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NIJ [[방탄복]]의 [[방어력]] 테스트에 대해 상당한 권위와 공신력을 가진 인증 절차. [[미국 법무부]] 산하 연구소에 의한 NIJ 표준은 실제 [[총탄]]에 대한 방탄력을 규정한 표준이다. 이러한 NIJ표준에 의한 테스트는 총탄의 종류, [[구경#s-2]], [[장약]]의 양, 총탄의 속도등을 명확히 규정하여 진행함으로서 방탄제품의 [[실탄]] 방탄력에 대한 표준으로 대부분의 국가에서 공인되고 있다. NIJ 인증은 NIJ 표준 0101.06에 의거, Level 1[* 보통 Level 1은 빼고 Level 2A부터 설명한다.]부터 Level 4까지 각각의 방어력 레벨을 테스트를 통해 부여하며, 이 제품이 극한의 상황에서 어느정도의 성능을 유지하는지, 그리고 수명은 어느 정도나 되는지 등 종합적인 테스트를 거친다. 각각 다른 위치에 맞는다고 가정했을 때 최소한 6발을, 제조 이후 6년간 막아낼 수 있는 기능을 가져야 아래 인증 등급을 획득할 수 있다. [[7.62×54mmR]] 탄을 맞고도 벌떡 일어나서 도망칠 수 있는 [[미군]]용 [[드래곤 스킨]] 방탄복도 기능유지기간에 의문점이 있어 레벨 3를 획득하지 못한 상태. 그만큼 엄격한 인증으로, 방탄복 성능과 관련해서는 가장 공신력이 있다. [[https://cjtec.org/compliance-testing-program/compliant-product-lists/?fbclid=IwAR2AokvgwzvK7Dkx3RdSIW1spV3VBPlJ7AJgwC9TWLTnthLAI4cd3dPXRtE|다음 링크에서 공식 인증된 제품을 찾아 볼수있다]] == 인증레벨 == * '''Level I''' (1) .22 LR의 HV(High Velocity) 40gr(2.6g)의 탄속은 1050ft/s(320m/s), .38 special 158gr(10.2g)의 탄속은 850ft/s(259m/s)이므로, 이걸 방호해야함. [[방탄복]]이라고 말하기에는 좀 민망한 방어력인지라[* 오리털 파카에 가죽옷을 입으면 그게 NIJ Level 1이다. 그만큼 등급이 낮다는 말.] 자주 사용하지 않으며 보통 Level I 은 빼고 말한다. * '''Level IIA''' (2A) [[9×19mm 파라벨럼]] 124gr(8.0g) FMJ 탄속 1225ft/s(373m/s)[* 파라벨럼 FMJ의 탄속이 약 380m/s로, 막을 수 있느냐 없느냐에 대해서 논쟁이 많다.] .40 S&W 180gr(11.7g) FMJ 탄속 1155ft/s(352m/s). 이 정도 수준을 방호해야함. 이 부분부터, [[민간인]]이 어느정도는 값싸게 구입할수 있는 최소한의 보호용인 케블라 경방탄복이다.[* 군용 방탄복 내피의 방호력이다.] * '''Level II''' (2) 9×19mm 파라벨럼 124gr(8.0g) FMJ 탄속 1305ft/s, [[.45 ACP]] 230gr(15.3g) FMJ 탄속 1055ft/s(331m/s), [[.357 매그넘|.357 Magnum]] 124gr(8.0g) JSP 탄속 1340ft/s(408m/s). 이 정도 수준을 방호해야함. 웃기게도 [[제2차 세계 대전]]기 당시 [[미군]]들이 쓰던 [[M1 철모]]의 방호력이 대표적으로 이에 해당하며, [[나치 독일]]의 [[독일 국방군]]과 [[슈츠슈타펠]]이 쓰던 [[슈탈헬름]] 계통 [[철모]]들이 딱 이쯤에 들어가는 물건이다.[* 놀랍게도 M40, M35 철모 모두 .45 ACP를 막아냈다.] * '''Level IIIA''' (3A) 357 SIG 124gr(8.2g) FMJ 탄속 1470ft/s(448m/s), [[.44 Magnum]] 240gr(15.6g) SJHP 탄속 1430ft/s(436m/s)을 방호해야함. 현용 [[방탄모]]와 소프트 아머들의 최대 방어 수준이다. 거의 대부분의 실용 권총탄을 방어해낼 수 있는 정도이다. * '''Level III''' (3) [[7.62×51mm NATO]] M80 148gr(9.6g) FMJ 탄속 2780ft/s(847m/s)을 방호해야함. 군용 소총탄 방어에 필요한 평균 수준. 