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콜드웰 천체 목록)] ||<-5><:> [[콜드웰 목록|{{{#FFFFFF '''콜드웰 천체'''}}}]] || ||<:> [[콜드웰 85|{{{+1 '''C 86'''}}}]][br]제단자리의 구상성단 ||<:> {{{+1 ←}}} ||<:> {{{#000000 {{{+1 ''' C 87'''}}}[br]시계자리의 구상성단 }}} ||<:> {{{+1 →}}} ||<:> [[콜드웰 88|{{{+1 '''C 88'''}}}]][br]컴퍼스자리의 산개성단|| ||<-5><:> [[NGC|{{{#FFFFFF '''NGC 천체'''}}}]] || ||<:> [[NGC 1260|{{{+1 '''NGC 1260'''}}}]][br]페르세우스자리의 렌즈형은하 ||<:> {{{+1 ←}}} ||<:> {{{#000000 {{{+1 ''' NGC 1261'''}}}[br]시계자리의 구상성단 }}} ||<:> {{{+1 →}}} ||<:> [[NGC 1262|{{{+1 '''NGC 1262'''}}}]][br]에리다누스자리의 막대나선은하 || ||||<-3><:> {{{#FFFFFF {{{+3 '''NGC 1261'''}}}}}} || ||<-3> [[파일:NGC 1261.jpg|width=1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03h 12m 16.21s || || {{{#FFFFFF 적위}}} || –55° 12′ 58.4″ || || {{{#FFFFFF 별자리}}} || [[시계자리|{{{#3366aa 시계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섀플리-소여 집중도 분류|II형]][[구상성단|{{{#3366aa 구상성단}}}]] || ||<-2> {{{#FFFFFF '''거리'''}}} || 53,500 [[광년|{{{#3366aa 광년}}}]][br] 약 16,400 [[파섹|{{{#3366aa 파섹}}}]]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8.63 || ||<-3> {{{#FFFFFF '''규모'''}}} || ||<-2> {{{#FFFFFF '''겉보기 크기'''}}} || 12.9′ || ||<-3> {{{#FFFFFF '''명칭'''}}} || ||<-3> [[NGC|{{{#3366aa NGC }}}]] 1261, [[콜드웰 목록|{{{#3366aa C }}}]] 87, Mel 19, GCL 5, ESO 155-SC11 || [목차] == 개요 == {{{+1 NGC 1261}}} NGC 1261은 [[시계자리]] 방향으로 약 53,500 광년 떨어진 [[구상성단]]이다. == 상세 == 1826년 [[스코틀랜드]]의 천문학자인 [[제임스 던롭]]이 발견했으며 나이는 102억 4천만년으로 추정되는 중이다. 총 341,000 태양질량의 질량을 가지고 있으며 핵 붕괴[* 구상성단에서 나이든 항성과 더 어린 항성들의 집단이 서로 만날 때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는 현상으로 구상성단의 항성들이 중심 핵쪽으로 몰려지는 현상이다. 이때문에 구상성단의 뜨거운 항성은 구상성단 핵쪽으로 이동하고 차가운 별들은 성단 바깥쪽으로 밀려나는 현상인 질량분리현상이 발생된다고 추정된다.]는 일어나지 않았다고 추정되는 중이나 20억년 내에 한번 핵 붕괴가 일어났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광도가 [[구상성단]]에서 매우 낮은편에 속하지만 II형 구상성단에 속할 정도로 매우 밀집된 경향을 보인다. 성단 내부에선 여러 거문고자리 RR [[변광성]]을 포함한 수많은 변광성들과 많은 [[쌍성]]들이 발견되었으며 이 성단 또한 청색 낙오성[* 주계열보다 더 밝고 뜨거운 항성으로 주로 성단에서 발견된다.] 후보가 많으며 대략 18개나 된다. 8.7등급의 구상성단이기 때문에 쌍안경으로 봐야지 희미한 먼지덩어리로나마 보인다. 10인치 이상의 망원경에선 성단 내부의 별을 분해해서 볼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위의 말이 무색하게 [[대한민국]]에선 [[제주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관측이 불가능하다.[* 해남의 [[땅끝마을]]에선 지평선과 1도도 안되는 곳에서 볼 수 있지만 볼 수 있는 시간은 30분 남짓이다.][* 그나마 제주도조차 지평선에 매우 붙어서 보인다. 볼 수 있는 시간도 50분 남짓밖에 안된다.] == 관련 문서 == * [[구상성단]] * [[시계자리]] * [[콜드웰 목록]] [[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성단]][[분류:콜드웰 목록]][[분류:NG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