 처형이 아니라 추방이라는 의견도 있으나 가사 초반에 악마를 찾아내 죽이라는 지시가 있는데다 뒤의 가사에서도 죽은사람으로 취급한다.] 그날 밤 루카도 악마에게 살해당하고,[* 사제의 카드가 찢어지며 불타는 연출이 있다.][* 이후 들리는 린의 목소리를 역재생하면 사람이 중얼거리는 듯한 억양이 나오는데, 팬들의 추측에 따르면 "세계 4차대전의 발발. 그 후, 드디어 불멸이 완성. 죽고 싶지 않다고 외치는 그들을 구할 수 있었는데… 지금은 영원한 삶이 괴롭다며 제멋대로 나를 원망하는구나".] 구미는 마을 변두리의 묘지에서 자살한다.[* 마을사람4의 카드가 찢어지는 연출이 있지만 불타지는 않는다.][* 루카와 구미가 연인이라서 루카가 죽자 따라 자살했다는 해석도 있다.] 구미의 시체 옆에 있던 편지를 읽은 미쿠와 렌은 이것이 정말 악마의 소행인가, 아니면 '''악마의 소행인 척 하는 누군가의 소행인가'''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 된다. 미쿠와 렌은 시체를 탐하고 있는 가쿠포[* 시체성애자.]를 보게 된다. 둘은 경악하며 '''어떻게 봐도 사람의 취향이 아니다, 장의사가 악마다'''라며 분노하고, 렌은 가쿠포를 폭행한다. 가쿠포는 자신은 그저 시체의 프로일 뿐이라며, '''자신이 사랑했던 그들은 모두 사람이었다'''(=남은 생존자 즉, '''가쿠포, 미쿠, 렌 셋 중에 악마가 있다.''')라고 말한다. 이후 미쿠와 렌은 가쿠포를 십자가에 거꾸로 매달아[* 이때 가쿠포가 타로카드의 매달린 남자(The Hanged Man)를 연상시키는 자세를 하고 있다. 그 카드의 뜻 중 하나는 "남자가 원해서 만든 상황"] 처형시켜버린다.[* 장의사의 카드가 찢어지며 불타는 연출이 있다.] 미쿠와 렌은 승리[* 미쿠의 정체가 광인, 렌의 정체가 악마(인랑)이었던 것으로 보아 인간 측이 아닌 인랑 측의 승리를 말하는 구절이다.]의 축배를 들고, 미쿠는 쓰러진다. '''악마의 정체는 바로 렌이었고''' 미쿠는 독이 든 술을 먹고 죽는다.[* 마을사람3이 아닌 '''광인'''의 카드가 찢어지며 불타는 연출이 있다.] 렌은 마지막에 스스로의 목을 베어 자살하고,[* 자세히 보면 렌이 들고 있던 낫이 아래쪽으로 움직인다.][* 마을사람5가 아닌 '''악마'''의 카드가 찢어지며 불타는 연출이 있다.] 이후 쓰러진 렌과 알약[* 신관의 사후 비춰진 연구실에 흩뿌려져 있던 알약과 같은 것으로 추정된다.]의 모습을 비추며 GM.Mr.S가 등장한다. 인랑 게임[* 일본의 마피아 게임으로 보면 된다.]을 모티브로 한 곡으로, 악마를 마피아(늑대인간), 기사를 의사(사냥꾼), 신관을 경찰(점쟁이)에 대입하면 어느 정도 이해가 빠르다. 장의사는 영매에 해당. 악마는 매일 밤 사람들을 죽이고, 기사는 악마에게서 마을사람을 지킨다.[* 원본 인랑게임의 룰상 기사가 지킬 수 있는건 자신을 제외한 하루 한명뿐이라 습격당한다면 죽을 수 밖에 없다. 정황상 마을사람2(메이코)를 보호대상으로 지정했던 모양.] 또한 신관은 누가 악마에게 씌였는지 점치고있으며[* 신관이 죽기 직전 카드를 뒤집는 장면이 있는데 원본 인랑 게임에선 점쟁이가 늑대인간과 같은 밤 타이밍에 생존자 중 한명을 지정하여 늑대인간 유무를 알아낸다. 아마 3일차 밤에 악마를 찾아낸 순간 살해당한 모양.], 장의사는 죽은 사람이 악마인지 아닌지를 검사한다. 광인은 시민이면서 악마(늑대인간)을 편들어 [[트롤링|다른 시민들의 추리를 방해하는 역할]].[* 단순하게 보면 비협조적으로 굴다 결국 악마를 칭송하며 자살한 마을사람4(구미)가 광인처럼 보이지만 실제 광인의 주요역할은 선량한 시민으로 위장해 숨어든채 이때다 싶을때 다른 무고한 시민을 처형시켜 늑대인간을 유리하게 만드는 역할이다. 즉, 마을사람2(메이코)와 장의사(가쿠포)를 처형하는데 도움을 준 마을사람3(미쿠)가 진짜 광인이다. 잘보면 2절가사에서 미쿠는 "동료를 의심할거라면 차라리 날 죽여!" 라며 흐느끼고 있는데 그직후 메이코가 의심받기 시작하니 망설임없이 바로 '''"메이코"'''에게 투표했다.]또한 캐릭터 전원이 목에 초커를 차고 있는데, 이 초커가 게임의 참가자를 표시하는 역할인 듯 하다. 구미의 유서나 가사 여러 부분, 논쟁 장면의 캐릭터 뒷배경에서 독일어가 등장하는 것과 신관의 사후 교회 지하의 연구실을 비추며 재생되는 4차 세계대전 이후 영생을 발견한 연구자의 한탄소리로 보아 배경은 먼 미래의 독일로 추정된다. 가장 큰 논란거리는 GM.Mr.S가 누구인가에 대한 것인데, 이름이 마치 '''게임 운영자'''를 연상시키는 [[게임 운영자|GM]]이 들어가는 점과 악마의 죽음 후에 등장했다는 것 때문에 본 사건의 주범으로 보는 추측이 많다. 즉, '''이 곡 자체가 하나의 게임'''이며[* 가사의 ∞로 미루어보아 영원히 반복되는 것일 수도 있다.], GM.Mr.S는 게임의 주관자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마을사람'''5'''인 렌과 쌍둥이인 린이 번호가 멀리 떨어져있는 마을사람'''1'''인 점, 마을사람임에도 불구하고 원탁의 린의 빈자리가 없다는 점[* 린 이외의 사람이 희생당할 때에는 빈자리가 하나씩 늘어갔다.]으로 보아 린은 항상 맨 처음 죽는, 악마의 게임의 시작을 알리는 존재라고 추측하여 '''린 = GM.Mr.S'''라고 보기도 한다. [[분류:VOCALOID 오리지널 곡/202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