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NBA 드래프트]] [include(틀:상위 문서, top1=NBA 드래프트)] ||<-5> {{{#ffffff '''NBA 드래프트'''}}} || || [[NBA 드래프트/2012년도]] || → || '''2013년도 NBA 드래프트''' || → || [[NBA 드래프트/2014년도]] || || ^^h^^ || NBA 명예의 전당 헌액 선수 || || ^^m^^ || 최소 한 번 MVP를 수상한 선수 || || ^^t^^ || 최소 한 번 All NBA Team을 수상한 선수 || || ^^a^^ || 최소 한 번 All Star가 된 선수 || || ^^r^^ || 신인상을 받은 선수 || == 1라운드 == ||<-5>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D1635, #1f4387 20%, #1f4387 80%, #0D1635);" [[NBA MVP|[[파일:NBA 로고.svg|height=50]]]][br][[NBA 드래프트/2013년도|{{{#ffc224,#db9e00 '''2013년도 NBA 드래프트 1라운드'''}}}]]}}} || || '''순위''' || '''구단''' || '''선수''' || '''국적''' || '''포지션''' || || 1순위 ||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 [[앤서니 베넷]][* 최초 캐나다 1픽이자 역대 최악의 1픽으로 꼽혔다.] || 캐나다 || 포워드 || || 2순위 || [[올랜도 매직]] || [[빅터 올라디포]]^^t a^^ || 미국 || 가드 || || 3순위 || [[워싱턴 위저즈]] || [[오토 포터 주니어]] || 미국 || 가드/포워드|| || 4순위 || [[샬럿 호네츠|샬럿 밥캣츠]] || [[코디 젤러]] || 미국 || 포워드/센터 || || 5순위 || [[피닉스 선즈]] || [[알렉스 렌]] || 우크라이나 || 센터 || || 6순위 || [[뉴올리언스 펠리컨스]] || [[너렌스 노엘]][*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로 트레이드] || 미국 || 센터 || || 7순위 || [[새크라멘토 킹스]] || 벤 맥클레모어 || 미국 || 포워드 || || 8순위 || [[디트로이트 피스톤즈]] || [[켄타비우스 칼드웰포프]] || 미국 || 가드 || || 9순위 ||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 [[트레이 버크]][* [[유타 재즈]]로 트레이드] || 미국 || 가드 || || 10순위 ||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 || [[C.J. 맥컬럼]] || 미국 || 가드 || || 11순위 ||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 || [[마이클 카터윌리엄스]]^^r^^ || 미국 || 가드 || || 12순위 || [[오클라호마시티 썬더]][* 토론토 픽] || [[스티븐 아담스]] || 뉴질랜드 || 센터 || || 13순위 || [[피닉스 선즈]] || [[켈리 올리닉]][* [[보스턴 셀틱스]]로 트레이드] || 캐나다 || 센터 || || 14순위 || [[유타 재즈]] || 샤바즈 모하메드[* [[미네소타 팀버울브스]]로 트레이드] || 미국 || 가드/포워드 || || 15순위 || [[밀워키 벅스]] || [[야니스 아데토쿤보]]^^m t a^^ || 그리스 || 포워드 || || 16순위 || [[보스턴 셀틱스]] || 루카스 노게이라[* [[애틀란타 호크스]]로 트레이드] || 브라질 || 센터 || || 17순위 || [[애틀란타 호크스]] || [[데니스 슈뢰더]] || 독일 || 가드 || || 18순위 || [[애틀란타 호크스]][* 휴스턴 픽] || [[셰인 라킨]][* [[댈러스 매버릭스]]로 트레이드] || 미국 || 가드 || || 19순위 ||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레이커스 픽] || 세르게이 카라세프 || 캐나다 || 가드/포워드 || || 20순위 || [[시카고 불스]] || 토니 스넬 || 미국 || 포워드 || || 21순위 || [[유타 재즈]][* 골든스테이트 픽] || [[골귀 젱]][* [[미네소타 