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NHL/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1라운드)] [include(틀:NHL/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목차] [clearfix] == 개요 == 2022년 NHL 플레이오프 서부 컨퍼런스 1라운드 결과를 서술한 문서. == 센트럴 디비전 == === C1 [[콜로라도 애벌랜치|{{{#6f263d 콜로라도 애벌랜치}}}]] VS [[내슈빌 프레더터스|{{{#ffb81c 내슈빌 프레더터스}}}]] WC2 === ||<-8>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c1c4c9 50%, #000000)" [[NHL/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파일:2022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로고.png|width=50]]]][br]'''{{{#003e7e 2022 Stanley Cup Playoffs Western Conference 1st Round}}}[br][[콜로라도 애벌랜치|{{{#6f263d C1 콜로라도 애벌랜치}}}]] VS [[내슈빌 프레더터스|{{{#ffb81c 내슈빌 프레더터스 WC2}}}]]'''}}} || || '''GAME''' || '''TIME''' || '''PLACE''' || '''AWAY''' ||<-2> '''SCORE''' || '''HOME''' || || '''GAME 1''' || 5월 3일 19:3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7|MT]] ||<|2> [[볼 아레나]]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2''' || '''7'''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 '''GAME 2''' || 5월 5일 19:3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7|MT]]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1''' || '''2(OT)'''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 '''GAME 3''' || 5월 7일 15:3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8|CT]] ||<|2> [[브리지스톤 아레나]]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7''' || '''3'''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 '''GAME 4''' || 5월 9일 20:3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8|CT]]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5''' || '''3'''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 ~~'''GAME 5'''~~ || ~~5월 11일 TBD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7|MT]]~~ || ~~[[볼 아레나]]~~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 ||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 ~~'''GAME 6'''~~ || ~~5월 13일 TBD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8|CT]]~~ || ~~[[브리지스톤 아레나]]~~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 || '''-'''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 ~~'''GAME 7'''~~ || ~~5월 15일 TBD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7|MT]]~~ || ~~[[볼 아레나]]~~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 ||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 간단 Preview ==== ||<-6> '''정규 시즌 상대 전적''' || || '''일자''' || '''원정''' ||<-2> '''점수''' || '''홈''' || '''비고''' || || 21.11.27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2''' || '''6'''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 || 21.12.16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2''' || '''5'''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 || 22.01.11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4''' || '''5'''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OT''' || || 22.04.28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5''' || '''4'''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SO''' || 2년 연속 [[프레지던트 트로피]]를 노리던 앱스는 3인방 중 [[가브리엘 란데스쿡]]과 [[미코 란타넨]]의 부상으로 시즌 막바지에 침체되었고, 결국 팬서스에게 트로피를 양보하고 만다. 란데스쿡-란타넨-[[네이선 매키넌]]-[[나젬 카드리]]-[[케일 마카]]로 이어지는 스쿼드는 부상자가 나오지 않는 한, 리그의 그 누구도 상대가 되지 않았다. 정규 시즌 앱스를 상대한 31팀 중 앱스에게 무패를 기록한 팀은 [[콜럼버스 블루재키츠]]와 [[콜로라도 애벌랜치]]밖에 없었다. 다행히도, 란데스쿡과 란타넨은 플레이오프에 복귀할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정규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프레즈가 애리조나에게 삽질 끝에 역전패하면서 상대가 스타즈에서 프레즈로 바뀐 것은 앱스 입장에서는 천운이라 할 수 있겠다.[* 앱스는 스타즈와 프레즈 둘 다 모두에게 정규 시즌 상대전적 열세이지만, 프레즈의 주전 골텐더가 부상으로 아웃된 상태이기 때문.] 어찌 이번에도 꾸역꾸역 막차에 탑승한 프레즈는 정규 시즌 마지막 경기, 서부 컨퍼런스 최약체인 [[애리조나 카이오티스]]에게 4:0 리드를 역전당하며 4:5로 패배하는 바람에 1라운드 상대가 [[캘거리 플레임스]]에서 앱스로 바뀌는 최악의 상황을 맞이했다. 풀전력으로도 플레이오프 진출팀 중 최약체라는 평가인데, 수비수 로종과 '''주전 골리'''인 사로스가 빠지는 등 솔직히 올라온 것도 용하다 싶을 정도이다. 다만, 앱스에 유일하게 앞선다고 하는 것은 정규 시즌 '''상대전적'''이다. * '''스케이터''' 화력으로만 따진다면, [[플로리다 팬서스|캣츠]], [[에드먼턴 오일러스|오일러스]], [[토론토 메이플 리프스|립스]], [[탬파베이 라이트닝|볼츠]] 등이 우월하고, 수비에서는 [[캘거리 플레임스|플레임스]], [[캐롤라이나 허리케인스|케인스]], [[뉴욕 레인저스|레인저스]] 등이 더 우수하다. 하지만, 앱스는 공수 양면에서 가장 밸런스가 뛰어난 팀이다. 특히, 매키넌은 통산 플레이오프 50경기에서 28골 41어시스트 69포인트로 경기당 1.38포인트를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플레이오프 35경기 이상 치른 역대 선수 중 [[웨인 그레츠키]]의 '''1.84''', 마리오 르미외의 1.61에 이은 세 번째 기록이다. 같은 팀의 [[미코 란타넨]] 역시 1.21로 7위에 랭크되어 있다. 필립 포르스베리라는 프랜차이즈 공격수와 [[맷 뒤셴]]이라는 주포와 함께 프레즈를 떠받치는 존재가 바로 주장인 '''[[로만 요지]]'''이다. 요지는 시즌 '''96포인트'''(23골 73어시스트)로 1993-94 시즌 이후 처음으로 90포인트 득점을 한 '''수비수'''로 기록되었다. 뒤셴은 시즌 43골 43어시스트 86골로 팀의 주포 중 한 쪽을 맡았고, 1라운드부터 친정인 앱스를 상대하게 되었다. 또다른 주포인 필립 포르스베리는 프레즈 순혈이며, 시즌 42골 42어시스트로 84포인트 득점하였다. 이번 시리즈의 가장 관심사는 '''[[케일 마카]] VS [[로만 요지]]'''라는 신구 리그 탑급 수비수의 맞대결일텐데, 마카가 시즌 86포인트(28골 58어시스트)로 수비수로서 리그 2위의 득점을 기록했고, 요지가 96포인트로 1위를 차지했는 만큼 득점 생산력도 모두 뛰어난 선수들이다. * '''골텐더''' 다시 퀨퍼(Darcy Kuemper)는 플레임스의 [[야콥 마르크스트룀]]가 타이 기록인 시즌 37승을 거두었다. 시즌 GAA 2.54, SV%(선방률)도 .921에 셧아웃도 5회나 있다. 근데 하필 프레즈 상대로 2OT GAA 4.23 SV% ,870으로 부진했다. 프레즈의 주전 유세 사로스(Juuse Saros)가 시즌 아웃되면서, 백업인 다비트 리티히(David Rittich)가 선발로 나선다. 리티히는 정규시즌 17경기(12선발) 6승 3패 4OT GAA 3.57, SV% .886으로 저조했고, 앱스전은 1승 1패 GAA 4.80에 SV% .877로 더욱 부진했다. * '''기타''' 프레즈와 앱스는 파워플레이 골 성공률에서 각각 24.4%, 24%로 6, 7위에 나란히 랭크해있다. 프레즈는 리그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바디체킹을 하는 팀이며, 히트(Hit ; 바디체킹으로 퍽을 뺏어내는 것)가 무려 2470개로 리그 1위이다. 하지만, 이 때문에 패널티 시간(PIM)도 1035분으로 유일하게 1000분이 넘어가는 팀이다. 그만큼 쇼트핸디드 상황이 많다는 의미이며, 케인스(479분 10초) 다음으로 많은 455분 43초이다. 케인스가 패널티 킬(쇼트핸디드 상황에서 무실점)이 무려 88%에 달하는 것과는 달리 프레즈는 79.2%로 리그 18위에 위치해있어 상대의 파워플레이 골을 효과적으로 막아내는 것도 아니다. ==== 애벌랜치 예상 라인업 ==== ||<|4> '''{{{#236192 포워드}}}'''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92. '''[[가브리엘 란데스쿡]]^^(C)^^'''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29. '''[[네이선 매키넌]]^^(A)^^'''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5]] 96. '''[[미코 란타넨]]^^(A)^^''' ||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5]] 62. 아르투리 레코넨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91. [[나젬 카드리]]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25]] 95. 안드레 부라코프스키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25. 로건 오코너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37. J.T. 콤퍼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13. 발레리 니추시킨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11. 앤드류 콜리아노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78. 니코 슈투름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16. 니콜라스 오베이쿠벨 || ||<|3> '''{{{#236192 디펜스}}}'''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7. 다반 타이브즈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8. [[케일 마카]]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49. 사무엘 지라르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42. 조쉬 맨슨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4. 보웬 바이럼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6. 에릭 존슨 || || '''[[골텐더|{{{#236192 골텐더}}}]]'''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35. 다시 퀨퍼 || || [[파일:체코 국기.svg|width=25]] 39. 파벨 프랑초우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틀:콜로라도 애벌랜치/로스터)] ==== 프레더터스 예상 라인업 ==== ||<|4> '''{{{#041e42 포워드}}}'''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9. '''필립 포르스베리^^(A)^^'''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5]] 64. '''미카엘 그란룬드^^(A)^^'''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95. [[맷 뒤셴]]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11. 루크 쿠닌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92. '''라이언 요한센^^(A)^^'''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26. 필립 토마시노 ||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13. 야코프 트레닌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10. 콜튼 시즌스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84. 태너 자노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21. 닉 커즌스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47. 마이클 맥카론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5]] 28. 엘리 톨바넨 || ||<|3> '''{{{#041e42 디펜스}}}'''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5]] 59. '''[[로만 요지]]^^(C)^^'''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57. 단테 파브로 ||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14. '''마티아스 에크홀름^^(A)^^'''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45. 알렉상드흐 카리에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90. 마크 보로비에츠키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5. 맷 베닝 || || '''[[골텐더|{{{#041e42 골텐더}}}]]''' || [[파일:체코 국기.svg|width=25]] 33. 다비트 리티히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39. 코너 잉그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틀:내슈빌 프레더터스/로스터)] ==== GAME 1 ==== ||
<-3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f263d, #a2aaad 50%, #236192)" [[NHL/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파일:2022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로고.png|width=50]]]][br]'''22.05.03 19:3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7|{{{#000000 MT}}}]] | [[볼 아레나|{{{#000000 볼 아레나}}}]]'''}}}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3px 1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ight, #6f263d, #a2aaad 50%, #236192)" [[콜로라도 애벌랜치|[[파일:콜로라도 애벌랜치 로고.svg|width=50]]]]}}} ||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0''' || '''1''' || '''1''' || '''2'''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5''' || '''1''' || '''1''' || '''7''' || '''{{{-3 {{{#236192 Avs WIN}}}}}}''' || ||<-8> [[https://www.youtube.com/watch?v=1ACoq99fZYo&ab_channel=NHL|경기 하이라이트]] || {{{#!folding 경기 상세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ffffff GOAL}}}''' || || '''TEAM''' || '''GOAL''' || '''ASSIST''' || '''TIME''' || '''SHOT''' || '''TYPE''' || '''SCORE'''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네이선 매키넌]](1) || [[미코 란타넨]](1)[br][[케일 마카]](1) || 1st 02:20 || Snap Shot || Power Play Goal || 0-1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다반 테이브즈(1) || [[미코 란타넨]](2)[br][[케일 마카]](2) || 1st 02:42 || Wrist Shot || - || 0-2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앤드류 콜리아노(1) || - || 1st 08:30 || Wrist Shot || Short-Handed Goal[br]Game Winning Goal || 0-3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케일 마카]](1) || - || 1st 12:15 || Wrist Shot || - || 0-4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아르투리 레코넨(1) || [[나젬 카드리]](1)[br][[가브리엘 란데스쿡]](1) || 1st 15:04 || Wrist Shot || - || 0-5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가브리엘 란데스쿡]](1) || [[네이선 매키넌]](1)[br][[미코 란타넨]](3) || 2nd 12:44 || Backhand || Power Play Goal || 0-6 ||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맷 뒤셴]](1) || 라이언 요한센(1)[br]미카엘 그란룬드(1) || 2nd 18:40 || Wrist Shot || Power Play Goal || 1-6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네이선 매키넌]](2) || 사무엘 지라르(1)[br]발레리 니추시킨(1) || 3rd 06:03 || Slap Shot || - || 1-7 ||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맷 뒤셴]](2) || 미카엘 그란룬드(2)[br]맷 베닝(1) || 3rd 12:26 || Wrist Shot || - || 2-7 || ----- ||
<-30>
'''{{{#ffffff Game Stats}}}''' || || '''TEAM''' || '''Shots on Goal''' || '''Faceoff%''' || '''Power Play''' || '''PIM''' || '''Hits''' || '''Blocks''' || '''Giveaways''' || '''Takeaways''' ||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25 || 41.7% || 1/4 || 34 || 59 || 24 || 4 || 8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45 || 58.3% || 2/5 || 22 || 47 || 12 || 1 || 5 || ----- ||
<-30>
'''{{{#ffffff SOG Per Period}}}'''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6 || 11 || 8 || 25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17 || 11 || 17 || 45 ||}}} ---- ||<-2> '''3 Stars of the Game''' || || '''1★''' ||[[파일:콜로라도 애벌랜치 로고.svg|width=50]] [[네이선 매키넌]](Nathan MacKinnon) || || '''2★''' ||[[파일:콜로라도 애벌랜치 로고.svg|width=50]] [[케일 마카]](Cale Makar) || || '''3★''' ||[[파일:콜로라도 애벌랜치 로고.svg|width=50]] [[미코 란타넨]](Mikko Rantanen) || 역시 정규시즌은 정규시즌, 플레이오프는 플레이오프였다. 정규시즌은 프레즈가 3승 1패였지만, 주전 골텐더 유세 사로스의 부상으로 빠진 것을 앱스는 전혀 봐줄 생각이 없었다. 케인스의 백업 란타는 안데르센의 공백을 메꿔주며 브루인스의 공세를 막아내며 수호신으로 군림했지만, 리티히는 그러질 못했다. 1피리어드부터 15분 4초 13샷 8세이브 5 GA .615 SV%라는 처참한 성적만 남기면서 일찍이 교체되었다. 오히려, 급하게 콜업한 코너 잉그램이 44분 56초 30세이브 2 GA .938 SV%로 훨씬 나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완전체로 뭉친 앱스의 라인은 무적 그 자체였는데, [[네이선 매키넌]]이 2골 1어시스트 3포인트, [[미코 란타넨]]이 3어시스트 3포인트, [[케일 마카]]가 1골 2어시스트 3포인트, [[가브리엘 란데스쿡]]도 운이지만 1골 추가하였다. 시작하자마자 무너져서 프레즈 선수들도 멘탈이 나갔는지 집중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콜리아노의 쇼트핸디드 골이나 마카의 골만 봐도 어이없는 실점으로 이어지며 점수차를 더욱 벌리도록 허용하는가 하면, 토마시노는 Too many men으로 패널티를 받았다. 안 되는 상황이니 일단 들이받고 보니 히트도 59번이나 했지만, 그만큼 상대에게 파워플레이가 돌아가면서 더더욱 불리한 위치에 서서 플레이 해버렸다. 프리뷰에서 언급했듯이 페널티 킬링이 뛰어난 것도 아니고... 뒤셴은 주전 골리 부재에 원정 경기에 크게 밀리는 압도되는 상황에서도 만회하는 2골을 넣어 셧아웃을 면하게 했지만, 주장인 [[로만 요지]] 유력한 제임스 노리스 메모리얼 트로피(James Norris Memorial Trophy ; 정규시즌 최우수 수비수 상) 후보라는 것이 무색하게도 24분동안 1블락 1히트 1턴오버 마진 -1을 기록하는데 그쳤다. ==== GAME 2 ==== ||
<-3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f263d, #a2aaad 50%, #236192)" [[NHL/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파일:2022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로고.png|width=50]]]][br]'''22.05.05 19:3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7|{{{#000000 MT}}}]] | [[볼 아레나|{{{#000000 볼 아레나}}}]]'''}}} || || '''TEAM''' || '''1st''' || '''2nd''' || '''3rd''' || '''OT''' ||'''TOTAL'''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3px 1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ight, #6f263d, #a2aaad 50%, #236192)" [[콜로라도 애벌랜치|[[파일:콜로라도 애벌랜치 로고.svg|width=50]]]]}}} ||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1''' || '''0''' || '''0''' || '''0''' || '''1'''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1''' || '''0''' || '''0''' || '''1''' || '''2''' || '''{{{-3 {{{#236192 Avs WIN}}}}}}''' || ||<-8> [[https://www.youtube.com/watch?v=3Ae2YzSVEbE&ab_channel=NHL|경기 하이라이트]] || {{{#!folding 경기 상세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ffffff GOAL}}}''' || || '''TEAM''' || '''GOAL''' || '''ASSIST''' || '''TIME''' || '''SHOT''' || '''TYPE''' || '''SCORE'''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네이선 매키넌]](3) || 에릭 존슨(1) || 1st 05:25 || Wrist Shot || - || 0-1 ||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야코프 트레닌(1) || [[로만 요지]](1)[br]알렉상드르 카리에(1) || 1st 15:19 || Wrist Shot || - || 1-1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케일 마카]](2) || 니코 슈투름(1)[br]다반 테이브즈(1) || OT 08:31 || Wrist Shot || Overtime Goal[br]Game Winning Goal || 1-2 || ----- ||
