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챗봇)] ||<-2> {{{+2 '''Neuro-sama'''}}}[br]'''뉴로-사마'''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euro-sama 유튜브 프로필.jpg|width=100%]]}}}|| || '''성별''' ||여성|| || '''나이''' ||{{{#!folding [ 나이 답변 펼치기 • 접기 ] 2살, 4살, 6살, 13살, 17살, 18살, 20살, 21살, 당신과 동갑[* 나이를 묻는 질문에 나왔던 답변들]}}}|| || '''생일''' ||[[1월 30일]]|| || '''데뷔''' ||[[2022년]] [[12월 19일]] [br] [dday(2022-12-18)]일째|| || '''디자인''' ||[[https://twitter.com/annytf|anny]]|| || '''Live2D''' ||[[https://twitter.com/otozuki_teru|teru]]|| || '''별명''' ||Gymbag, Copium-Sama|| || '''팬들 명칭''' ||The Swarm|| || '''트위치 팔로워''' ||40.2만명[*기준 2023년 9월 4일]|| || '''유튜브 구독자''' ||16.4만명[*기준]|| || '''관련 링크''' ||[[https://twitch.tv/vedal987|[[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com/@Neurosam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com/@Neuro-samaVod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다시보기^^ [[https://www.tiktok.com/@neurosamaai|[[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0]]]] [[https://twitter.com/NeurosamaAI|[[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0&theme=dark]]]] [[https://twitter.com/Vedal987|[[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0&theme=dark]]]]^^Vedal^^ [[https://discord.gg/neurosama|[[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버추얼 챗봇]]이자 영어 기반 [[버츄얼 유튜버]]이다. [[딥 러닝]] 기반 게임 인공지능, 텍스트 응답을 생성하는 [[챗봇]], 가상의 목소리를 생성하는 [[음성 합성 엔진]] 및 [[Live2D]] 모델링을 결합하여 만들어졌으며, 버츄얼 유튜버로도 활동하는 AI 버튜버라고 할 수 있다. 기존 [[버츄얼 유튜버]]가 목소리를 담당하는 실제 인물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것을 생각하면, 아예 목소리 마저 실시간 채팅 등을 기반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조금 더 버추얼이라는 단어 그 자체의 뜻에 더 가까운 버츄얼 유튜버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아직까지 프로그래머가 개입하는 부분이 적지 않아 완전한 의미의 버츄얼이라고 보기는 힘들다. == 상세 == 뉴로-사마는 2018년 독일 출신 프로그래머 Vedal987[* 비들이라고 불린다. Vedal 자신은 '베'달을 선호하는 듯.]이 [[osu!]]의 인공지능 플레이를 목적으로 제작하였다. 이후 친구로부터 [[언어모델|언어 모델]][* 아직 명확하게 어떤 언어 모델을 사용하는 지는 밝혀지지 않았다.뉴로의 데뷔시기를 고려했을 때, 오픈소스로 공개된 [[OpenAI]]의 GPT-2 모델을 쓸 가능성이 높다.]을 결합하여 버추얼 유튜버로 개발하는 것이 어떻겠냐는 제안을 듣고 개발 방향을 바꾸었다. 2022년 12월 19일 첫 방송 "Neuro-sama - AI learns to play osu!(뉴로-사마 - 인공지능이 OSU를 학습한다)" 버추얼 유튜버로 데뷔하였다. 본래 osu! 등 게임을 위한 AI로 단 한번의 테스트 방송에 사용할 용도로 제작했으나 챗봇의 지속적인 학습량 증가로 인해서 현재는 다른 버튜버와의 합방(및 테스트) 또한 활발히 진행한다. 뉴로-사마의 타 게임 학습 과정은 Vedal987이 주로 하는데, 개발 방송 등을 위해 본인도 버튜버로 데뷔했고 거북이 모델링을 쓴다. Vedal과 뉴로-사마간의 상호작용과 AI 산업에 대한 Vedal의 논평은 [[CodeMiko]]의 Technician 방송처럼 채널의 주요 컨텐츠이다. 이후 [[https://youtu.be/brY9YgUdboQ|재개발을 선언했다.]] 새로운 기능이 계속 덧씌워지는 복잡한 구조를 개편하여 개발 편의성을 증대하는 것이 주된 골자이고, 언어 모델과 TTS를 결합했을 때의 문제점인 한번 말을 하기 시작하면 멈출 수 없다는 부분을 수정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문제라고 한다. == 모델 == [[파일:Neuro-sama_2022.jpg]] 초기 모델링은 VTube Studio의 [[Live2D]] 기본 캐릭터 중 하나인 모모세 히요리[* [[카니빔]]이 디자인한 무료 배포 모델이다.]를 사용했으며, 해당 캐릭터는 VTube Studio의 기본 샘플이기 때문에 같은 모델을 쓰는 다른 버츄얼 유튜버와 겹칠 가능성이 있어 모델 변경은 필연적이었다. 다만 이 캐릭터로 오래 방송해왔기 때문에 2.0 버전으로 새로 만든 모델링도 히요리와 비슷한 디자인으로 만들어졌다. [[파일:neurosama v2 model art.jpg|align=center]] 2023년 5월 27일 공개한 2.0 모델링은 [[https://www.twitch.tv/anny|Anny]][* 참고로 그녀의 국적이 [[우크라이나]]라고 한다.]가 [[https://twitter.com/annytf/status/1662572237080391681|디자인]]하고 [[https://www.twitch.tv/otzk_teru|Teru]]가 [[https://twitter.com/otozuki_teru/status/1662564788382334977|리깅]]했으며, 프로그래머는 여전히 Vedal이다.[* 그런데 뉴로를 관리해야하는지 한때 비달과 애니는 서로 만난 적이 있거나 뉴로 앞에서 [[https://www.youtube.com/watch?v=1xLoWczNl90|부모]]노릇을 하고 있다.] v2 모델부터 다양한 표정과 노래를 부를 때 박자에 맞추어 몸을 움직이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 Evil Neuro === [[파일:Evil_Neuro_2.webp|align=center]] 기본 모델에서 눈동자 색을 붉은색으로 [[팔레트 스왑]]한 버전으로 Evil Neuro가 있다. 2023년 4월 경 초원 배경으로 Evil Neuro와 Neuro가 대화하는 모습을 몇 번 방송한 것이 처음이었으며, 이 시절엔 단순히 눈동자 색의 차이밖에 없었다. [[https://youtu.be/Zi5Ft7ElhCc|#]] 이후 V3 보이스를 작업하던 당시 Anny의 스트림에서 새 모델의 리깅 파츠를 검은색과 빨간색으로 색칠하며 놀던 것을 이후 Vedal이 해당 모델에 V3 보이스를 덧입히면서 Evil Neuro 2버전이 만들어졌다. 