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00deg, #FF6050, #FF6050, #FF6050, #FF6050); border-bottom: 1px solid #ffffff; border-left: 1px solid #ffffff; border-radius: 10px; border-right: 1px solid #ffffff; border-top: 1px solid #ffffff; float: right; padding-top: 10px; text-align: center; width: 350px" ||<-2> [[파일:Musixmatch 로고.svg|width=70%]] [br] [br] || || {{{#FFF '''설립'''}}} || 2010년 1월 21일 || || {{{#FFF '''출시'''}}} || 2010년 1월 21일 || || {{{#FFF '''CEO'''}}} || Massimo Ciociola || || {{{#FFF '''설립자'''}}} || Massimo Ciociola [br] Gianluca Delli Carri [br] Francesco Delfino [br] Giuseppe Costantino || || {{{#FFF '''주요 기능'''}}} || 가사 스트리밍 || || {{{#FFF '''홈페이지'''}}} || [[https://www.musixmatch.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musixmatch.android.lyrify|[[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width=25]]]] [[https://apps.apple.com/kr/app/musixmatch/id448278467|[[파일:App Store 아이콘.svg|width=25]]]] [[https://t.musixmatch.com/communityslack|[[파일:Slack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탈리아에 본사를 둔 가사 서비스 제공회사. == 설명 == [[Spotify|스포티파이]], [[Apple Music|애플뮤직]] 등에서 나오는 사실상 거의 모든 곡들의 가사를 제공하는 서버를 운영하고 있다. 가사를 직접 번역할 수 있는데 한국어, 일본어를 비롯한 62개 언어를 지원한다. == 시스템 == === 랭킹 === '''Newbie, Insider, Master, Hero, King''' 순이며 낮은 등급은 높은 등급의 사용자가 적은 가사를 수정 할 수 없다. 랭킹은 가사 삽입, 싱크 매칭, 번역으로 경험치 개념의 포인트를 받아 승급 할 수 있다. === 역할 === 하지만 랭킹보다 중요한 것이 바로 역할이다. '''Rookie, 아카데미 수료생(Graduate), 큐레이터(Curator), 전문가(Specialist)''' 순이다. '''아카데미 수료생'''은 회원가입 이후 바로 시험을 볼 수 있고, 각 파트의 문제를 풀기 전에 가이드가 나오며 문제도 그다지 어렵지 않다. 가사 등록에 필요한 기본 지식들과 개념들을 묻는 정도. 파트당 3문제씩 5개 파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15문제 중 13문제 이상 맞아야 통과된다. 응시 후 2일 이내에 합격 여부를 알려준다. 아카데미 자격을 얻으면 기본적인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큐레이터'''는 정해진 조건[* 스크리블러, 보안관, 메트로놈 또는 모험가 배지 중 하나를 풀면 가사 테스트를 받을 수 있다.]을 달성 한 후에야 시험을 볼 수 있는데, 한국어로도 응시 가능하다. 곡 하나를 통째로 받아 적어야하고, 가사의 구성 형태와 구성상 오류 등을 직접 찾아내서 기재해야 하는 등 난이도가 높다. 응시 후 14일 이내에 합격 여부를 알려준다. 시간이 지나도 합격 메일이 오지 않으면 불합격한 것이므로 다시 시험을 봐야 한다. 큐레이터 자격까지 얻고 나면 큐레이터들과 뮤직매치의 중앙 관리자가 상주하고 있는 Slack 커뮤니티에 들어갈 수 있고, 모든 가사들의 편집과 적용에 대해 거의 즉각적인 피드백이 적용된다. 관리자에게 요청하는 것을 굉장히 편하게 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았는데, 뮤직매치상에서 보이지 않는 스포티파이 음원을 바로 매칭시킬 수 있는 권한을 가지게 된다. 