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NGC|{{{#FFFFFF '''NGC 천체'''}}}]] || ||<:> [[NGC 2275|{{{+1 '''NGC 2275'''}}}]][br]쌍둥이자리의 정상나선은하 ||<:> {{{+1 ←}}} ||<:> {{{#000000 {{{+1 ''' NGC 2276'''}}}[br]세페우스자리의 중간나선은하}}} ||<:> {{{+1 →}}} ||<:> [[NGC 2277|{{{+1 '''NGC 4698'''}}}]][br]쌍둥이자리의 성군 || ||||<-3><:> {{{#FFFFFF {{{+3 '''NGC 2276'''}}}}}}|| ||<-3> [[파일:NGC 2276.png|width=100%]][br]{{{#FFFFFF {{{-3 촬영: [[허블 우주 망원경|{{{#LightBlue Hubble Space Telescope}}}]] (NASA, 2021)}}}}}}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07^^h^^ 27^^m^^ 14.3^^s^^ || || {{{#FFFFFF 적위}}} || +85° 45′ 15″ || || {{{#FFFFFF 별자리}}} || [[세페우스자리|{{{#3366aa 세페우스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SAB(rs)c형 [[중간나선은하|{{{#3366aa 중간나선은하}}}]] || ||<-2><:> {{{#FFFFFF '''시선속도'''}}} || 약 2416±2km/s || ||<-2> {{{#FFFFFF '''거리'''}}} || 약 1억 2000만 [[광년|{{{#3366aa ly}}}]][* = 120Mly][br]약 36.8 [[파섹|{{{#3366aa Mpc}}}]]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11.80 || ||<-3> {{{#FFFFFF '''규모'''}}} || ||<-2> {{{#FFFFFF '''시직경'''}}} || 2'.8 X 2'.7 || ||<-3> {{{#FFFFFF '''명칭'''}}} || ||<-3> [[NGC|{{{#3366aa NGC}}}]] 2276, [[UGC 목록|UGC]] 3740, [[Arp]] 25, 114, PGC 21039 || [목차] == 개요 == {{{+1 NGC 2276}}} NGC 2276은 [[세페우스자리]]에 있는 중간나선은하[* [[막대나선은하]]와 [[정상나선은하]]의 중간 유형.]이다. 이 은하는 지구로부터 약 1억 2천만 광년 떨어져 있다. == 상세 == NGC 2276은 이웃한 [[타원은하]]인 [[NGC 2300]]과의 중력 상호작용과 이는 램 압력 스트리핑[* [[페르세우스 A]] 문서에 나와있듯 은하에서 나온 X선이 은하 근처에 있는 성간가스를 이온화시키는데 이로 인해 은하의 고유운동을 방해하는 힘이 생기는데 이를 램 압력 스트리핑으로 하며 NGC 2276을 후술할 X선 소스 관련 글에도 나와있듯 X선 소스가 매우 많은 편에 속하는데 이 때문에 NGC 2300과 NGC 2276 사이에 있는 가스들이 이온화되며 이 때문에 일어난 램 압력 스트리핑이 은하 원반의 앞쪽에 변형을 일으키고 은하 내부의 가스들이 은하 밖으로 빠져나와지면서 꼬리같은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이 때문에 NGC 2276의 한쪽 방향으로 나선팔이 밀려나고 별 형성 속도가 1년에 5~15 태양질량이라는 어마무시한 속도를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으로 인해 생겨났다고 한다. 하지만 재연구 결과 NGC 2276의 나선팔 변형에는 중력 상호작용보다는 램 압력 스트리핑의 지분이 훨씬 더 많다고 한다. 나선팔에서 폭발적인 별 형성이 일어나고 있으며 나선팔이 분산되어 있는 남동쪽 방향보다는 나선팔이 몰려 있는 북서쪽의 별 형성속도가 훨씬 더 높다고 한다. 이는 앞서 설명한 나선팔이 북서쪽으로 몰려있는 까닭도 있지만 정확하게는 램 압력 스트리핑으로 인해 가스가 쓸려나가면서 북서쪽에 있는 분자운과 성간가스를 압축시키기 때문이라고 한다. 은하 서쪽 나선팔에는 [[중간질량 블랙홀]]인 NGC 2276-3c가 위치해 있는데 이 중간질량 블랙홀은 길이 2,000 광년, 폭 6광년의 거대한 제트를 형성했다고 하며 이로 인해 주변 1,000 광년 이내엔 은하의 다른부분보다 확연히 차이날만큼 별 형성속도가 적다고 한다. NGC 2276-3c 이외에도 NGC 2276의 서쪽 나선팔 부근에선 많은 수의 [[X선]]소스가 발견되었으며[* 은하 전체에서 15개의 X선 소스가 발견되었으며 그중 8개는 초발광 X선 소스라고 한다. 이는 이때까지 발견된 모든 은하중에서도 매우 많은 초발광 X선 소스를 가진 은하라고 한다.] X선 소스가 발견되었는데 이 X선 소스들은 과거에 NGC 2276이 어떤 [[왜소은하]]와 충돌하면서 형성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 관련 문서 == * [[Arp 목록]] * [[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 * [[중간나선은하]] [[분류:은하]][[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NGC]][[분류:Arp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