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뉴이스트)]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313c, #e31c79)" [[뉴이스트/음반 목록|{{{#fff '''뉴이스트의 음반'''}}}]] }}} || || {{{-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d8e1f0; font-size: .8em" {{{#0056bb {{{#345679 '''정규 2집'''}}}}}}}}}}}}[br][[Romanticize|{{{#345679 '''Romanticize'''}}}]][br]{{{-2 {{{#000 (2021)}}}}}} || {{{+1 →}}} || {{{-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fff {{{#fff '''베스트 앨범'''}}}}}}}}}}}}[br][[Needle & Bubble|{{{#000 '''Needle & Bubble'''}}}]][br]{{{-2 {{{#000 (2022)}}}}}} || {{{+1 →}}} || 활동 종료[* 활동 종료 및 해체일은 3월 14일, 베스트 앨범이 발매되는 날은 3월 15일이다.] || ||<-2>
{{{#000 {{{+1 '''[math(Needle)]''' & '''[math(Bubble)]''' }}}}}}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eedle & Bubble' Cover Image.jpg|width=100%]]}}} || ||<-2> {{{#000 '''[math(Best)] [math(Album)]''' }}} || || '''발매일''' || 2022년 3월 15일 || || '''녹음''' ||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파일: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 로고.svg|width=65]]]] || || '''유통사''' || [[YG PLUS]] || || '''곡 수''' || 10곡 || || '''재생 시간''' || 33:06 || || '''타이틀 곡'''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0 ; font-size: .8em" '''{{{#fff 다시, 봄}}}''' }}}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2년 3월 15일 발매 된 뉴이스트의 베스트 앨범이자 '''마지막 앨범'''. == 앨범 소개 == || {{{#000,#fff {{{-1 '''뉴이스트 10년의 발자취 [Needle & Bubble] 따스한 봄기운 담은 선물과 같은 '다시, 봄' 뉴이스트가 전하는 이야기…베스트 앨범 [Needle & Bubble]''' 그룹 뉴이스트가 따스한 봄기운과 함께 찾아온다. 뉴이스트가 3월 15일, 자신들의 데뷔일을 기념해 지난 발자취를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행보에 밑그림을 제시하는 베스트 앨범 [Needle & Bubble](니들 앤 버블)을 발표한다. 10년간 뉴이스트가 보여 주었던 폭넓은 음악 세계를 한 번에 감상할 수 있는 베스트 앨범을 통해 뉴이스트가 데뷔 10주년을 자축하고 팬들에게 고마움을 전한다. 뉴이스트는 2012년 첫 번째 싱글 [FACE]를 시작으로, 발매하는 음반마다 독보적인 콘셉트와 세계관을 선보였다. 또한, 다양한 장르와 분위기의 노래를 소화하는 등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는 모습으로 K-팝 팬들의 뜨거운 사랑을 받았다. 끊임없는 노력 끝에 '대체 불가' 유일무이한 그룹으로 각인되며 가요계 정상에 오른 뉴이스트. 이들의 발자취를 담은 베스트 앨범 [Needle & Bubble]은 팬들에게 잊지 못할, 봄의 선물과 같은 음반이 될 것이다. # 10년의 발자취…The Best Album 'Needle & Bubble' [Needle & Bubble]은 뉴이스트의 지난 시간을 되돌아보는 동시에 이들의 미래를 그리게 만드는 베스트 앨범이다. 숫자 '10'을 '1=Needle(바늘)', '0=Bubble'로 형상화해 표현했다. 여기에는 뉴이스트가 그간 구축해 온 세계(Bubble)를 'Needle'로 터뜨리고 더 넓은 세상을 향해 나아간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또한, 데뷔 10주년을 기념하는 의미에서 기존 곡 8곡에 신곡 2곡을 더해 총 10개 트랙으로 앨범을 구성했다. 국내외 큰 사랑을 받은 히트곡들을 그대로 수록하지 않고 리마스터링하거나, 편곡하는 등 정성을 다해 원곡과는 또 다른 뉴이스트의 감성을 느낄 수 있다. 뉴이스트는 신곡에는 새로운 시작을 앞둔 멤버들의 마음을 녹였다. # 언제나 여전히 이곳에 '다시, 봄' 베스트 앨범의 타이틀곡 '다시, 봄'에는 '모든 것이 다 변해도 서로를 향한 마음만은 여전히 그대로'라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 뉴이스트가 팬들에게 전하고자 하는 진심을 노래한 이 곡에서는 봄의 따스한 기운이 느껴진다. 서정적인 피아노 연주 역시 리스너들의 마음을 깊게 울린다. 또 다른 신곡 'GALAXY'는 그동안 구축해 온 세계(Bubble)가 'Needle'로 인해 터진 뒤의 이야기를 들려 준다. 눈앞에 펼쳐진 더 넓은 세상을 우주에 빗대 표현했고, 아무리 혼란스러워도'우리'를 지키겠다는 가사가 인상적이다. # 지금의 뉴이스트를 만든 명곡들 뉴이스트는 수많은 노래 중 팀과 팬들에게 가장 의미 있는 8곡을 엄선했다. 이처럼 멤버들이 손수 트랙리스트를 구상했다는 점에서 이번 앨범에 담긴 뉴이스트의 진정성은 남다르다. 1~6번 트랙은 많은 공을 들인 리마스터링을 통해 새롭게 해석됐고, 7번과 8번 트랙은 새로운 편곡을 거쳐 색다른 느낌으로 재탄생했다. 앨범의 막을 여는 '여보세요'는 음원 차트 역주행 신화를 이룬 뉴이스트의 대표곡이다. 팀을 대중에게 알리는 데 가장 큰 공을 세웠던 곡으로, 이런 의미에서 베스트 앨범의 1번 트랙에 포진됐다. 2번 트랙에는 '기사 3부작'이라는 세계관의 시초가 된 '여왕의 기사'가 자리 잡았다. 뉴이스트의 음반 중 특히 명반으로 기억되는 다섯 번째 미니 앨범 [CANVAS]의 타이틀곡 'Love Paint (every afternoon)'가 세 번째 트랙에 이름을 올렸고, '기사 3부작'을 마무리하는 'BET BET'이 그 뒤를 장식했다. 뉴이스트의 타이틀곡 중 가장 사랑스럽고 달달한 'LOVE ME'가 5번 트랙에, 팀의 정체성을 잘 표현한 'Different'가 여섯 번째 트랙에 선정됐다. 일곱 번째 트랙 'Look (a starlight night)' (Alternative House Ver.)은 다채로운 색깔을 자랑하는 뉴이스트의 강점이 돋보이는 곡으로, 뉴이스트는 얼터너티브 하우스 장르로 재해석해 원곡과는 다른 분위기를 연출했다. 8번 트랙 'I'm in Trouble (Urban Ver.)'은 원래 절제된 느낌이 강한 곡이지만, 편곡을 통해 과감한 무드로 변신했다.}}}}}} || == 프로모션 == ||<-4>
