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NGC|{{{#FFFFFF '''NGC 천체'''}}}]] || ||<:> [[NGC 2128|{{{+1 '''NGC 2128'''}}}]][br]기린자리의 타원은하||<:> {{{+1 ←}}} ||<:> {{{#000000 {{{+1 ''' NGC 2129'''}}}[br]쌍둥이자리의 산개성단 }}} ||<:> {{{+1 →}}} ||<:> [[NGC 2130|{{{+1 '''NGC 2130'''}}}]][br]황새치자리의 구상성단 || ||||<-3><:> {{{#FFFFFF {{{+3 '''NGC 2129'''}}}}}} || ||<-3> [[파일:NGC 2129.png|width=1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06h 01m 06.5s || || {{{#FFFFFF 적위}}} || +23° 10′ 20″ || || {{{#FFFFFF 별자리}}} || [[쌍둥이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산개성단|{{{#3366aa 산개성단}}}]] || ||<-2> {{{#FFFFFF '''거리'''}}} || 7,200 [[광년|{{{#3366aa 광년}}}]][br] 2,200 [[파섹|{{{#3366aa 파섹}}}]]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6.7 || ||<-3> {{{#FFFFFF '''규모'''}}} || ||<-2> {{{#FFFFFF '''크기'''}}} || 5.2' || ||<-3> {{{#FFFFFF '''명칭'''}}} || ||<-3> [[NGC|{{{#3366aa NGC}}}]] 2129, [[Cr]] 77, C 0558+233, OCl 467, OCISM 10, KPR2004b 84 || [목차] == 개요 == {{{+1 NGC 2129}}} NGC 2129는 [[쌍둥이자리]] 방향으로 약 7,200 광년 떨어져 있는 [[산개성단]]이다. == 상세 == 1784년 11월 16일 [[윌리엄 허셜]]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나이가 1,000만년 정도로 어린편에 속한다. 성단 크기는 10.7 광년(3.3 파섹)으로 알려져 있으며, 35개 이상의 [[주계열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가장 밝은 항성은 성단 중심의 밝은 두 별인 HD 250289과 HD 250290으로 두 항성 전부 [[B형 주계열성]]이다. 이 두 항성은 서로 고유운동과 시선속도가 일치해 [[쌍성계]]를 이룰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 찾는 방법 == 성단의 겉보기 등급이 6.7이기에, 어두운 곳에서 쌍안경으로 관측하면 성단의 대부분의 항성을 관측할 수 있다. [[메시에 35]] 남쪽의 밝은 세 별들인 쌍둥이자리 뮤-쌍둥이자리 에타-쌍둥이자리 1중 쌍둥이자리 1에서 정확하게 동쪽으로 2도 떨어져 있어, [[스타호핑법]]으로 찾기 매우 쉬운 편이다. == 다른 천체 목록 == ||<-5><:> [[콜린더 목록|{{{#FFFFFF '''콜린더 천체'''}}}]] || ||<:> [[Cr 76|{{{+1 '''Cr 76'''}}}]][br]오리온자리의 산개성단||<:> {{{+1 ←}}} ||<:> {{{#000000 {{{+1 ''' Cr 77'''}}}[br]쌍둥이자리의 산개성단 }}} ||<:> {{{+1 →}}} ||<:> [[Cr 78|{{{+1 '''Cr 78'''}}}]][br]마차부자리의 산개성단 || == 관련 문서 == *[[오리온자리]] *[[산개성단]] *[[37]] [[분류:성단]][[분류:NGC]][[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콜린더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