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dddddd '''{{{+1 NOMAD {{{#C11B17 메갈로 복스 2}}}}}}''' (2021)[br]NOMAD {{{#C11B17 メガロボクス 2}}}[br]{{{#C11B17 MEGALOBOX 2:}}} NOMA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메갈로복스2_애니키비주얼.jpg|width=100%]]}}} || ||<-2> {{{#ffffff,#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11B17,#dddddd 장르}}}''' ||[[격투]], [[복싱]] || || '''{{{#ffffff,#dddddd 원작}}}''' ||「[[내일의 죠]]」[br]{{{-4 ([[카지와라 잇키|타카모리 아사오]](高森朝雄), [[치바 테츠야]](ちばてつや) / [[코단샤]] 간행)}}} || || '''{{{#C11B17,#dddddd 감독}}}''' ||<|2>[[모리야마 요우]] || || '''{{{#ffffff,#dddddd 컨셉 디자인}}}''' || || '''{{{#C11B17,#dddddd 각본}}}''' ||마나베 카츠히코(真辺克彦)[br]코지마 켄사쿠(小嶋健作) || || '''{{{#ffffff,#dddddd 캐릭터 디자인}}}''' ||[[쿠라시마 아유미]] || || '''{{{#C11B17,#dddddd 서브 캐릭터 디자인}}}''' ||카네다 나오미(金田尚美) || || '''{{{#ffffff,#dddddd 총 작화감독}}}''' ||카네다 나오미[br]하치자키 켄지(八崎健二) || || '''{{{#C11B17,#dddddd 기어 디자인}}}''' ||[[교부 잇페이]] || || '''{{{#ffffff,#dddddd 미술 감독}}}''' ||코노 지로(河野次郎) || || '''{{{#C11B17,#dddddd 미술 감독 보좌}}}''' ||코가 토오루(古賀 徹) || || '''{{{#ffffff,#dddddd 미술}}}''' ||스튜디오 유니(スタジオ・ユニ) || || '''{{{#C11B17,#dddddd 색채 설계}}}''' ||우타가와 리츠코(歌川律子) || || '''{{{#ffffff,#dddddd 촬영 감독}}}''' ||아카오 에미(赤尾英美) || || '''{{{#C11B17,#dddddd 촬영}}}''' ||T2studio || || '''{{{#ffffff,#dddddd 오프라인 편집}}}''' ||이마이 다이스케(今井大介) || || '''{{{#C11B17,#dddddd 음향 감독}}}''' ||미요시 케이이치로(三好慶一郎) || || '''{{{#ffffff,#dddddd 음향 효과}}}''' ||쿠라하시 히로무네(倉橋裕宗) || || '''{{{#C11B17,#dddddd 음향 제작}}}''' ||[[도호쿠신사]] || || '''{{{#ffffff,#dddddd 음악}}}''' ||mabanua || || '''{{{#C11B17,#dddddd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이와사키 카즈요시(岩崎和義)[br]오오카와라 켄(大河原 健)[br]카네코 요시오(金子義雄) || || '''{{{#ffffff,#dddddd 프로듀서}}}''' ||후지요시 미야코(藤吉美那子)[br]아베 켄고(阿部研吾)[br]츠치야 준이치로(土屋潤一郎) || || '''{{{#C11B17,#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TMS 엔터테인먼트]] || || '''{{{#ffffff,#dddddd 제작}}}''' ||메갈로 복스 2 프로젝트 || || '''{{{#C11B17,#dddddd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21년 4월|2021. 04. 04.]] ~ 2021. 06. 27. || || '''{{{#ffffff,#dddddd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도쿄 MX]] / (일) 23:0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투니버스]] / (금) 00:00 || || '''{{{#C11B17,#dddddd 스트리밍}}}''' ||[[Laftel]] [[https://laftel.net/item/40427|▶]][br][[TVING]] [[https://www.tving.com/contents/P001464281|▶]][br][[네이버 시리즈온]] [[https://serieson.naver.com/v2/broadcasting/446773|▶]] || || '''{{{#ffffff,#dddddd 편당 러닝타임}}}''' ||24분 || || '''{{{#C11B17,#dddddd 화수}}}''' ||13화 || || '''{{{#ffffff,#dddddd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2 {{{#373a3c (폭력성, 선정성)}}}}}} || || '''{{{#C11B17,#dddddd 관련 사이트}}}''' ||[[http://megalobox.