{{{#000 ''''Needle & Bubble' 프로모션'''}}} || || '''날짜''' ||<-2> '''제목''' || '''링크''' || || 2022년 3월 5일 ||<|6> Official Photo || JR || [[https://twitter.com/NUESTNEWS/status/1499761592384196610|[[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0&theme=dark]]]] || || 2022년 3월 6일 || 아론 || [[https://twitter.com/NUESTNEWS/status/1500123972117188610|[[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0&theme=dark]]]] || || 2022년 3월 7일 || 백호 || [[https://twitter.com/NUESTNEWS/status/1500486365582090241|[[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0&theme=dark]]]] || || 2022년 3월 8일 || 민현 || [[https://twitter.com/NUESTNEWS/status/1500848750432067584|[[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0&theme=dark]]]] || || 2022년 3월 9일 || 렌 || [[https://twitter.com/NUESTNEWS/status/1501211139283296260|[[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0&theme=dark]]]] || || 2022년 3월 10일 || 단체 || [[https://twitter.com/NUESTNEWS/status/1501573530324021256|[[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0&theme=dark]]]] || || 2022년 3월 11일 ||<-2> Track List || [[https://twitter.com/NUESTNEWS/status/1501935920202883073|[[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0&theme=dark]]]] || || 2022년 3월 12일 ||<-2> Pre-listening || [[https://youtu.be/0-BGpWxRMt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022년 3월 13일 ||<|2> M/V Teaser || #1 || [[https://youtu.be/32h9Ddk8JG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022년 3월 14일 || #2 || [[https://youtu.be/A3bXoiWZxw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수록곡 == ||
'''트랙''' || '''제목''' || '''작사''' || '''작곡''' || '''편곡''' || || '''♬1''' || 여보세요 (Re-mastering) || {{{-1 손주영}}} || {{{-1 손주영, 현재욱, 김태훈, 시우}}} || {{{-1 현재욱, 김태훈, 호기성}}} || || '''♬2''' || 여왕의 기사 (Re-mastering) || {{{-1 [[BUMZU]], [[김종현|JR]], Maaxx song, 김은수, PUBLISHING, Mafly, Ltd, Denis Seo}}} || {{{-1 [[김종현|JR]], Maxx song, BUM}}} || {{{-1 BUM}}} || || '''♬3''' || Love Paint (every afternoon) (Re-mastering) || {{{-1 Mafly, [[백호(가수)|백호]], [[황민현]], [[김종현|JR]], [[렌(가수)|렌]], [[아론(가수)|아론]], [[BUMZU]]}}} || {{{-1 [[BUMZU]], Royal Dive}}} || {{{-1 Royal Dive, 220}}} || || '''♬4''' || BET BET (Re-mastering) ||<|3> {{{-1 [[백호(가수)|백호]], [[김종현|JR]], [[BUMZU]]}}} || {{{-1 [[BUMZU]], [[백호(가수)|백호]], Royal Dive}}} || {{{-1 Royal Dive}}} || || '''♬5''' || LOVE ME (Re-mastering) || {{{-1 [[BUMZU]], [[백호(가수)|백호]], 박기태, Nmore}}} || {{{-1 [[BUMZU]], 박기태, Nmore}}} || || '''♬6''' || Different (Re-mastering) || {{{-1 [[BUMZU]], [[백호(가수)|백호]], 박기태}}} || {{{-1 박기태}}} || || '''♬7''' || Look (a starlight night Alternative House Ver.) || {{{-1 [[백호(가수)|백호]], [[황민현]], [[김종현|JR]], [[BUMZU]]}}} || {{{-1 [[BUMZU]], Royal Dive}}} || {{{-1 Royal Dive, 220, Ohway!}}} || || '''♬8''' || I'm in Trouble (Urban Ver.) ||<|2> {{{-1 [[백호(가수)|백호]], [[BUMZU]]}}} || {{{-1 [[BUMZU]], [[백호(가수)|백호]]}}} || {{{-1 [[BUMZU]], [[백호(가수)|백호]], Anchor, Ohway!}}} || || '''♬9''' || GALAXY || {{{-1 [[BUMZU]], [[백호(가수)|백호]], 박기태, Jay&Rudy}}} || {{{-1 박기태}}} || || '''♬10''' || '''다시, 봄'''^^[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6em" {{{#fff '''TITLE'''}}}}}}^^ || {{{-1 [[백호(가수)|백호]], [[BUMZU]], Elum}}} || {{{-1 [[BUMZU]], [[백호(가수)|백호]], GESTURE, Elum}}} || {{{-1 [[BUMZU]], 박기태, Ohway!}}} || === 여보세요 (Re-mastering) === ||
