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콜드웰 천체 목록)] ||<-5><:> [[콜드웰 목록|{{{#FFFFFF '''콜드웰 천체'''}}}]] || ||<:> [[콜드웰 95|{{{+1 '''C 95'''}}}]][br]남쪽삼각형자리의 산개성단 ||<:> {{{+1 ←}}} ||<:> {{{#000000 {{{+1 ''' C 96'''}}}[br]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 {{{+1 →}}} ||<:> [[콜드웰 97|{{{+1 '''C 97'''}}}]][br]센타우루스자리의 산개성단 || ||<-5><:> [[NGC|{{{#FFFFFF '''NGC 천체'''}}}]] || ||<:> [[NGC 2515|{{{+1 '''NGC 2515'''}}}]][br]게자리의 이중성||<:> {{{+1 ←}}} ||<:> {{{#000000 {{{+1 ''' NGC 2516'''}}}[br]용골자리의 산개성단 }}} ||<:> {{{+1 →}}} ||<:> [[NGC 2517|{{{+1 '''NGC 2517'''}}}]][br]이리자리의 렌즈형은하 || ||||<-3><:> {{{#FFFFFF '''NGC 2516'''[br]{{{+3 '''남쪽 벌집성단'''}}}[br]Southern Beehive Cluster}}} || ||<-3> [[파일:ngc2516_finale.jpg|width=1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07h 58m 20s || || {{{#FFFFFF 적위}}} || −60° 52′ || || {{{#FFFFFF 별자리}}} || [[용골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산개성단|{{{#3366aa 산개성단}}}]] || ||<-2> {{{#FFFFFF '''거리'''}}} || 1,300 [[광년|{{{#3366aa 광년}}}]][br] 398.5 [[파섹|{{{#3366aa 파섹}}}]]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3.8 || ||<-3> {{{#FFFFFF '''규모'''}}} || ||<-2> {{{#FFFFFF '''크기'''}}} || 30' || ||<-3> {{{#FFFFFF '''명칭'''}}} || ||<-3> 캐롤라인의 성단, [[NGC|{{{#3366aa NGC}}}]] 2516, [[콜드웰 목록|C]] 97, Cr 172 || [목차] == 개요 == {{{+1 남쪽 벌집성단/NGC 2516}}} NGC 2516 또는 남쪽 벌집성단은 [[용골자리]]방향으로 약 1,300 광년 떨어진 [[산개성단]]이다. == 특징 == 1751년 또는 1752년에 프랑스의 천문학자인 니콜라 루이드 라카유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모양이 마치 [[프레세페 성단]]과 비슷해 남쪽벌집 성단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뱀주인자리]]에 있는 성단인 마마젝 2라는 성단과 나이가 약 1억 3500만년으로 비슷하고 금속성, 고유운동방향까지 비슷하기 때문에 같은 성운에서 태어났다는 것이 사실상 확정되었다. 2021년에 나온 따끈따끈한 소식으로 무려 1,630광년에 걸쳐 이 성단에서 기원했다고 추정되는 항성들이 흩뿌려져 있으며 이 항성들은 약 1억 5천만년에서 1억 2천만년 사이로 남쪽 벌집성단과 나이와 금속성이 일치하다고 한다. 특출나게 적은 금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X선 소스가 매우 많다는 특징이 있다. 겉보기등급이 3.8 등급[* 천구에서 20번째로 밝다]이기 때문에 맨눈으로도 보이지만 겉보기 크기가 작은 편에 속하기 때문에 별들이 분해되어 보이지는 않는다. [[쌍안경]]으로 관측하면 특출나게 밝은 성단 위쪽에 위치한 두 [[적색 거성]]을 볼 수 있으며 이외에도 대부분의 밝은 별들을 관측 할 수 있다. 4인치 이상의 망원경으로는 고배율 접안렌즈 기준 쌍성도 관측할 수 있다고 한다. == 찾는 방법 == [[파일:남벌성.png]] 1,9등급의 별인 용골자리 엡실론에서 남동쪽으로 약 3.3도 이동하면 된다. 하지만 [[대한민국]] 영토에선 관측이 불가능하다. == 관련 문서 == *[[용골자리]] *[[산개성단]] *[[콜드웰 목록]] [[분류:성단]][[분류:NGC]][[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콜드웰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