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NGC|{{{#FFFFFF '''NGC 천체'''}}}]] || ||<:> [[NGC 287|{{{+1 '''NGC 287'''}}}]][br]물고기자리의 렌즈형은하 ||<:> {{{+1 ←}}} ||<:> {{{#000000 {{{+1 ''' NGC 288'''}}}[br]조각가자리의 구상성단}}} ||<:> {{{+1 →}}} ||<:> [[NGC 289|{{{+1 '''NGC 289'''}}}]][br]조각가자리의 막대나선은하 || ||||<-3><:> {{{#FFFFFF {{{+3 '''NGC 288'''}}}}}} || ||<-3> [[파일:NGC288.jpg|width=1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00h 52m 45.24s || || {{{#FFFFFF 적위}}} || –26° 34′ 57.4″ || || {{{#FFFFFF 별자리}}} || [[조각가자리|{{{#3366aa 조각가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섀플리-소여 집중도 분류|X형]] [[구상성단|{{{#3366aa 구상성단}}}]] || ||<-2> {{{#FFFFFF '''거리'''}}} || 29,200 [[광년|{{{#3366aa 광년}}}]][br] 8,960 [[파섹|{{{#3366aa 파섹}}}]]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9.37 || ||<-3> {{{#FFFFFF '''규모'''}}} || ||<-2> {{{#FFFFFF '''겉보기 크기'''}}} || 13.8′ || ||<-3> {{{#FFFFFF '''명칭'''}}} || ||<-3> [[NGC|{{{#3366aa NGC }}}]] 288, [[Mel]] 3 || [목차] == 개요 == {{{+1 NGC 288}}} NGC 288은 [[조각가자리]] 방향으로 약 29,200 광년 떨어진 [[구상성단]]이다. == 상세 == 밀도가 낮은 단계인 X형 구상성단에 속하며 금속성이 부족하다는 특징이 있다. 1888년 존 드레이어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나이는 106억년으로 추정되며 성간우주를 이동하면서 성단에서 떨어져 나간 별들로 구성되어 있는 조석 꼬리가 2개 발견되었는데 1개는 성단의 남동쪽으로 길게 이어져 있고 1개는 [[우리 은하]] 중심 방향으로 이어져 있다고 한다.[* NGC 288의 조수 반경을 넘어서 있는 항성들이 일반적인 구상성단들의 것보다 2배는 더 적기 때문에 조석 꼬리가 존재한다는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결론내린 연구도 있다.] 9개의 X선 소스가 발견되었는데 이중 2개가 [[백색왜성]]과 [[거성]]으로 이루어진 대격변 변광성임이 확인되었다. 이외에도 성단에서 매우 자주 발견되는 봉황자리 PX 변광성도 확인되었다. == 찾는 방법 == 쌍안경으로 매우 희미하게 관측이 가능하며 10인치 이상의 망원경으로는 별을 분해해서 볼 수 있다고 한다. [[조각가자리 은하]]에서 남동쪽으로 고작 1.8도정도 떨어져 있기 때문에 조각가자리 은하만 찾으면 바로 찾을 수 있다. == 다른 천체 목록 == ||<-5><:> [[멜로테 목록|{{{#FFFFFF '''멜로테 천체'''}}}]] || ||<:> [[Mel 2|{{{+1 '''Mel 2'''}}}]][br]세페우스자리의 산개성단||<:> {{{+1 ←}}} ||<:> {{{#000000 {{{+1 ''' Mel 3'''}}}[br]조각가자리의 구상성단 }}} ||<:> {{{+1 →}}} ||<:> [[Mel 4|{{{+1 '''Mel 4'''}}}]][br]큰부리새자리의 구상성단 || == 관련 문서 == * [[조각가자리]] * [[구상성단]] * [[허셜 400 천체 목록]] [[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성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