{{{-2 {{{#000 '''Track 1 〈여보세요 (Re-mastering)〉'''}}}}}} || || '''{{{#fff 2013년 발매된 두 번째 미니 앨범 [여보세요]의 동명 타이틀곡이자 뉴이스트 음원 차트 역주행 신화를 이룬 노래다. 어쿠스틱 기타와 피아노 선율이 어우러지고, 감성적인 멜로디와 친숙한 가사가 수많은 이들의 공감을 자아내 큰 사랑을 받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kU8VJxOrEo)]}}}|| ||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000000 ALL}}} {{{#00d8ff JR}}} {{{#a566ff 아론}}} {{{#c3c3c3 백호}}} {{{#ffbb00 민현}}} {{{#ff12ef 렌}}} {{{#ffbb00 여보세요 밥은 먹었니 어디서 뭐 하는지 걱정되니까}}} {{{#a566ff Tell me baby where you at}}} {{{#ffbb00 여보세요}}} {{{#a566ff Call me baby I’ll be there Wherever you are I’ll be there}}} {{{#ffbb00 여보세요}}} {{{#a566ff Pick up the phone girl Cuz I gotta be there}}} {{{#ffbb00 차가 막히는지 늦을 건가 봐}}} {{{#000000 (급한 맘에)}}} {{{#ffbb00 배터리는 또 깜빡 하셨나 봐}}} {{{#000000 (나는 또)}}} {{{#ffbb00 왠지 비가 올 것 같애 고민을 하다가}}} {{{#000000 (너를 좀 더)}}} {{{#ffbb00 빨리 보고 싶은 맘에 일찍 데리러 나가}}} {{{#000000 (깜짝 놀라겠지)}}} {{{#c3c3c3 날 보면}}} {{{#000000 (좋아하겠지)}}} {{{#c3c3c3 길이 엇갈리지 않게 더}}} {{{#000000 (달려야겠지)}}} {{{#c3c3c3 저 멀리 네 모습 보이는데 왜 난 전활 걸어 한다는 말이 결국엔}}} {{{#ffbb00 여보세요 밥은 먹었니 어디서 뭘 하는지 걱정되니까}}} {{{#c3c3c3 여보세요 왜 아무 말 못하니 여보세요}}} {{{#ffbb00 (여보세요)}}} {{{#c3c3c3 여보세요}}} {{{#ffbb00 (여보세요)}}} {{{#a566ff 널 데리러 왔어 비가 올까 봐 혼자 쓸쓸히 빗속을 걸을까 봐}}} {{{#ff12ef 집 앞이야 네가 보여 누구랑 있나 봐 솔직히 말 못 했어 그럼 널 잃을까 봐}}} {{{#00d8ff 나도 알아 내 행동 비겁해 비겁하다 놀려도 난 절대 못 가 더는 이런 내 맘 알까 너는 네게 가는 길이 내게 왜 지옥행 같이 느껴져야 되는 건지 이건 말이 안돼 네 외로움 달래 준 건 난데 어서 말해 제발 아무 사이 아니라고 왜 난 안돼 한 번 해봐 아무 말이라도}}} {{{#c3c3c3 지금 너 거기서 뭐하니 지금 널 멀리서 멍하니 바라보는 내가 느껴지지 않니}}} {{{#ffbb00 하고픈 말은 다 내일 해 미안하단 말도 내일 해 자꾸 어딜 봐 바로 여기가 니가 있어야 할 자린데}}} {{{#c3c3c3 여보세요}}} {{{#ffbb00 (Hey)}}} {{{#c3c3c3 밥은 먹었니}}} {{{#ffbb00 (Woah)}}} {{{#c3c3c3 어디서 뭘 하는지 걱정되니까}}} {{{#ffbb00 (걱정되니까 My baby)}}} {{{#c3c3c3 여보세요 왜 아무 말 못하니}}} {{{#ffbb00 (My baby)}}} {{{#c3c3c3 여보세요}}} {{{#ffbb00 (여보세요)}}} {{{#c3c3c3 여보세요}}} {{{#ffbb00 (여보세요)}}} {{{#ffbb00 (여보세요)}}} {{{#ff12ef 널 보고 싶었어 비가 오니까}}} {{{#c3c3c3 (비가 내리니까)}}} {{{#ff12ef 너와 걷던 거리를 걷다 보니까}}} {{{#c3c3c3 (죽겠으니까)}}} {{{#ff12ef 집 앞이야 보고 싶어 너는 아닌가 봐}}} {{{#c3c3c3 (보고 싶어)}}} {{{#ffbb00 (보고 싶어)}}} {{{#ff12ef 솔직히 미치겠어 너 아님 안 되나 봐}}} {{{#a566ff Baby I can’t let you go}}} {{{#ffbb00 (밥은 먹었니)}}} {{{#a566ff I only think about you girl What would I be without you girl}}} {{{#ffbb00 (어디서 뭐 하는지)}}} {{{#a566ff Don’t tell me lies, don’t say goodbye I just wanna let you know}}} {{{#ffbb00 (왜 아무 말 못하니)}}} {{{#a566ff I only think about you girl What would I be without you girl What would I be without you girl}}} {{{#ffbb00 여보세요}}} }}} || === 여왕의 기사 (Re-mastering) === ||
{{{-2 {{{#000 '''Track 2 〈여왕의 기사 (Re-mastering)〉'''}}}}}} || || '''{{{#fff 2016년 나온 네 번째 미니 앨범 [Q is.]의 타이틀곡. 뉴이스트의 독보적인 세계관 '기사 3부작'의 시작을 알린 곡이다. 슬픔을 잊게 해 주는 주문 '마하켄타 프펠토문'을 외워 상대의 아픔을 위로하고자 하는 순정이 담긴 가사에 드라마틱한 전개가 압권이다. 마치 한 편의 작품을 감상하는 듯한 구성을 자랑하는 특별한 곡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9XzR74Ho3w)]}}}|| ||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000000 ALL}}} {{{#00d8ff JR}}} {{{#a566ff 아론}}} {{{#c3c3c3 백호}}} {{{#ffbb00 민현}}} {{{#ff12ef 렌}}} {{{#ffbb00 잠든 네 옆에서 난 너를 꿈꾸고}}} {{{#000000 (Oh yes)}}} {{{#ffbb00 다섯 개의 햇살로 널 다시 깨운다}}} {{{#ff12ef 다들 나를 보면}}} {{{#a566ff 차갑던 말투 표정까지 너의 미소에 녹는 나인데}}} {{{#ff12ef 가끔씩 너 지쳐 보일 때 이 노랠 불러줄게}}} {{{#c3c3c3 It’s alright, girl 검은 가시덤불이 나를 상처를 주고 할퀴어도 Yeah 너의 기사가 되어 슬픔에서 구해낼 거야}}} {{{#ffbb00 Woah 널 위한 주문을 외워줄게 Baby 마마 마하켄다 프펠도문 잊지 마요 난 네 편이야}}} {{{#a566ff 아무리 험한 숲이라도}}} {{{#ff12ef 늪을 넘어 영원한 곳에서 만나}}} {{{#a566ff 너와 둘이람 어디든 갈 수 있어 두려울 게 없을 것 같아}}} {{{#ff12ef 좋아 널 위한 용기가 계속 피어나}}} {{{#c3c3c3 It’s alright, girl 검은 가시덤불이 나를 상처를 주고 할퀴어도 Yeah 너의 기사가 되어 슬픔에서 구해낼 거야}}} {{{#ffbb00 Woah 널 위한 주문을 외워줄게 Baby 마마 마하켄다 프펠도문}}} {{{#c3c3c3 잊지 마요 난 네 편이야}}} {{{#ffbb00 밤에 달빛이 사라져도}}} {{{#c3c3c3 너만 있다면 너만 있다면}}} {{{#ffbb00 여기가 바로 My Heaven}}} {{{#00d8ff 오묘한 너의 눈에 취해 갈수록 내가 위태로워져 내 작던 욕심이 자꾸 커져서 Yeah 내 마음이 다 너로 가득 차 세상 모두가 너로 보여 다 주문에 걸렸나}}} {{{#c3c3c3 It’s alright, girl 검은 가시덤불이 나를 상처를 주고 할퀴어도 Yeah 너의 기사가 되어 슬픔에서 구해낼 거야}}} {{{#ffbb00 Woah 널 위한 주문을 외워줄게 Baby 마마 마하켄다 프펠도문}}} {{{#ff12ef 잊지 마요 난 네 편이야}}} {{{#ffbb00 Ah yeah Ohh yeah {{{#000000 (yeah)}}} You all I need}}} }}} || === Love Paint (every afternoon) === ||