팀버울브스]]로 트레이드] || 세네갈 || 센터 || || 22순위 || [[브루클린 네츠]] || [[메이슨 플럼리]] || 브라질 || 센터 || || 23순위 || [[인디애나 페이서스]] || [[솔로몬 힐]] || 미국 || 포워드 || || 24순위 || [[뉴욕 닉스]] || [[팀 하더웨이 주니어]] || 미국 || 가드 || || 25순위 ||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 [[레지 불록]] || 미국 || 포워드 || || 26순위 ||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멤피스 픽] || [[안드레 로버슨]][* [[오클라호마시티 썬더]]로 트레이드] || 미국 || 가드/포워드 || || 27순위 || [[덴버 너기츠]] || [[루디 고베어]]^^t^^[* [[유타 재즈]]로 트레이드] || 프랑스 || 센터 || || 28순위 || [[샌안토니오 스퍼스]][* 클리퍼스 픽] || 르비오 진-찰스 || 프랑스 || 포워드 || || 29순위 || [[오클라호마시티 썬더]] || 아치 굿윈 || 미국 || 가드 || || 30순위 || [[피닉스 선즈]][* 마이애미 픽] || 네메냐 네도비치[*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로 트레이드] || 세르비아 || 가드 || == 2라운드 == == 평가 == 전년인 [[NBA 드래프트/2012년도]]가 최고 풍년으로 평가되었던 것과 정반대로 최악의 흉년으로 평가되었던 해이다. '''그리고 1픽만 놓고보면 흉년이라는 이 평가가 적중했다'''. 일단 1픽 후보였던 [[너렌스 노엘]]이 부상으로 드래프트되어도 1년 쉴 것이 확정되면서 시작부터 사달이 났다. 이로 인해 [[앤서니 베넷]]이 1픽으로 뽑혔는데, 결과는 그야말로 캐폭망. 게다가 6픽으로 미끄러진 너렌스 노엘 역시 이때 당한 부상이 심했던 것인지, 아니면 원래 잠재력이 그정도 수준이었는지 몰라도 어쨌든 폭망. 그나마 2픽인 [[빅터 올라디포]]가 예상보다 빠르게 성장하여 올스타가 되었고, 10순위 [[C.J. 맥컬럼]]도 스타가 되었다. 이들보다는 못했지만 3순위 [[오토 포터 주니어]]도 나름 이름을 떨치는 선수가 되어 간신히 이 해의 체면치레를 하였다. 그러나 전반적인 상위 드래프티 대부분은 망했다. 어쨌든 이 해의 신인상은 [[마이클 카터윌리엄스]]가 차지했는데, 탱킹팀에서 숫자만 예쁘장하게 쌓았을 뿐 실속이 없다는 평가가 있었고, 옳은 평가였다. 하지만 '''전혀 예상하지 못한 곳에서 대박이 터졌다.''' 로터리픽을 다 지난 1라운드 15순위 [[야니스 아데토쿤보]]가 MVP 2회, 파이널 MVP 1회에 NBA 75주년 기념 75인에 선정되기까지 한 역대급 선수로 각성하고, 하위권의 27순위 [[루디 고베어]]는 3회 DPOY 수상자에 ALL NBA팀 3회 입성에 빛나는 2010년대 최고 수비수로 성장했다. 결국 올라디포, 맥컬럼, 아테토쿤보, 고베어 이 네명의 선수가 배출된 덕분에 역대 최악의 드래프트는 피했다고 볼 수 있다. 그 외에도 [[스티븐 아담스]], [[데니스 슈뢰더]]라는 준척급 선수가 배출되었고 [[켈리 올리닉]], [[메이슨 플럼리]], [[레지 불록]], [[팀 하더웨이 주니어]], [[켄타비우스 칼드웰포프]], [[코디 젤러]], [[마이크 무스칼라]], [[라울 네토]], [[골귀 젱]]등 나름 쏠쏠한 롤 플레이어들이 배출되었다. 그렇다고해도 최악만 면했을 뿐 흉년이 아닌 것은 아닌데, 특히 10 순위 내의 상위 라운더 중에서 다년간 리그를 대표할 만한 스타로 성장한 선수가 전무하기 때문. 올라디포는 전성기가 너무나 짧았고, C.J.맥컬럼은 올스타도 올 NBA 팀에도 들지 못해 뭔가 2% 부족하다. 오토 포터 주니어는 좋은 롤 플레이어지만 스타라고 하기엔 많이 부족하고... 아데토쿤보, 고베어가 리그를 대표하는 거물로 성장했다지만 사실 드래프트 순위 자체는 낮았다. 솔직히 이 두 선수 덕분에 훗날 최악의 드래프트를 면하게 된 것이지, 이들마저 없었다면 최악의 드래프트 중 하나로 꼽혔어도 할 말이 없을 것이다. 또한 드래프트 흉년이라는 평가답게 2라운더는 그야말로 전멸했다. 여담으로 기량발전상(MIP)을 수상한 인원이 3명이나 되는 드래프트이기도 하다. 주인공들은 C.J. 맥컬럼(2016), 야니스 아데토쿤보(2017), 빅터 올라디포(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