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joe50_megalobox)] || }}}}}}}}}}}} || [목차] [clearfix] == 개요 == [[내일의 죠]] 50주년 기념으로 만들어진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시리즈 [[메갈로 복스]]의 제2기. 감독은 [[메갈로 복스(애니메이션 1기)|1기]]와 동일한 [[모리야마 요우]]. == 공개 정보 == 세계적인 히트에 힘입어 2019년 11월, 시즌 2의 발표가 있었다. 작품 진행 시점은 시즌 1에서 7년 후가 될 것으로 보이며, 시즌 1에서 어린이로 나왔던 캐릭터들이 성장해서 나온다거나 다양한 상상의 가능성이 열린다. 주관 방송국이 시즌 1의 [[TBS테레비]]에서 [[TOKYO MX]]으로 바뀌었다.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21년 4월|2021년 4월]]. 전작과는 다르게 내일의 죠 기넘작이라는 타이틀이 없는 것으로 보아 오리지널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초반부 분위기는 리키이시 전 이후 한동안 정신적 고통에 시달리던 죠의 모습과 유사하다. 전작이 [[남미]], [[히스패닉]]에서 열광적인 반응을 얻은 것을 내용에 반영해 이민자의 비애를 투영한 내용이 많이 들어갔다. 국내에서는 1기와 달리 [[애니맥스 코리아]]에서 수입해가지 않았고 [[투니버스]]에서 방영했다. 전작이 서양에서 인기를 끈 것과 달리 2기는 서양에서는 화제를 못 얻고 있는데 희한하게도 중국에서 인기를 끈다고 한다. [[https://akiba-souken.com/article/50683/|#]] [[빌리빌리]]에서는 유저 평점이 '''만점'''이며 1기의 인기도 같이 상승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북미에서는 [[퍼니메이션]]이 유통, [[Bang Zoom! 엔터테인먼트]]가 더빙을 제공한다. ===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bjl0qMgrugQ, width=100%)]}}} || || '''티저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hiJQ7F5mJKA, width=100%)]}}} || || '''메인 PV''' || == [[메갈로 복스/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메갈로 복스/등장인물)] == 주제가 == === OP === ||<-2>
'''{{{#C11B17,#dddddd OP[br]The theme of the NOMA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C11B17,#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mft3q1Y71HM, width=100%)]}}} || ||<-2> '''{{{#C11B17,#dddddd Full ver.}}}''' || || '''작곡''' || mabanua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모리야마 요우]] || || '''디자인'''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 ED === ||<-2>
'''{{{#C11B17,#dddddd ED[br]El Canto del Colibrí}}}'''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C11B17,#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PBk9I6ic4EA, width=100%)]}}} || ||<-2> '''{{{#C11B17,#dddddd Full ver.}}}''' || || '''노래''' || mabanua || || '''작사''' || 사사키 마코토(佐々木 誠) || || '''작곡''' || mabanua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디자인''' || [[모리야마 요우]] || || '''자막 번역''' || 마나베 마츠히코(真辺克彦) || }}}}}}}}} || ||<-2> {{{#!folding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 || (원어 발음) || || (한국어 가사) || || '''원어 가사 출처: ''' || }}} ||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투니버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 {{{-4 ROUND1}}} || {{{-4 亡霊たちは鎮魂歌を口ずさむ[br]망령들은 진혼곡을 흥얼거린다}}} || {{{-4 마나베 카츠히코[br](真辺克彦)}}} ||<-2> {{{-4 [[모리야마 요우]]}}} ||<-2> {{{-4 카네다 나오미[br](金田尚美)}}} || {{{-4 日: 2021.04.04.