{{{-2 {{{#000 '''Track 3 〈Love Paint (every afternoon)〉'''}}}}}} || || '''{{{#fff 2016년 발매된 다섯 번째 미니 앨범 [CANVAS]의 타이틀곡이다. 처음으로 멤버 전원이 작사에 참여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귀를 사로잡는, 서정적이면서도 감각적인 멜로디는 시간이 흐른 지금도 여전히 많은 이들의 마음을 훔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X2YO-vg24I)]}}}|| ||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000000 ALL}}} {{{#00d8ff JR}}} {{{#a566ff 아론}}} {{{#c3c3c3 백호}}} {{{#ffbb00 민현}}} {{{#ff12ef 렌}}} {{{#ffbb00 아름다움도 질투한 너의 주위에 머물며}}} {{{#000000 (몰래)}}} {{{#ff12ef 찬란한 달빛으로 가득히 널 채워주고 싶어}}} {{{#a566ff And 너는 Red Light Ruby Maybe 그보다 빛나니 모든 사람이 샘이 나겠지}}} {{{#ffbb00 행복을 그릴 때 너에게 날 보여주고 싶어}}} {{{#c3c3c3 Ah 흑백이던 나의 삶에 You 내 사랑에 색을 입혀 Painting Painting 단 한 폭의 풍경 같아}}} {{{#ffbb00 (Wuh)}}} {{{#ffbb00 온새미로 새미로}}} {{{#ff12ef (You You)}}} {{{#ffbb00 온새미로 너를 지켜줄거야}}} {{{#c3c3c3 꽃이 피는 동쪽에서}}} {{{#ff12ef 조화로운 Color}}} {{{#a566ff 무지개 타고 내려온 너에게 노랠 불러 주고픈 내 맘 말야 햇살 같은 너를 그리고파}}} {{{#c3c3c3 촉촉한 단비로 다가가 스며들고만 싶어}}} {{{#ff12ef 그 어떤 색들보다 반짝 낯설게 눈부셔 너무 투명해 감싸 주고 파}}} {{{#ffbb00 처음 본 너만의 색으로 넌 나를 끌어당겨}}} {{{#c3c3c3 Ah 흑백이던 나의 삶에 You 내 사랑에 색을 입혀 Painting Painting 단 한 폭의 풍경 같아}}} {{{#ffbb00 (Wuh)}}} {{{#ffbb00 온새미로 새미로}}} {{{#ff12ef (You You)}}} {{{#ffbb00 온새미로 너를 지켜줄거야}}} {{{#a566ff 꽃이 피는 동쪽에서}}} {{{#ff12ef 조화로운 Color}}} {{{#00d8ff 난 온 세상을 밝히며 걷는 너의 하루에 발맞춰 걸어 난 너에게 느리게 그렇게 다가가는 중 너의 뒤를 살피며 따라갈게 밤하늘은 그대로 물들었네요 한 폭의 그림은 너와 나 단둘이네요 이 순간이 영원히 멈춰지기를 바래}}} {{{#a566ff 너만을 지키길 바래}}} {{{#c3c3c3 Ah 슬프도록 빛이 나는 You 수억 개의 색을 가진 Prism Prism 쏟아지는 유성 같아}}} {{{#ffbb00 (Wuh)}}} {{{#ffbb00 너와 내 너와 내}}} {{{#ff12ef (You You)}}} {{{#ffbb00 두 눈이 닿는 순간이 되면}}} {{{#a566ff 우리 둘은 동쪽에서}}} {{{#ff12ef 조화로운 Color}}} }}} || === BET BET (Re-mastering) === ||
{{{-2 {{{#000 '''Track 4 〈BET BET (Re-mastering)〉'''}}}}}} || || '''{{{#fff 여섯 번째 미니 앨범 [Happily Ever After](2019년)의 타이틀곡으로 '기사 3부작'의 마무리와 함께 뉴이스트의 또 다른 시작과 변화를 알리는 이정표 역할을 했다. 퓨처 베이스와 R&B 장르를 기반으로 한 슬로 템포의 곡으로, 강렬하고 대담한 가사가 돋보인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HaHBNnTg3w)]}}}|| ||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000000 ALL}}} {{{#00d8ff JR}}} {{{#a566ff 아론}}} {{{#c3c3c3 백호}}} {{{#ffbb00 민현}}} {{{#ff12ef 렌}}} {{{#ff12ef 위험해 넌 내게서 출구 없는 통로잖아}}} {{{#ffbb00 굳이 이게 사랑이라면 너에게 중독되어도 좋아 Yeh Yeh}}} {{{#00d8ff When you say that you love me uh 깊게 숨을 들이마셔 우리 사이 넘어서 Go 담을 넘어}}} {{{#a566ff 후회할지 몰라 난 준비돼 있어}}} {{{#c3c3c3 너를 포기할 수 없어}}} {{{#ff12ef 시간이 갈수록 너를 원해 Baby 네가 있어야 할 곳은 여기니까}}} {{{#00d8ff 욕심이 또 자라 나의 꿈에 갇힌대도}}} {{{#ffbb00 내 선택은 같을 거야}}} {{{#c3c3c3 You got my bet 나를 걸어볼래 넌 날 사랑하지 않아도 돼}}} {{{#ffbb00 이 기회는 나에게 한번일지 몰라 넌 날 놓치고 나면 후회할지 몰라}}} {{{#00d8ff B}}}{{{#a566ff E}}}{{{#00d8ff T}}} {{{#a566ff B}}}{{{#00d8ff E}}}{{{#a566ff T}}}, {{{#00d8ff L}}}{{{#a566ff o}}}{{{#00d8ff v}}}{{{#a566ff e}}} {{{#00d8ff f}}}{{{#a566ff o}}}{{{#00d8ff r}}} {{{#a566ff y}}}{{{#00d8ff a}}} {{{#00d8ff B}}}{{{#a566ff E}}}{{{#00d8ff T}}} {{{#a566ff B}}}{{{#00d8ff E}}}{{{#a566ff T}}}, {{{#00d8ff L}}}{{{#a566ff o}}}{{{#00d8ff v}}}{{{#a566ff e}}} {{{#00d8ff f}}}{{{#a566ff o}}}{{{#00d8ff r}}} {{{#a566ff y}}}{{{#00d8ff a}}} {{{#c3c3c3 You got my bet 나를 걸어볼래 날 사랑하지 않아도 돼}}} {{{#00d8ff 거짓말이야 맘에도 없는 소리 사랑하지 않아도 돼 No 아니 어찌되든 내 눈동자에 넌 나의 답이고 난 직진이고}}} {{{#a566ff Oh 일렁이는 거친 파도 속에 숨은 아틀란티스 계속 바라게 돼}}} {{{#ff12ef 내 감정 하나도 안 중요해 Um Um 오직 널 집중해 Alright}}} {{{#c3c3c3 Stay with me stay with me 내게 머물러줘 Baby stay with me}}} {{{#a566ef 