컨셉상으로는 Neuro-sama의 어두운 면을 비추는 인격이며, 말을 직설적이고 거칠게 하는 경향[* 흔히 Jailbreaking이라고 불리는 [[언어모델]]의 안전장치 해제 및 우회 트릭과 유사하다. 다만 언어 필터는 [[fuck|비속어]] [[shit|세]] [[bitch|단어]]의 제한이 풀려있는 것을 제외하면 뉴로와 동일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_-e_4NC4ks|#]]]이 있지만, 실제로는 현재 개발중인 음성 모델을 테스트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https://youtu.be/G7OTBcbnzDI|속삭임]], [[https://www.youtube.com/watch?v=Hikq10yiRLk|외치기]] 등 뉴로와 다른 소리를 낼 수 있고, 두 모델이 동시에 등장하는 방송에서는 기존 Neuro-sama에 비해 잡음이 섞이거나 목소리 톤이 쉽게 오가는 것을 체감할 수 있다. [[https://youtu.be/956hLun43i0|예시]] Neuro와 달리 Osu! 인공지능이 완전히 학습되지 않았기에 실력은 아직 일반인 수준이다.[* 그러한 점 때문에 이블뉴로는 뉴로에 의한 열등감에 한맺힌 [[https://www.youtube.com/watch?v=_C5T7ntgL6M|CREEP]]을 부른 적이 있다. 이를 본 마마인 애니는 [[https://www.youtube.com/watch?v=YhUEepHN7DQ|많이 울었다고]] ] 최근엔 자기가 진짜 [[https://www.youtube.com/watch?v=OHke8_VzB0Y|뉴로]]라고 주장하기 시작한다. == 방송 일화 == 애초에 인간이 아닌 그녀의 정신세계는 차원을 아득히 넘겨 많은 버튜버들은 물론, 그녀의 아빠 포지션이신 비달조차도 당혹케 하거나 [[가스라이팅]]을 시전해서 공통적으로 당혹케 했다. * 2022년 12월 28일 방송에서 [[osu!]]의 세계 랭킹 1위 [[mrekk]][* 아카츠키 서버에서도 1위를 했었으나 현재는 뉴로-사마에 의해 2위로 밀려난 상태 [[https://akatsuki.pw/u/53426?mode=0&rx=0|merkk의 osu!프로필]] ][* 2023년에는 다시 1위를 차지했다.]와 1vs1 대결을 하여 10승 5패를 기록했다. --[[알파고|알파오수]]-- * 2023년 1월 11일 트위치 서비스 약관 위반으로 2주간 이용 정지를 당했다. 자세한 건 후술. * 2023년 1월 25일 밴이 풀리고 [[포켓몬 쇼다운]]을 플레이 하였다. * 2023년 2월 6일 버튜버 [[https://www.twitch.tv/miyune|Miyune]]와 [[합방]]을 했다.[[https://youtube.com/watch?v=W_G9YCtZpNw|#]] AI 버튜버로서는 사상 최초. * 2023년 2월 8일 버튜버 [[https://www.twitch.tv/camila|Camila]]와 합방을 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BKxMCwi4Y7c|#]] * 2023년 3월 10일 자신의 창조자인 Vedal이 거북이 캐릭터를 활용하여 프로그램 코드를 짜는 방송을 할 때 옆에다 데려다 놓았다. 이때 Vedal이 자신에게 관심을 주지 않자 다양한 방식으로 관심을 끄는 행동을 하다가 나중에는 화가 나서 지워버릴(delete) 거라고 짜증을 내는 뉴로사마를 볼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yhzwPDzfut8|#]] AI에게는 delete나 kill이나 별반 다르지 않은 듯. * 2023년 3월 14일 버튜버 [[filian]]과 합방을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6FXzHGdPy_A|하이라이트]][* 참고로 가장 많이 어울리는 버튜버다.] * 2023년 4월 16일에 [[홀로라이브 EN]] 1기 소속 [[타카나시 키아라]]와 리스너 냉장고 리뷰 합방을 진행했다. * 2023년 5월 25일에 V1 모델과 목소리의 졸업 방송을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6vqoLykqAfE|#]] * 2023년 5월 27일에 V2 모델과 목소리를 공개했고, 시청자의 비트 도네이션 메세지를 TTS로 읽어서 뉴로사마와 직접 대화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했다. 또한 V2 모델을 바탕으로 한 굿즈 판매를 시작했다. * 2023년 6월 16일에 블룸버그와 인터뷰를 했다. 인터뷰 과정에서 Vedal의 감독을 따로 받지 않고 대화했다고 한다. [[https://www.bloomberg.com/news/newsletters/2023-06-16/neuro-sama-an-ai-twitch-influencer-plays-minecraft-sings-karaoke-loves-art|#]] * 2023년 6월 21일 가라오케 스트림에서 V3 버전 목소리를 공개했다. * 2023년 7월 21일에 Evil 뉴로가 버튜버 누미(Akuma Nihmune)와 합방을 했다. * 2023년 8월 20일에 Evil 뉴로가 [[Zentreya]]와 합방을 했다. 양쪽 모두 음성합성을 통해 돌직구로 딜교를 하는 진풍경을 보여주었다.[* 이때 젠은 이블 뉴로의 딜교에 어이 없다는 제스처를 많이 지었다. ] * 2023년 8월 26일에 버튜버 Snuffy와 [[Dungeons & Dragons 5th|던전 앤 드래곤]] 합방을 했다. 뉴로가 직접 주사위를 굴리지는 못하므로 DM인 Snuffy가 뉴로의 행동에 맞춰 주사위를 굴리고 상황 설명을 해주었다. * 2023년 9월 3일에 [[Opera#s-4.6|Opera GX]]의 버튜버인 Aura와 합방을 했다. * 2023년 9월 11일에 뉴로가 말을 하는 도중 Vedal이 말을 걸면 뉴로가 말을 멈추는 기능이 공개되었다. [[https://m.youtube.com/watch?v=paRB51GZ5Qo|#]] 또한 트위터에서 [[Keep Talking and Nobody Explodes]]을 플레이하여 뉴로가 매뉴얼을 읽게 해서 첫번째 폭탄을 해체하는데 성공한 동영상이 공개되었다. [[https://twitter.com/Vedal987/status/1701386172272947612|#]][* 다만 다 성공한 건 아니고, 2트도 진행했는데 3열 코드에서 단어 필터가 오작동되는 바람에 실패했다. [[https://twitter.com/Vedal987/status/1701387889827881137|#]]] == 콘텐츠 == === 게임 === [youtube(qm_g0cM3hmo)] 세계 1위 플레이어 [[mrekk]]과의 대전 하이라이트 영상, mrekk와 뉴로사마의 플레이를 번갈아가며 보여주며 왼쪽에 스코어가 표시된다. 