[br]韓: 2021.04.30.}}} || || {{{-4 ROUND2}}} || {{{-4 絶望は臆病者に勇気を与える[br]절망은 겁쟁이에게 용기를 준다}}} ||<|2> {{{-4 코지마 켄사쿠[br](小嶋健作)}}} || {{{-4 [[야노 히로유키]]}}} || {{{-4 쿠로다 유키오[br](黒田幸生)}}} || {{{-4 카네다 나오미[br]하치자키 켄지[br](八崎健二)[br]야마나카 준코[br](山中純子)[br]나카쿠마 타이치[br](中熊太一)[br][[핫토리 켄지]][br]하야카와 준이치[br](早川淳一)[br]노구치 마사츠네[br](野口征恒)[br][[미즈무라 요시오]]}}} ||<|2> {{{-4 하치자키 켄지[br]카네다 나오미}}} || {{{-4 日: 2021.04.11.[br]韓: 2021.05.07.}}} || || {{{-4 ROUND3}}} || {{{-4 患いの根腐れを望むなら、水瓶の穴を塞ぐな[br]고뇌의 뿌리가 썩기를 바란다면[br]물독의 구멍을 막지 마라}}} || {{{-4 오쿠무라 요시아키[br](奥村よしあき)[br]모리야마 요우}}} || {{{-4 시미즈 아키라[br](清水 明)}}} || {{{-4 시미즈 케이조[br](清水恵蔵)[br]사쿠라이 코노미[br](桜井木ノ実)[br]하나와 미유키[br](花輪美幸)[br][[미나미 신이치로]][br]社伟峰[br]陈亮}}} || {{{-4 日: 2021.04.18.[br]韓: 2021.05.14.}}} || || {{{-4 ROUND4}}} || {{{-4 魂の花が咲けば、愛を失ったためしはない[br]영혼의 꽃이 피면 사랑을 잃은 적이 없는 것이다}}} ||<|2> {{{-4 마나베 카츠히코}}} || {{{-4 [[오오하시 요시미츠]]}}} || {{{-4 오노다 유스케[br](小野田雄亮)}}} || {{{-4 카네다 나오미[br][[이카이 카즈유키]][br]하야카와 준이치[br]핫토리 켄지[br]노구치 마사츠네[br]미즈무라 요시오[br]NAMU[br]WHITE LINE}}} || {{{-4 카네다 나오미}}} || {{{-4 日: 2021.04.25.[br]韓: 2021.05.21.}}} || || {{{-4 ROUND5}}} || {{{-4 救世主は居やしないと約束の地は答えた[br]구세주 같은 건 없다고 약속의 땅이 대답했다}}} || {{{-4 코야마 요시타카[br](湖山禎崇)[br]모리야마 요우}}} || {{{-4 쿠로다 유키오}}} || {{{-4 노구치 마사츠네[br]하야카와 준이치[br]미즈무라 요시오[br]츠부키 아스카[br](津吹明日香)[br]스즈키 신이치[br](鈴木信一)[br]요시무라 히로유키[br](嘉村弘之)[br]WHITE LINE[br]이카이 카즈유키[br]와시다 토시야[br](鷲田敏弥)}}} || {{{-4 하치자키 켄지}}} || {{{-4 日: 2021.05.02.[br]韓: 2021.05.28.}}} || || {{{-4 ROUND6}}} || {{{-4 無力だと自覚しても、神は踏み絵を差し出す[br]무력함을 자각해도 신은 검증의 발판을 내민다}}} || {{{-4 코지마 켄사쿠}}} || {{{-4 [[사토 유조]]}}} || {{{-4 요시다 슌지[br](吉田俊司)}}} || {{{-4 카네다 나오미[br]카네코 마사시[br](金子昌司)[br]노구치 마사츠네[br]미즈무라 요시오[br]WHITE LINE[br]4TUNE}}} || {{{-4 카네다 나오미[br]하치자키 켄지}}} || {{{-4 日: 2021.05.09.[br]韓: 2021.06.04 }}} || || {{{-4 ROUND7}}} || {{{-4 カードが示す愚か者は間抜けな道化師じゃない[br]카드가 가리킨 어리석은 자는 얼빠진 피에로가 아니다}}} || {{{-4 마나베 카츠히코}}} || {{{-4 [[사토 신지]]}}} || {{{-4 미우라 케이[br](三浦 慧)}}} || {{{-4 미시마 에이코[br](三島詠子)[br]아즈마 료타[br](東 亮太)[br]야마구치 나나[br](山口 菜)[br]마키 타카오[br](牧 孝雄)[br]코마루 토시유키[br](小丸敏之)[br]사이토 이타루[br](齊藤 格)[br][[쿠리타 신이치]][br]혼다 케이이치[br](本多敬一)[br]미나이 나오코[br](南井尚子)[br]리앙 보야[br](梁博雅)}}} || {{{-4 야마나카 준코}}} || {{{-4 日: 2021.05.16.[br]韓: 2021.06.11.}}} || || {{{-4 ROUND8}}} || {{{-4 終わりの始まりに、虹の軌跡はアーチを描く[br]마지막이 시작될 때 무지개의 궤적은 아치를 그린다}}} || {{{-4 코지마 켄사쿠}}} || {{{-4 [[사노 타카시]]}}} || {{{-4 코사카 하루메[br](小坂春女)}}} || {{{-4 무라마츠 히사오[br](村松尚雄)[br]사이토 카즈야[br](斉藤和也)[br]WHITE LINE[br]나카쿠마 타이치[br]핫토리 켄지[br]하야카와 준이치[br]노구치 마사츠네[br]요시무라 히로유키[br]츠부키 아스카[br]미즈무라 요시오}}} || {{{-4 하치자키 켄지}}} || {{{-4 日: 2021.05.23.