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NGC|{{{#FFFFFF '''NGC 천체'''}}}]] || ||<:> [[NGC 135|{{{+1 '''NGC 435'''}}}]][br]고래자리의 중간나선은하 ||<:> {{{+1 ←}}} ||<:> {{{#000000 {{{+1 ''' NGC 436'''}}}[br]카시오페이아자리의 산개성단 }}} ||<:> {{{+1 →}}} ||<:> [[NGC 437|{{{+1 '''NGC 437'''}}}]][br]물고기자리의 렌즈형은하 || ||||<-3><:> {{{#FFFFFF {{{+3 '''NGC 436'''}}} }}} || ||<-3> [[파일:NGC 436.jpg|width=1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01h 16m 00.2s || || {{{#FFFFFF 적위}}} || +58° 49′ 12″ || || {{{#FFFFFF 별자리}}} || [[카시오페이아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산개성단|{{{#3366aa 산개성단}}}]] || ||<-2> {{{#FFFFFF '''거리'''}}} || 9,800 [[광년|{{{#3366aa 광년}}}]][br] 3,005 [[파섹|{{{#3366aa 파섹}}}]]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8.8 || ||<-3> {{{#FFFFFF '''규모'''}}} || ||<-2> {{{#FFFFFF '''크기'''}}} || 5' || ||<-3> {{{#FFFFFF '''명칭'''}}} || ||<-3> [[NGC|{{{#3366aa NGC}}}]] 136, [[콜린더 목록|Cr]] 11, [[Mel]] 6, C 0112+585, OCISM 72, OCl 320, KPS2012 MWSC 0111 || [목차] == 개요 == {{{+1 NGC 436}}} NGC 436은 [[카시오페이아자리]] 방향으로 약 9,800 광년 떨어진 [[산개성단]]이다. == 상세 == 1787년 11월 3일에 [[윌리엄 허셜]]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나이는 대략 8,000년으로 추정된다. 옆쪽에는 [[올빼미 성단]]으로 알려져 있는 NGC 457이 있으며 나이는 거의 동일하나 올빼미 성단이 대략 3배는 더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서로 연관성은 없다. == 다른 천체 목록 == ||<-5><:> [[NGC|{{{#FFFFFF '''콜린더 천체'''}}}]] || ||<:> [[NGC 381|{{{+1 '''Cr 10'''}}}]][br]카시오페이아자리의 산개성단||<:> {{{+1 ←}}} ||<:> {{{#000000 {{{+1 ''' Cr 11'''}}}[br]카시오페이아자리의 산개성단 }}} ||<:> {{{+1 →}}} ||<:> [[올빼미 성단|{{{+1 '''Cr 12'''}}}]][br]카시오페이아자리의 산개성단 || ||<-5><:> [[멜로테 목록|{{{#FFFFFF '''멜로테 천체'''}}}]] || ||<:> [[Mel 5|{{{+1 '''Mel 5'''}}}]][br]큰부리새자리의 산개성단||<:> {{{+1 ←}}} ||<:> {{{#000000 {{{+1 ''' Mel 6'''}}}[br]카시오페이아자리의 산개성단 }}} ||<:> {{{+1 →}}} ||<:> [[Mel 7|{{{+1 '''Mel 7'''}}}]][br]카시오페이아자리의 산개성단 || == 찾는 방법 == [[파일:NGC 436.png]] 맨눈으로도 보이는 카시오페이아자리 피 방향에 있는 [[올빼미 성단]]에서 북동쪽으로 약 1도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 관련 문서 == *[[카시오페이아자리]] *[[산개성단]] [[분류:성단]][[분류:NGC]][[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