큐레이터 자격을 얻으면 사실상 가사 등록자로서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걸 할 수 있다고 보면 된다. ==== 배지 ==== 특정 조건을 달성하면 얻는다. 대부분의 배지는 기여를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얻을 수 있다. 배지는 약 50여종이 있다. === 가사 === [[https://community.musixmatch.com/guidelines?lng=ko-KR|가사 관련한 가이드라인]] 음악 가사를 등록하면 가사가 인증을 받아야 하며, 해당 가사가 인증을 받으면 가사가 편집이 불가능하게 잠기고[* 관리자, 인증된 유저, 아티스트만 수정 가능]스포티파이나 구글 등에 등재된다. 가끔 훼손이 매우 심한 가사를 수정해 놓으면 경우 저절로 잠기기도 한다. 본인이 직접 인증을 할려면 큐레이터 시험을 치러야 하며, 거기에 해당하는 뱃지를 받아야한다. 가사 인증을 받게 될 경우, 스포티파이나 애플뮤직 등지에 등록이 된다[* 짧으면 올리고 나서 바로 인증이 되지만 심하면 몇 개월, 몇 년이 지나도 인증이 안된다. 하지만 요즘은 3-4일.]. 인증 작업을 하려면 특수한 권한이 있는 사용자이거나 관리자여야 하며, 그 외의 유저는 인증이 불가능하다. 또한 특수한 권한이 있는 사용자나 관리자더라도 한 앨범에 아티스트가 너무 많은 경우에는 등록이 상당히 지연된다[* [[SHOW ME THE MONEY 시리즈]] 음원들의 가사 등록이 늦어지는 이유가 이것 때문이다.]. 인증은 “Musixmatch가 인증”, “큐레이터가 인증”, “커뮤니티가 인증”, “아티스트가 인증”으로 네 가지 종류가 있다. [[https://support.musixmatch.com/article/175-lyrics-verified-or-locked-what-does-it-mean|#]] 보통 커뮤니티나 큐레이터가 인증이 자주 보이는 편이다. === 동기화 === 가사의 싱크를 맞추는 기능이다. 글자별로 동기화할지, 해당하는 줄로 동기화할지 선택하는 옵션이 있으며 싱크를 맞춘다면 들리는 가사와 함께 음악이 들린다. 모바일에선 Musixmatch 앱을 다운 받으면 번역된 가사와 함께 볼 수 있다. == 장점 == 비교적 꽤 마이너한 곡에서도 등재만 돼 있다면 누구나 가사 등록이 가능하다. 위키 비슷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자신이 어느 정도 편집하면 다른 사람이 이어 편집하는 게 가능하다. == 단점 == 유저가 자유롭게 편집하는 방식은 장점이면서도 가사 훼손이나 번역기를 사용한 테러가 자주 일어나기에 단점이다. 이 때문에 등급 제도와 역할 제도가 있는데 상위 등급/역할에 대항할 수 있는 방법이 '''아예''' 없다. 큐레이터인 사람이 번역을 잘못한 게 있으면 해당 등급 미만인 모든 유저는 수정할 수 없으며, 가사가 이상하거나 문제가 발생하면 본인이 직접 그 등급을 찍어야 한다. ~~수정하려고 하면 아예 오피셜로 등급부터 높이라고 한다~~ 만약 본인이 Musixmatch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곡을 추가하려면 해당 곡이나 엘범이 등재될 때 까지 기다리는 방법밖엔 없다. 그래도 [[https://t.musixmatch.com/communityslack|[[파일:Slack 아이콘.svg|width=20]] 공식 커뮤니티 Slack]]에 요청곡 링크를 들고 등록해 달라고 글 올리면 빠르게 등재해주는 편.[* [[Slack]]에 들어간 후 '''#catalogue-issues'''에 메시지를 보내면 된다. 영어가 꺼려지거나 한국인과 대화하고 싶을 경우 '''#korean-speakers'''에 들어가면 힌국인 사용자들과 대화할 수 있다.] 앱 내 버그가 엄청 많다. 모바일에서 가사를 수정하거나 등재하면 가사를 바로 볼 수 없으며 싱크를 맞춰도 보이지 않을 때가 있다. 사이트 내의 곡, 가사 및 아티스트 검색 기능도 지원하나 잘 못 찾는다. 또한 사이트도 불안정하여 가끔 먹통이 되거나 가사 편집 후 등재할 때 오류를 내뿜기도 한다. 번역을 하다가 말았는지 반은 한국어로, 반은 영어로 되어 있다. 심지어 FAQ의 경우 아에 한국어를 지원하지 않는다. [[분류:2010년 출시]][[분류:음악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