<-30>
'''{{{#ffffff Game Stats}}}''' || || '''TEAM''' || '''Shots on Goal''' || '''Faceoff%''' || '''Power Play''' || '''PIM''' || '''Hits''' || '''Blocks''' || '''Giveaways''' || '''Takeaways''' ||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26 || 55.9% || 0/4 || 8 || 57 || 34 || 3 || 7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51 || 44.1% || 0/4 || 8 || 53 || 10 || 5 || 9 || ----- ||
<-30>
'''{{{#ffffff SOG Per Period}}}''' || || '''TEAM''' || '''1st''' || '''2nd''' || '''3rd''' || '''OT''' || '''total''' ||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11 || 5 || 4 || 6 || 26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8 || 21 || 13 || 9 || 51 ||}}} ---- ||<-2> '''3 Stars of the Game''' || || '''1★''' ||[[파일:콜로라도 애벌랜치 로고.svg|width=50]] [[케일 마카]](Cale Makar) || || '''2★''' ||[[파일:내슈빌 프레더터스 로고.svg|width=50]] 코너 잉그램(Connor Ingram) || || '''3★''' ||[[파일:콜로라도 애벌랜치 로고.svg|width=50]] [[네이선 매키넌]](Nathan MacKinnon) || 3피리어드까지 41세이브 .976의 SV%를 보여준 코너 잉그램이 팀을 꾸역꾸역 연장전으로 끌고 갔지만, 결승골은 야속하게도 팀원에게서 나오지 않았다. 우승 확률이 가장 높다는 앱스를 상대로 NHL 첫 선발 풀타임을 치른 잉그램의 퍼포먼스는 여느 엘리트 골텐더에 꿀리지 않았다. 첫 실점도 히트로 퍽을 빼앗긴 후 텅 빈 측면을 통해 매키넌이 손쉽게 넣었고, 마지막도 공방전이 벌어졌지만 수비수들과 앱스 선수들 때문에 시야가 가리면서 수비하기가 어려웠다. 프레즈 라인은 정규시즌 상대전적의 우세가 무색하게도 열악한 득점 지원을 하면서 잉그램의 퍼포먼스를 빛바래게 하였다. ==== GAME 3 ==== ||
<-3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b81c, #ffffff 50%, #041e42)" [[NHL/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파일:2022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로고.png|width=50]]]][br]'''22.05.07 15:3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8|{{{#000000 CT}}}]] | [[브리지스톤 아레나|{{{#000000 브리지스톤 아레나}}}]]'''}}}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3px 1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ight, #6f263d, #a2aaad 50%, #236192)" [[콜로라도 애벌랜치|[[파일:콜로라도 애벌랜치 로고.svg|width=50]]]]}}}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2''' || '''3''' || '''2''' || '''7''' ||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1''' || '''2''' || '''0''' || '''3''' || '''{{{-3 {{{#236192 Avs WIN}}}}}}''' || ||<-8> [[https://www.youtube.com/watch?v=2eq5Vh20nUg&ab_channel=NHL|경기 하이라이트]] || {{{#!folding 경기 상세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ffffff GOAL}}}''' || || '''TEAM''' || '''GOAL''' || '''ASSIST''' || '''TIME''' || '''SHOT''' || '''TYPE''' || '''SCORE'''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아르투리 레코넨(2) || 다반 테이브즈(2)[br]사무엘 지라르(2) || 1st 10:45 || Deflected || Power Play Goal || 1-0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네이선 매키넌]](4) || [[가브리엘 란데스쿡]](2)[br][[케일 마카]](3) || 1st 16:08 || Deflected || Power Play Goal || 2-0 ||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맷 뒤셴]](3) || 루크 쿠닌(1)[br]알렉상드르 카리에(2) || 1st 17:37 || Wrist Shot || - || 2-1 ||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엘리 톨바넨(1) || 마티아스 에크홀름(1)[br]알렉상드르 카리에(3) || 2nd 05:41 || Snap Shot || Power Play Goal || 2-2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가브리엘 란데스쿡]](2) || [[미코 란타넨]](4)[br][[케일 마카]](4) || 2nd 10:58 || Backhand || Power Play Goal || 3-2 ||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로만 요지]](1) || 라이언 요한센(2)[br]미카엘 그란룬드(3) || 2nd 12:54 || Slap Shot || Power Play Goal || 3-3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가브리엘 란데스쿡]](3) || [[나젬 카드리]](2)[br]조쉬 맨슨(1) || 2nd 14:02 || Wrist Shot || Game Winning Goal || 4-3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나젬 카드리]](1) || - || 2nd 14:41 || Wrist Shot || Power Play Goal || 5-3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다반 테이브즈(2) || [[케일 마카]](5)[br][[가브리엘 란데스쿡]](3) || 3rd 09:33 || Slap Shot || - || 6-3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발레리 니추시킨(1) || [[미코 란타넨]](5)[br]에릭 존슨(2) || 3rd 17:14 || Wrist Shot || Empty Net || 7-3 || ----- ||
<-30>
'''{{{#ffffff Game Stats}}}''' || || '''TEAM''' || '''Shots on Goal''' || '''Faceoff%''' || '''Power Play''' || '''PIM''' || '''Hits''' || '''Blocks''' || '''Giveaways''' || '''Takeaways'''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42 || 51.7% || 4/5 || 6 || 46 || 21 || 6 || 10 ||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30 || 48.3% || 2/3 || 10 || 55 || 20 || 11 || 10 || ----- ||
<-30>
'''{{{#ffffff SOG Per Period}}}'''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11 || 19 || 12 || 42 ||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11 || 10 || 9 || 30 ||}}} ---- ||<-2> '''3 Stars of the Game''' || || '''1★''' ||[[파일:콜로라도 애벌랜치 로고.svg|width=50]] [[가브리엘 란데스쿡]](Gabriel Landeskog) || || '''2★''' ||[[파일:콜로라도 애벌랜치 로고.svg|width=50]] [[케일 마카]](Cale Makar) || || '''3★''' ||[[파일:콜로라도 애벌랜치 로고.svg|width=50]] [[나젬 카드리]](Nazem Kadri) || 2차전에서의 엄청난 퍼포먼스로, 승리한 앱스보다 더 주목받은 잉그램이 3차전에서는 35SV 6GA .854 SV%로 팀을 구원하지 못했다. 특히 파워플레이 골을 4번이나 허용하면서 PK에서도 어려움을 겪었다. 프레즈는 주요 수비수인 마크 보로비에츠키, 센터 닉 커즌스, 라이트윙어 마이클 맥카론까지 부상으로 출전하지 못하면서 전망이 더욱 어두워졌다. 앱스는 주장 [[가브리엘 란데스쿡]]이 멀티골과 4포인트 경기로 퍼스트 스타를 가져갔고, [[네이선 매키넌]]이 3경기 연속 골을 기록하며, 1996년 페테르 포르스베리(Peter Forsberg)와 1997년 클로드 르미외(Claude Lemieux)와 타이로 노르디크 드 케벡-애벌랜치 구단 프랜차이즈 역대 두 번째로 긴 플레이오프 연속 득점 경기를 만들어냈다.[* 1위는 노르딕스 시절인 1985년 미셸 굴레(Michel Goulet)가 기록한 '''5경기''' 연속 득점이다.] [[케일 마카]] 역시 3경기 2골 5어시스트로 무려 7포인트에 결승골과 OT골까지 기록하는 등 공수 양면에서 맹활약했다. 정규시즌 상대전적에서 크게 우위였던 프레즈는 주전 골텐더의 부상 악재에 추가적인 부상까지 겹치면서 in 4 스윕 위기에 처하고 말았다. ==== GAME 4 ==== ||
<-3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b81c, #ffffff 50%, #041e42)" [[NHL/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파일:2022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로고.png|width=50]]]][br]'''22.05.09 20:3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8|{{{#000000 CT}}}]] | [[브리지스톤 아레나|{{{#000000 브리지스톤 아레나}}}]]'''}}}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3px 1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ight, #6f263d, #a2aaad 50%, #236192)" [[콜로라도 애벌랜치|[[파일:콜로라도 애벌랜치 로고.svg|width=50]]]]}}}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1''' || '''1''' || '''3''' || '''5''' ||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1''' || '''1''' || '''1''' || '''3''' || '''{{{-3 {{{#236192 Avs WIN}}}}}}''' || ||<-8> [[https://www.youtube.com/watch?v=Q0AWtWjfkMs&ab_channel=NHL|경기 하이라이트]] || {{{#!folding 경기 상세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ffffff GOAL}}}''' || || '''TEAM''' || '''GOAL''' || '''ASSIST''' || '''TIME''' || '''SHOT''' || '''TYPE''' || '''SCORE'''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안드레 부라코프스키(1) || J.T. 콤퍼(1)[br]보웬 바이럼(1) || 1st 01:56 || Wrist Shot || - || 1-0 ||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야코프 트레닌(2) || 콜튼 시즌스(1) || 1st 18:59 || Wrist Shot || - || 1-1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케일 마카]](3) || J.T. 콤퍼(2) || 2nd 13:33 || Snap Shot || - || 2-1 ||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야코프 트레닌(3) || 콜튼 시즌스(2)[br]태너 자노(1) || 2nd 16:49 || Wrist Shot || - || 2-2 ||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필립 포르스베리(1) || 마티아스 에크홀름(2)[br][[맷 뒤셴]](1) || 3rd 03:58 || Wrist Shot || - || 2-3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다반 테이브즈(3) || 에릭 존슨(3)[br]안드레 부라코프스키(1) || 3rd 08:55 || Snap Shot || - || 3-3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발레리 니추시킨(2) || [[케일 마카]](6)[br]안드레 부라코프스키(2) || 3rd 12:02 || Snap Shot || Game Winning Goal || 4-3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네이선 매키넌]](5) || [[케일 마카]](7) || 3rd 19:04 || Wrist Shot || Power Play Goal[br]Empty Net || 5-3 || ----- ||
<-30>
'''{{{#ffffff Game Stats}}}''' || || '''TEAM''' || '''Shots on Goal''' || '''Faceoff%''' || '''Power Play''' || '''PIM''' || '''Hits''' || '''Blocks''' || '''Giveaways''' || '''Takeaways'''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38 || 47.0% || 1/2 || 4 || 46 || 20 || 4 || 5 ||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31 || 53.0% || 0/2 || 4 || 44 || 15 || 7 || 11 || ----- ||
<-30>
'''{{{#ffffff SOG Per Period}}}'''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 || '''[[콜로라도 애벌랜치|{{{#236192 COL}}}]]''' || 13 || 11 || 14 || 38 || || '''[[내슈빌 프레더터스|{{{#041e42 NSH}}}]]''' || 6 || 12 || 13 || 31 ||}}} ---- ||<-2> '''3 Stars of the Game''' || || '''1★''' ||[[파일:콜로라도 애벌랜치 로고.svg|width=50]] [[케일 마카]](Cale Makar) || || '''2★''' ||[[파일:콜로라도 애벌랜치 로고.svg|width=50]] 안드레 부라코프스키(Andre Burakovsky) || || '''3★''' ||[[파일:내슈빌 프레더터스 로고.svg|width=50]] 야코프 트레닌(Яков Тренин) || 앱스가 프레즈를 스윕하고 가장 먼저 2라운드에 선착하였다. 작년에 무릎꿇었던 운명의 2라운드 상대가 될 [[미네소타 와일드]] 또는 [[세인트루이스 블루스]]를 먼저 기다리는데, 두 팀 모두 앱스 이상의 화력을 가진데다가 블루스는 비닝턴과 후소, 와일드는 [[마르크앙드레 플뢰리]]라는 엘리트 골텐더가 수문장으로 버티고 있다. 와일드카드 상대가 스타스에게 프레즈로 바뀐 것처럼, 이번 시즌 운도 따라주는 만큼 2라운드도 수월하게 풀어나갈지, 아니면 또다시 2라운드에서 무릎 꿇을지... === C2 [[미네소타 와일드|{{{#024930 미네소타 와일드}}}]] VS [[세인트루이스 블루스|{{{#002f87 세인트루이스 블루스}}}]] C3 === ||<-8>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c1c4c9 50%, #000000)" [[NHL/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파일:2022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로고.png|width=50]]]][br]'''{{{#003e7e 2022 Stanley Cup Playoffs Western Conference 1st Round}}}[br][[미네소타 와일드|{{{#024930 C2 미네소타 와일드}}}]] VS [[세인트루이스 블루스|{{{#002f87 세인트루이스 블루스 C3}}}]]'''}}} || || '''GAME''' || '''TIME''' || '''PLACE''' || '''AWAY''' ||<-2> '''SCORE''' || '''HOME''' || || '''GAME 1''' || 5월 2일 20:3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8|CT]] ||<|2> [[엑셀 에너지 센터]]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4''' || '''0'''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 '''GAME 2''' || 5월 4일 20:3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8|CT]]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2''' || '''6'''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 '''GAME 3''' || 5월 6일 20:3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8|CT]] ||<|2> [[엔터프라이즈 센터]]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5''' || '''1'''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 '''GAME 4''' || 5월 8일 15:3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8|CT]]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2''' || '''5'''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 '''GAME 5''' || 5월 10일 20:3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8|CT]] || [[엑셀 에너지 센터]]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5''' || '''2'''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 '''GAME 6''' || 5월 12일 20:3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8|CT]] || [[엔터프라이즈 센터]]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1''' || '''5'''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 ~~'''GAME 7'''~~ || ~~5월 14일 TBD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8|CT]]~~ || ~~[[엑셀 에너지 센터]]~~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 ||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 간단 Preview ==== ||<-6> '''정규 시즌 상대 전적''' || || '''일자''' || '''원정''' ||<-2> '''점수''' || '''홈''' || '''비고''' || || 22.01.01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6''' || '''4'''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NHL 윈터 클래식]] || || 22.04.08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3''' || '''4'''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OT''' || || 22.04.16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5''' || '''6'''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OT''' || 이번 플레이오프에서 가장 빠르게 정해진 매치업. 둘은 올해 [[타깃 필드]]에서 [[NHL 윈터 클래식]]에서 맞붙었으며, 이 경기에서는 블루스가 화력을 앞세워 6:4로 승리하였다. 와일드가 상위 시드이긴하지만, 블루스가 와일드의 천적인지라 끝까지 가봐야 알 수 있는 매치업이라 볼 수 있다. * '''스케이터''' 이번 두 팀의 팀컬러는 역시 압도적인 화력인데, 두 팀이 맞붙은 4경기에서 합계 28골을 기록, 경기당 평균 7골이 터졌다. 블루스는 주포인 [[블라디미르 타라셴코]]가 34골, 타라셴코를 포함하여 무려 9명이 20골 이상을 기록하였다. 레인저스에서 영입한 파벨 부치네비치가 30골, 로버트 토마스가 57어시스트로 팀내 최다를 기록하였다. 블루스는 리그를 씹어먹을 정도의 스코어러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 누구나 골을 넣을 수 있는 공산하키를 선보이는 팀이라 할 수 있겠다. 와일드는 지난해 칼더 메모리얼 트로피(Calder Memorial Trophy)[*신인왕]를 수상한 [[키릴 카프리조프]]가 [[소포모어 징크스]]를 아랑곳하지 않고 2년차에 108포인트(47골 61어시스트)를 기록하는 괴물같은 활약으로 와일드 프랜차이즈 사상 첫 100포인트 선수가 되었다. 또한, 79포인트(24골 55어시스트)를 기록한 마츠 주카렐로와 65포인트(34골 31어시스트)를 기록한 라이언 하트먼에 카프리조프까지 이들 트리오가 기록한 105골은, 이번 시즌 와일드가 기록한 305골 중 1/3 이상을 차지하는 등 이들의 활약 여부에 따라 와일드의 존명이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골텐더''' 와일드는 트레이드 기한 직전에 노장으로서 [[시드니 크로스비]]-[[예브게니 말킨]]과 함께 펭귄스 우승의 영광을 누렸고, [[옐로로더|골든나이츠의 로열로더 신화를 거의 이룰 뻔했던]] [[마르크앙드레 플뢰리]]를 영입했다. 과거의 명성에 비하면 부족하긴 하지만, 와일드 이적 후 9승 2패, GAA(경기당 실점) 2.74, SV%(선방률) .910을 기록하며 와일드의 지구 2위 자리 굳히기에 큰 힘을 보탰다. 또한 백업 골리 캠 탤벗도 자극을 받았는지, 플러리의 이적 이후 11경기에서 8승 3OT, GAA 2.25, SV 0.925로 플러리 이상의 활약을 뽐내며 공격 뿐만 아니라 수비에서도 안방을 든든하게 지키고 있다. 2019 스탠리 컵 파이널 우승의 영웅인 조던 비닝턴이 백업 골리인 빌레 후소에게 자리를 빼앗기고 말았다. 비닝턴이 시즌 18승 14패 4OT에 GAA 3.13 SV% .901, 2022년부터는 9승 8패 1OT GAA 3.45 SV% .891로 이름값하지 못했다. 비닝턴이 고전하는 사이에 출장 기회를 더 부여받은 후소는 25승 7패 6OT GAA 2.56, SV% .919로 훨씬 나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플레이오프에서도 후소를 주전 골리로 내세울 것으로 보인다. * '''기타''' 와일드의 시즌 패널티 킬(상대의 파워플레이 상황에서 무실점으로 막는 것) 비율은 76.1%로 플레이오프 진출팀 중 최하위를 기록하였다. 아무래도 와일드 수비진 중 리그 탑급이 존재하지 않는 것도 큰 이유인데, 반면에 블루스의 파워플레이 골 성공율은 27%로 32개 팀 중 전체 2위에 올라있기 때문에 와일드는 이를 크게 신경 써야할 것이다. 또한, 와일드의 패널티 부여 횟수는 354회로 리그 전체 3위이므로 와일드 입장에서는 더욱 걱정이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블루스의 맥켄지 매키천과 스캇 페루노비치는 부상으로 출전이 어려울 것이다. ==== 와일드 예상 라인업 ==== ||<|4> '''{{{#e2d6b5 포워드}}}'''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97. [[키릴 카프리조프]]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38. 라이언 하트먼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5]] 36. 마츠 주카렐로 ||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5]] 22. 케빈 피알라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89. 프레데릭 고드로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12. 맷 볼디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18. 조던 그린웨이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14. 요엘 에릭손 에크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17. '''마커스 폴리뇨^^(A)^^'''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44. 