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NB Ranger 시리즈)] [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w9kDWZR01c)]}}} || || {{{-1 '''수록 정보'''}}} ||{{{-1 [[DJMAX Portable 2]]}}} {{{-3 (2007)}}} || || {{{-1 '''장르'''}}} ||{{{-1 Rock}}} || || {{{-1 '''BPM'''}}} ||{{{-1 145}}} || || {{{-1 '''작사/작곡'''}}} ||{{{-1 [[NieN]]}}} || || {{{-1 '''보컬'''}}} ||{{{-1 NieN / utein}}} || || {{{-1 '''BGA'''}}} ||{{{-1 Panax / [[ECO#s-3|ECO]] / [[TARI]]}}} || ||<-2> {{{#!folding [ 가사 보기 ] It 's came back Beware it, and prepare it It's been a darkness and shadow It's been came back Who made a legend Beware it, and prepare it Who's been a darkness, dangerous, and shadow Until the end, coming for the death Kingdom of the power, and the sunrise appear Carry on... Return of the night, Ramiz on Return of the dragons Take my lights of the soul yeah In the black heart from my mind and nightmare's soul On this last time Devil Will be here for a this command The rain of screaming, for the feel is Death!}}} || == 개요 == [[NB Ranger 시리즈]]의 두번째 곡. 원래 제목은 'Return Of the Dragon'으로, [[R.O.D. 시리즈]]의 한 갈래였다. 장대한 판타지 풍의 곡이었고 초 거대 스케일의 비주얼을 기대하고 이 곡을 비주얼팀에 맡겼지만... [[ponGlow]]가 '''"이 곡은 딱 [[NB Ranger 시리즈|얘네들]] 스타일이야!"''' 라고 하여 [[NB Ranger 시리즈]]의 신곡으로 낙점. [[NieN]]은 BGA를 보고 '''그 자리에 주저앉았다'''고 한다. 물론 그 이후에는 본인도 해탈했는지 자기도 재미있어했다고...[* 출처는 DJMAX Portable 2 한정판 구성품 중 포함되어 있는 비주얼 일러스트 북 내의 간단한 만화.] 새롭게 나타난 NB걸을 보자마자 순식간에 --솔로 탈출을 위한-- 대난투로 번지는 NB레인저들의 처절한 진흙탕 싸움이 일품. 마지막 장면에서 피눈물을 흘리는 근육질 남성은 [[NB POWER]]에서 정체가 밝혀지는데, 바로 DJMAX 시리즈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EZ2DJ 시리즈]]의 1st Trax에서부터 수록된 [[Envy Mask]]의 그 엔비 마스크다. BGA를 잘 보면 [[Lemonade(DJMAX)|Lemonade]]의 커플이 이번엔 호수에서 함께 보트를 타며 꽁냥대다가 분노한 NB레인저들의 공격으로 배가 전복당한다. 가사는 문법적 오류가 상당하다. 분위기를 살리는 정도로만 쓰여진 듯 하다. == [[DJMAX Portable 2]] == 패턴은 딱히 어렵다고 할 수는 없는 패턴으로, 전체적으로 난타 형식의 패턴이 많은 것이 특징. 풀 콤보는 어렵지 않게 할 수 있지만 높은 정확도를 내기가 힘든 패턴이어서 호불호가 갈리는 듯.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PORTABLE 2)]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B Rangers -Returns-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3366 25%, #ff3333 75%)" '''{{{#730731 PORTABLE 2}}}'''}}} || ||<-4>'''{{{+5 NB Rangers -Returns-}}}'''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52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710}}} || -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1'''}}} [br] {{{-5 1269}}}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8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1101}}} || - || -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66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86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157}}} || -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607}}}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1.22 패치에서 12 → 13으로 상향.] [br] {{{-5 1227}}} || -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10'''}}} [br] {{{-5 1368}}}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eb6, #ff9c9c)"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기존 BGA를 리마스터했는데, 화면이 커지면서 번쩍거리는 연출로 인한 눈의 피로가 훨씬 심해졌다. 이에 민감한 플레이어라면 BGA의 밝기를 낮추거나 아예 끄는 걸 추천.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mDhQIu1754)]}}}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PIsGH4Y7N8)]}}} ||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ux2q5rAgt8)]}}} || || 4B SC는 적당한 BPM에 크게 어렵지 않은 패턴 구성으로 꽤나 무난하다.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K6kLPQx1Bo)]}}}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03P5pi5Nmw)]}}} || 5B HD는 11레벨임에도 불구하고 2번 롱노트 잡고 레이저나 12-4-35 등 지나치게 복잡한 패턴이 끼어들어 13레벨인 6B MX보다도 어렵다 평가받는 불렙이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pBP9RE_upc)]}}}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ZIO_6cDs50)]}}} || || {{{#white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2TfXEl39fg)]}}} || ||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8BFMPIcE1w)]}}}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og87fsll_w)]}}} ||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nOKvTSgCD4)]}}} || || 8B HD는 온갖 괴상한 패턴이 넘쳐나는 포터블 8버튼 패턴 중에서도 손꼽히는 지뢰. 시종일관 끼어드는 트리거 견제나 규칙성 없는 연타가 수시로 나와 손이 피로해지는 구성으로, 12레벨일 적부터 악명높았던 불렙곡이었으며 13레벨로 상향된 후로도 상위권 내지는 준최상위권까지 먹고 심지어 하술할 15레벨짜리 SC보다도 어렵다고 평가받다보니 13레벨 러너가 섣불리 고르면 피 보기 십상이다. 8B SC는 15레벨로 등장하였으나 간단한 구성, 비중이 적은 트리거 연타 등 레벨값을 못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후 SC 레벨 조정과 함께 10레벨로 조정되었다. [[분류:NB Ranger 시리즈]][[분류:DJMA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