시간이 갈수록 너를 원해 Baby 네가 있어야 할 곳은 여기니까}}} {{{#00d8ff 욕심이 또 자라 나의 꿈에 갇힌대도}}} {{{#ffbb00 내 선택은 같을 거야}}} {{{#c3c3c3 You got my bet 나를 걸어볼래 넌 날 사랑하지 않아도 돼}}} {{{#ffbb00 이 기회는 나에게 한번일지 몰라 넌 날 놓치고 나면 후회할지 몰라}}} {{{#00d8ff B}}}{{{#a566ff E}}}{{{#00d8ff T}}} {{{#a566ff B}}}{{{#00d8ff E}}}{{{#a566ff T}}}, {{{#00d8ff L}}}{{{#a566ff o}}}{{{#00d8ff v}}}{{{#a566ff e}}} {{{#00d8ff f}}}{{{#a566ff o}}}{{{#00d8ff r}}} {{{#a566ff y}}}{{{#00d8ff a}}} {{{#00d8ff B}}}{{{#a566ff E}}}{{{#00d8ff T}}} {{{#a566ff B}}}{{{#00d8ff E}}}{{{#a566ff T}}}, {{{#00d8ff L}}}{{{#a566ff o}}}{{{#00d8ff v}}}{{{#a566ff e}}} {{{#00d8ff f}}}{{{#a566ff o}}}{{{#00d8ff r}}} {{{#a566ff y}}}{{{#00d8ff a}}} {{{#c3c3c3 You got my bet 나를 걸어볼래 날 사랑하지 않아도 돼}}} {{{#ffbb00 또다시 헤매다 제자릴 찾아도 결국 여길지 몰라}}} {{{#ff12ef 수 천개의 하늘을 돌아서 결국 넌 나에게로 와}}} {{{#c3c3c3 You got my bet 나를 걸어볼래 넌 날 사랑하지 않아도 돼}}} {{{#ffbb00 이 기회는 나에게 한번일지 몰라 넌 날 놓치고 나면 후회할지 몰라}}} {{{#00d8ff B}}}{{{#a566ff E}}}{{{#00d8ff T}}} {{{#a566ff B}}}{{{#00d8ff E}}}{{{#a566ff T}}}, {{{#00d8ff L}}}{{{#a566ff o}}}{{{#00d8ff v}}}{{{#a566ff e}}} {{{#00d8ff f}}}{{{#a566ff o}}}{{{#00d8ff r}}} {{{#a566ff y}}}{{{#00d8ff a}}} {{{#00d8ff B}}}{{{#a566ff E}}}{{{#00d8ff T}}} {{{#a566ff B}}}{{{#00d8ff E}}}{{{#a566ff T}}}, {{{#00d8ff L}}}{{{#a566ff o}}}{{{#00d8ff v}}}{{{#a566ff e}}} {{{#00d8ff f}}}{{{#a566ff o}}}{{{#00d8ff r}}} {{{#a566ff y}}}{{{#00d8ff a}}} {{{#c3c3c3 You got my bet 나를 걸어볼래 날 사랑하지 않아도 돼}}} }}} || === LOVE ME (Re-mastering) === ||
{{{-2 {{{#000 '''Track 5 〈LOVE ME (Re-mastering)〉'''}}}}}} || || '''{{{#fff 2020년 발매된 일곱 번째 미니 앨범 [The Table]의 타이틀곡. 역대 뉴이스트의 타이틀곡 중 가장 사랑스럽고 달달한 분위기를 자랑한다. 얼터너티브 하우스와 어반 R&B라는 두 가지 장르가 어우러져 세련되면서도 달콤한 사운드를 완성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WWiZ_JU04M)]}}}|| ||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000000 ALL}}} {{{#00d8ff JR}}} {{{#a566ff 아론}}} {{{#c3c3c3 백호}}} {{{#ffbb00 민현}}} {{{#ff12ef 렌}}} {{{#ffbb00 말하지 않아도 널 느낄 수 있어 굳이 어려운 말로 풀지 않아도 돼}}} {{{#c3c3c3 너의 깊은 비밀도 네가 원하는 것도 한 꺼풀 벗기면}}} {{{#00d8ff (기적이 일어날 수 있어)}}} {{{#ff12ef 내게 더 가까이 지금 On my mind}}} {{{#00d8ff 텅 빈 거린 우리밖에 없어 너와 춤추고 싶어}}} {{{#ff12ef 지금처럼만 용감해지면 돼}}} {{{#a566ff 내 손을 잡아 너를 보여줘 지금과 다른 너를 알고 싶다면}}} {{{#ff12ef LOVE LOVE LOVE ME uh LOVE ME LOVE ME LOVE ME LOVE ME LOVE LOVE LOVE ME uh}}} {{{#c3c3c3 LOVE LOVE LOVE ME uh LOVE ME LOVE ME LOVE ME LOVE ME LOVE LOVE LOVE ME uh}}} {{{#ffbb00 완벽하기 전에 우린 제일 위태로워 멈추지 마 너와 난 Make it right}}} {{{#00d8ff 느껴보지 못했다면 날 확인해 좀 다를 거야 오늘과 내일의 나는 다를 테니까 믿고 따라와 줘도 돼 Baby}}} {{{#a566ff 내게 더 가까이 지금 On my mind}}} {{{#00d8ff 텅 빈 거린 우리밖에 없어 너와 춤추고 싶어}}} {{{#a566ff 지금처럼만 용감해지면 돼}}} {{{#00d8ff 내 손을 잡아 너를 보여줘 지금과 다른 너를 알고 싶다면}}} {{{#c3c3c3 LOVE LOVE LOVE ME uh LOVE ME LOVE ME LOVE ME LOVE ME LOVE LOVE LOVE ME uh}}} {{{#ff12ef LOVE LOVE LOVE ME uh LOVE ME LOVE ME LOVE ME LOVE ME LOVE LOVE LOVE ME uh}}} {{{#ffbb00 완벽하기 전에 우린 제일 위태로워 멈추지 마 너와 난 Make it right}}} {{{#a566ff Click Click Click 우리 둘 다 좋아하는 노래를 틀어 이 밤이 새도록 Play on}}} {{{#c3c3c3 나의 모든 영감이 돼 줘 난 너의 진짜 모습을 볼게}}} {{{#00d8ff Na na na na Na na na na na na}}} {{{#00d8ff LOVE ME!}}} {{{#ffbb00 LOVE LOVE LOVE ME uh LOVE ME LOVE ME LOVE ME LOVE ME LOVE LOVE LOVE ME uh}}} {{{#c3c3c3 LOVE LOVE LOVE ME uh LOVE ME LOVE ME LOVE ME LOVE ME LOVE LOVE LOVE ME uh}}} }}} || === Different (Re-mastering) === ||