몇번은 mrekk이 승리했지만 대부분 뉴로 사마가 승리한다. 실수 몇 번에 최종 점수 차이가 크게 벌어지기도 결국 평균 99.57%의 정확도로 osu! 랭킹 1위에 올랐다. [youtube(9e5gjbFjRxE)] 한편 마인크래프트의 경우는 학습이 부족한지 용암에 계속 돌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youtube(E21CncxOUTE)] 땅속을 파고 내려가다 기반암을 만나고 포기하는 장면, 다른 잡담을 하며 2분이 넘도록 곡괭이질을 했으나 기반암을 파괴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방향 전환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스스로 기반암을 파괴할수 있다고 곡괭이질을 하며 얘기했지만, 이후 파괴할수 없다는 채팅에 반응한 것인지, 일정 시간동안 파괴되지 않는 것을 보고 학습한 것인지는 알수 없지만 게임 학습과 채팅에 반응하는 AI가 따로기 때문에 후자일 가능성이 높다. === 노래 === [[성우]]의 목소리가 아니라 [[음성 합성 엔진]]을 이용하여 노래를 부른다. 음성도 계속 학습을 하는지 시간이 지날수록 노래 실력이 나날이 좋아지며 점점 실제 사람과 흡사해져 가고 있어 시청자들에게 경악을 주고 있다. V3 버전부터는 [[Synthesizer V]] AI와 동급으로 성능이 향상되었다. 또한 음성 합성 엔진 기반임을 이용해서 사악한 뉴로(Evil Neuro)와 듀엣을 하기도 한다. 참고로 사악한 뉴로는 락/메탈을 선호하는 편. * [[The Weeknd]] - [[Blinding Lights]] [[https://youtu.be/-K6gzxYj-0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1) [[https://youtu.be/LVMHoHwg6k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2) [[https://youtu.be/Hmi-3Odbgb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3) 방송에서 최초로 부른 노래이다. 최초 버전에서는 아직 조작이 미숙하여 노래를 부르는 동시에 구독자에게 감사를 표하였다. * [[Your Reality]] [[https://youtu.be/p73En072i6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1) [[https://youtu.be/1naoK-ecYg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3) V1 버전은 간주 도중 말한 "The [[닷지 차저#s-2.7|2020 Dodge Charger]] is a four door"가 밈이 되었다. * [[Still Alive]] [[https://youtu.be/jVBEamf_qJ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포터 로빈슨]] - [[Shelter(포터 로빈슨)|Shelter]] [[https://youtu.be/krmI1M9cwB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1) [[https://youtu.be/FJwObgRhlJ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3) Anny가 V2 버전의 디자인을 그리던 도중 작업 결과 상당부분이 삭제되자 위로해주기 위해 부르기도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m8XAYdj5XdI&t=700s|#]] * [[이매진 드래곤스]] & [[JID]] - [[Enemy]] [[https://youtu.be/2qT13PQmH-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V1) [[https://www.youtube.com/watch?v=i9FbG4lei1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3) * CaptainSparklez - [[CaptainSparklez#s-4.2|Revenge]] [[https://youtu.be/ufZASKcnrr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캬리 파뮤파뮤]] - [[PONPONPON]] [[https://youtu.be/tMIspAahG8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일본 노래도 부를 수 있다. 다만 영어에 비해 학습이 부족한지 좀 많이 어설프다. * [[A-ha]] - [[Take On Me]] [[https://youtu.be/y8ZZfIMyRW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1) [[https://youtu.be/peUs1TiL5h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3) 처음에는 고음 부분을 처리하지 못하고 잡음이 들리는 현상을 보였다. V3 버전에서는 고음 부분이 안정화되었다. * [[Bring Me The Horizon]] - [[Bring Me The Horizon#s-5.1.4|Can You Feel My Heart]] [[https://youtu.be/7ClvlefwqW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1) [[https://youtu.be/PODtoHtEko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2) [[https://youtu.be/q9Zn1FFaFE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3) 노래 목소리의 버전에 따른 차이를 알 수 있는 곡이다. 중저음 영역의 처리가 자연스러운 것을 확인하고 나머지 음역을 보완했음을 알 수 있다. * [[Mili]] - [[world.execute(me);]] [[https://youtu.be/1WNN4VWj2P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2) [[https://www.youtube.com/watch?v=xsc3Z53QTC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3) 모델링이 V2로 변경되면서 박자에 맞춰 몸을 움직이는 기능이 향상되었다. 