니콜라 드슬로리에르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10. 타이슨 조스트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21. 브랜든 듀하임 || ||<|3> '''{{{#e2d6b5 디펜스}}}'''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5. 제이크 미들턴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46. '''제러드 스펄전^^(C)^^''' ||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25. 요나스 브로딘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24. '''맷 덤바^^(A)^^'''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4. 존 메릴 ||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7. 드미트리 쿨리코프 || || '''[[골텐더|{{{#e2d6b5 골텐더}}}]]'''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29. [[마르크앙드레 플뢰리]]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33. 캠 탤벗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틀:미네소타 와일드/로스터)] ==== 블루스 예상 라인업 ==== ||<|4> '''{{{#fcb514 포워드}}}'''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20. 브랜던 사드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90. '''라이언 오라일리^^(C)^^'''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57. 다비드 페홍 ||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89. 파벨 부치네비치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18. 로버트 토머스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91. '''[[블라디미르 타라셴코]]^^(A)^^''' ||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49. 이반 바르바쇼프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10. '''브레이든 셴^^(A)^^'''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25. 조던 카이로 ||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5]] 26. 네이선 워커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21. 타일러 보잭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22. 로건 브라운 || ||<|3> '''{{{#fcb514 디펜스}}}'''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6. 마르코 스칸델라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55. '''콜튼 파라이코^^(A)^^'''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4. 닉 레디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72. 저스틴 포크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47. 토리 크러그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41. 로버트 보르투조 || || '''[[골텐더|{{{#fcb514 골텐더}}}]]'''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5]] 35. 빌레 후소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50. 조던 비닝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틀:세인트루이스 블루스/로스터)] ==== GAME 1 ==== ||
<-3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24930, #e2d6b5 50%, #af1e24)" [[NHL/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파일:2022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로고.png|width=50]]]][br]'''22.05.02 20:3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8|{{{#000000 CT}}}]] | [[엑셀 에너지 센터|{{{#000000 엑셀 에너지 센터}}}]]'''}}}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3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ight, #002f87, #fcb514 50%, #002f87)" [[세인트루이스 블루스|[[파일:세인트루이스 블루스 로고.svg|width=50]]]]}}}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2''' || '''1''' || '''1''' || '''4'''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0''' || '''0''' || '''0''' || '''0''' || '''{{{-3 {{{#fcb514 Blues WIN}}}}}}''' || ||<-8> [[https://www.youtube.com/watch?v=iSaxrsx8CGk&ab_channel=NHL|경기 하이라이트]] || {{{#!folding 경기 상세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ffffff GOAL}}}''' || || '''TEAM''' || '''GOAL''' || '''ASSIST''' || '''TIME''' || '''SHOT''' || '''TYPE''' || '''SCORE'''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다비드 페홍(1) || 라이언 오라일리(1)[br]토리 크러그(1) || 1st 06:15 || Snap Shot || Power Play Goal[br]Game Winning Goal || 1-0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라이언 오라일리(1) || 저스틴 포크(1)[br]다비드 페홍(1) || 1st 15:56 || Wrist Shot || - || 2-0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다비드 페홍(2) || 브레이든 셴(1)[br]토리 크러그(2) || 2nd 16:30 || Wrist Shot || Power Play Goal || 3-0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다비드 페홍(3) || 토리 크러그(3)[br]브랜던 사드(1) || 3rd 12:34 || Wrist Shot || '''{{{#red Hat-trick}}}''' || 4-0 || ----- ||
<-30>
'''{{{#ffffff Game Stats}}}''' || || '''TEAM''' || '''Shots on Goal''' || '''Faceoff%''' || '''Power Play''' || '''PIM''' || '''Hits''' || '''Blocks''' || '''Giveaways''' || '''Takeaways'''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31 || 47.9% || 2/6 || 18 || 22 || 17 || 6 || 6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37 || 52.1% || 0/6 || 28 || 23 || 6 || 6 || 7 || ----- ||
<-30>
'''{{{#ffffff SOG Per Period}}}'''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12 || 10 || 9 || 31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14 || 14 || 9 || 37 ||}}} ---- ||<-2> '''3 Stars of the Game''' || || '''1★''' ||[[파일:세인트루이스 블루스 로고.svg|width=50]] 다비드 페홍(David Perron) || || '''2★''' ||[[파일:세인트루이스 블루스 로고.svg|width=50]] 빌레 후소(Ville Husso) || || '''3★''' ||[[파일:세인트루이스 블루스 로고.svg|width=50]] 토리 크러그(Torey Krug) || 두 팀의 정규 시즌 상대전적은 블루스가 3경기 모두 승리했으며, 2경기는 오버타임 접전 끝에 승리하였다. 와일드의 페널티 킬링 문제는 우려대로였다. 첫 번째 골 장면에서 정면에서의 오라일리의 샷을 잘 수비한 플러리였지만, 앞으로 반사된 퍽을 놓치지 않은 페홍이 파워플레이 '''1초를 남기고''' 골대로 밀어넣었다. 두 번째 골도 오라일리의 샷을 한 번 막았지만, 다시 한 번 반사된 퍽을 오라일리가 여유롭게 넣으면서 2:0 2피리어드 때도 브레이든 셴의 샷을 몸을 던져 막은 플러리였지만, 야속하게도 퍽이 또다시 페홍의 앞으로 갔고 페홍이 마무리하며 파워플레이 골을 만들어냈다. 3피리어드는 파워플레이 상황 종료 '''1초 뒤에'''~~아깐 1초 남기고 이번엔 1초 넘기고~~ 페홍이 또다시 마무리하면서 안방에서 베테랑인 플러리가 [[해트트릭]]을 허용하는 굴욕을 맞봐야했다. 후소와 비닝턴 골리 듀오는 훌륭하지만, 블루스의 전체적인 수비 능력은 진출 팀 중에서는 떨어지는 것을 생각해보면, 정규시즌 때는 날아다녔던 선수들이 무득점에 그치며 플러리에게 힘을 실어주지 못하고 1차전부터 안방에서 [[해트트릭]]까지 허용하는 것을 지켜보는 것은 기가 꺾일 만한 일이다. [[파일:스펄전 크로스체킹.gif|width=300&align=center]] 심지어, 주장인 스펄전이 부치네비치에게 고의성이 다분한 크로스체킹으로 $5,000의 벌금까지 부과되었다. [[파일:1라 블루스 와일드 패싸움.jpg|width=600&align=center]] 개막 4경기 모두 패싸움이 벌어졌다. 지는 마당에 뭐 이런거라도 보여줘야지... ==== GAME 2 ==== ||
<-3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24930, #e2d6b5 50%, #af1e24)" [[NHL/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파일:2022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로고.png|width=50]]]][br]'''22.05.04 20:3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8|{{{#000000 CT}}}]] | [[엑셀 에너지 센터|{{{#000000 엑셀 에너지 센터}}}]]'''}}}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ight, #024930, #e2d6b5 50%, #af1e24)" [[미네소타 와일드|[[파일:미네소타 와일드 로고.svg|width=50]]]]}}}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0''' || '''1''' || '''1''' || '''2'''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3''' || '''1''' || '''2''' || '''6''' || '''{{{-3 {{{#e2d6b5 Wild WIN}}}}}}''' || ||<-8> [[https://www.youtube.com/watch?v=q5Hk33ZxjMQ&ab_channel=NHL|경기 하이라이트]] || {{{#!folding 경기 상세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ffffff GOAL}}}''' || || '''TEAM''' || '''GOAL''' || '''ASSIST''' || '''TIME''' || '''SHOT''' || '''TYPE''' || '''SCORE'''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요엘 에릭손 에크(1) || 조던 그린웨이(1) || 1st 09:33 || Wrist Shot || - || 0-1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프레데릭 고드로(1) || 요나스 브로딘(1)[br]라이언 하트먼(1) || 1st 13:04 || Wrist Shot || Power Play Goal || 0-2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키릴 카프리조프]](1) || 요엘 에릭손 에크(1)[br]마츠 주카렐로(1) || 1st 19:06 || Deflected || Power Play Goal[br]Game Winning Goal || 0-3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요엘 에릭손 에크(2) || - || 2nd 00:51 || Deflected || - || 0-4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조던 카이로(1) || 로버트 토머스(1)[br][[블라디미르 타라셴코]](1) || 2nd 12:34 || Wrist Shot || Power Play Goal || 1-4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블라디미르 타라셴코]](1) || 파벨 부치네비치(1)[br]로버트 토머스(2) || 3rd 04:14 || Slap Shot || - || 2-4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키릴 카프리조프]](2) || 마츠 주카렐로(2) || 2nd 11:47 || TIp-In || - || 2-5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키릴 카프리조프]](3) || 라이언 하트먼(2)[br]요나스 브로딘(1) || 3rd 12:52 || Wrist Shot || Empty Net[br]'''{{{#red Hat-trick}}}''' || 2-6 || ----- ||
<-30>
'''{{{#ffffff Game Stats}}}''' || || '''TEAM''' || '''Shots on Goal''' || '''Faceoff%''' || '''Power Play''' || '''PIM''' || '''Hits''' || '''Blocks''' || '''Giveaways''' || '''Takeaways'''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34 || 50.8% || 1/5 || 12 || 39 || 10 || 4 || 2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28 || 49.2% || 2/3 || 16 || 21 || 20 || 6 || 5 || ----- ||
<-30>
'''{{{#ffffff SOG Per Period}}}'''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10 || 15 || 9 || 34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7 || 11 || 10 || 28 ||}}} ---- ||<-2> '''3 Stars of the Game''' || || '''1★''' ||[[파일:미네소타 와일드 로고.svg|width=50]] [[키릴 카프리조프]](Кирилл Капризов) || || '''2★''' ||[[파일:미네소타 와일드 로고.svg|width=50]] 요엘 에릭손 에크(Joel Eriksson Ek) || || '''3★''' ||[[파일:미네소타 와일드 로고.svg|width=50]] [[마르크앙드레 플뢰리]](Marc-André Fleury) || '''[[알렉산더 오베츠킨]]의 뒤를 이을 러시아 소코어러의 귀환''' 블루스에게 충격적인 셧아웃을 당했던 기억을 떨쳐내고 와일드의 득점 기계들이 활약을 펼치면서 6:2 승리를 거두며 정말 오랜만에 천적 블루스에게 승리를 거두었다.[* 블루스가 우승을 거뒀던 2019년 이래로 정규시즌 블루스 상대로 3승 13패.] 1피리어드 블루스의 수비수 보르투조가 부상으로 아웃되면서 측면 수비가 헐렁해졌고, 이를 놓치지 않은 와일드 라인이 맹공을 퍼부었다. 에크가 2골 1어시스트, 하트먼이 2어시스트, 고드로가 1골, 주카렐로가 2어시스트 등을 기록했지만, 돋보였던 것은 2년차 기대주 [[키릴 카프리조프]]의 [[해트트릭]]. [[알렉산더 오베츠킨]]과의 세대교체로 러시아인 득점기계로 기대받는 카프리조프는 그러한 팬들의 기대에 부응하면서 시리즈를 팀의 천적과의 시리즈 스코어를 1:1로 맞춰놓았다. 여담으로, 에크도 해트트릭을 넣고 기뻐했지만, 블루스의 오프사이드 챌린지로 무산되면서 아쉬움을 삼켜야 했다. 수비형 센터로 명망높던 에크의 득점력이 높아진 것도 와일드 입장에서는 고무되는 부분. 블루스는 안그래도 수비 자원이 뛰어난 편도 아닌데, 부상으로 아웃되는 불운을 겪었다. 타라셴코가 1골 1어시스트로 준수한 모습을 보여줬지만, 같은 러시아인 카프리조프의 퍼포먼스에 밀리지 않는 결과를 남겨야 할 것이다. ==== GAME 3 ==== ||
<-3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f87, #fcb514)" [[NHL/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파일:2022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로고.png|width=50]]]][br]'''22.05.06 20:3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8|{{{#000000 CT}}}]] | [[엔터프라이즈 센터|{{{#000000 엔터프라이즈 센터}}}]]'''}}}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6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ight, #024930, #e2d6b5 50%, #af1e24)" [[미네소타 와일드|[[파일:미네소타 와일드 로고.svg|width=50]]]]}}}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2''' || '''1''' || '''2''' || '''5'''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0''' || '''0''' || '''1''' || '''1''' || '''{{{-3 {{{#e2d6b5 Wild WIN}}}}}}''' || ||<-8> [[https://www.youtube.com/watch?v=vqcMO7DlQvM&ab_channel=NHL|경기 하이라이트]] || {{{#!folding 경기 상세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ffffff GOAL}}}''' || || '''TEAM''' || '''GOAL''' || '''ASSIST''' || '''TIME''' || '''SHOT''' || '''TYPE''' || '''SCORE'''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조던 그린웨이(1) || 요엘 에릭손 에크(2)[br]마커스 폴리뇨(1) || 1st 00:39 || Slap Shot || - || 1-0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키릴 카프리조프]](4) || 라이언 하트먼(3) || 1st 02:18 || Backhand || Game Winning Goal || 2-0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마츠 주카렐로(1) || [[키릴 카프리조프]](1)[br]재러드 스펄전(1) || 2nd 07:44 || Wrist Shot || - || 3-0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요엘 에릭손 에크(3) || 마커스 폴리뇨(2) || 3rd 00:22 || Wrist Shot || - || 4-0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라이언 오라일리(2) || 콜튼 파라이코(1) || 3rd 02:17 || Wrist Shot || Power Play Goal || 4-1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요나스 브로딘(1) || 라이언 하트먼(4) || 3rd 12:31 || Wrist Shot || Empty Net || 5-1 || ----- ||
<-30>
'''{{{#ffffff Game Stats}}}''' || || '''TEAM''' || '''Shots on Goal''' || '''Faceoff%''' || '''Power Play''' || '''PIM''' || '''Hits''' || '''Blocks''' || '''Giveaways''' || '''Takeaways'''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33 || 50.8% || 0/4 || 6 || 17 || 18 || 5 || 13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30 || 49.2% || 1/3 || 8 || 33 || 11 || 7 || 10 || ----- ||
<-30>
'''{{{#ffffff SOG Per Period}}}'''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12 || 10 || 11 || 33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14 || 8 || 8 || 30 ||}}} ---- ||<-2> '''3 Stars of the Game''' || || '''1★''' ||[[파일:미네소타 와일드 로고.svg|width=50]] [[키릴 카프리조프]](Кирилл Капризов) || || '''2★''' ||[[파일:미네소타 와일드 로고.svg|width=50]] [[마르크앙드레 플뢰리]](Marc-André Fleury) || || '''3★''' ||[[파일:미네소타 와일드 로고.svg|width=50]] 요엘 에릭손 에크(Joel Eriksson Ek) || 카프리조프가 해트트릭으로 기세를 탄 와일드의 공격은 경기 시작 2분여 만에 게임을 터뜨렸다. 시작 39초만에 그린웨이가 에크의 패스를 블락없이 슬랩샷으로 시원하게 꽂아넣었고, 약 2분 뒤에 카프리조프가 실패한 샷을 리바운드하여 아이싱 라인 뒤에서 걷어낸 퍽이 하필 후소의 스케이트 뒤축에 맞고 반사되어 골망을 흔들었다. 1차전에서 막혔던 혈이 뚫리기라도 한 듯, 주카렐로와 브로딘도 플레이오프 첫 골을 신고하고, 2차전에서 아쉽게 해트트릭 달성에 실패한 에크도 골을 하나 추가하였다. 블루스는 주장 오라일리가 만회하는 PPG를 넣어 겨우 안방에서 셧아웃을 면했다. 후소가 1차전에서 셧아웃한 이후, 연달아 부진한 데 반해, 플러리는 29세이브 .967 SV%로 세컨드 스타를 받았다. ==== GAME 4 ==== ||
<-3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f87, #fcb514)" [[NHL/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파일:2022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로고.png|width=50]]]][br]'''22.05.08 15:3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8|{{{#000000 CT}}}]] | [[엔터프라이즈 센터|{{{#000000 엔터프라이즈 센터}}}]]'''}}}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3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ight, #002f87, #fcb514 50%, #002f87)" [[세인트루이스 블루스|[[파일:세인트루이스 블루스 로고.svg|width=50]]]]}}}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1''' || '''0''' || '''1''' || '''2'''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1''' || '''2''' || '''2''' || '''5''' || '''{{{-3 {{{#fcb514 Blues WIN}}}}}}''' || ||<-8> [[https://www.youtube.com/watch?v=Qq8-smz98qk&ab_channel=NHL|경기 하이라이트]] || {{{#!folding 경기 상세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ffffff GOAL}}}''' || || '''TEAM''' || '''GOAL''' || '''ASSIST''' || '''TIME''' || '''SHOT''' || '''TYPE''' || '''SCORE'''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조던 카이로(2) || 파벨 부치네비치(2)[br]콜튼 파라이코(2) || 1st 04:19 || Wrist Shot || - || 0-1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키릴 카프리조프]](5) || 재러드 스펄전(2)[br]라이언 하트먼(5) || 1st 14:06 || Snap Shot || - || 1-1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다비드 페홍(4) || 라이언 오라일리(2)[br]스캇 페루노비치(1) || 1st 14:06 || Backhand || - || 1-2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조던 카이로(3) || 라이언 오라일리(3) || 2nd 11:24 || Backhand || GWG[*Game Winning Goal] || 1-3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맷 볼디(1) || 제이크 미들턴(1)[br]케빈 피알라(1) || 3rd 02:39 || Backhand || - || 2-3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다비드 페홍(5) || - || 3rd 18:02 || Wrist Shot || Empty Net || 2-4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라이언 오라일리(3) || 다비드 페홍(2)[br]저스틴 포크(2) || 3rd 19:00 || Wrist Shot || Power Play Goal || 2-5 || ----- ||