{{{-2 {{{#000 '''Track 6 〈Different (Re-mastering)〉'''}}}}}} || || '''{{{#fff 여섯 번째 미니 앨범 [Happily Ever After](2019년) 수록곡으로 딥 하우스를 기반으로 한, 가벼우면서도 리드미컬한 곡이다. 뉴이스트의 정체성을 잘 표현했으며 몽환적이면서도 신비로운 느낌을 통해 강한 중독성을 선사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z72TFcM-ns)]}}}|| ||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000000 ALL}}} {{{#00d8ff JR}}} {{{#a566ff 아론}}} {{{#c3c3c3 백호}}} {{{#ffbb00 민현}}} {{{#ff12ef 렌}}} {{{#ffbb00 마음의 점이 선이 되어 가고 선을 넘어설 땐 우린 Butterfly}}} {{{#a566ff 날아가자 우리 I like that 눈 뗄 수 없는 너는 빛이 나}}} {{{#00d8ff 저 하늘 위까지 다른 맘 닿지 않는 곳까지}}} {{{#ff12ef I wanna higher res 네 눈이 나를 볼 때 선명한 모습이 잘 보이게}}} {{{#a566ff 가까이 더 가까이로 와}}} {{{#c3c3c3 혹시나 거리감을 느낀다면 Baby 걱정하지는 마 날 Diffusing baby}}} {{{#ff12ef I’m not Different Different Different Different}}} {{{#a566ff Different!}}} {{{#ff12ef I’m not Different Different Different Different}}} {{{#a566ff Different!}}} {{{#c3c3c3 선악과를 맛본 순간 넌 내게 유일함}}} {{{#ffbb00 네가 꿈꿨던 세상과 조금도 다르지 않아}}} {{{#c3c3c3 Different!}}} {{{#c3c3c3 Different!}}} {{{#c3c3c3 Different!}}} {{{#a566ff 땡 다시 한 번 앞에 뒤로 잘 보라고 Yeh Uh 내가 네게 한 말 틀린 말이 있나 보라고}}} {{{#ff12ef 우리 거리감이 좁혀 들게 사람들도 다 보이게}}} {{{#00d8ff 굳이 나눌 필요 없지 모니터와 진짜 우리 사이}}} {{{#ff12ef I wanna higher res 네 눈이 나를 볼 때 선명한 모습이 잘 보이게}}} {{{#a566ff 가까이 더 가까이로 와}}} {{{#c3c3c3 혹시나 거리감을 느낀다면 Baby 걱정하지는 마 날 Diffusing baby}}} {{{#ff12ef I’m not Different Different Different Different}}} {{{#a566ff Different!}}} {{{#ff12ef I’m not Different Different Different Different}}} {{{#a566ff Different!}}} {{{#c3c3c3 선악과를 맛본 순간 넌 내게 유일함}}} {{{#ffbb00 네가 꿈꿨던 세상과 조금도 다르지 않아}}} {{{#c3c3c3 Different!}}} {{{#c3c3c3 Different!}}} {{{#c3c3c3 Different!}}} {{{#ff12ef 너의 안에 여러 색 물감 풀어서 바꿀 수 없는 비밀의 색깔을 만들어줘}}} {{{#ffbb00 너에게로 나를 던져 날 수가 있는 건 Cause you are my destiny my destiny}}} {{{#ff12ef I’m not Different Different Different Different}}} {{{#a566ff Different!}}} {{{#ff12ef I’m not Different Different Different Different}}} {{{#a566ff Different!}}} {{{#c3c3c3 선악과를 맛본 순간 넌 내게 유일함}}} {{{#ffbb00 네가 꿈꿨던 세상과 조금도 다르지 않아}}} {{{#c3c3c3 Different!}}} {{{#c3c3c3 Different! Different!}}} }}} || === Look (a starlight night Alternative House Ver.) === ||
{{{-2 {{{#000 '''Track 7 〈Look (a starlight night Alternative House Ver.)〉'''}}}}}} || || '''{{{#fff 2016년 나온 다섯 번째 미니 앨범 [CANVAS]의 수록곡. 다양한 장르를 소화하며 내공을 쌓은 뉴이스트의 강점이 돋보이는 노래다. 원곡을 얼터너티브 하우스 장르로 재해석해 기존의 몽환적이고 감성적인 느낌과 다른 분위기를 연출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DmQRjLaQ6Y)]}}}|| ||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000000 ALL}}} {{{#00d8ff JR}}} {{{#a566ff 아론}}} {{{#c3c3c3 백호}}} {{{#ffbb00 민현}}} {{{#ff12ef 렌}}} {{{#ff12ef 오늘은 너 너 너 너와 아름다운 밤이 되면 자연스레 꽃피고 싶어}}} {{{#ffbb00 내 맘을 너 너 너에게 아낌없이 다 느끼게 해주고파 Take my hand Take my hand}}} {{{#c3c3c3 I’m telling you}}} {{{#a566ff 다른 천국 다른 시간 다른 곳에서도}}} {{{#ffbb00 (Love you Love you)}}} {{{#ffbb00 너에게 난 거짓말 못 해}}} {{{#ff12ef 우린 같은 Signal 뛰고 있을 거야}}} {{{#ffbb00 너에게 난 거짓말 안 해}}} {{{#a566ff 난 기적을 봤어}}} {{{#00d8ff (Yeah it is you)}}} {{{#c3c3c3 Baby you oh 아름 아리따운 너 아름 아리따운 너 Baby you oh 너무 아름다운 너 너무 아름다운 너}}} {{{#ff12ef (아름 아리따운 너)}}} {{{#ffbb00 화려한 네온사인 눈 감으면 반딧불이 되어주며}}} {{{#ff12ef (아름 아리따운 너)}}} {{{#ffbb00 기억에서 슬픔을 가로질러 언젠가 널 안고 싶어}}} {{{#ff12ef (아름 아리따운 너)}}} {{{#00d8ff 나는 너를 찾아 Figure Out 너는 내 Groove 너는 내 Mood 영원한 달콤함 같아 우리 둘이 마주 닿는 느낌을 믿어 (믿어) 나는 의심한 적 없어 (없어) 이어져 있음을 믿어 우린 언제든 어디라도 Oh yeah}}} {{{#ffbb00 너에게 난 거짓말 못 해}}} {{{#ff12ef 우린 같은 Signal 뛰고 있을 거야}}} {{{#ffbb00 너에게 난 거짓말 안 해}}} {{{#a566ff 난 기적을 봤어}}} {{{#00d8ff (Yeah it is you)}}} {{{#c3c3c3 Baby you oh 아름 아리따운 너 아름 아리따운 너 Baby you oh 너무 아름다운 너 너무 아름다운 너}}} {{{#ff12ef (아름 아리따운 너)}}} {{{#ffbb00 화려한 네온사인 눈 감으면 반딧불이 되어주며}}} {{{#ff12ef (아름 아리따운 너)}}} {{{#ffbb00 기억에서 슬픔을 가로질러 언젠가 널 안고 싶어}}} {{{#ff12ef (아름 아리따운 너)}}} {{{#a566ff 나의 손끝에 촉감을 담아서 너에게 보낼 때}}} {{{#ffbb00 우리의 Signal 있다면}}} {{{#ff12ef 다른 차원에 있어도}}} {{{#00d8ff 신호를 보낼게}}} {{{#c3c3c3 Baby you oh 아름 아리따운 너 아름 아리따운 너 Baby you oh 너무 아름다운 너 너무 아름다운 너}}} {{{#ff12ef (아름 아리따운 너)}}} {{{#ffbb00 화려한 네온사인 눈 감으면 반딧불이 되어주며}}} {{{#ff12ef (아름 아리따운 너)}}} {{{#ffbb00 널 마주한 시간이 주어진다면 우린 널 지켜 줄게}}} {{{#ff12ef (아름 아리따운 너)}}} }}} || === I'm in Trouble (Urban Ver.) === ||