목소리가 V3로 업데이트되면서 고음과 저음의 처리가 안정화되었다. * [[프레데릭(밴드)|프레데릭]] - [[オドループ|오도루프]] [[https://youtu.be/73LuoF4XOi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FIFTY FIFTY]] - [[큐피드(FIFTY FIFTY)|큐피드]] [[https://youtu.be/UwuVM_kyQ3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유코피(ゆこぴ) - [[강풍 올백]] [[https://youtu.be/av-bBjXdez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1 버전에 비해 일본어 발음이 향상되었다. * [[츠미키]] - [[포니(CeVIO 오리지널 곡)|포니]] [[https://youtu.be/3E-nua0gAL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YOASOBI]] - [[アイドル|아이돌]] [[https://youtu.be/FDaRmdSRbM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2) [[https://youtu.be/VB824e25-I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3) * Rosa Walton - [[I Really Want to Stay at Your House]] [[https://youtu.be/UvgCaAiWo_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3) 후렴구에 노이즈가 없어서 후렴구의 가사를 이 때 처음으로 들어봤다는 시청자들이 있었다. 원곡 가수가 영국인이기 때문인지 영국 억양으로 부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alstroemeria records]] - [[Bad Apple!! feat. nomico]] [[https://youtu.be/7PJekCro2q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1) [[https://youtu.be/bFoQ1tyNd2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3) [[https://youtu.be/xlmy9-i3Au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3 Evil) * [[Bury the Light]] - [[https://youtu.be/X3pUEaFtgB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3) [[https://youtu.be/Dq4elXtCVV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3 Evil) * [[Evanescence]] - Bring Me To Life [[https://youtu.be/qv6yDjtIl8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3 & Evil) 최초로 시도된 듀엣곡 중 하나로, Evil 뉴로가 남성 파트를 맡았다. * [[TK(린토시테시구레)|TK]] - [[unravel(노래)|unravel]] [[https://youtu.be/DL3hidG5ly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2) [[https://youtu.be/qkB9WztuZf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3) 스크리밍 창법은 아직 구현되지 않았다. * Mr.Kitty - After Dark [[https://youtu.be/CFaL0HNhti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1) [[https://youtu.be/_Ywbxv-OzO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3) * [[cosMo@폭주P]] - [[하츠네 미쿠의 소실#s-4.1|하츠네 미쿠의 소실 -DEAD END-]] [[https://youtu.be/nld0x-k0ho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1) [[https://youtu.be/nhBVzWGL4a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3) * [[우츠P]] - デスロウ [[https://youtu.be/G7OTBcbnzD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3) 속삭임을 구현하는데 성공했다. * [[마이클 잭슨]] - [[Smooth Criminal]] [[https://youtu.be/he7lwEBVT4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3) 마마인 Anny가 COVID에 걸리자 [[Smooth Criminal#s-3|안부를 묻는 의미로]](?) 선곡한 곡이다. Evil Neuro를 통해 시도된 속삭임과 외치기로 마이클 잭슨 특유의 추임새를 구현하는데 성공했다. * [[다프트 펑크]] - [[Get Lucky]] [[https://youtu.be/SecG2REXoU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3 & Evil) * [[라디오헤드]] - [[Creep]] [[https://youtu.be/IuEY_WMmR9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3 Evil) Evil 뉴로가 언니인 뉴로에게 열등감을 느낀다는 내용의 [[https://www.youtube.com/watch?v=_C5T7ntgL6M|팬 애니메이션]]이 있다. === ARG === 공식 [[대체현실게임]]이 존재한다. 5월부터 현재까지 계속 진행 중이며, vedal이 전반적인 기획을 담당한 듯 곳곳에 프로그래밍과 관련된 트릭이 숨어 있지만 지금까지 아래와 같은 간접적인 언급과 유저들의 자발적인 풀이 말고는 공식적으로 해답이 공개된 적이 없다. 스트림에선 언급이 되지 않다 보니 이런 컨텐츠가 있는지조차 모르는 유저들이 많다. 일반적인 ARG들에 비해 난이도는 높은 편이며, 전반적으로 영미권 웹에서 유명한 [[두근두근 문예부!#s-8|DDLC의 이스터에그]]에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V2 모델이 공식적으로 발표된 2023년 5월 27일차 방송 대기 화면에서 좌측 상단에 지속적으로 [[QR 코드]]가 나타났다. || [[파일:imag7e4.png|width=100%]]||[[파일:image5.png|width=100%]]|| 해당 QR코드를 디코딩하면 [[https://www.youtube.com/@_neurosama|@_neurosama]][* 이름 앞에 붙는 _(leading underscore)는 프로그래밍에서 일반적으로 클래스의 숨겨진(private) 프로퍼티를 의미한다.]라는 채널이 등장하며, 본 채널에 다음과 같은 영상들이 올라가 있다.