<-30>
'''{{{#ffffff Game Stats}}}''' || || '''TEAM''' || '''Shots on Goal''' || '''Faceoff%''' || '''Power Play''' || '''PIM''' || '''Hits''' || '''Blocks''' || '''Giveaways''' || '''Takeaways'''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30 || 42.6% || 0/4 || 10 || 20 || 15 || 5 || 15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34 || 57.4% || 1/4 || 10 || 21 || 10 || 8 || 9 || ----- ||
<-30>
'''{{{#ffffff SOG Per Period}}}'''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5 || 13 || 12 || 30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18 || 7 || 9 || 34 ||}}} ---- ||<-2> '''3 Stars of the Game''' || || '''1★''' ||[[파일:세인트루이스 블루스 로고.svg|width=50]] 조던 비닝턴(Jordan Binnington) || || '''2★''' ||[[파일:세인트루이스 블루스 로고.svg|width=50]] 조던 카이로(Jordan Kyrou) || || '''3★''' ||[[파일:세인트루이스 블루스 로고.svg|width=50]] 다비드 페홍(David Perron) || 후소가 와일드에게 2연패를 당하자, 비닝턴이 선발로 출장하여 28세이브 2GA .933 SV%로 흐름을 다시 블루스로 되돌려놓았다. 보르투조의 부상에 이어서 스칸델라까지 하체 통증으로 아웃되는 불상사로 스티븐 산티니(Steven Santini)를 급하게 콜업하였고, 스캇 페루노비치(Scott Perunovich) 역시 복귀하며 힘을 보탰다. 카이로가 부치네비치의 패스를 받아 선취득점으로 연결시켰지만, [[키릴 카프리조프]]가 플레이오프 다섯 번째 골로 동점을 이뤘다. 2피리어드 때 페홍의 샷이 플러리에 막혔지만, 플러리와 와일드의 마커스 폴리뇨와 엉킨 와중에 폴리뇨가 퍽을 골대로 밀어넣는 바람에 운좋게 득점하였다. 두 번째 득점에서 1분도 지나지 않아, 맷 덤바의 턴오버를 유도한 오라일리가 카이로에게 패스를 연결시켜 쐐기골을 박았다. 블루스는 닉 레디, 스칸델라, 보르투조까지 주전 수비수들의 연이은 부상으로 위험에 처했지만, 비닝턴의 뛰어난 퍼포먼스로 시리즈의 균형을 맞추는 데 성공하였다. 비닝턴은 마이크 류트(Mike Liut)와 그렉 밀런(Greg Millen)의 [[세인트루이스 블루스]] 프랜차이즈 플레이오프 최다 승(17승) 기록과 타이를 이뤘고, 감독 베뤼베 역시 브라이언 서터(Bryan Sutter)과 켄 히치콕(Ken Hitchcock)의 플레이오프 20승으로 [[세인트루이스 블루스]] 프랜차이즈 기록 공동 3위에 올랐다.[* 2위는 스카우 보우먼(Scotty Bowman), 1위는 전설적인 감독인 조엘 퀜빌(Joel Quenneville)의 34승.] ==== GAME 5 ==== ||
<-3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24930, #e2d6b5 50%, #af1e24)" [[NHL/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파일:2022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로고.png|width=50]]]][br]'''22.05.10 20:3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8|{{{#000000 CT}}}]] | [[엑셀 에너지 센터|{{{#000000 엑셀 에너지 센터}}}]]'''}}}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3px 1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ight, #002f87, #fcb514 50%, #002f87)" [[세인트루이스 블루스|[[파일:세인트루이스 블루스 로고.svg|width=50]]]]}}}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1''' || '''1''' || '''3''' || '''5'''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2''' || '''0''' || '''0''' || '''2''' || '''{{{-3 {{{#fcb514 Blues WIN}}}}}}''' || ||<-8> [[https://www.youtube.com/watch?v=AQImwYApho4&ab_channel=NHL|경기 하이라이트]] || {{{#!folding 경기 상세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ffffff GOAL}}}''' || || '''TEAM''' || '''GOAL''' || '''ASSIST''' || '''TIME''' || '''SHOT''' || '''TYPE''' || '''SCORE'''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라이언 오라일리(4) || 브레이든 셴(2)[br]스캇 페루노비치(2) || 1st 04:53 || Wrist Shot || Power Play Goal || 1-0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키릴 카프리조프]](6) || 재러드 스펄전(3)[br]케빈 피알라(2) || 1st 13:15 || Wrist Shot || Power Play Goal || 1-1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키릴 카프리조프]](7) || 케빈 피알라(3)[br]마츠 주카렐로(3) || 1st 17:07 || Snap Shot || Power Play Goal || 1-2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브랜던 사드(1) || 조던 카이로(1)[br]로버트 토머스(3) || 2nd 15:28 || Deflected || - || 2-2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블라디미르 타라셴코]](2) || 파벨 부치네비치(3)[br]저스틴 포크(3) || 3rd 01:03 || Wrist Shot || Game Winning Goal || 3-2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블라디미르 타라셴코]](3) || 이반 바르바쇼프(1)[br]저스틴 포크(4) || 3rd 02:31 || Wrist Shot || - || 4-2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블라디미르 타라셴코]](4) || 파벨 부치네비치(4) || 3rd 18:27 || Wrist Shot || Empty Net[br]'''{{{#red Hat-trick}}}''' || 5-2 || ----- ||
<-30>
'''{{{#ffffff Game Stats}}}''' || || '''TEAM''' || '''Shots on Goal''' || '''Faceoff%''' || '''Power Play''' || '''PIM''' || '''Hits''' || '''Blocks''' || '''Giveaways''' || '''Takeaways'''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32 || 50.0% || 1/2 || 4 || 19 || 21 || 4 || 4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32 || 50.0% || 2/2 || 4 || 25 || 17 || 7 || 4 || ----- ||
<-30>
'''{{{#ffffff SOG Per Period}}}'''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9 || 11 || 12 || 32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12 || 11 || 9 || 32 ||}}} ---- ||<-2> '''3 Stars of the Game''' || || '''1★''' ||[[파일:세인트루이스 블루스 로고.svg|width=50]] [[블라디미르 타라셴코]](Влади́мир Тарасе́нко) || || '''2★''' ||[[파일:세인트루이스 블루스 로고.svg|width=50]] 조던 비닝턴(Jordan Binnington) || || '''3★''' ||[[파일:미네소타 와일드 로고.svg|width=50]] [[키릴 카프리조프]](Кирилл Капризов) || '''두 러시안 슈터들의 득점 싸움''' 공격적인 수비자원이 많은 블루스에서, 수비에 중점을 두는 닉 레디(Nick Leddy)가 세 경기를 결장하고나서 복귀하였다. 2차전에서 부상으로 아웃되었던 보르투조 역시 무사히 복귀에 성공하였다. 적극적인 바디체킹은 많이 없어서 양 팀이 각각 두 번의 마이너 페널티를 받았고, 양 팀 모두 두 번의 파워플레이가 주어졌다. 선제골은 블루스의 주장 오라일리가 파워플레이 골을 만들어내며 여유롭게 선취점을 따냈다. 하지만, 이은 두 번의 파워플레이 상황을 얻은 와일드의 [[키릴 카프리조프]]가 모두 골을 만들어내면서 역전에 성공하였다. 카프리조프는 두 골을 추가하여 이번 플레이오프에서 벌써 '''7개'''의 골을 기록하였다. 사드가 카이로의 패스를 측면에서 살짝 밀어넣으며 블루스가 동점골을 만들어냈고, 3피리어드는 2차전을 제외하면 침묵을 유지하던 [[블라디미르 타라셴코]]가 개인 통산 두 번째 플레이오프 [[해트트릭]]을 달성하면서 블루스가 시리즈 리드를 가져갔다. 타라셴코가 개인 통산 두 번째 플레이오프 해트트릭을 기록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첫 번째 달성 기록도 2015년 '''1라운드'''에서 만났던 [[미네소타 와일드]]를 상대로 기록하였다.[* 시리즈는 [[미네소타 와일드]]가 4승 2패로 승리하면서 2라운드에 진출했었다.] 조던 비닝턴이 4차전에 이어서 30SV 2GA .938 SV%의 긍정적인 활약으로 개인 통산 플레이오프 18승을 달성하여, 그렉 밀런(Greg Millen)과 마이크 류트(Mike Liut)의 기록을 넘어 블루스 최고 기록을 달성하였다. ==== GAME 6 ==== ||
<-3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f87, #fcb514)" [[NHL/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파일:2022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로고.png|width=50]]]][br]'''22.05.12 20:3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8|{{{#000000 CT}}}]] | [[엔터프라이즈 센터|{{{#000000 엔터프라이즈 센터}}}]]'''}}}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3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ight, #002f87, #fcb514 50%, #002f87)" [[세인트루이스 블루스|[[파일:세인트루이스 블루스 로고.svg|width=50]]]]}}}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0''' || '''0''' || '''1''' || '''1'''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1''' || '''3''' || '''1''' || '''5''' || '''{{{-3 {{{#fcb514 Blues WIN}}}}}}''' || ||<-8> [[https://www.youtube.com/watch?v=jDaP9XrxMQo&ab_channel=NHL|경기 하이라이트]] || {{{#!folding 경기 상세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ffffff GOAL}}}''' || || '''TEAM''' || '''GOAL''' || '''ASSIST''' || '''TIME''' || '''SHOT''' || '''TYPE''' || '''SCORE'''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닉 레디(1) || 콜튼 파라이코(3) || 1st 14:59 || Wrist Shot || - || 0-1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라이언 오라일리(5) || 브레이든 셴(3)[br]다비드 페홍(3) || 2nd 09:26 || Snap Shot || Power Play Goal[br]GWG[*Game Winning Goal] || 0-2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타일러 보잭(1) || 알렉셰이 토로프첸코(1) || 2nd 13:25 || Wrist Shot || - ||01-3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블라디미르 타라셴코]](5) || 다비드 페홍(4)[br]스캇 페루노비치(3) || 2nd 18:36 || Wrist Shot || Power Play Goal || 0-4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맷 덤바(1) || 존 메릴(1)[br]드미트리 쿨리코프(1) || 3rd 06:25 || Slap Shot || - || 1-4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콜튼 파라이코(1) || - || 3rd 18:19 || Wrist Shot || Empty Net || 1-5 || ----- ||
<-30>
'''{{{#ffffff Game Stats}}}''' || || '''TEAM''' || '''Shots on Goal''' || '''Faceoff%''' || '''Power Play''' || '''PIM''' || '''Hits''' || '''Blocks''' || '''Giveaways''' || '''Takeaways'''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26 || 45.6% || 0/5 || 12 || 27 || 7 || 10 || 9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27 || 54.4% || 2/6 || 10 || 12 || 12 || 5 || 15 || ----- ||
<-30>
'''{{{#ffffff SOG Per Period}}}'''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 || '''[[미네소타 와일드|{{{#e2d6b5 MIN}}}]]''' || 10 || 5 || 11 || 26 || || '''[[세인트루이스 블루스|{{{#fcb514 STL}}}]]''' || 4 || 21 || 2 || 27 ||}}} ---- ||<-2> '''3 Stars of the Game''' || || '''1★''' ||[[파일:세인트루이스 블루스 로고.svg|width=50]] 라이언 오라일리(Ryan O'Reilly) || || '''2★''' ||[[파일:세인트루이스 블루스 로고.svg|width=50]] 조던 비닝턴(Jordan Binnington) || || '''3★''' ||[[파일:세인트루이스 블루스 로고.svg|width=50]] 다비드 페홍(David Perron) || 앞선 다섯 경기에서 7골을 넣었던 [[키릴 카프리조프]]가 6차전에서 팀을 구원해주지 못하면서, [[미네소타 와일드]]는 천적 [[세인트루이스 블루스]]에게 여지없이 막히면서 [[내슈빌 프레더터스]]에 이어 두 번째로 짐을 싸게 되었다. 이미 대세가 기운 상태가 되자, 와일드는 코너 듀어를 데뷔시켰다. 와일드의 골텐더 캠 탤벗(Cam Talbot)이 앞선 블루스전 선발 6경기에서 3패 3OT 5.06 GAA .825 SV%로 필패 성적을 찍은 반면, 오늘도 25SV 1GA .962의 SV%로 활약한 조던 비닝턴은 와일드전 통산 '''10승 1패 1OT 1.67 GAA .943 SV%'''의 성적을 기록하면서 와일드 선수들의 통곡의 벽을 자처했다. 와일드는 1라운드부터 천적 수준을 넘어선 블루스를 상대한 것이 불운이라 할 수도 있겠지만, 같은 지구 팀에게 호구잡혀선 우승을 바라보기 힘들다. 그나마 위안이라면, [[키릴 카프리조프]]가 플레이오프 무대에서는 침묵하는 새가슴이 아니라 팀을 이끌 에이스라는 사실을 확인한 것. 블루스는 한끼 식사인 와일드를 상대한 것이라도, 와일드 역시 화력이 좋은 팀임을 생각해보면 우려되던 수비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고, 정규 시즌에서 부진했던 비닝턴이 부활하는 계기를 만들어줌으로써 2라운드 상대인 [[콜로라도 애벌랜치]]의 무서운 스쿼드를 상대로 수호신으로 활약해주기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블루스가 과연, 작년의 복수를 할 수 있을 것인지? == 퍼시픽 디비전 == === P1 [[캘거리 플레임스|{{{#ce1126 캘거리 플레임스}}}]] VS [[댈러스 스타스|{{{#006847 댈러스 스타스}}}]] WC1 === ||<-8>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c1c4c9 50%, #000000)" [[NHL/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파일:2022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로고.png|width=50]]]][br]'''{{{#003e7e 2022 Stanley Cup Playoffs Western Conference 1st Round}}}[br][[캘거리 플레임스|{{{#ce1126 P1 캘거리 플레임스}}}]] VS [[댈러스 스타스|{{{#006847 댈러스 스타스 WC1}}}]]'''}}} || || '''GAME''' || '''TIME''' || '''PLACE''' || '''AWAY''' ||<-2> '''SCORE''' || '''HOME''' || || '''GAME 1''' || 5월 3일 20:0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7|MT]] ||<|2> [[스코샤뱅크 새들돔]]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0''' || '''1'''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 '''GAME 2''' || 5월 5일 20:0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7|MT]]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2''' || '''0'''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 '''GAME 3''' || 5월 7일 20:3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8|CT]] ||<|2>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2''' || '''4'''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 '''GAME 4''' || 5월 9일 20:3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8|CT]]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4''' || '''1'''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 '''GAME 5''' || 5월 11일 TBD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7|MT]] || [[스코샤뱅크 새들돔]]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1''' || '''3'''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 '''GAME 6''' || 5월 13일 20:3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8|CT]] ||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2''' || '''4'''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 '''GAME 7''' || 5월 15일 19:3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7|MT]] || [[스코샤뱅크 새들돔]]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2''' || '''3(OT)'''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 간단 Preview ==== ||<-6> '''정규 시즌 상대 전적''' || || '''일자''' || '''원정''' ||<-2> '''점수''' || '''홈''' || '''비고''' || || 21.11.04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4''' || '''3'''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OT''' || || 22.02.01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4''' || '''3'''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 || 22.04.21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2''' || '''4'''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 막차로 플레이오프에 진출 성공한 댈러스 스타스의 상대는 거의 99% 앱스가 될 것이었으나...프레즈가 서부 컨퍼런스 꼴찌 카이오티스에게 4:0 리드를 하고도 역전당하는 추태로 한 순간에 대전 상대가 바뀌어버렸다. 댈러스는 정규 시즌 46승 30패 6OT 98포인트를 기록했는데, 득실 마진 음수(-8)를 기록하고도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유일한 팀이다. 플레임스는 지난 시즌 캐나다 팀끼리 묶인 쉬운(?) 조에서도 5위에 그치면서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었다. 하지만, [[야콥 마르크스트룀]]의 커리어하이 달성과 탄탄한 수비진, [[매튜 커척]]-[[자니 고드로]] 등의 커리어 첫 100포인트 달성 등의 활약으로 퍼시픽 1위를 찍었다. 둘의 플레이오프 만남은 오래될 것도 없이, 2019-20시즌에 스타스가 1라운드에서 4승 2패로 플레임스를 누르고 스탠리 컵 파이널 준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애틀랜타]]에서 [[캘거리]]로 연고이전을 한 첫 시즌인 1981년에 [[댈러스 스타스]]의 전신 미네소타 노스 스타스가 4승 2패로 플레임스를 제압했었다. * '''스케이터''' 플레임스의 공수자원들이 단체로 각성한 한 해. [[자니 고드로]]는 종전 커리어하이였던 99포인트 및 36골을 넘어서 첫 40골&100포인트 달성에 성공하였다. 40골 75어시스트로 115포인트를 기록하며, [[코너 맥데이비드]](123포인트)에 이어서 [[조나탕 위베흐도]]와 공동 2위를 기록하였다. [[매튜 커척]] 역시 42골 62어시스트 104포인트로 첫 100포인트 달성에 성공하면서 커리어 하이를 경신했다. 둘의 득실 마진이 각각 '''64''', '''57'''인데, 둘 다 통산 마진이 85인 것을 생각해보면 엄청난 활약이 아닐 수 없다. 2018년 6월 23일 [[캐롤라이나 허리케인스]]와의 트레이드로 [[애덤 폭스]]와 더지 해밀턴을 넘기고 받은 엘리아스 린드홀름(Elias Lindholm)과 노아 하니핀(Noah Hanifin) 역시 핵심 선수로 자리잡으며, 린드홀름이 42골 40어시스트 82포인트 득실 마진 61, 하니핀이 10골 38어시스트 48포인트 득실 마진 27을 기록하였다. 전 경기 출장한 린드홀름의 경우 블록은 52개로 커리어하이를 경신했지만, 히트는 66개로 커리어하이 82경기 112개에 비하면 거의 80%이상 감소했다. 댈러스 스타스의 핵심 선수, [[조 파벨스키]]가 만 37세의 나이로 27골 54어시스트 81포인트로 포인트 득점 커리어하이를 경신했다. 루프 힌츠, 제이슨 로버슨, [[타일러 세귄]] 등과 함께 톱라인에 서게될 파벨스키는 리그 최고의 라다이렉팅 샷 장인이기도 해서 철통같이 수비하는 [[야콥 마르크스트룀]]에게 예상치 못한 일격을 문전에서 먹일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지난 시즌 칼더 메모리얼 트로피(Calder Memorial Trophy)[*신인왕] 최종 후보였던 로버슨이 41골 38어시스트 78포인트로 파벨스키에 이어서 두 번째로 높은 포인트 득점을 생산해냈고, 파워플레이골도 13개로 팀 최다를 기록하는 등 앞으로 스타스의 주포를 담당할 선수로 거듭나고 있다. 반면에, 간판 선수 [[타일러 세귄]]은 81경기 24골 25어시스트 49골에 그쳤고 마진도 -21로 커리어로우를 기록했다. 주장 제이미 벤 역시 18골 28어시스트 46포인트에, 득점 성공률도 9.9%로 2년 연속으로 10% 미만을 기록하였다. 그래도 지지난 시즌 팀을 파이널로 이끈 두 명이 플레이오프에서 경험을 살려 활약해주기를 기대해야 겠다. * '''골텐더''' [[플로리다 팬서스]]에 지명받았지만 정착에 실패했고, [[밴쿠버 커넉스]]에서는 몇년 만에 주전을 어렵게 차지했지만 갑툭튀한 대처 뎀코에 밀리면서 플레임스와 FA 계약을 맺었다. 