[br]韓: 2021.06.18.}}} || || {{{-4 ROUND9}}} || {{{-4 生きる術は片手じゃ足りないが、[br]生き方はそれでも余る[br]삶의 기술은 한 손으론 부족하지만 삶의 방식은 그것으로도 충분하다}}} || {{{-4 마나베 카츠히코}}} || {{{-4 야노 히로유키}}} || {{{-4 노시타니 미츠타카[br](熨斗谷充孝)}}} || {{{-4 시미즈 케이조[br]사쿠라이 코노미[br]미나미 신이치로[br]社伟峰[br]陈亮[br]미즈무라 요시오}}} || {{{-4 야마나카 준코}}} || {{{-4 日: 2021.05.30.[br]韓: 2021.06.25.}}} || || {{{-4 ROUND10}}} || {{{-4 過去の敗北は幸運の兆しと共にある[br]과거의 패배는 행운의 징조와 함께 있다}}} || {{{-4 코지마 켄사쿠}}} || {{{-4 [[아이자와 마사히로|아이자와 카게츠]][br](相澤伽月)[br]모리야마 요우}}} || {{{-4 오노다 유스케}}} || {{{-4 NAMU[br]세븐시즈[br](セブンシーズ)[br]코바야시 오사무[br](小林 理)[br]요시무라 히로유키[br]노구치 마사츠네}}} || {{{-4 하치자키 켄지}}} || {{{-4 日: 2021.06.06.[br]韓: 2021.07.02.}}} || || {{{-4 ROUND11}}} || {{{-4 脱げなくなった鎧を外す時、[br]不幸と幸福の種が芽を出す[br]벗을 수 없던 갑옷을 벗을 때 불행과 행복의 씨앗이 싹을 틔운다}}} || {{{-4 마나베 카츠히코}}} || {{{-4 사토 유조}}} || {{{-4 요시다 슌지}}} || {{{-4 마츠시타 준코[br]이카이 카즈유키[br]핫토리 켄지[br]오다 마유미[br](小田真弓)[br]야기 모토키[br](八木元喜)[br]요시무라 히로유키[br]카네코 마사시}}} || {{{-4 카네다 나오미}}} || {{{-4 日: 2021.06.13.[br]韓: 2021.07.09.}}} || || {{{-4 ROUND12}}} || {{{-4 喝采が鳴りやんでも、声なき者の声は消せやしない[br]갈채가 잦아들어도 목소리 없는 자의 목소리는 지우지 못한다}}} || {{{-4 코지마 켄사쿠}}} || {{{-4 사노 타카시}}} || {{{-4 무라카미 츠토무[br](村上 勉)}}} || {{{-4 핫토리 마스미[br](はっとりますみ)[br]金凱[br]4TUNE}}} || {{{-4 야마나카 준코}}} || {{{-4 日: 2021.06.20.[br]韓: 2021.07.16.}}} || || {{{-4 ROUND13}}} || {{{-4 “翼ある者は翼なき者を背負い、[br]翼なき者は翼ある者を祝福する[br]날개 있는 자는 날개 없는 자를 짊어지고, [br]날개 없는 자는 날개 있는 자를 축복한다}}} || {{{-4 마나베 카츠히코}}} || {{{-4 오오하시 요시미츠}}} || {{{-4 코사카 하루메}}} || {{{-4 카네다 나오미[br]하치자키 켄지[br]시미즈 히로시[br](清水 洋)[br]이토 히데키[br](伊東英樹)[br]오다 마유미[br]요시무라 히로유키[br]나카쿠마 타이치[br]노구치 마사츠네[br]노지 키요시[br](能地 清)[br]하야카와 준이치[br]무라마츠 히사오[br]미즈무라 요시오[br]WHITE LINE}}} || {{{-4 카네다 나오미[br]야마나카 준코}}} || {{{-4 日: 2021.06.27.[br][br]韓: 2021.07.23.}}} || == 평가 == 역동적이면서 복싱 고증이 잘된 훌륭한 복싱 액션을 보여준다. 전작에서 그다지 돋보이지 않았던 인물간의 갈등과 내면묘사가 더 추가되어 나온다. 남미, 히스페닉에서의 인기를 의식하였는지 몰라도 이민자들 관련한 내용이 상당히 추가되었다. 전작들의 등장인물과 새로 나오는 등장인물을 통해 전작보다 더욱 부각되는 권투의 위험성이 중요하게 나온다. 특히 초반부터 죠는 약물로 고통을 감내하며 링생활을 이어가고 있었으며, 다른 여러 등장인물도 메갈로복스를 하면서 여러 후유증과 치명적인 사태를 맞게된다. 이를 부각시키기 위해서인지 죠의 최종목표는 '링에서 살아서나가기'라는 목표를 얻게되며 그 사이에 벌어지는 여러 사건을 잘 녹여냈다. 또한 전작의 등장인물들을 예우하며 새로운 등장인물의 서사를 잘 녹여낸 점도 호평받을 만한 요소이다. == 기타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메갈로 복스(애니메이션 1기), version=264)] [[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21년 2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내일의 죠]][[분류:SF 애니메이션]][[분류:격투기 애니메이션]][[분류:일본의 오리지널 애니메이션]][[분류:TMS 엔터테인먼트]][[분류:투니버스 방영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