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콜드웰 천체 목록)] ||<-5><:> [[콜드웰 목록|{{{#FFFFFF '''콜드웰 천체'''}}}]] || ||<:> [[콜드웰 106|{{{+1 '''C 106'''}}}]][br]큰부리새자리의 구상성단 ||<:> {{{+1 ←}}} ||<:> {{{#000000 {{{+1 ''' C 107'''}}}[br]극락조자리의 구상성단 }}} ||<:> {{{+1 →}}} ||<:> [[콜드웰 108|{{{+1 '''C 108'''}}}]][br]파리자리의 구상성단 || ||<-5><:> [[NGC|{{{#FFFFFF '''NGC 천체'''}}}]] || ||<:> [[NGC 6100|{{{+1 '''NGC 6100'''}}}]][br]뱀자리의 렌즈형은하 ||<:> {{{+1 ←}}} ||<:> {{{#000000 {{{+1 ''' NGC 6101'''}}}[br]극락조자리의 구상성단 }}} ||<:> {{{+1 →}}} ||<:> [[NGC 6102|{{{+1 '''NGC 6102'''}}}]][br]북쪽왕관자리의 정상나선은하|| ||||<-3><:> {{{#FFFFFF {{{+3 '''NGC 6101'''}}}}}} || ||<-3> [[파일:NGC 6101.jpg|width=100%]] || ||<-3> {{{#FFFFFF {{{-3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촬영한 NGC 6101의 중심부 }}}}}}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16h 25m 48.12s || || {{{#FFFFFF 적위}}} || –72° 12′ 07.9″ || || {{{#FFFFFF 별자리}}} || [[극락조자리|극락조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X형 [[구상성단]] || ||<-2> {{{#FFFFFF '''거리'''}}} || 약 47,600 [[광년]][br]14,600 [[파섹]]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겉보기 등급|{{{#FFFFFF '''겉보기 등급'''}}}]] || 9.0 || ||<-3> {{{#FFFFFF '''규모'''}}} || ||<-2> {{{#FFFFFF '''지름'''}}} || 약 47 [[광년|{{{#3366aa 광년}}}]] || ||<-2> {{{#FFFFFF '''겉보기 크기'''}}} || 10.7' || ||<-3> {{{#FFFFFF '''명칭'''}}} || ||<-3> [[NGC|{{{#3366aa NGC}}}]] 6101, [[콜드웰 목록|{{{#3366aa C}}}]] 108 || [목차] == 개요 == {{{+1 NGC 6101}}} NGC 6101은 [[극락조자리]] 방향으로 약 47,600 광년 떨어진 [[구상성단]]이다. == 상세 == 제임스 던롭이 발견했으며 낮은 집중도를 가진 구상성단인 X형 구상성단으로 분류된다. 대부분의 구상성단들은 전부 같은 [[전리수소영역]]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두 성단이 합쳐지거나 한 것이 아니라면 대부분 별의 금속성이 일치하나 이 구상성단은 특이하게도 서로 다른 금속성을 가지고 있다. 아직 왜 그런건지는 밝혀지지 않은 상황. 또한 성단의 나이가 125억년임에도 불구하고 이는 성단 내부에 항성질량 [[블랙홀]]과 중간질량 [[블랙홀]]이 매우 많이 존재하는 것이 밝혀졌는데[* 다른 구상성단들에서는 매우 적은양의 블랙홀만이 존재하거나 아예 블랙홀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질량 분리[* 젊은 별들은 성단의 안쪽으로 늙은 별들은 성단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주로 구상성단에서만 일어나며 나이가 많은 구상성단들은 대부분 이 현상을 겪었었다.]가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는 구상성단중에선 매우 특이한 사례라고 한다. 아직까지 원인은 확실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이 구상성단이 생성될 때 다른 구상성단들에 비해 처음부터 매우 큰 구상성단이었었기 때문에 아직까지 질량분리가 일어나지 않고 있다는 주장이 학계에서 주류라고 한다. 맨눈으로는 절대로 보이지 않으며 쌍안경으로도 매우 희미하게 보인다. 적어도 8인치 이상은 되어야지 분해가 가능하고 12인치 이상의 대형 망원경으로는 좀 더 자세하게 관측할 수 있으나 [[대한민국]] 영토에서는 관측이 불가능하다. == 관련 문서 == * [[구상성단]] * [[콜드웰 목록]] * [[오메가 센타우리]] * [[블랙홀]] * [[극락조자리]] [[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성단]][[분류:NGC]][[분류:콜드웰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