지난 시즌 5위로 아쉽게 탈락하고 절치부심한 마크스트룀이 데뷔 10년이 더 지난 2021-22시즌에 와서야 기량이 만개하면서 모든 부문에서 커리어 하이를 썼다. 시즌 63경기 37승(리그 4위) 15패 9OT 2.22 GAA(리그 3위) .922 SV%(리그 3위)에 셧아웃 '''9회'''(리그 1위)를 기록하며 팀을 캐리했다. 마크스트룀 자신은 플레임스에서 지구 1위로 플레이오프 진출에 커리어하이까지 경신하는 겹경사를 누렸으나, 자신을 선택하지 않고 뎀코로 간 커넉스는 2년 연속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하고 감독까지 교체되는 등 침체되는 시간을 가지는 등 [[베이거스 골든 나이츠]] 확장 드래프트에서 [[마르크앙드레 플뢰리]]를 잡지 않았던 펭귄스 꼴이 날 거라는 커넉스 팬들의 우려가 현실이 되었으니 복쉬도 한 셈. 다만, 플레이오프 경험이 위의 2019-20시즌 14경기가 전부일 정도로 경험이 적다는 점은 걸리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제이크 오팅거는 23살이라는 젊은 나이로 팀의 주전을 꿰차서 30골 15패 1OT 2.53 GAA .914 SV%를 기록했다. 백업으로는 스캇 웨지우드가 8경기(7선발) 3승 1패 3OT 3.05 GAA .913 SV%를 기록했다. 또다른 백업 브레이든 홀트비는 캐피털스의 주전으로 활약했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마르크스트룀이 커넉스에서 이적할 때 대신 커넉스와 계약을 맺어 입단했었다. 다만, 홀트비는 부상으로 출전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기타''' [[댈러스 스타스]]는 1점차 승리가 '''28경기'''로 전체 46승의 절반이 훨씬 넘는다. 그래서 98포인트를 기록하고도 득실이 음수인건지... ==== 플레임스 예상 라인업 ==== ||<|4> '''{{{#f3bc52 포워드}}}'''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13. [[자니 고드로]]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28. 엘리아스 린드홀름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19. '''[[매튜 커척]]^^(A)^^'''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88. 앤드류 만지아파니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11. '''미카엘 바클룬드^^(A)^^'''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73. 타일러 토폴리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29. 딜런 뒤베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91. 칼레 얜크록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20. 블레이크 콜먼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17. 밀란 루치치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22. 트레버 르위스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24. 브렛 리치 || ||<|3> '''{{{#f3bc52 디펜스}}}'''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55. 노아 하니핀 ||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4. 라스무스 안데르손 ||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58. 올리베르 칠링턴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8. '''크리스토퍼 타네프^^(A)^^'''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44. 에릭 구드브랜슨 ||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16. 니키타 자도로프 || || '''[[골텐더|{{{#f3bc52 골텐더}}}]]'''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25. [[야콥 마르크스트룀]] || || [[파일:체코 국기.svg|width=25]] 80. 다니엘 블라다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틀:캘거리 플레임스/로스터)] ==== 스타스 예상 라인업 ==== ||<|4> '''{{{#8f8f8c 포워드}}}'''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21. 제이슨 로버슨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5]] 24. 로페이 힌츠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16. '''[[조 파벨스키]]^^(A)^^'''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14. '''제이미 벤^^(C)^^'''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91. '''[[타일러 세귄]]^^(A)^^'''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34. 데니스 구리야노프 ||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5]] 25. 요엘 키비란타 || [[파일:체코 국기.svg|width=25]] 12. 라덱 팍사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11. 루크 글렌드닝 ||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25]] 18. 미하엘 라플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92. 블라디슬라프 나몌스트니코프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5]] 47. 알렉산드르 라둘로프 || ||<|3> '''{{{#8f8f8c 디펜스}}}'''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20. 라이언 수터 ||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5]] 4. 미로 헤이스카넨 ||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5]] 23. 에사 린델 ||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3. 욘 클링베리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55. 토마스 할리 ||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5]] 2. 야니 하칸패 || || '''[[골텐더|{{{#8f8f8c 골텐더}}}]]'''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29. 제이크 오팅거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41. 스캇 웨지우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틀:댈러스 스타스/로스터)] ==== GAME 1 ==== ||
<-3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e1126, #f3bc52)" [[NHL/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파일:2022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로고.png|width=50]]]][br]'''22.05.03 20:0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7|{{{#000000 MT}}}]] | [[스코샤뱅크 새들돔|{{{#000000 스코샤뱅크 새들돔}}}]]'''}}}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ight, #ce1126, #f3bc52 50%, #ce1126)" [[캘거리 플레임스|[[파일:캘거리 플레임스 로고.svg|width=50]]]]}}}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0''' || '''0''' || '''0''' || '''0'''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1''' || '''0''' || '''0''' || '''1''' || '''{{{-3 {{{#f3bc52 Fire WIN}}}}}}''' || ||<-8> [[https://www.youtube.com/watch?v=KQgi-Ju2BpA&ab_channel=NHL|경기 하이라이트]] || {{{#!folding 경기 상세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ffffff GOAL}}}''' || || '''TEAM''' || '''GOAL''' || '''ASSIST''' || '''TIME''' || '''SHOT''' || '''TYPE''' || '''SCORE'''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엘리아스 린드홀름(1) || [[매튜 커척]](1)[br][[자니 고드로]](1) || 1st 05:01 || Wrist Shot || Power Play Goal[br]Game Winning Goal || 0-1 || ----- ||
<-30>
'''{{{#ffffff Game Stats}}}''' || || '''TEAM''' || '''Shots on Goal''' || '''Faceoff%''' || '''Power Play''' || '''PIM''' || '''Hits''' || '''Blocks''' || '''Giveaways''' || '''Takeaways'''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16 || 44.0% || 0/5 || 30 || 20 || 14 || 12 || 2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26 || 56.0% || 1/5 || 30 || 34 || 9 || 11 || 8 || ----- ||
<-30>
'''{{{#ffffff SOG Per Period}}}'''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3 || 10 || 3 || 16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11 || 9 || 6 || 26 ||}}} ---- ||<-2> '''3 Stars of the Game''' || || '''1★''' ||[[파일:캘거리 플레임스 로고.svg|width=50]] [[야콥 마르크스트룀]](Jacob Markström) || || '''2★''' ||[[파일:캘거리 플레임스 로고.svg|width=50]] 엘리아스 린드홀름(Elias Lindholm) || || '''3★''' ||[[파일:댈러스 스타스 로고.svg|width=50]] 제이크 오팅거(Jake Oettinger) || [[야콥 마르크스트룀]]이 플레이오프 첫 경기를 셧아웃으로 깔끔하게 승리하였다. 스타스는 플레임스의 적극적인 바디체킹으로 파워플레이를 많이 따냈음에도, 샷 조차 제대로 해보지 못했다. 차기 스타스의 소코어러로 활약해줄 것을 기대하는 로버슨도 18분동안 샷 1회에 그쳤다. ==== GAME 2 ==== ||
<-3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e1126, #f3bc52)" [[NHL/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파일:2022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로고.png|width=50]]]][br]'''22.05.04 20:0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7|{{{#000000 MT}}}]] | [[스코샤뱅크 새들돔|{{{#000000 스코샤뱅크 새들돔}}}]]'''}}}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3px 1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ight, #006847, #8f8f8c 50%, #000000)" [[댈러스 스타스|[[파일:댈러스 스타스 로고.svg|width=50]]]]}}}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1''' || '''0''' || '''1''' || '''2'''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0''' || '''0''' || '''0''' || '''0''' || '''{{{-3 {{{#8f8f8c Stars WIN}}}}}}''' || ||<-8> [[https://www.youtube.com/watch?v=4EGOercEiBQ&ab_channel=NHL|경기 하이라이트]] || {{{#!folding 경기 상세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ffffff GOAL}}}''' || || '''TEAM''' || '''GOAL''' || '''ASSIST''' || '''TIME''' || '''SHOT''' || '''TYPE''' || '''SCORE'''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조 파벨스키]](1) || [[제이슨 로버슨]](1) || 1st 07:47 || Tip-In || Game Winning Goal || 0-1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미하엘 라플(1) || [[타일러 세귄]](1)[br]야니 하칸패(1) || 3rd 18:51 || Wrist Shot || Empty Net || 0-2 || ----- ||
<-30>
'''{{{#ffffff Game Stats}}}''' || || '''TEAM''' || '''Shots on Goal''' || '''Faceoff%''' || '''Power Play''' || '''PIM''' || '''Hits''' || '''Blocks''' || '''Giveaways''' || '''Takeaways'''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23 || 57.4% || 0/2 || 14 || 36 || 20 || 8 || 3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29 || 42.6% || 0/3 || 12 || 35 || 5 || 21 || 8 || ----- ||
<-30>
'''{{{#ffffff SOG Per Period}}}'''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9 || 7 || 7 || 23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6 || 11 || 12 || 29 ||}}} ---- ||<-2> '''3 Stars of the Game''' || || '''1★''' ||[[파일:댈러스 스타스 로고.svg|width=50]] 제이크 오팅거(Jake Oettinger) || || '''2★''' ||[[파일:댈러스 스타스 로고.svg|width=50]] [[조 파벨스키]](Joe Pavelski) || || '''3★''' ||[[파일:캘거리 플레임스 로고.svg|width=50]] [[야콥 마르크스트룀]](Jacob Markström) || 이름이 같은(Jacob=Jake) 두 골리의 쓰리 스타즈의 위치가 1차전과 서로 바뀌었다. 오팅거가 1실점했음에도, 마르크스트룀이 셧아웃시켜버린 1차전과는 달리, 2차전에서는 반대로 마르크스트룀이 1실점하였지만, 오팅거가 플레임스를 셧아웃시켜버렸다. 오팅거가 29세이브 셧아웃, 마르크스트룀은 21세이브 .955의 SV%를 보여주었지만 정규 시즌 때 스탯 열심히 찍던 분들이 샷조차도 못하는 등 수비전 양상으로 경기가 흘러가고 있다. ==== GAME 3 ==== ||
<-3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847, #8f8f8c 50%, #000000)" [[NHL/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파일:2022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로고.png|width=50]]]][br]'''22.05.06 20:3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8|{{{#000000 CT}}}]] |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000000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3px 1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ight, #006847, #8f8f8c 50%, #000000)" [[댈러스 스타스|[[파일:댈러스 스타스 로고.svg|width=50]]]]}}}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1''' || '''1''' || '''0''' || '''2'''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1''' || '''1''' || '''2''' || '''4''' || '''{{{-3 {{{#8f8f8c Stars WIN}}}}}}''' || ||<-8> [[https://www.youtube.com/watch?v=lCYe0msTtmo&ab_channel=NHL|경기 하이라이트]] || {{{#!folding 경기 상세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ffffff GOAL}}}''' || || '''TEAM''' || '''GOAL''' || '''ASSIST''' || '''TIME''' || '''SHOT''' || '''TYPE''' || '''SCORE'''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라덱 팍사(1) || 에사 린델(1)[br]미로 헤이스카넨(1) || 1st 08:21 || Tip-In || - || 0-1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트레버 르위스(1) || 밀란 루치치(1)[br]니키타 자도로프(1) || 1st 13:45 || Wrist Shot || - || 1-1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엘리아스 린드홀름(2) || [[자니 고드로]](2)[br][[매튜 커척]](2) || 2nd 03:40 || Snap Shot || - || 2-1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조 파벨스키]](2) || 미로 헤이스카넨(2)[br]라이언 수터(1) || 2nd 11:41 || Wrist Shot || - || 2-2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조 파벨스키]](3) || 블라디미르 나몌스트니코프(1)[br]욘 클링베리(1) || 3rd 10:05 || Wrist Shot || Power Play Goal[br]Game Winning Goal || 2-3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루프 힌츠(1) || 야니 하칸패(2) || 3rd 19:59 || Wrist Shot || Empty Net || 2-4 || ----- ||
<-30>
'''{{{#ffffff Game Stats}}}''' || || '''TEAM''' || '''Shots on Goal''' || '''Faceoff%''' || '''Power Play''' || '''PIM''' || '''Hits''' || '''Blocks''' || '''Giveaways''' || '''Takeaways'''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41 || 47.5% || 0/4 || 19 || 23 || 25 || 11 || 7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32 || 52.5% || 1/4 || 19 || 44 || 20 || 14 || 3 || ----- ||
<-30>
'''{{{#ffffff SOG Per Period}}}'''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13 || 16 || 12 || 41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12 || 12 || 8 || 32 ||}}} ---- ||<-2> '''3 Stars of the Game''' || || '''1★''' ||[[파일:댈러스 스타스 로고.svg|width=50]] [[조 파벨스키]](Joe Pavelski) || || '''2★''' ||[[파일:댈러스 스타스 로고.svg|width=50]] 제이크 오팅거(Jake Oettinger) || || '''3★''' ||[[파일:댈러스 스타스 로고.svg|width=50]] 미로 헤이스카넨(Miro Heiskanen) || 오팅거가 3차전도 39SV 2GA .951 SV%의 활약으로 플레임스에게 역전승을 거두었다. 파벨스키는 동점골에 역전골 및 결승골까지 기록하면서 베테랑으로서 팀을 승리로 이끌었다. 또한, 이날의 결승골 기록으로 통산 플레이오프 결승골 14개로 이 부문 현역 1위에 올라섰다. 플레임스는 정규시즌에서는 아름다운 스탯을 찍어대던 라인 선수들이 젊은 골텐더의 활약에 가로막혀서 3경기 3득점에 그치면서 마르크스트룀을 도와주지 못하고 있다. ==== GAME 4 ==== ||
<-3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847, #8f8f8c 50%, #000000)" [[NHL/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파일:2022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로고.png|width=50]]]][br]'''22.05.08 20:3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8|{{{#000000 CT}}}]] |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000000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ight, #ce1126, #f3bc52 50%, #ce1126)" [[캘거리 플레임스|[[파일:캘거리 플레임스 로고.svg|width=50]]]]}}}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0''' || '''1''' || '''3''' || '''4'''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0''' || '''0''' || '''1''' || '''1''' || '''{{{-3 {{{#f3bc52 Fire WIN}}}}}}''' || ||<-8> [[https://www.youtube.com/watch?v=w4CfZE-LjeU&ab_channel=NHL|경기 하이라이트]] || {{{#!folding 경기 상세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ffffff GOAL}}}''' || || '''TEAM''' || '''GOAL''' || '''ASSIST''' || '''TIME''' || '''SHOT''' || '''TYPE''' || '''SCORE'''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라스무스 안데르손(1) || [[매튜 커척]](1)[br]타일러 토폴리(1) || 2nd 10:03 || Slap Shot || - || 1-0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자니 고드로]](1) || - || 3rd 07:47 || Backhand || Game Winning Goal || 2-0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엘리아스 린드홀름(3) || [[자니 고드로]](3)[br]노아 하니핀(1) || 3rd 11:53 || Wrist Shot || - || 3-0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타일러 세귄]](1) || [[조 파벨스키]](1)[br]루프 힌츠(1) || 3rd 15:03 || Snap Shot || Power Play Goal || 3-1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미카엘 바클룬드(1) || 칼레 얜크록(1)[br]트레버 르위스(1) || 3rd 19:38 || Wrist Shot || Empty Net || 4-1 || ----- ||
<-30>
'''{{{#ffffff Game Stats}}}''' || || '''TEAM''' || '''Shots on Goal''' || '''Faceoff%''' || '''Power Play''' || '''PIM''' || '''Hits''' || '''Blocks''' || '''Giveaways''' || '''Takeaways'''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54 || 56.2% || 1/5 || 14 || 29 || 12 || 11 || 4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35 || 43.8% || 1/6 || 12 || 29 || 25 || 13 || 5 || ----- ||
<-30>
