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DJMAX의 수록곡]] [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yyKMo7d5qY)]}}} || || {{{-1 '''수록 정보'''}}} ||{{{-1 [[DJMAX Portable 2]]}}} {{{-3 (2007)}}} || || {{{-1 '''장르'''}}} ||{{{-1 Nano D&B}}} || || {{{-1 '''BPM'''}}} ||{{{-1 176}}} || || {{{-1 '''작사/작곡'''}}} ||{{{-1 Dayz}}} || || {{{-1 '''보컬'''}}} ||{{{-1 Tornado}}} || || {{{-1 '''BGA'''}}} ||{{{-1 [[KIMYS]] / [[ECO]]}}} || ||<-2> {{{#!folding [ 가사 보기 ] yo! 감춰질 수 없는 질서 나 항상 두 눈 부릅뜨고 맞서오며 살아왔어 잃어버린 내 세계 속의 분노를 내 세 번째 눈을 뜨게 해 멈추지 않을 또 너의 나를 목조이며 옥죄며 이 거릴 낮춰 이제 그만 맞춰 야만의 시간 날 가둔 어둠 속에 갇혀 버린 내 무게와 내 미래 되풀이될 수 없는 그 틀에 갇혀버린 상실의 시간 허실의 공간 하지만 또 들이키는 상실의 술잔 I WANNA Dry Way This Lie 결코 난 쉽게 난 멈추지 않아 널 잃을 때 비로소 야 거울에 비춰 더욱더 난 멈출 수가 없어 I WANNA Dry Way This Lie 결코 난 쉽게 난 멈추지 않아 널 잃을 때 비로소 야 거울에 비춰 더욱더 난 멈출 수가 없어 가련한 자의 몽상 내 꿈속에 망상 그리고 언제나 기다려주지 않는 내 이상 슬픔 속에 깃든 잠든 분노 끝이 없는 아픔의 끝으로}}} || == 개요 == [[DJMAX Portable 2]]에 수록된 곡으로, My Alias를 제공했던 Dayz의 강렬한 느낌의 곡. 첫 등장 당시에는 강렬한 느낌의 곡과 제목의 '나노'를 의식한 BGA와는 다르게, 저난이도 곡이었기 때문에 큰 임팩트를 주지 못했다. [[S4리그]]의 체이서 모드 전용 BGM으로 [[MonoXide]]와 더불어 쓰이고 있다. 체이서(술래)가 아닌 경우 이 노래가 나온다. 존재감이 애매한 DJMAX 시리즈에서와는 달리, S4리그에서는 체이서 모드 분위기와 절묘하게 어울려 인기가 좋다. 유튜브 조회수 기준으로도 S4리그의 영상이 DJMAX의 영상보다 18배 이상 높다. == [[DJMAX Portable 2]] == [youtube(OPnDPKmXFqY)] 상술했듯, 모든 버튼에서 10레벨을 넘는 패턴이 존재하지 않는 저난이도 곡이다. == [[TAP SONIC]] == == [[DJMAX RAY]] == |||||||||| [[DJMAX RAY]]의 Spectacular 팩 수록곡 || || [[Ruti'n]] || [[NANO RISK]] || [[My Alias]] || [[Keys to the World]] || '''Dark Lightning''' ||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PORTABLE 2)]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ANO RISK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3366 25%, #ff3333 75%)" '''{{{#730731 PORTABLE 2}}}'''}}} || ||<-4>'''{{{+5 NANO RISK}}}'''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1.13 패치에서 6 → 7로 상향.] [br] {{{-5 531}}} || - || -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8'''}}} [br] {{{-5 962}}}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3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875}}} || - || -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99}}}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716}}}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966}}}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153}}}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20}}}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893}}} || - || -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eb6, #ff9c9c)"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포터블 시절 곡 중 보컬이 키음에 묻히는 곡이 몇 개 있는데, 이 곡은 그 중 가장 심하다고 봐도 될 정도로 보컬이 안 들린다. === 4B TUNES === || {{{#white NM}}}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t8B_wOxVGI)]}}}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1te9XNDqE0)]}}} || 4B SC는 알약 동시치기가 상당히 자주 나온다. 노트 밀도 또한 높기 때문에 8레벨에서는 꽤 어렵다.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Q6gPLObuGE)]}}}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6NwKAP8hsU)]}}} ||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kH7Vyi3hzc)]}}}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cMq9zlW9uQ)]}}}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4ZbmS2BupM)]}}}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aK8eQMc0_Y)]}}} || 6B SC는 동시치기 곡이지만 13/46, 132 등 수시로 나오는 복잡한 원핸드 계단 때문에 실수하기 쉽기에 동시치기 곡 치고는 스코어링이 쉽지 않다. 거기다 동시치기도 32-12 형식의 한 레인을 축으로 하는 알약 패턴이 끼어서 등장하기 때문에 상당한 처리력 역시 요구한다. 14레벨 중에서는 상당히 어렵다는 평이 많았으나 [[Mess it Up]] 등 이 곡보다 훨씬 어려운 14레벨이 있어 그대로 묻혔고, 레벨 개편 후에는 14레벨 상위권 패턴이 받는 9레벨에 배정됐다. 덕분에 현재 SC 10레벨 수준의 불렙 패턴으로 평가받고 있다.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_caGMw_kF8)]}}}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sR268W98Bg)]}}} || == [[DJMAX TECHNIKA Q]] == ||<-5>
[[DJMAX TECHNIKA Q|{{{#7df12a '''DJMAX TECHNIKA Q'''}}}]] || || {{{#7df12a '''라인/난이도'''}}} ||<#fff344> {{{#191919 '''NM'''}}} ||<#058cf4> '''{{{#white,#191919 HD}}}''' ||<#e64119> '''{{{#white,#191919 EX}}}''' || || {{{#7df12a '''2 LINE'''}}} || 3 || 4 || '''6''' || || {{{#7df12a '''3 LINE'''}}} || 3 || 5 || '''7''' || [youtube(b41V-0kov5k)] 3라인 EXPERT 영상 2018년 8월 9일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DJMAX RESPECT에서는 새로이 HD와 MX패턴이 추가되어, 극악곡 까지는 아니더라도 곡 분위기와 맞지 않는 저렙곡에서는 탈출하는데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