{{{-2 {{{#000 '''Track 8 〈I'm in Trouble (Urban Ver.)〉'''}}}}}} || || '''{{{#fff 2020년 발매된 여덟 번째 미니 앨범 'The Nocturne'의 타이틀곡을 어반 감성으로 재해석했다. 감정선을 더욱 극대화하기 위해 더해진 서정적이면서도 강렬한 기타 사운드와 피아노 연주를 통해 치명적인 뉴이스트의 매력을 느낄 수 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__1WgUSoWes)]}}}|| ||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000000 ALL}}} {{{#00d8ff JR}}} {{{#a566ff 아론}}} {{{#c3c3c3 백호}}} {{{#ffbb00 민현}}} {{{#ff12ef 렌}}} {{{#ff12ef 다른 소리 모두 Mute 해 안 듣기로 해 보통과는 다른 너와 너보다 더 변해 있는 나}}} {{{#a566ff 수많은 Question Waterfall 또 다른 Answer Waterfall (Oh Yeh Yeh) 지금 우리처럼 시간도 변하고 있어}}} {{{#00d8ff 내일 내일 하룰 망쳐도 원망할 생각 없어 하나도 이 밤에 서로를 Figure out Figure out 감정을 모험함 모험함 Yeh Yeh}}} {{{#c3c3c3 조금씩 가까워질 때 Yeh 너 나 할 것 없이 밀어내고 끌어안아 (밀어내고 끌어안아)}}} {{{#ffbb00 So baby Woo Oh I’m in trouble Oh I’m in trouble 비밀을 만들고 싶어져서 Oh I’m in trouble Oh I’m in trouble (Oh I’m in trouble)}}} {{{#c3c3c3 So baby Woo 내일부터 우리 서로를 부를 때 기대가 되지}}} {{{#a566ff 스치듯 뱉는 말도 나를 미치게 해 넌 (Woo Yeh Eh Eh Eh)}}} Oh I’m in trouble Oh I’m in trouble Oh I’m in trouble Oh I’m in trouble Oh I’m in trouble Oh I’m in trouble {{{#ff12ef 스치듯 뱉는 말도 나를 미치게 해 넌 (Woo Yeh Eh Eh Eh)}}} {{{#ffbb00 오늘 밤 지나 내일이 돼서 널 그리워하는 실수는 싫어}}} {{{#a566ff 너는 내 밤 Oh my 내 감정의 이유 1000가지도 넘을 거야}}} {{{#00d8ff 내 머린 너로 가득 차 있어}}} {{{#ff12ef 조금씩 가까워질 때 Yeh 너 나 할 것 없이 밀어내고 끌어안아 (밀어내고 끌어안아)}}} {{{#c3c3c3 So baby Woo Oh I’m in trouble Oh I’m in trouble 비밀을 만들고 싶어져서 Oh I’m in trouble Oh I’m in trouble (Oh I’m in trouble)}}} {{{#ffbb00 So baby Woo 내일부터 우리 서로를 부를 때 기대가 되지}}} {{{#a566ff 스치듯 뱉는 말도 나를 미치게 해 넌}}} {{{#ff12ef I got you on my mind (I got you on my mind)}}} {{{#ffbb00 I got you on my mind (Woo)}}} {{{#a566ff I got you on my mind}}} {{{#00d8ff So baby Woo 너의 친구들이 내가 누구냐고 물어봤으면 해}}} Oh I’m in trouble Oh I’m in trouble Oh I’m in trouble Oh I’m in trouble Oh I’m in trouble Oh I’m in trouble {{{#ffbb00 스치듯 뱉는 말도 나를 미치게 해 넌 (Woo Yeh Eh Eh Eh)}}} }}} || === GALAXY === ||
{{{-2 {{{#000 '''Track 9 〈GALAXY〉'''}}}}}} || || '''{{{#fff 'GALAXY'는 그동안 뉴이스트가 구축해 온 세계 'Bubble'이 'Needle'로 인해 터지면서 펼쳐지는 새로운 세상을 우주에 빗대 표현한 곡이다. 퓨처 베이스 장르를 기반으로 한 글리치(Glitch)한 편곡에서 오는 독특한 리듬감과 구성이 귀를 사로잡는다. 자신을 감싸고 있던 세계가 변해 가는 혼란 속에서도 '우리'를 지키겠다는 확신을 엿볼 수 있는 가사가 특징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keV19qbojU)]}}}|| ||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000000 ALL}}} {{{#00d8ff JR}}} {{{#a566ff 아론}}} {{{#c3c3c3 백호}}} {{{#ffbb00 민현}}} {{{#ff12ef 렌}}} {{{#ffbb00 검은색 우주 빛 두 눈을 감은 밤 연속될 유성우 아래 잠이 들면}}} {{{#a566ff 우주의 색이 바뀌어도 우린 그대로일 테지 (모두 바뀌어도) 수많은 별 중 Only one for me}}} {{{#00d8ff 뒤돌아봐도 Umm umm 나 있어, 겁먹지 말아 줘 Um um Oh baby 눈앞에 다가온 내일 펼쳐질 미래도 뚜렷하지 You already know}}} {{{#ffbb00 우린 Like a galaxy 꽉 잡고 있어 우리 사이}}} {{{#c3c3c3 어떤 일 있어도 떨어지지 않아}}} {{{#ff12ef 어떤 세계라도 우리 사이를 누구도 정의할 수 없지만 겁내지 말아 우릴 지켜 널 놓지 않아 난}}} {{{#ffbb00 나의 모든 것은 너니까 널 내게서 떼어낼 수 없어}}} {{{#c3c3c3 이 느낌 오직 너와 나만 알고 있어 Ah-wuh}}} {{{#a566ff Ignore, Our our galaxy 우리는 우리일 뿐이야}}} {{{#ff12ef Ignore, Our our galaxy 이 느낌 이대로만}}} {{{#00d8ff (Baby baby)}}} {{{#c3c3c3 우리만의 Galaxy}}} {{{#00d8ff 다채로운 Color의 Bubble을 줄게 Ya ya ya 터지고 나면 알 거야 No limit ya ya ya 줄을 지어 걸어 다니는 은하수 그 속에 우린 멈추지 않고 No no no no no}}} {{{#c3c3c3 우린 Like a galaxy 꽉 잡고 있어 우리 사이}}} {{{#ffbb00 어떤 일 있어도 떨어지지 않아}}} {{{#c3c3c3 어떤 세계라도 우리 사이를 누구도 정의할 수 없지만 겁내지 말아 우릴 지켜 널 놓지 않아 난}}} {{{#ff12ef 나의 모든 것은 너니까 널 내게서 떼어낼 수 없어}}} {{{#ffbb00 이 느낌 오직 너와 나만 알고 있어 Ah-wuh}}} {{{#a566ff Ignore, Our our galaxy 우리는 우리일 뿐이야 Ignore, Our our galaxy 이 느낌 이대로만}}} {{{#00d8ff (Baby baby)}}} {{{#c3c3c3 우리만의 Galaxy}}} {{{#00d8ff 빤짝이는 하늘 밤 떨어진다 Oh mind}}} {{{#ffbb00 내 맘속에 자리 잡을 때 약속된 것처럼 Take it slow}}} {{{#ff12ef 영원할 시간처럼}}} {{{#a566ff 어떤 단어로도 우리 사이 누구도 정의할 수 없지만 더 가까워질수록 빛이 나는 너와 나}}} {{{#c3c3c3 어떤 누구도 우리 사이를 알지 못해도}}} {{{#ff12ef 알잖아 Baby}}} {{{#a566ff 이 거리 이대로만}}} {{{#00d8ff (Baby baby)}}} {{{#ffbb00 우리만의 Galaxy}}} }}} || === 다시, 봄 === ||