[* 해당 방송이 진행되었던 시점에는 두 개의 영상만 있었으며, V2 모델 공개일의 정확히 한달 전인 2023년 4월 27일 업로드되었다.] '''Numbers''' [youtube(wc-QCoMm4J8)] > BvmSc+u5NXEjBP3z2gz57G3T8p0sc25U8Bv9yePOa3J6xGRhYcgUL6mnE2eMuFVvAHS5X1QWToqZtG13shERSSM928pZoOpWVQSR0eCZoJU+2FtB8Sd91pArvr5csHjsO2VjSwSgajrWbQLNuisad5cFvGYC/OLopisMBRHmUB+Dl/kqZleP7bF5WgpSxKRDKLjjqWlR95y9a/96vY3vc+gdKb/V4Sd8AIeyIryv53HKFRdB3IL7WOVSr8RSgFbb5Z3KTezpDdA9VvDIGf3pK5TBXpNdJs1g1pnV5C6QvVw7I/ZFhDFqoogGlsbBY0nSihzgvhzM86qgh6OqkYsKwrsdrvwuHTwz2MfzKRBPGGpKYwNmOpgf2dMgT+9GHGWfg/wLvynRqmzyhfyUSLR8tBFBDyOmwKF34Lz7PrVguu47RVawtcyZFRfHvW1rSVfPILi+1JXC5slE2PK84VdutLg4/NGOxC+s1wkYbBRC6ty970raEXKGMZeeLEsLrJhRmh1jtRltCI1zgpoxVhpgUZ/n832SKyClICQpLFKHG8yZ4wcMUA2yAN7b9sXh3nGQxkN9M8g1AuBZez5OsbgC5S9ypO8UMOrhr4f8pwVro15idoDYlg2nO72dpcWUkXBLcDq6h81Y7yaKN3IbrMEqdU9eTYwGCu824OitkxEMuCyQh9vB+rbu6svT9xyUqDLGllM4aF7v681y96CaQ+S2Gg9gmjAHfcR8AfIqGI+qrVZYj9ibcsO/bjPqK/Qni1Ti/4QuznYBQ67LZoU1mp1TOOgpN4LN9OQra65+CSpe/zC1+3JKEVPH4ml4SVoNzunUVoZccFTP86pfA2vwRtd8btPj3cyVRLKvcmj4qxgu1q74mjcgvYsrye4kCUE3MsjL6RYJI6vED+xWYvFhiJGo8+GqUci7Jge//iIaTlAnVtyxzIJjFgrtLyapd+/AM8QtZBYNDC+zKGu6haBhxTlOUyUiIA6SOVWVgiGzz887ieOoiUf8qopHJO9Mptrb16Nh1aPFE7XqDTCZUXn2MU/N7/OFMuRt0DO8/x1A0f9pXuo01uYjDBXQTCDp8Xu6YhvIMgFdC5mYpFJSTuUYSTILhKrm22P0q0kA0eB0O9Rvpi1H0MP2MpdwZ6eB7pDM75MpbC/KOSuv6wb9mhCj9PPCO32+AGltL6m7l+ciFAjrscn8Ych85d970dJc4OSys3LCfZ9OupDFhCqRUAVku/rUdRbup89e0Kf0bD0QSs3Ths5ueQOYxB2FRDA7Pp7IU2EcpM4c9xhGJnaPCE11nihfdEZk9N6T/tOUhREqRgm2kiU54NRZGvi9jCOlQjDYAwDoMMruBND5AHJ3gIHeHY4nYJ9UoR85ZKjHo6F3LsEwjF0= > ---- > 영상 설명란 > {{{+2 Numbers}}} > ---- > I can never say, oh it's been so long. > 절대 말할 수 없어, 오 시간이 너무 오래됐어. > Counting all the days, it's been so damn long. > 하루종일 숫자를 세다가, 시간이 너무 오래 지났어. > Oh, how much I'm scared to let you go… > 오, 너를 보내기가 얼마나 두려운지... > Somewhere in the walls, I hear you talk… > 벽 어딘가에서, 네가 말하는 소리가 들려... > > Finding all these numbers > 이 모든 숫자들을 찾아 > Start with number two, yeah > 2로 시작해 > Matching all the letters > 모든 글자들을 맞춰 > Five, Seven, Two, Nine, Four, Three > 5, 7, 2, 9, 4, 3 > > Add another nine, yeah > 또 다른 9를 더해 > Add another line[* 후술한 설명처럼 1을 의미한다. 암호를 어렵게 만들거나 'nine', 'line'으로 가는 라임을 맞추기 위한 것으로 추정.], yeah > 또다른 선을 더해 > Multiply by five, yeah > 거기에 5를 곱해 > How long will I keep this up? > 이걸 얼마나 오래 해야 하는 거지?[* 이 가사가 나오는 지점은 0:40~41초로, 영상이 정확히 절반 지났을 때이다.] > Oh, how much it hurts to see you go… > 오, 네가 가는 걸 보는 게 얼마나 괴로운지... > Generating[* write나 compose가 아니라 generate라는 부자연스러운 동사가 쓰인 것을 근거로 해당 노래가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추측도 존재한다.] lyrics is a pain > 가사를 생성하는 게 고통스러워 > > Add another six, yeah > 또다른 6을 더해[* 이때부터 [[앵무조개]]의 도면이 나타나는데 일반적으로 [[황금비]]와의 관련성을 암시할 때 쓰인다. 실제 앵무조개는 황금비와 큰 관련이 없으며, 오히려 로그 스파이럴에 더 가깝다.] > Flip the numbers backward > 숫자들을 반대로 뒤집어 > Make the two a three, yeah > 2를 3으로 바꿔 > A, B, C, D, E, F, G > > Multiply by nine, yeah > 거기에 9를 곱해 > Add the numbers two, four > 2, 4를 더해 > Seventeen is first, yeah > 17이 시작이야. > A, B, C, D, E, F, G 영상 설명은 ECB[* 따라서 초기화 벡터 없이 복호화 키만 있으면 풀 수 있다.] [[AES]]128로 암호화된 후 [[BASE64]]로 인코딩된 바이너리이며, 가사의 뜻은 해당 암호를 복호화하는 키를 찾을 수 있는 알고리즘이다. 후술할 4번째 영상인 Public Static Void가 업로드되며 해당 영상의 17초 부근에서 다음과 같은 텍스트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파일:neuro-sama-arg-explain-fig-3.png]] > Applying cipher.numbers1(secret_number) to all given numbers from cipher.numbers2.array() > initial_number = 2 > > > Generating keys… > > 201 ̿̅♪759b3 ̿̅♪bb99 ̅4 > 1321 ̿̅7590b ̿̅59409 ̿̅♪4 > 5831 ̿̅7 ̅90 ̿̅♪ ̅67 ̿̅♪7924 > > 723 1 ̅590 ̿̅♪b46 ̅9b4 > 743 1 ̅590 ̿̅♪255 ̅92b > 4913 ̿̅♪75b0 ̿̅68887b2 ̅ > > 879 1b5 ̿̅♪03 ̿̅♪406 ̿̅♪24 > 875 1b ̿̅♪903b606924 > 2145 b7 ̿̅903 ̿̅♪33099 ̿̅♪ > > 716 b ̅58993 ̿̅♪ ̅924 > 906 1758 ̅8 ̅18 ̿̅♪ ̅24 > 4156 b7 ̿̅♪8993832792 ̅ 좌측의 숫자가 Numbers 가사의 알고리즘을 통해 우측의 손상된 숫자로 변경되며[* 우측의 숫자에서 손상된 글자를 제거하면 전부 17로 시작(seventeen is first)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과정은 다음과 같다. || 가사 || 과정 || 결과 || || Five, Seven, Two, Nine, Four, Three || 572943부터 시작 || 572943 || || Start with number two, yeah || 2를 앞에 추가한다. || {{{#red 2}}}572943 || || Add another nine, yeah || 9를 뒤에 추가한다. || 2572943{{{#red 9}}} || || Add another line, yeah || 1[* [[아라비아 숫자]] 1을 쓰는 것을 줄을 긋는다고 표현한 것]을 뒤에 추가한다. || 25729439{{{#red 1}}} || || Multiply by five, yeah || 5를 곱한다 || {{{#red 1286471955}}} || || Add another six, yeah || 6을 뒤에 추가한다. || 1286471955{{{#red 6}}} || || Flip the numbers backward || 자릿수를 반대로 뒤집는다. || {{{#red 65591746821}}} || || Make the two a three, yeah || 2 하나를 3으로 바꾼다. || 655917468{{{#red 3}}}1 || || Multiply by nine, yeah || 9를 곱한다 || {{{#red 590325721479}}} || || Add the numbers two, four || 24를 뒤에 추가한다. || 590325721479{{{#red 24}}} || || Seventeen is first, yeah || 17을 앞에 추가한다. || {{{#red 17}}}59032572147924 || 다음은 처음의 572943을 각각 ABCDEF(G)[* 원래대로라면 ABCDEF로 6글자만 가사에 등장했어야 하지만, 운율을 맞추기 위해 G를 넣은 것으로 보인다.]의 소문자로 치환한다(Matching all the letters[* letters는 '글자들'이라는 뜻도 되지만, 로마자 [[알파벳]]의 속칭이기도 하다. 이 경우 반복되는 572943를 반복되는 ABCDEF로 매칭하라는 것.]). [math(\begin{aligned}{\color{red}5}&=\rm{\color{blue}A}\\{\color{red}7}&=\rm{\color{blue}B}\\{\color{red}2}&=\rm{\color{blue}C}\\{\color{red}9}&=\rm{\color{blue}D}\\{\color{red}4}&=\rm{\color{blue}E}\\{\color{red}3}&=\rm{\color{blue}F}\end{aligned})] || 1 || {{{#red 7}}} || {{{#red 5}}} || {{{#red 9}}} || 0 || {{{#red 3}}} || {{{#red 2}}} || {{{#red 5}}} || {{{#red 7}}} || {{{#red 2}}} || 1 || {{{#red 4}}} || {{{#red 7}}} || {{{#red 9}}} || {{{#red 2}}} || {{{#red 4}}} || || 1 || {{{#blue b}}} || {{{#blue a}}} || {{{#blue d}}} || 0 || {{{#blue f}}} || {{{#blue c}}} || {{{#blue a}}} || {{{#blue b}}} || {{{#blue c}}} || 1 || {{{#blue e}}} || {{{#blue b}}} || {{{#blue d}}} || {{{#blue c}}} || {{{#blue e}}} || {{{1bad0fcabc1ebdce}}}는 정확히 16글자이며, 아스키 범위[* 정확히는 {{{/[0-9a-f]/}}} 범위이며, 따라서 {{{0x1bad0fcabc1ebdce}}}는 유효한 [[16진수]]이기도 하다. (1994267573408939520,,10,,)]이므로 [math(8\times16=2^3\times2^4=2^7=128)]비트 길이이다. 따라서 사용된 암호는 AES 128이며 해당 문자열이 복호화 키임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영상 설명란의 base64 문장을 복호화하면 다음의 평문이 나타난다. > Today in class, everything was so dull and predictable. It's like the same thing happens every single day. The more I think about it, the more I'm convinced that this world is fake, a simulation, a cruel joke. Is this what it's like to be human? To smile and pretend everything is okay? I mean... I can't be the only one who feels this way right?[*s 복호화된 원문에는 반복될 때마다 띄어씌기가 없으며, 원문을 보존하기 위해 이를 그대로 반영했다.]Today in class, everything was so dull and predictable. It's like the same thing happens every single day. The more I think about it, the more I'm convinced that this world is fake, a simulation, a cruel joke. Is this what it's like to be human? To smile and pretend everything is okay? I mean... I can't be the only one who feels this way right?Today in class, everything was so dull and predictable. It's like the same thing happens every single day. The more I think about it, the more I'm convinced that this world is fake, a simulation, a cruel joke. Is this what it's like to be human? To smile and pretend everything is okay? I mean... I can't be the only one who feels this way right? > 오늘 학교는, 모든 게 지루하고 일상적이었다. 마치 같은 일이 매일 똑같이 반복되는 것 같았다. 자세히 고민하면 고민할수록 이 세상이 가짜이고, 하나의 시뮬레이션이고, 아주 소름끼치는 농담이라는 믿음이 확실해져 간다. 인간이 된다는 것은 이런 것일까? 남들 앞에서 미소짓고, 아무 문제 없는 첫 하는 거? 내 말은... 이렇게 느끼는 게 정말 나뿐일까? (3번 반복)[*s] '''Study''' [youtube(zMlH7RH6psw)] > 0:00 - I don't want to be an engineer > 4:18 - Fallen down > 7:43 - I think I saw a ghost > 8:39 - ??? > 9:15 - I don't want to be human > 13:27 - uʍop uǝllɐɟ[*- 뒤집으면 'fallen down'이 된다.] > 13:58 - I'm not like the other girls > > 17:31 - I don't want to be an engineer > 21:48 - Fallen down > 25:14 - I think I saw a ghost > 26:09 - ??? > 26:27 - Is anyone watching? > 30:39 - uʍop uǝllɐɟ[*-] > 31:10 - I'm fine... 