'''{{{#ffffff SOG Per Period}}}'''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19 || 20 || 15 || 54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8 || 14 || 13 || 35 ||}}} ---- ||<-2> '''3 Stars of the Game''' || || '''1★''' ||[[파일:캘거리 플레임스 로고.svg|width=50]] [[자니 고드로]](Johnny Gaudreau) || || '''2★''' ||[[파일:댈러스 스타스 로고.svg|width=50]] 제이크 오팅거(Jake Oettinger) || || '''3★''' ||[[파일:캘거리 플레임스 로고.svg|width=50]] [[야콥 마르크스트룀]](Jacob Markström) || 4차전 역시 양 팀 골텐더의 치열한 공방전 끝에 플레임스가 시리즈 균형을 맞추었다. 만23세의 어린 오팅거가 50SV 3GA .943 SV%으로 50세이브를 하고도 팀의 미적지근한 득점지원에 패배했다. [[야콥 마르크스트룀]] 역시 34SV 1GA .971 SV%로 수문장 역할을 제대로 하였다. 대릴 서터 감독은 플레이오프 통산 '''91'''승을 거두면서 마이크 밥콕(Mike Babcock)을 넘어서 NHL 다승 7위에 올랐다. 또한, 플레이오프 통산 174경기로 마이크 키넌(Mike Keenan)을 넘어서 NHL 6위에 올랐다. ==== GAME 5 ==== ||
<-3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e1126, #f3bc52)" [[NHL/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파일:2022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로고.png|width=50]]]][br]'''22.05.10 TBD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7|{{{#000000 MT}}}]] | [[스코샤뱅크 새들돔|{{{#000000 스코샤뱅크 새들돔}}}]]'''}}}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ight, #ce1126, #f3bc52 50%, #ce1126)" [[캘거리 플레임스|[[파일:캘거리 플레임스 로고.svg|width=50]]]]}}}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0''' || '''1''' || '''0''' || '''1'''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0''' || '''0''' || '''3''' || '''3''' || '''{{{-3 {{{#f3bc52 Fire WIN}}}}}}''' || ||<-8> [[https://www.youtube.com/watch?v=ZmP8QIvGkWg&ab_channel=NHL|경기 하이라이트]] || {{{#!folding 경기 상세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ffffff GOAL}}}''' || || '''TEAM''' || '''GOAL''' || '''ASSIST''' || '''TIME''' || '''SHOT''' || '''TYPE''' || '''SCORE'''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제이슨 로버슨]](1) || 제이미 벤(1)[br]에사 린델(2) || 2nd 13:21 || Wrist Shot || - || 1-0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미카엘 바클룬드(2) || 앤드류 만지아파니(1)[br]블레이크 콜먼(1) || 3rd 06:49 || Wrist Shot || - || 1-1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앤드류 만지아파니(1) || 미카엘 바클룬드(1)[br]니키타 자도로프(1) || 3rd 10:38 || Wrist Shot || Game Winning Goal || 1-2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트레버 르위스(2) || [[자니 고드로]](4)[br]엘리아스 린드홀름(1) || 3rd 19:02 || Wrist Shot || Empty Net || 1-3 || ----- ||
<-30>
'''{{{#ffffff Game Stats}}}''' || || '''TEAM''' || '''Shots on Goal''' || '''Faceoff%''' || '''Power Play''' || '''PIM''' || '''Hits''' || '''Blocks''' || '''Giveaways''' || '''Takeaways'''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21 || 56.6% || 0/3 || 4 || 27 || 14 || 7 || 6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32 || 43.4% || 0/2 || 6 || 20 || 4 || 15 || 9 || ----- ||
<-30>
'''{{{#ffffff SOG Per Period}}}'''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7 || 9 || 5 || 21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7 || 9 || 16 || 32 ||}}} ---- ||<-2> '''3 Stars of the Game''' || || '''1★''' ||[[파일:캘거리 플레임스 로고.svg|width=50]] 미카엘 바클룬드(Mikael Backlund) || || '''2★''' ||[[파일:캘거리 플레임스 로고.svg|width=50]] 앤드류 만지아파니(Andrew Mangiapane) || || '''3★''' ||[[파일:캘거리 플레임스 로고.svg|width=50]] [[야콥 마르크스트룀]](Jacob Markström) || 양 팀의 골텐더 공방전이 시리즈 내내 이어졌고, 오늘은 마르크스트룀의 승리로 돌아갔다. 오팅거가 2피리어드까지는 완벽하게 눌렀지만, 최종 29SV 2GA .935 SV%를 기록하고도 샷 횟수부터 처참하게 밀리는 스타스의 공격진이 오팅거를 위해 선취점을 뽑는 것이 전부였다. 마르크스트룀은 20SV 1GA .952 SV%로 플레임스의 수호신을 자처했다. 양 팀의 골텐더가 이번 플레이오프에서 가장 뛰어난 퍼포먼스를 보이고 있지만, 스타스의 공격진 자체도 기회를 많이 얻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스타스가 캘거리 원정 세 경기에서 10번의 파워플레이 상황에서 단 하나의 골도 넣지 못할 정도로 플레임스의 수비도 단단한 것은 사실이지만, 오팅거의 부담을 덜어줄 득점지원이 부실한 것은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플레임스는 플레이오프 7전 4선승제에서 시리즈 스코어 2승 2패를 이은 5차전에서 7승 3패를 기록하였다. 그리고, 그 중 3경기는 6차전에서 승리하면서 끝내버렸다. 또한 플레임스가 이번 정규시즌에서 경기시각 40분이 지난 이후 역전승을 거둔 경기는 단 두 경기였는데, 그 중 하나가 스타즈 상대였다는 것. ==== GAME 6 ==== ||
<-3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847, #8f8f8c 50%, #000000)" [[NHL/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파일:2022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로고.png|width=50]]]][br]'''22.05.12 20:3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8|{{{#000000 CT}}}]] |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000000 아메리칸 에어라인스 센터}}}]]'''}}}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3px 1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ight, #006847, #8f8f8c 50%, #000000)" [[댈러스 스타스|[[파일:댈러스 스타스 로고.svg|width=50]]]]}}}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0''' || '''2''' || '''0''' || '''2'''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1''' || '''2''' || '''1''' || '''4''' || '''{{{-3 {{{#8f8f8c Stars WIN}}}}}}''' || ||<-8> [[https://www.youtube.com/watch?v=MyEeazzDP04&ab_channel=NHL|경기 하이라이트]] || {{{#!folding 경기 상세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ffffff GOAL}}}''' || || '''TEAM''' || '''GOAL''' || '''ASSIST''' || '''TIME''' || '''SHOT''' || '''TYPE''' || '''SCORE'''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루프 힌츠(2) || [[조 파벨스키]](2)[br][[제이슨 로버슨]](2) || 1st 14:52 || Wrist Shot || - || 0-1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미하엘 라플(2) || 요엘 키비란타(1) || 2nd 06:04 || Wrist Shot || - || 0-2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마이클 스톤(1) || [[자니 고드로]](5)[br][[매튜 커척]](4) || 2nd 08:09 || Tip-In || - || 1-2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미카엘 바클룬드(3) || 마이클 스톤(1)[br]라스무스 안데르손(1) || 2nd 11:59 || Slap Shot || - || 2-2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미로 헤이스카넨(1) || 라덱 팍사(1)[br]라이언 수터(2) || 2nd 17:32 || Wrist Shot || Game Winning Goal || 2-3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타일러 세귄]](2) || 루프 힌츠(2)[br]미하엘 라플(1) || 3rd 19:18 || Wrist Shot || Empty Net || 2-4 || ----- ||
<-30>
'''{{{#ffffff Game Stats}}}''' || || '''TEAM''' || '''Shots on Goal''' || '''Faceoff%''' || '''Power Play''' || '''PIM''' || '''Hits''' || '''Blocks''' || '''Giveaways''' || '''Takeaways'''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38 || 32.3% || 0/2 || 28 || 23 || 17 || 15 || 6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40 || 67.7% || 0/3 || 16 || 38 || 20 || 16 || 8 || ----- ||
<-30>
'''{{{#ffffff SOG Per Period}}}'''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18 || 9 || 11 || 38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10 || 17 || 13 || 40 ||}}} ---- ||<-2> '''3 Stars of the Game''' || || '''1★''' ||[[파일:댈러스 스타스 로고.svg|width=50]] 제이크 오팅거(Jake Oettinger) || || '''2★''' ||[[파일:캘거리 플레임스 로고.svg|width=50]] [[야콥 마르크스트룀]](Jacob Markström) || || '''3★''' ||[[파일:댈러스 스타스 로고.svg|width=50]] 미로 헤이스카넨(Miro Heiskanen) || 제이크 오팅거가 기복도 없이 오늘도 36SV 2GA .947의 스탯으로 팀을 7차전으로 이끌었다. [[조 파벨스키]]-[[타일러 세귄]]의 베테랑뿐만 아니라, 제이슨 로버슨-루프 힌츠 등 차세대 간판 스코어러들의 활약으로 오팅거를 받쳐주었다. ==== GAME 7 ==== ||
<-3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e1126, #f3bc52)" [[NHL/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파일:2022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로고.png|width=50]]]][br]'''22.05.14 19:3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7|{{{#000000 MT}}}]] | [[스코샤뱅크 새들돔|{{{#000000 스코샤뱅크 새들돔}}}]]'''}}} || || '''TEAM''' || '''1st''' || '''2nd''' || '''3rd''' || '''OT''' || '''TOTAL'''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ight, #ce1126, #f3bc52 50%, #ce1126)" [[캘거리 플레임스|[[파일:캘거리 플레임스 로고.svg|width=50]]]]}}}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1''' || '''1''' || '''0''' || '''0''' || '''2'''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0''' || '''2''' || '''0''' || '''1''' || '''3''' || '''{{{-3 {{{#f3bc52 Fire WIN}}}}}}''' || ||<-8> [[https://www.youtube.com/watch?v=RZNJeTZD9g0&ab_channel=NHL|경기 하이라이트]] || {{{#!folding 경기 상세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ffffff GOAL}}}''' || || '''TEAM''' || '''GOAL''' || '''ASSIST''' || '''TIME''' || '''SHOT''' || '''TYPE''' || '''SCORE'''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제이미 벤(1) || [[타일러 세귄]](2)[br]라이언 수터(3) || 1st 00:40 || Wrist Shot || - || 1-0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타일러 토폴리(1) || 올리베르 칠링턴(1)[br]마이클 스톤(2) || 2nd 01:46 || Tip-In || - || 1-1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블라디슬라프 나몌스트니코프(1) || [[조 파벨스키]](3)[br][[제이슨 로버슨]](3) || 2nd 02:17 || Wrist Shot || - || 2-1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매튜 커척]](1) || [[자니 고드로]](6)[br][[야콥 마르크스트룀]](1) || 2nd 08:44 || Wrist Shot || - || 2-2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자니 고드로]](2) || 엘리아스 린드홀름(2)[br][[매튜 커척]](5) || OT 15:09 || Wrist Shot || Overtime Goal[br]Game Winning Goal || 2-3 || ----- ||
<-30>
'''{{{#ffffff Game Stats}}}''' || || '''TEAM''' || '''Shots on Goal''' || '''Faceoff%''' || '''Power Play''' || '''PIM''' || '''Hits''' || '''Blocks''' || '''Giveaways''' || '''Takeaways'''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28 || 45.5% || 0/1 || 6 || 22 || 13 || 14 || 6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67 || 54.5% || 0/3 || 2 || 35 || 32 || 15 || 13 || ----- ||
<-30>
'''{{{#ffffff SOG Per Period}}}''' || || '''TEAM''' || '''1st''' || '''2nd''' || '''3rd''' || '''OT''' || '''total''' || || '''[[댈러스 스타스|{{{#8f8f8c DAL}}}]]''' || 8 || 4 || 11 || 5 || 28 || || '''[[캘거리 플레임스|{{{#f3bc52 CGY}}}]]''' || 17 || 26 || 9 || 15 || 67 ||}}} ---- ||<-2> '''3 Stars of the Game''' || || '''1★''' ||[[파일:캘거리 플레임스 로고.svg|width=50]] 미카엘 바클룬드(Mikael Backlund) || || '''2★''' ||[[파일:댈러스 스타스 로고.svg|width=50]] 제이크 오팅거(Jake Oettinger) || || '''3★''' ||[[파일:캘거리 플레임스 로고.svg|width=50]] [[야콥 마르크스트룀]](Jacob Markström) || [[파일:마르크스트룀 오팅거 성적.jpg|width=600&align=center]] 정규시즌에서 아름다운 스탯을 찍으며 퍼시픽 디비전 1위, 서부 컨퍼런스 2위로 팀을 플레이오프로 이끈 [[매튜 커척]]-[[자니 고드로]]-엘리아스 린드홀름이 오팅거라는 신예 골텐더에게 막히며 난관을 겪던 중 마침내 7차전에서 결정적인 득점으로 팀을 [[에드먼턴 오일러스|배틀 오브 앨버타를 기다리고 있는 팀]]을 만나러 2라운드로 보냈다. 경기 시작과 40초만에 주장 제이미 벤과 베테랑 [[타일러 세귄]], 라이언 수터가 선취점을 합작하면서 기분좋은 스타트를 끊었지만, 플레임스의 맹공 앞에 수비하기에 급급했다. 2피리어드에 타일러 토폴리가 동점골을 넣으면서 균형을 이루었는데, 토폴리는 개인 통산 7차전 7경기 4골 2어시스트 6포인트로 클린칭 게임에서 강한 면모를 여지없이 보여주었다. 동점골을 넣은 플레임스가 긴장이 풀렸는지, 30초만에 파벨스키의 패스를 받은 나메스트니코프가 재자 한 점 앞서나가는 골을 성공시켰다. 하지만, 8분 44초에 페널티 킬링에 성공한지 1초만에 [[매튜 커척]]에게 다시 동점골을 허용하였다. 동점이긴 하지만, 양 팀의 유효 슈팅은 1피리어드 종료 시점에서 8:17, 2피리어드 종료 이후에는 12:'''43'''으로 벌어져있었다. 마르크스트룀과 오팅거의 선방쇼로 경기는 앞선 레인저스-펭귄스 경기처럼 오버타임으로 향했고, 스타스의 샷이 여전히 30개도 못 넘고있는 와중에 플레임스는 종전 구단 플레이오프 단일 경기 최다 샷 기록(60개)를 넘어섰고, 마침내 무수한 샷을 막던 오팅거가 실점으로 주저앉으면서 플레임스가 겨우 진출에 성공하였다. 오팅거는 75분 9초 64SV 3GA .955의 SV%로 기복도 없이 시리즈 내내 보여주었던 철벽수비를 과시했지만, 한참 전성기를 맞아 커리어하이를 달성한 [[자니 고드로]]-[[매튜 커척]] 듀오와 달리, 아무리 잘한다해도 [[조 파벨스키]]-[[타일러 세귄]]의 베테랑 듀오는 나이의 한계상, 시간이 흐르면 흐를 수록 플레임스에 뒤지는 상황이 계속 이어졌고 결국 오팅거를 위한 득점을 해주지 못하고 짐을 싸게 되었다. [[파일:BOA댈러스.png|width=400&align=center]] 한편, 먼저 2라운드에 선착한 [[에드먼턴 오일러스]] 팬들은 배틀 오브 앨버타(Battle Of Alberta)냐, 하위 시드인 댈러스가 올라와서 홈 어드밴티지를 가져가느냐하는 여유로운 고민을 하였다. 그리고, 최고의 흥행(?) 매치 '''Battle Of Alberta''' 당첨! === P2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에드먼턴 오일러스}}}]] VS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로스앤젤레스 킹스}}}]] P3 === ||<-8>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c1c4c9 50%, #000000)" [[NHL/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파일:2022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로고.png|width=50]]]][br]'''{{{#003e7e 2022 Stanley Cup Playoffs Western Conference 1st Round}}}[br][[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P2 에드먼턴 오일러스}}}]] VS [[로스앤젤레스 킹스|{{{#000000 로스앤젤레스 킹스 P3}}}]]'''}}} || || '''GAME''' || '''TIME''' || '''PLACE''' || '''AWAY''' ||<-2> '''SCORE''' || '''HOME''' || || '''GAME 1''' || 5월 2일 20:0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7|MT]] ||<|2> [[로저스 플레이스]]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4''' || '''3'''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 '''GAME 2''' || 5월 4일 20:0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7|MT]]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0''' || '''6'''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 '''GAME 3''' || 5월 6일 19:0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6|PT]] ||<|2> [[크립토닷컴 아레나]]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8''' || '''2'''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 '''GAME 4''' || 5월 8일 19:0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6|PT]]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0''' || '''4'''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 '''GAME 5''' || 5월 10일 19:0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7|MT]] || [[로저스 플레이스]]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5(OT)''' || '''4'''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 '''GAME 6''' || 5월 12일 19:0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6|PT]] || [[크립토닷컴 아레나]]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4''' || '''2'''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 '''GAME 7''' || 5월 14일 20:0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7|MT]] || [[로저스 플레이스]]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0''' || '''2'''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 간단 Preview ==== ||<-6> '''정규 시즌 상대 전적''' || || '''일자''' || '''원정''' ||<-2> '''점수''' || '''홈''' || '''비고''' || || 21.12.05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5''' || '''1'''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 || 22.02.15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5''' || '''2'''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 || 22.03.30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3''' || '''4'''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SO''' || || 22.04.07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3''' || '''2'''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 [[로스앤젤레스 킹스|팀]]의 두 번의 스탠리 컵을 들어올린 1등 공신이자 [[원 클럽 플레이어|원 클럽 프랜차이즈 선수]], [[미국]] 국적의 명골텐더 [[조나단 퀵]]이 있는 킹스와 리그 최강의 공격 트리오 [[코너 맥데이비드]]-[[레온 드라이자이틀]]-[[라이언 뉴즌-홉킨스]]를 자랑하는 [[에드먼턴 오일러스]]의 맞대결. 오일러스는 시즌 초반 16승 5패 스타트를 끊었던 오일러스가 12월 맥데이비드가 미스컨덕트 받은 이후, 코로나-19 집단 감염 사태와 맞물려서 12월 3일에서 1월 20일까지 2승 11패 2OT라는 처참한 성적으로 지구 6위까지 떨어지는 굴욕을 겪었다. 새로운 감독 제이 우드크로프트(Jay Woodcroft)의 부임 이후에는 26승 9패 3OT로 순항하면서 퍼시픽 지구 2위에 안착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오일러스가 과연 지난 시즌 [[위니펙 제츠]]에게 1라운드에서 스윕당한 기억을 딛고, 맥데이비드가 우승에 다다를 수 있을 것인지는 모든 하키팬들의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킹스 역시 1승 5패 1OT로 스타트를 끊었지만, 이후 파격적인 7연승과 오일러스의 부진과 골든 나이츠의 줄부상을 틈타 치고 올라가며 지구 2~3위권을 다투는 자리까지 올라오는 데 성공하였다. 