{{{-2 {{{#000 '''Track 10 〈다시, 봄〉'''}}}}}} || || '''{{{#fff R&B 팝 장르 곡으로 트렌디한 신스 사운드와 심플하면서도 서정적인 피아노 연주가 어우러져 따뜻한 기운을 풍긴다. 모든 것이 다 변해도 상대를 향한 마음은 여전히 그대로 남아 있을 것이라는 메시지를 담았다. 뉴이스트 특유의 서정성이 마음 한편을 자극하는 아름답고 감성적인 곡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jOw5Em7HtA)]}}}|| || {{{#!folding [ 가사 펼치기 · 접기 ] {{{#000000 ALL}}} {{{#00d8ff JR}}} {{{#a566ff 아론}}} {{{#c3c3c3 백호}}} {{{#ffbb00 민현}}} {{{#ff12ef 렌}}} {{{#00d8ff 시간이 지난다면 괜찮을까요 계절은 추억이 되어 쌓이겠죠 사랑이란 건 기다림조차도 나를}}} {{{#ffbb00 (미소로 나를)}}} {{{#00d8ff 채워가죠}}} {{{#ffbb00 (매일 내 마음)}}} {{{#a566ff 기억의 설렘 벅차오르듯 찬란한 우리 둘의 시간을 끌어안고 내딛는 우리 걸음마다}}} {{{#ffbb00 흔적이 드리우면}}} {{{#ff12ef 나도 모를 사이에 못 참을 만큼 네가 그리워서 보고 싶으면}}} {{{#00d8ff 그때, 난 어떡해}}} {{{#ffbb00 보고 싶은 맘 혼잣말 혼잣말}}} {{{#c3c3c3 계절의 바람 그 위로 발자국처럼 남아서}}} {{{#ff12ef 보고 싶은 날 언젠가 언젠가}}} {{{#c3c3c3 우리 다시 만날 봄의 너를 품는다}}} {{{#ffbb00 우리의 봄이 여전하게 세상이 모두 변해도 나는}}} {{{#c3c3c3 변하지 않을 수 있어}}} {{{#a566ff 추운 겨울이 모두 지난 3월이 되면 그곳에 서 있을게}}} {{{#ffbb00 다시 봄이 찾아오면}}} {{{#00d8ff 사랑을 알게 되면 아픔이 더 커진다는 말을 믿지 않아}}} {{{#a566ff 우리의 정원에 가득 피어난 봄 꽃잎처럼}}} {{{#c3c3c3 꽃잎처럼 나도 모를 사이에 못 참을 만큼 네가 그리워서 보고 싶으면}}} {{{#00d8ff 그때, 난 어떡해}}} {{{#ff12ef 보고 싶은 맘 혼잣말 혼잣말}}} {{{#c3c3c3 계절의 바람 그 위로 발자국처럼 남아서}}} {{{#ffbb00 보고 싶은 날 언젠가 언젠가}}} {{{#c3c3c3 우리 다시 만날 봄의 너를 품는다}}} {{{#ffbb00 시간 속을 내달리다 어디론가 더 멀어질까 봐 더욱더 겁나}}} {{{#a566ff 내가 널 잊는 일}}} {{{#c3c3c3 숨이 멈출 때까지 없을 거야}}} {{{#ff12ef 보고 싶은 맘 혼잣말 혼잣말}}} {{{#ffbb00 (혼잣말)}}} {{{#c3c3c3 계절의 바람 그 위로 발자국처럼 남아서}}} {{{#ff12ef 보고 싶은 날 언젠가 언젠가}}} {{{#ffbb00 우리 다시 만날 봄의 너를 품는다}}} {{{#a566ff 우리의 봄이 여전하게 세상이 모두 변해도 나는}}} {{{#c3c3c3 변하지 않을 수 있어}}} {{{#ff12ef 추운 겨울이 모두 지난 3월이 되면}}} {{{#ffbb00 그곳에 서 있을게}}} {{{#00d8ff 다}}}{{{#c3c3c3 시}}}{{{#00d8ff 봄}}}{{{#c3c3c3 이}}} {{{#00d8ff 찾}}}{{{#c3c3c3 아}}}{{{#00d8ff 오}}}{{{#c3c3c3 면}}} }}} || ==== 뮤직비디오 ==== ||
{{{#000 '''M/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dNND29yPhQ)]}}} || ==== 관련 영상 ==== ||
{{{#000 '''Jacket Behind The Scenes'''}}} || {{{#000 '''M/V Behind The Scenes'''}}} || ||[youtube(6do-f3vnJ94)]||[youtube(Az_b7XhcF9Y)]|| || {{{#000 '''Recording Behind The Scenes'''}}} || {{{#000 '''NU'EST with L.O.Λ.E - Storybook '다시, 봄\''''}}} || ||[youtube(RJXWKuFhhEY)]||[youtube(aMdwxF_W-Gs)]|| == 앨범 구성 == ||
{{{#000 ''''Needle & Bubble' 앨범 구성'''}}}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eedle & Bubble_album.jpg|width=100%&align=center]]}}} || == 여담 == * 뉴이스트의 데뷔 10주년인 2022년 3월 15일에 발매하였다. * 뉴이스트의 국내 첫 컨필레이션 베스트앨범으로 특이하게 데뷔곡인 《FACE》를 비롯하여 [[프로듀스 101 시즌2]] 출연 이전에 발매한 앨범 타이틀 곡이 다수 제외되었다. * 과거 앨범 자켓 이미지와 똑같은 구도로 재연한 사진이 [[https://youtu.be/0-BGpWxRMtE|프리리스닝]]에서 공개되었다. ||
{{{#000 '''비교 사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뉴이스트 자켓 사진 비교.jpg|width=100%&align=center]]}}} || * 앨범 발매 및 10주년을 축하하는 광고가 다수 집행되었다. [[https://twitter.com/NUESTNEWS/status/1499580398904520704?t=_X1Laq3kZtUzXrP0gMnZPw&s=19| ]], [[https://twitter.com/NUESTNEWS/status/1502479501229322246?t=KD_rTwrHJUuo49xIdUI8hA&s=19| ]], [[https://twitter.com/NUESTNEWS/status/1503309966475771906?t=zMWo_p_VUmuIJxXJ26ViHw&s=19| ]] * 공식 팬클럽 [[L.O.Λ.E]]가 활동을 마치는 [[뉴이스트]]에게 메시지를 전하는 이벤트를 진행하였다. [[https://twitter.com/NUESTNEWS/status/1499629462211678208?t=_9x0Atc9xNJThQ0fDY9fFg&s=19|#]] [[분류:뉴이스트/음반]][[분류:한국의 음반]][[분류:2022년 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