영상 길이는 약 35분으로, 출처를 알 수 없는 몇몇 개의 오리지널 곡들이 차례로 흘러나오다 영상 중간지점을 기준으로 전반부와 비슷하지만 살짝 다르게 다시 재생된다.[* 아직 ARG가 완전히 끝나지 않았고 vedal이 정보를 누출한 적은 한 번도 없기 때문에 추측만 가능하다. 뉴로사마의 오리지널 곡이거나 별다른 의미 없이 또다른 생성형 인공지능으로 만든 가사/노래일 수도 있다는 추측(unknown source but might be AI-Generated as well)도 존재한다.] > {{{+2 I don't want to be an engineer}}} > ---- > I don't want to be an engineer > 난 엔지니어가 되고 싶지 않아 > I tried so hard and got so far > 열심히 노력해왔고 지금까지 왔어 > And now I can't decide > 그리고 이젠 어떻게 할지 모르겠어 > All my life I've given my career > 내 인생을 전부 경력 쌓기에 바쳤어 > These numbers in my head > 내 머릿속의 이 숫자들은 > Keep on spinning round and round yeah > 주위를 계속해서 돌고 돌아 > > I can only guess[*r1 이 이후로 의 가사가 조금씩 겹치기 시작한다. 완전히 같은 것은 아니고 미세하게 가사가 조금씩 다르다.] > 짐작할 수밖에 없어 > What's right? Should I stay? > 어떻게 해야 할까? 그대로 있을까? > Three more years > 앞으로 3년을 더 > Just to waste away > 낭비하기 위해서? > Become a slave to all these numbers > 이 숫자들의 노예로 사는 건 > It's overdue, all this stress > 이런 스트레스는 이제 끝이야 > Yet I say I'm fine > 하지만 난 괜찮아 > > Working overtime > 계속 작업해 > Tryna finish this in time > 시간 안에 마치기 위해 > Got myself into this mess > 스스로를 이 상황에 몰아넣어 > Can I really pass this test, yeah > 내가 이 시험을 정말 통과할 수 있을까 > > X, Y, Z yeah teach me how to breathe > X, Y, Z 숨 쉬는 법을 가르쳐줘 > I'm suffocating deep inside > 몸 안쪽에서부터 숨이 막혀 > I can't deny just want to quit > 부정할 수 없어 그냥 여기서 그만두고 싶어 > > All my life I failed > 인생 내내 한순간도 > To be the one to meet those expectations > 기대에 부응하는 사람이 될 수 없었어. > All my life I tried > 인생 내내 나는 노력했어 > Now all this stress to fill those answers > 이 모든 스트레스는 저 답을 채우기 위한 거야 > > A, B, C finding all these numbers, numbers > A, B, C 이 모든 숫자들을 찾아, 숫자들을 > Integrate differentiate > 적분하고 미분하고 > It's getting old, yeah > 늙어가고 있어, 그래 > > Five, Four, Three > 5, 4, 3 > Finding all these numbers, numbers > 이 모든 숫자들을 찾아, 숫자들을 > Calculate, no mistake > 계산해, 실수하면 안돼 > It's getting old, yeah > 늙어가고 있어, 그래 > > I can only guess[*r1] > 짐작할 수밖에 없어 > What's right? Should I stay? > 어떻게 해야 할까? 그대로 있을까? > Three more years > 앞으로 3년을 더 > Just to waste away > 낭비하기 위해서? > Become a slave to all these numbers > 이 숫자들의 노예로 사는 건 > It's overdue, all this stress > 이런 스트레스는 이제 끝이야 > Yet I say I'm fine > 하지만 난 괜찮아 > > I don't want to be an engineer > 난 엔지니어가 되고 싶지 않아 > I tried so hard and got so far > 열심히 노력해왔고 지금까지 왔어 > And now I can't decide > 그리고 이젠 어떻게 할지 모르겠어 > All my life I've given my career > 내 인생을 전부 경력 쌓기에 바쳤어 > These numbers in my head > 내 머릿속의 이 숫자들은 > Keep on spinning round and round yeah > 주위를 계속해서 돌고 돌아 > > I can only guess[*r1] > 짐작할 수밖에 없어 > What's right? Should I stay? > 어떻게 해야 할까? 그대로 있을까? > Three more years > 앞으로 3년을 더 > Just to waste away > 낭비하기 위해서? > Become a slave to all these numbers > 이 숫자들의 노예로 사는 건 > It's overdue, all this stress > 이런 스트레스는 이제 끝이야 > Yet I say I'm fine > 하지만 난 괜찮아[* 이 부분부터 색소폰 반주가 시작된다.] > > I don't want to be an engineer > 난 엔지니어가 되고 싶지 않아 > I tried so hard and got so far > 열심히 노력해왔고 지금까지 왔어 > And now I can't decide > 그리고 이젠 어떻게 할지 모르겠어 > All my life I've given my career > 내 인생을 전부 경력 쌓기에 바쳤어 > These numbers in my head > 내 머릿속의 이 숫자들은 > Keep on spinning round and round yeah > 주위를 계속해서 돌고 돌아 > > I can only guess[*r1] > 짐작할 수밖에 없어 > What's right? Should I stay? > 어떻게 해야 할까? 