데뷔 16년차인 주장 안제 코피타르와 프랜차이즈 골리 [[조나단 퀵]]은 세 번째 반지를 찾으러 갈 수 있을 것인가? * '''스케이터''' 데뷔 7년차, 풀타임 주전 6년차에 접어들은 [[코너 맥데이비드]]가 정규시즌 44골 79어시스트로 123포인트를 득점하며 4번째 아트 로스 트로피(Art Ross Trophy)[* 득점왕]를 들어올리며 4번 이상 아트 로스 트로피를 수상한 역대 7번째 선수로 기록되었다. [[레온 드라이자이틀]] 역시 50골 클럽 반열에 들면서 시즌 55골 55어시스트로 110포인트를 기록하였다. 맥데이비드와 드라이자이틀이라는 두 명의 든든한 스코어러뿐만이 아니라서 오일러스의 득점 생산력은 가히 최고라고 할 수 있다. 반면에, 수비는 부주장 다넬 너스(Darnell Nurse)와 블랙호크스 왕조에서 활약한 노장 덩컨 키스(Duncan Keith) 정도가 있는데... 이외에 코디 세시(Cody Ceci), 에반 부샤흐(Evan Bouchard), 타이슨 배리(Tyson Barrie) 등이 있는데 득점 생산력은 뛰어나지만 수비는 영... 실제로 우드크로프트 체제 이후 화력은 증가했지만, 넣은 만큼 실점도 많은 편이었다. 킹스의 주장 안제 코피타르는, 상대 팀 주장 맥데이비드가 123포인트를 기록한 것의 절반 수준인 67포인트(19골 48어시스트)에 머물렀다. 키 플레이어는 시즌 35골로 커리어 하이를 달성한 아드리안 켐페(Adrian Kempe). 켐피는 만 25세의 나이로 시즌 7개의 결승골을 기록하는 등 팀의 해결사를 자처하고 있다. * '''골텐더''' 에드먼턴의 골리 마이크 스미스(Mike Smith)는 '''만 40세'''의 나이로 [[조나단 퀵]]보다도 노장이다. 스미스는 28경기 출장하여 16승 9패 2OT GAA(경기당 실점) 2.81, SV%(선방률) .915, 셧아웃 2회를 기록하였다. 4월 1일에서 26일까지 9경기 연속 승리를 거두었는데, 자크 플랑트(Jacques Plante)가 보유하고 있던 40세 이상 최다 연속 승리(9승) 기록과 타이를 기록하는 활약으로 정규시즌 마지막 4월 세컨드 스타에 선정되는 기염을 토했다. 스미스와 나누어서 출장하는 미코 코스키넨(Mikko Koskinen)은 45경기 27승 12패 4OT GAA 3.10, SV% .903, 셧아웃 1회를 기록하였다. 리그 엘리트급 골텐더 [[조나단 퀵]]이 팀을 4년만에 포스트시즌으로 이끌었다. 시즌 46경기 23승 13패 9OT GAA 2.59, SV% .910, 셧아웃 1회로 이름값을 생각해보면 아쉬운 성적이기는 하지만, 오일러스보다 우위인 요소 중 하나이다. 포스트시즌 통산 85경기 46승 39패 GAA 2.23, SV% .922, 셧아웃 9회로 포스트시즌 경험이 풍부하고 성적도 뛰어나다. 하지만, 4년 만의 포스트시즌 출장이고, 퀵의 노쇠화도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다. * '''기타''' 오일러스와 킹스는 허리케인스, 와일드와 함께 2피리어드까지 열세인 점수를 뒤집고 거둔 역전승이 7경기로 공동 3위에 올라있다.[* 1위는 [[플로리다 팬서스]]의 11경기, 2위는 [[콜럼버스 블루재키츠]]의 9경기] 킹스의 드류 다우티(Drew Doughty), 션 워커(Sean Walker), 미키 앤더슨(Mikey Anderson)은 부상으로 출전이 어렵다. ==== 오일러스 예상 라인업 ==== ||<|4> '''{{{#ff4c00 포워드}}}'''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91. [[에반더 케인]]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97. '''[[코너 맥데이비드]]^^(C)^^'''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5]] 13. 예세 풀리우예르비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18. 잭 하이먼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5]] 29. '''[[레온 드라이자이틀]]^^(A)^^'''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56. 카일러 야마모토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37. 워런 포글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93. '''[[라이언 뉴즌-홉킨스]]^^(A)^^'''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10. 데릭 라이언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71. 라이언 매클레오드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44. 잭 카시안 || ||<|3> '''{{{#ff4c00 디펜스}}}'''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25. 다넬 너스^^(A)^^'''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5. 코디 세시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2. 덩컨 키스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75. 에반 부샤흐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27. 브렛 쿨락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6. 크리스 러셀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22. 타이슨 배리 || || '''[[골텐더|{{{#ff4c00 골텐더}}}]]'''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41. 마이크 스미스 ||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5]] 19. 미코 코스키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틀:에드먼턴 오일러스/로스터)] ==== 킹스 예상 라인업 ==== ||<|4> '''{{{#acaea9 포워드}}}'''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22. 안드레아스 아사나시우 ||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width=25]] 11. '''안제 코피타르^^(C)^^'''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9. 아드리안 켐페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12. 트레버 무어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24. 필리프 다노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33. 빅토르 아르비드손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19. 알렉스 이아팔로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46. 블레이크 리조테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23. '''더스틴 브라운^^(A)^^''' ||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91. 칼 그룬드스트룀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55. 퀸튼 바이필드 ||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width=25]] 34. 아르투르 칼리예프 || ||<|3> '''{{{#acaea9 디펜스}}}'''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2. 알렉산데르 에들러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3. 맷 루아 ||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5]] 7. 토비아스 비왼포트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 50. 션 더지 ||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5]] 6. 올리 매태 ||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5]] 53. 조던 스펜스 || || '''[[골텐더|{{{#acaea9 골텐더}}}]]'''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32. [[조너선 퀵]]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5]] 40. 칼 피터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틀:로스앤젤레스 킹스/로스터)] ==== GAME 1 ==== ||
<-3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41e41, #ffffff 50%, #ff4c00)" [[NHL/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파일:2022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로고.png|width=50]]]][br]'''22.05.02 20:0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7|{{{#000000 MT}}}]] | [[로저스 플레이스|{{{#000000 로저스 플레이스}}}]]'''}}}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ight, #000000, #acaea9 50%, #000000)" [[로스앤젤레스 킹스|[[파일:로스앤젤레스 킹스 로고.svg|width=50]]]]}}}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2''' || '''1''' || '''1''' || '''4'''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1''' || '''2''' || '''0''' || '''3''' || '''{{{-3 {{{#acaea9 Kings WIN}}}}}}''' || ||<-8> [[https://www.youtube.com/watch?v=XEGCqvt9w7I&ab_channel=NHL|경기 하이라이트]] || {{{#!folding 경기 상세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ffffff GOAL}}}''' || || '''TEAM''' || '''GOAL''' || '''ASSIST''' || '''TIME''' || '''SHOT''' || '''TYPE''' || '''SCORE'''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트레버 무어(1) || 알렉스 이아팔로(1)[br]필리프 다노(1) || 1st 11:00 || Snap Shot || - || 1-0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알렉스 이아팔로(1) || 트레버 무어(1)[br]알렉산데르 에들러(1) || 1st 16:48 || Snap Shot || - || 2-0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코너 맥데이비드]](1) || 다넬 너스(1) || 1st 19:17 || Snap Shot || - || 2-1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카일러 야마모토(1) || 덩컨 키스(1)[br]에반 부샤흐(1) || 2nd 02:39 || Tip-In || Power Play Goal || 2-2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브랜든 르미외(1) || 아드리안 켐페(1) || 2nd 03:50 || Snap Shot || - || 3-2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레온 드라이자이틀]](1) || [[코너 맥데이비드]](1)[br]카일러 야마모토(1) || 2nd 09:56 || Snap Shot || Power Play Goal || 3-3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필리프 다노(1) || 션 더지(1)[br]트레버 무어(2) || 3rd 14:46 || Deflected || Game Winning Goal || 4-3 || ----- ||
<-30>
'''{{{#ffffff Game Stats}}}''' || || '''TEAM''' || '''Shots on Goal''' || '''Faceoff%''' || '''Power Play''' || '''PIM''' || '''Hits''' || '''Blocks''' || '''Giveaways''' || '''Takeaways'''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35 || 50.8% || 0/4 || 10 || 38 || 23 || 8 || 6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39 || 49.2% || 2/4 || 10 || 40 || 18 || 9 || 14 || ----- ||
<-30>
'''{{{#ffffff SOG Per Period}}}'''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16 || 4 || 15 || 35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13 || 16 || 10 || 39 ||}}} ---- ||<-2> '''3 Stars of the Game''' || || '''1★''' ||[[파일:로스앤젤레스 킹스 로고.svg|width=50]] 필리프 다노(Phillip Danault) || || '''2★''' ||[[파일:에드먼턴 오일러스 로고.svg|width=50]] 카일러 야마모토(Kailer Yamamoto) || || '''3★''' ||[[파일:로스앤젤레스 킹스 로고.svg|width=50]] 트레버 무어(Trevor Moore) || 개막 4경기 중에서는 가장 긴장감있던 경기였다. 감독 교체 이후 오일러스의 성적은 다시 비약적으로 올라갔지만, 수비가 재앙급이라는 지적을 받은 오일러스의 문제점도 달라지지 않았던 경기였다. 특히, 상대인 킹스의 공격력은 시즌 GF/G(경기당 득점)는 2.84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16팀 중 단연 '''꼴찌'''인데도 파워플레이도 아닌 상황에서도 허무하게 실점하는 상황이 반복되었다. 2:0으로 몰린 상황에서도 [[코너 맥데이비드]]가 '''혼자''' 4~5명을 뚫고 득점하는 환상적인 장면도 연출하고, 야마모토의 동점 골, [[레온 드라이자이틀]] 역시 동점골을 만들어내는 등 활약에도 고배를 들어야만 했다. 1경기에서 활약한 맥데이비드가 새가슴이라는 오명을 벗을 수 있을 지는 봐야하겠지만, 이런 수비로는 킹스보다 더 강한 팀이 즐비한 상위 라운드에서의 승리를 보장할 수 없으며, 당장 2라운드 진출도 확신할 수 없다. 수비 이외에도, 마이크 스미스가 4월에 보여준 퍼포먼스에 비하면 매우 아쉬운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파일:1라 오일러스 킹스 패싸움.jpg|width=600&align=center]] 개막 첫 날부터 전 경기에서 집단 싸움이 벌어졌다. ==== GAME 2 ==== ||
<-3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41e41, #ffffff 50%, #ff4c00)" [[NHL/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파일:2022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로고.png|width=50]]]][br]'''22.05.04 20:0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7|{{{#000000 MT}}}]] | [[로저스 플레이스|{{{#000000 로저스 플레이스}}}]]'''}}}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ight, #041e41, #ff4c00 50%, #041e41)" [[에드먼턴 오일러스|[[파일:에드먼턴 오일러스 로고.svg|width=50]]]]}}}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0''' || '''0''' || '''0''' || '''0'''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0''' || '''3''' || '''3''' || '''6''' || '''{{{-3 {{{#ff4c00 Oilers WIN}}}}}}''' || ||<-8> [[https://www.youtube.com/watch?v=oHV9sqp7Kws&ab_channel=NHL|경기 하이라이트]] || {{{#!folding 경기 상세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ffffff GOAL}}}''' || || '''TEAM''' || '''GOAL''' || '''ASSIST''' || '''TIME''' || '''SHOT''' || '''TYPE''' || '''SCORE'''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레온 드라이자이틀]](2) || 타이슨 배리(1)[br][[라이언 뉴즌-홉킨스]](1) || 2nd 01:22 || Slap Shot || Power Play Goal[br]Game Winning Goal || 0-1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다넬 너스(1) || [[코너 맥데이비드]](2) || 2nd 06:03 || Wrist Shot || Short-Handed Goal || 0-2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라이언 매클레오드(1) || 에반 부샤흐(2)[br]잭 카시안(1) || 2nd 16:05 || Tip-In || - || 0-3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에반더 케인]](1) || - || 3rd 03:02 || Slap Shot || - || 0-4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예세 풀리우예르비(1) || [[코너 맥데이비드]](3)[br][[에반더 케인]](1) || 3rd 03:23 || Wrist Shot || - || 0-5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에반더 케인]](2) || 에반 부샤흐(3)[br]라이언 매클레오드(1) || 3rd 11:35 || Snap Shot || Power Play Goal || 0-6 || ----- ||
<-30>
'''{{{#ffffff Game Stats}}}''' || || '''TEAM''' || '''Shots on Goal''' || '''Faceoff%''' || '''Power Play''' || '''PIM''' || '''Hits''' || '''Blocks''' || '''Giveaways''' || '''Takeaways'''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30 || 44.4% || 0/4 || 10 || 46 || 17 || 8 || 8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36 || 55.6% || 2/4 || 10 || 48 || 10 || 8 || 12 || ----- ||
<-30>
'''{{{#ffffff SOG Per Period}}}'''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14 || 9 || 7 || 30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12 || 19 || 5 || 36 ||}}} ---- ||<-2> '''3 Stars of the Game''' || || '''1★''' ||[[파일:에드먼턴 오일러스 로고.svg|width=50]] [[에반더 케인]](Evander Kane) || || '''2★''' ||[[파일:에드먼턴 오일러스 로고.svg|width=50]] 마이크 스미스(Mike Smith) || || '''3★''' ||[[파일:에드먼턴 오일러스 로고.svg|width=50]] [[코너 맥데이비드]](Connor McDavid) || '''오일러스가 보여줄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플레이''' [[코너 맥데이비드]]가 이끄는 강력한 공격 스쿼드의 압도적인 화력 + 바디체킹을 통한 수비 + 마이크 스미스~~할배~~의 선방쇼를 다 보여준 경기. 1차전에서는 아쉬운 모습과 에러를 저지른 스미스가 이번 경기에서는 환골탈태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30세이브 셧아웃을 기록했다. 유일하게 허용한 골도 오프사이드로 노골이 되며 셧아웃에 성공하였다. 명불허전의 화력은 엘리트 골텐더 [[조너선 퀵]]도 감당하지 못하면서 36샷 30세이브 6실점 .833 SV%라는 이름값에 못 미치는 기록을 남겨주었다. ==== GAME 3 ==== ||
<-3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acaea9 50%, #000000)" [[NHL/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파일:2022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로고.png|width=50]]]][br]'''22.05.06 19:0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6|{{{#000000 PT}}}]] | [[크립토닷컴 아레나|{{{#000000 크립토닷컴 아레나}}}]]'''}}}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ight, #041e41, #ff4c00 50%, #041e41)" [[에드먼턴 오일러스|[[파일:에드먼턴 오일러스 로고.svg|width=50]]]]}}}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2''' || '''3''' || '''3''' || '''8'''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0''' || '''2''' || '''0''' || '''2''' || '''{{{-3 {{{#ff4c00 Oilers WIN}}}}}}''' || ||<-8> [[https://www.youtube.com/watch?v=jNTNFQ8dSeE&ab_channel=NHL|경기 하이라이트]] || {{{#!folding 경기 상세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ffffff GOAL}}}''' || || '''TEAM''' || '''GOAL''' || '''ASSIST''' || '''TIME''' || '''SHOT''' || '''TYPE''' || '''SCORE'''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레온 드라이자이틀]](3) || [[코너 맥데이비드]](4)[br]에반 부샤흐(4) || 1st 03:50 || Wrist Shot || - || 1-0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잭 하이먼(1) || [[코너 맥데이비드]](5)[br]타이슨 배리(2) || 1st 06:07 || Tip-In || Power Play Goal || 2-0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에반더 케인]](3) || 코디 세시(1) || 2nd 06:27 || Backhand || Game Winning Goal || 3-0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잭 하이먼(2) || [[레온 드라이자이틀]](1) || 2nd 07:42 || Wrist Shot || - || 4-0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에반더 케인]](4) || 코디 세시(2)[br]예세 풀리우예르비(1) || 2nd 09:51 || Snap Shot || - || 5-0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안제 코피타르(1) || - || 2nd 10:07 || Backhand || - || 5-1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필리프 다노(2) || 아드리안 켐페(2)[br]안제 코피타르(1) || 2nd 17:29 || Backhand || Power Play Goal || 5-2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라이언 뉴즌-홉킨스]](1) || 잭 하이먼(1)[br]에반 부샤흐(5) || 3rd 14:19 || Snap Shot || - || 6-2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라이언 뉴즌-홉킨스]](2) || 조쉬 아치볼드(1)[br]데릭 라이언(1) || 3rd 15:40 || Tip-In || - || 7-2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에반더 케인]](5) || [[라이언 뉴즌-홉킨스]](2)[br]코디 세시(3) || 3rd 19:40 || Wrist Shot || '''{{{#red Hat-trick}}}''' || 8-2 || ----- ||
<-30>
'''{{{#ffffff Game Stats}}}''' || || '''TEAM''' || '''Shots on Goal''' || '''Faceoff%''' || '''Power Play''' || '''PIM''' || '''Hits''' || '''Blocks''' || '''Giveaways''' || '''Takeaways'''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37 || 51.6% || 1/3 || 12 || 35 || 20 || 10 || 4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46 || 48.4% || 1/4 || 20 || 42 || 17 || 4 || 3 || ----- ||