현용 [[방탄복]]은 방탄판을 삽입하지 않으면 이 레벨을 충족하지 못한다. [[대한민국 국군]]도 이 레벨급의 방탄복을 기본으로 채용하고 있다. * '''Level IV''' (4) [[.30-06 스프링필드]][* [[M1 개런드]] 등에 사용된 소총탄. [[7.62×51mm NATO]]의 선조라 할 수 있으며, 사실상 7.62mm NATO탄은 30-06을 약간 줄인 것이다.] M2 [[철갑탄]] 166gr(10.8g). 탄속 2880ft/s(878m/s)을 방호해야함. 현용 방탄복 방호력의 최대 수준이며 [[7.62mm]] 급 [[저격총]]에 쓰이는 [[철갑탄]]을 방호할 수 있는 수준이다. == 왜 인증을 받나? == 예를 들어 [[컴퓨터]]가 엄청난 고사양인데, 약간의 습기나 먼지로 인해 사용한지 두세달만에 성능이 떨어지면 곤란하지 않겠는가? 때문에 [[공산품]]에는 인증이 필요한 것이다. 실제로도 단순히 조립만 하는 [[대기업]]의 [[PC]]조차도 자체적인 인증 실험이 있다. 사실 제조사 인증은 제조사 입맛대로 바꾸기 때문에 모든 [[전자제품]]들은 '''국가'''에서 [[KC 인증]]을 받은 제품만 판매가 가능하며, 컴퓨터 같은 전자제품은 [[전파인증]]을 따로 받아야 한다. 컴퓨터야 고장나면 안 쓰면 그만이지만, '''방탄복은 착용자의 목숨과 직결된다.''' 때문에 방탄복은 [[사막]]의 열기와 직사광선, 혹한의 [[추위]], [[비(날씨)|비]]와 [[신체]]에서 나오는 [[땀]] 등의 영향에도 수년간 방탄성능이 보장되는지, 그리고 이 방탄성능의 보증기간이 몇년정도인지를 확실히 해둬야 한다. [[잉탄복]]은 이 NIJ인증을 받겠다고 주장하다가 이후 여론 물타기를 시도하며 말을 바꿔대서 사기라는 것이 드러나 더욱 까였다. == 타국의 방탄복 방어력 표준 == * [[러시아]]: GOST-R 50744-95령에 의거, 개발하여 미국 NIJ보다 좀더 세분화되어있다. 그래서 클래스 1부터 클래스 '''6''' 다시 말해 [[12.7×108mm]] 방호 규격까지 있다! 그러나 클래스 6에 도달한 [[방탄복]]은 [[2020년]] 기준 아직까진 없으며 일부 [[진압 방패|방탄 방패]]만 클래스 6에 부합하는 제품이 종종 있는 수준이다. 최근 [[미국]] 방탄복 회사의 신형 방탄복 중 일부가 사격 테스트에서 12.7mm 탄을 '''막는것 자체는 성공한''' 케이스는 나오기 시작했지만 해당 인증을 받지 못하고 제작사에서도 아직 개발중이라고 하는것을 보면, 입사각이나 온도의 차이, 또는 물/오염물이 뭍은 상태나 차탄 방호 능력 등 실전에 필요한 일부 기준 충족이 아직 달성하지 못한것으로 보인다. * [[영국]], [[프랑스]]: HOSDB Body Armor Standards 2007 * [[독일]]: Technische Richtlinie March 2008 * [[중국]]: GA141-2010 * [[유럽연합]]: VPAM ||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파일:as-VPAM-1-14-vs-B1-B7.jpg|width=100%]]}}} || || '''VPAM''' || VPAM은 Vereinigung der Prüfstellen für angriffshemmende Materialien und Konstruktionen (Association of Centers for Certification of Bullet-resistant Materials and Constructions)의 줄임말이며, B1~B7 체계는 유럽표준화위원회의 분류체계 European standards EN 1522 / EN 1063에 의한 구분법이다. 보통 B1~B7 체계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그 이유는 민간에서 구하기 쉬운 탄약 체계가 B7급까지라서이다. 그 이상은 군용에 가깝다. 민간에선 구하기 어렵다.[* 당장 위의 표에서 보이는 B7이상의 탄약과 무기들을 민간인이 구할수 있을까 생각해보자.] 그렇기 때문에 더 강력한 방탄체계를 홍보하고 싶을때에만 VPAM 체계를 사용하고, 이외에는[* 특히 총기가 합법이고, 그만큼 VIP 방탄차량 시장이 활성화된 [[미국]]의 경우] 대부분 B7을 표기하거나 좀 더 강력하다면 B7+[* 실제로는 없는 체계다. 일종의 6성급 호텔 같은 표현] 정도까지만 표기하고 있다. [[분류:갑주]][[분류:표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