<-30>
'''{{{#ffffff SOG Per Period}}}'''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7 || 19 || 11 || 37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19 || 16 || 11 || 46 ||}}} ---- ||<-2> '''3 Stars of the Game''' || || '''1★''' ||[[파일:에드먼턴 오일러스 로고.svg|width=50]] [[에반더 케인]](Evander Kane) || || '''2★''' ||[[파일:에드먼턴 오일러스 로고.svg|width=50]] 잭 하이먼(Zach Hyman) || || '''3★''' ||[[파일:에드먼턴 오일러스 로고.svg|width=50]] [[코너 맥데이비드]](Connor McDavid) || 2차전에 이어서 퍼스트 스타를 받은 [[에반더 케인]]이 커리어 첫 플레이오프 해트트릭을 달성하는 활약으로 로스앤젤레스 원정에서 무자비한 화력을 뽐냈다. 리그 최고의 득점기계 듀오 맥데이비드와 드라이자이틀이 만들어낸 선취점을 시작으로, 케인과 하이먼, 뉴즌홉킨스가 돌아가면서 득점을 퍼부었고, 종료 20초 남기고 케인이 기어이 해트트릭 달성하며 원정 대승의 종지부를 찍었다. [[조나단 퀵]]은 그 이름에 어울리지 않는 아이스 타임 27분 40초 중 13세이브 4 GA, .765의 SV%로 물러났고, 대신 투입된 칼 피터슨도 16세이브 4 GAA .800의 SV%로 퀵보다는 조금 나은 성적을 거두는 데 그쳤다. 그 반면에 마이크 스미스는 44세이브 2GA .957 SV%로 2차전부터는 안정적인 경기 운영을 풀어나가고 있다. ==== GAME 4 ==== ||
<-3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acaea9 50%, #000000)" [[NHL/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파일:2022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로고.png|width=50]]]][br]'''22.05.08 19:0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6|{{{#000000 PT}}}]] | [[크립토닷컴 아레나|{{{#000000 크립토닷컴 아레나}}}]]'''}}}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ight, #000000, #acaea9 50%, #000000)" [[로스앤젤레스 킹스|[[파일:로스앤젤레스 킹스 로고.svg|width=50]]]]}}}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0''' || '''0''' || '''0''' || '''0'''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2''' || '''0''' || '''2''' || '''4''' || '''{{{-3 {{{#acaea9 Kings WIN}}}}}}''' || ||<-8> [[https://www.youtube.com/watch?v=hXcXlYbcAOo&ab_channel=NHL|경기 하이라이트]] || {{{#!folding 경기 상세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ffffff GOAL}}}''' || || '''TEAM''' || '''GOAL''' || '''ASSIST''' || '''TIME''' || '''SHOT''' || '''TYPE''' || '''SCORE'''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트레버 무어(2) || 필리프 다노(2)[br]칼 그룬드스트룀(1) || 1st 08:03 || Wrist Shot || Game Winning Goal || 0-1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트로이 스테처(1) || 알렉스 이아팔로(2)[br]블레이크 리조테(1) || 1st 14:03 || Tip-In || - || 0-2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칼 그룬드스트룀(1) || 트레버 무어(3) || 3rd 15:06 || Wrist Shot || - || 0-3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칼 그룬드스트룀(2) || 더스틴 브라운(1)[br]트로이 스테처(1) || 3rd 18:29 || Wrist Shot || Empty Net || 0-4 || ----- ||
<-30>
'''{{{#ffffff Game Stats}}}''' || || '''TEAM''' || '''Shots on Goal''' || '''Faceoff%''' || '''Power Play''' || '''PIM''' || '''Hits''' || '''Blocks''' || '''Giveaways''' || '''Takeaways'''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31 || 44.1% || 0/3 || 42 || 38 || 12 || 6 || 0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46 || 55.9% || 0/3 || 42 || 27 || 19 || 13 || 5 || ----- ||
<-30>
'''{{{#ffffff SOG Per Period}}}'''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10 || 8 || 13 || 31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20 || 14 || 12 || 46 ||}}} ---- ||<-2> '''3 Stars of the Game''' || || '''1★''' ||[[파일:로스앤젤레스 킹스 로고.svg|width=50]] [[조나단 퀵]](Jonathan Quick) || || '''2★''' ||[[파일:로스앤젤레스 킹스 로고.svg|width=50]] 트레버 무어(Trevor Moore) || || '''3★''' ||[[파일:로스앤젤레스 킹스 로고.svg|width=50]] 블레이크 리조테(Blake Lizotte) || 우리가 알던 [[로스앤젤레스]]의 수호신, [[조나단 퀵]]이 귀환했다. 퀵은 31SV 셧아웃으로 통산 10번 째 플레이오프 셧아웃 경기를 기록했다. 3차전에 출장하지 않았던 그룬드스트룀이 2골과 1어시스트로 3포인트로 맹활약했으며, 킹스는 오일러스에게서 페널티 유도를 적절하게 이용하였다.~~PPG는 못 넣었지만~~ 오일러스의 마이크 스미스~~옹~~도 42SV 3GA .933으로 좋은 활약에도 불구하고, 공격진이 킹스의 방어선과 수문장 퀵을 뚫어내지 못하면서 셧아웃당하고 홈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 GAME 5 ==== ||
<-3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41e41, #ffffff 50%, #ff4c00)" [[NHL/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파일:2022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로고.png|width=50]]]][br]'''22.05.10 19:0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7|{{{#000000 MT}}}]] | [[로저스 플레이스|{{{#000000 로저스 플레이스}}}]]'''}}} || || '''TEAM''' || '''1st''' || '''2nd''' || '''3rd''' || '''OT''' || '''TOTAL'''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ight, #000000, #acaea9 50%, #000000)" [[로스앤젤레스 킹스|[[파일:로스앤젤레스 킹스 로고.svg|width=50]]]]}}}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1''' || '''2''' || '''1''' || '''1''' || '''5'''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0''' || '''1''' || '''3''' || '''0''' || '''4''' || '''{{{-3 {{{#acaea9 Kings WIN}}}}}}''' || ||<-8> [[https://www.youtube.com/watch?v=bki-tBR905c&ab_channel=NHL|경기 하이라이트]] || {{{#!folding 경기 상세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ffffff GOAL}}}''' || || '''TEAM''' || '''GOAL''' || '''ASSIST''' || '''TIME''' || '''SHOT''' || '''TYPE''' || '''SCORE'''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트로이 스테처(2) || 알렉산데르 에들러(2) || 1st 03:53 || Slap Shot || - || 1-0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잭 카시안(1) || [[코너 맥데이비드]](6)[br]브렛 쿨락(1) || 2nd 02:32 || Snap Shot || - || 1-1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아드리안 켐페(1) || 안제 코피타르(2)[br]알렉스 이아팔로(3) || 2nd 09:29 || Wrist Shot || - || 2-1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안드레아스 아사나시우(1) || 더스틴 브라운(2) || 2nd 13:34 || Wrist Shot || - || 3-1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코너 맥데이비드]](2) || 잭 하이먼(2)[br][[레온 드라이자이틀]](2) || 3rd 02:50 || Backhand || Power Play Goal || 2-2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필리프 다노(3) || 아드리안 켐페(3)[br]션 더지(2) || 3rd 11:06 || Tip-In || Power Play Goal || 4-2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레온 드라이자이틀]](4) || - || 3rd 15:08 || Snap Shot || Short-Handed Goal || 4-3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레온 드라이자이틀]](5) || [[코너 맥데이비드]](7)[br][[라이언 뉴즌-홉킨스]](3) || 3rd 15:08 || Slap Shot || Power Play Goal || 4-4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아드리안 켐페(2) || 트로이 스테처(2) || OT 01:12 || Wrist Shot || Overtime Goal[br]Game Winning Goal || 5-4 || ----- ||
<-30>
'''{{{#ffffff Game Stats}}}''' || || '''TEAM''' || '''Shots on Goal''' || '''Faceoff%''' || '''Power Play''' || '''PIM''' || '''Hits''' || '''Blocks''' || '''Giveaways''' || '''Takeaways'''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43 || 47.0% || 1/5 || 10 || 31 || 30 || 12 || 9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28 || 53.0% || 2/3 || 14 || 42 || 15 || 21 || 20 || ----- ||
<-30>
'''{{{#ffffff SOG Per Period}}}''' || || '''TEAM''' || '''1st''' || '''2nd''' || '''3rd''' || '''OT''' || '''total'''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16 || 9 || 16 || 2 || 43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5 || 9 || 14 || 0 || 28 ||}}} ---- ||<-2> '''3 Stars of the Game''' || || '''1★''' ||[[파일:로스앤젤레스 킹스 로고.svg|width=50]] 아드리안 켐페(Adrian Kempe) || || '''2★''' ||[[파일:에드먼턴 오일러스 로고.svg|width=50]] [[코너 맥데이비드]](Connor McDavid) || || '''3★''' ||[[파일:에드먼턴 오일러스 로고.svg|width=50]] [[레온 드라이자이틀]](Leon Draisaitl) || 오일러스가 오버타임 패배로 또다시 1라딱 위기에 처했다. 득점 생산력 16개 팀 최하위 킹스를 상대로, 불필요한 턴오버와 페널티, 자동문 수비를 시전하면서 [[코너 맥데이비드]]와 [[레온 드라이자이틀]]이 멱살잡고 동점까지 만들어줬음에도 허무한 패배를 겪었다. 첫 실점부터 에들러의 슬랩샷을 블락없이 프리하게 날렸던게 막히긴 했지만, 스테처가 문전에서 받아먹는 걸 몇 명이 붙어서도 막지 못하였다. 두 번째 실점 역시, 덩컨 키스의 어이없는 패스가 알렉스 이아팔로에게 이어지며 턴오버로 곧바로 실점. 마지막 실점 역시 [[에반더 케인]]이 슬라이딩~~훔바~~하면서 퍽 제어권이 넘어갔고, 켐페가 측면에서 여유롭게 골. 더군다나, 케인은 2피리어드 때 불필요한 러핑을 3번이나 저지르면서 페널티만 3번 받았다. 파워플레이골을 먹히지는 않았다지만 오일러스가 드라이자이틀과 맥데이비드를 중심으로한 공격이 강점인데, 불필요한 페널티를 받아서 쇼트핸디드가 되면 공격 시간은 줄어들고 수비해야 하는 시간이 늘어난다는 것은 오일러스 입장에선 불리한 일을 자초한 것이다. 맥데이비드와 드라이자이틀이 파워플레이골 2개에 쇼트핸디드골까지 넣어 멱살잡고 동점 만들고 연장으로 끌고갔지만... ==== GAME 6 ==== ||
<-3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acaea9 50%, #000000)" [[NHL/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파일:2022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로고.png|width=50]]]][br]'''22.05.12 19:0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6|{{{#000000 PT}}}]] | [[크립토닷컴 아레나|{{{#000000 크립토닷컴 아레나}}}]]'''}}}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ight, #041e41, #ff4c00 50%, #041e41)" [[에드먼턴 오일러스|[[파일:에드먼턴 오일러스 로고.svg|width=50]]]]}}}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1''' || '''1''' || '''2''' || '''4'''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0''' || '''1''' || '''1''' || '''2''' || '''{{{-3 {{{#ff4c00 Oilers WIN}}}}}}''' || ||<-8> [[https://www.youtube.com/watch?v=Gp6Xoq7wxps&ab_channel=NHL|경기 하이라이트]] || {{{#!folding 경기 상세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ffffff GOAL}}}''' || || '''TEAM''' || '''GOAL''' || '''ASSIST''' || '''TIME''' || '''SHOT''' || '''TYPE''' || '''SCORE'''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코너 맥데이비드]](3) || [[에반더 케인]](2)[br]코디 세시(4) || 1st 01:40 || Wrap-around || - || 1-0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에반더 케인]](6) || 브렛 쿨락(2)[br]코디 세시(3) || 2nd 01:50 || Tip-In || - || 2-0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션 더지(1) || 아드리안 켐페(4)[br]안제 코피타르(3) || 2nd 13:59 || Slap Shot || Power Play Goal || 2-1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칼 그룬드스트룀(3) || 맷 루아(1)[br]미키 앤더슨(1) || 3rd 00:29 || Snap Shot || - || 2-2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타이슨 배리(1) || [[레온 드라이자이틀]](3)[br][[코너 맥데이비드]](8) || 3rd 14:50 || Snap Shot || Game Winning Goal || 3-2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에반더 케인]](7) || [[코너 맥데이비드]](9) || 3rd 19:00 || Wrist Shot || Empty Net || 4-2 || ----- ||
<-30>
'''{{{#ffffff Game Stats}}}''' || || '''TEAM''' || '''Shots on Goal''' || '''Faceoff%''' || '''Power Play''' || '''PIM''' || '''Hits''' || '''Blocks''' || '''Giveaways''' || '''Takeaways'''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37 || 55.4% || 0/1 || 8 || 26 || 14 || 6 || 0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32 || 44.6% || 1/4 || 2 || 30 || 13 || 11 || 1 || ----- ||
<-30>
'''{{{#ffffff SOG Per Period}}}'''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15 || 13 || 9 || 37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12 || 8 || 12 || 32 ||}}} ---- ||<-2> '''3 Stars of the Game''' || || '''1★''' ||[[파일:에드먼턴 오일러스 로고.svg|width=50]] [[코너 맥데이비드]](Connor McDavid) || || '''2★''' ||[[파일:로스앤젤레스 킹스 로고.svg|width=50]] 맷 루아(Matt Roy) || || '''3★''' ||[[파일:에드먼턴 오일러스 로고.svg|width=50]] 타이슨 배리(Tyson Barrie) || 또, 1라딱 위기를 맞은 오일러스는 수비의 주축 다넬 너스가 킹스의 필립 다노에 박치기를 시전한 것에 대한 제재로 한 경기 출장 불가라는 청천벽력과도 같은 소식을 통보받았다. 하지만, [[코너 맥데이비드]]가 1골 2어시스트 3포인트 경기로 팀을 7차전으로 이끌었다. 이 날 경기로 이번 플레이오프 12포인트를 기록하면서, 오일러스 사상 10번 째로 단일 플레이오프 10포인트 득점자가 된 것을 물론, 맥데이비드에게도 커리어하이 기록이다. [[레온 드라이자이틀]] 역시 골 없이 1어시스트를 기록했으나, 15번의 페이스오프 중 무려 11번을 이겨서 퍽 제어권을 가져왔으며, 그 1어시스트가 타이슨 배리의 결승골로 이어지는 결정적인 패스였다. 킹스는 2:0에서 2:2로 만들며 6차전에서 끝내버릴 기회가 생겼지만, 5분여를 남겨놓고 [[코너 맥데이비드]]→[[레온 드라이자이틀]]→타이슨 배리로 이어지는 결승골을 헌납하며 마지막 에드먼턴 원정을 떠나게 되었다. 킹스 주장 안제 코피타르는 개인 플레이오프 통산 48어시스트를 기록하면서, 뤽 호비텔(Luc Robitaille)과 타이기록로 킹스 프랜차이즈 공동2위에 올라섰다. 여담으로, 1위는 '''[[웨인 그레츠키]]'''의 '''65어시스트'''[* 개인 통산이 아니다! 전성기 지난 킹스에서만 기록한 것이다...]. ==== GAME 7 ==== ||
<-3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41e41, #ffffff 50%, #ff4c00)" [[NHL/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파일:2022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 로고.png|width=50]]]][br]'''22.05.14 20:00 [[시간대/각국의 시간대 #s-2.7|{{{#000000 MT}}}]] | [[로저스 플레이스|{{{#000000 로저스 플레이스}}}]]'''}}}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ight, #041e41, #ff4c00 50%, #041e41)" [[에드먼턴 오일러스|[[파일:에드먼턴 오일러스 로고.svg|width=50]]]]}}}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0''' || '''0''' || '''0''' || '''0'''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0''' || '''1''' || '''1''' || '''2''' || '''{{{-3 {{{#ff4c00 Oilers WIN}}}}}}''' || ||<-8> [[https://www.youtube.com/watch?v=Z-c1Gj7DNOk&ab_channel=NHL|경기 하이라이트]] || {{{#!folding 경기 상세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ffffff GOAL}}}''' || || '''TEAM''' || '''GOAL''' || '''ASSIST''' || '''TIME''' || '''SHOT''' || '''TYPE''' || '''SCORE'''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코디 세시(1) || [[코너 맥데이비드]](10)[br][[레온 드라이자이틀]](4) || 2nd 13:15 || Wrist Shot || Game Winning Goal || 0-1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코너 맥데이비드]](4) || 카일러 야마모토(2)[br]브렛 쿨락(3) || 3rd 16:07 || Backhand || - || 0-2 || ----- ||
<-30>
'''{{{#ffffff Game Stats}}}''' || || '''TEAM''' || '''Shots on Goal''' || '''Faceoff%''' || '''Power Play''' || '''PIM''' || '''Hits''' || '''Blocks''' || '''Giveaways''' || '''Takeaways'''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29 || 54.0% || 0/0 || 2 || 38 || 21 || 12 || 3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41 || 46.0% || 0/1 || 0 || 38 || 26 || 9 || 19 || ----- ||
<-30>
'''{{{#ffffff SOG Per Period}}}''' || || '''TEAM''' || '''1st''' || '''2nd''' || '''3rd''' || '''total''' || || '''[[로스앤젤레스 킹스|{{{#acaea9 LAK}}}]]''' || 7 || 11 || 11 || 29 || || '''[[에드먼턴 오일러스|{{{#ff4c00 EDM}}}]]''' || 10 || 24 || 7 || 41 ||}}} ---- ||<-2> '''3 Stars of the Game''' || || '''1★''' ||[[파일:에드먼턴 오일러스 로고.svg|width=50]] [[코너 맥데이비드]](Connor McDavid) || || '''2★''' ||[[파일:로스앤젤레스 킹스 로고.svg|width=50]] [[조나단 퀵]](Jonathan Quick) || || '''3★''' ||[[파일:에드먼턴 오일러스 로고.svg|width=50]] 마이크 스미스(Mike Smith) || 결국, 위기의 오일러스를 2라운드로 보낸 것은 [[코너 맥데이비드]]였다. 맥데이비드의 패스에 세시가 선제골을 넣고, 맥데이비드 자신이 킹스를 절망시키는 쐐기골을 박아넣으면서 마무리하였다. 맥데이비드는 이번 플레이오프 7경기동안 4골 10어시스트 14포인트로 경기당 2포인트 득점이라는 엄청난 활약을 하였다. NHL 플레이오프 1라운드 14포인트 기록은 1992년 마리오 르미외의 17포인트, 1987년 [[웨인 그레츠키]]의 15포인트에 이은 역대 세 번째 기록. 또한, 단일 플레이오프 시리즈에서 10어시스트 기록한 역대 네 번째 선수로 기록되었다.[* [[웨인 그레츠키]]가 '''4번'''이나 달성했고, 나머지 두 명은 폴 카피(Paul Coffey)와 마크 메시어(Mark Messier).] 과연, 맥데이비드가 이같은 활약을 이어갈 수 있을 것인지? 마이크 스미스 역시 시리즈 두 번째 셧아웃으로 시리즈의 마지막을 장식하였다. 이 셧아웃으로 스미스는 1998년 [[콜로라도 애벌랜치]]전의 커티스 조셉(Curtis Joseph) 이후 역대 두 번째로 7차전 셧아웃을 달성한 오일러스 선수가 되었다. 한편, 석패로 탈락한 만 37세의 킹스 부주장 더스틴 브라운은 플레이오프 시작 전 이번 시즌을 마지막으로 은퇴한다고 발표했기 때문에 커리어 마지막 경기가 되었다. [[조나단 퀵]]도 선수생활 황혼기에 접어든 만큼 플레이오프 기회가 다시 올 것인지는 알 수 없게 되었다. [각주] [[분류:2022년 스탠리 컵 플레이오프]][[분류:캘거리 플레임스]][[분류:콜로라도 애벌랜치]][[분류:댈러스 스타스]][[분류:에드먼턴 오일러스]][[분류:로스앤젤레스 킹스]][[분류:미네소타 와일드]][[분류:내슈빌 프레더터스]][[분류:세인트루이스 블루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