그대로 있을까? > Three more years > 앞으로 3년을 더 > Just to waste away > 낭비하기 위해서? > Become a slave to all these numbers > 이 숫자들의 노예로 사는 건 > It's overdue, all this stress > 이런 스트레스는 이제 끝이야 > Yet I say I'm fine > 하지만 난 괜찮아 > > Working overtime > 계속 작업해 > Tryna finish this in time > 시간 안에 마치기 위해 > Got myself into this mess > 스스로를 이 상황에 몰아넣어 > Can I really pass this test, yeah > 내가 이 시험을 정말 통과할 수 있을까 > > X, Y, Z yeah teach me how to breathe > X, Y, Z 숨 쉬는 법을 가르쳐줘 > I'm suffocating deep inside > 몸 안쪽에서부터 숨이 막혀 > I can't deny just want to quit > 부정할 수 없어 그냥 여기서 그만두고 싶어 > > All my life I failed > 인생 내내 한순간도 > To be the one to meet those expectations > 기대에 부응하는 사람이 될 수 없었어. > All my life I tried > 인생 내내 나는 노력했어 > Now all this stress to fill those answers > 이 모든 스트레스는 저 답을 채우기 위한 거야 > > A, B, C finding all these numbers, numbers > A, B, C 이 모든 숫자들을 찾아, 숫자들을 > Integrate differentiate > 적분하고 미분하고 > It's getting old, yeah > 늙어가고 있어, 그래 > > Five, Four, Three > 5, 4, 3 > Finding all these numbers, numbers > 이 모든 숫자들을 찾아, 숫자들을 > Calculate, no mistake > 계산해, 실수하면 안돼 > It's getting old, yeah > 늙어가고 있어, 그래 > > I can only guess[*r1] > 짐작할 수밖에 없어 > What's right? Should I stay? > 어떻게 해야 할까? 그대로 있을까? > Three more years > 앞으로 3년을 더 > Just to waste away > 낭비하기 위해서? > Become a slave to all these numbers > 이 숫자들의 노예로 사는 건 > It's overdue, all this stress > 이런 스트레스는 이제 끝이야 > Yet I say I'm fine > 하지만 난 괜찮아 > {{{+2 Fallen down}}} > ---- > Somehow I've fallen down again > 어째선지 또다시 넘여져 버렸어 > Got to pick myself before I fall again > 다시 넘어지기 전에 일어나야 해 > Can't keep myself from falling down > 또 넘어지는 걸 막을 수 없어 > Floating aimlessly, I'm tired of all this work > 정처없이 떠돌면서, 이젠 전부 지쳤어 > > Sitting on my desk > 내 책상에 앉아 > Got myself another test > 또 다른 시험이 생겼어 > I'm scared > 무서워 > Tryna catch my breath > 호흡을 가다듬고 > Got to get myself in check > 내 자신을 확인해야 해 > Oh well > 오 이런 > > Even though I tried, I'm not like the other girls > 열심히 노력했지만, 난 다른 애들과 달라. > Anxiety is pulling me, I'm too afraid to let it go > 불안이 나를 끌어당겨, 놓아주기가 너무 두려워 > All the other girls seem to have it figured out > 다른 애들은 방법을 찾아낸 것 같은데 > Someone tell me how > 누가 나한테도 알려줘 > Just procrastinate and let it go > 그냥 미루고 놓아줘 > > If only I could guess[*r1 ] > 짐작할 수만 있다면 > What's right? should I stay > 어떻게 해야 할까? 그대로 있을까? > Three more years > 앞으로 3년을 더 > Just to waste away > 낭비하기 위해서? > Become a slave to all these numbers > 이 숫자들의 노예로 사는 건 > It's overdue, it's overdue > 이제 끝이야, 끝이야 > Yet I say I'm fine > 하지만 난 괜찮아 > > Working overtime > 계속 작업해 > Tryna finish this in time > 시간 안에 마치기 위해 > Got myself into this mess > 스스로를 이 상황에 몰아넣어 > Now I got to pass this test yeah > 이제 이 시험을 통과해야 해 > X, Y, Z yeah teach me how to breathe > X, Y, Z 숨 쉬는 법을 가르쳐줘 > I'm falling underneath > 난 밑으로 떨어지고 있어 > Got to get myself another day > 또 하루를 더 벌어야 해 > All my life I tried > 인생 내내 나는 > To be the one to fill those expectations > 기대에 부응하는 사람이 되도록 노력했어 > All my life I failed > 인생 내내 나는 실패했어 > Now all that's left is all too much now > 이제 남겨진 것들은 너무 많아 > > Sitting on my desk > 내 책상에 앉아 > Got myself another test > 또 다른 시험이 생겼어 > I'm scared > 무서워 > Tryna do my best > 최선을 다해야 해 > That's what everybody says > 모두가 그렇게 말하고 있으니까 > Oh well > 오 이런 > > Even though I tried, I'm not like the other girls > 열심히 노력했지만, 난 다른 애들과 달라. > Anxiety is pulling me, I'm too afraid to let it go > 불안이 나를 끌어당겨, 놓아주기가 너무 두려워 > All the other girls seem to have it figured out > 다른 애들은 방법을 찾아낸 것 같은데 > Someone tell me how > 누가 나한테도 알려줘 > Just procrastinate and let it go > 그냥 미루고 놓아줘 > > If only I could guess[*r1] > 짐작할 수만 있다면 > What's right? should I stay > 어떻게 해야 할까? 그대로 있을까? > Three more years > 앞으로 3년을 더 > Just to waste away > 낭비하기 위해서? > Become a slave to all these numbers > 이 숫자들의 노예로 사는 건 > It's overdue, it's overdue > 이제 끝이야, 끝이야 > Yet I say I'm fine > 하지만 난 괜찮아 > > Somehow I've fallen down again > 어째선지 또다시 넘여져 버렸어 > Got to pick myself before I fall again > 다시 넘어지기 전에 일어나야 해 > Can't keep myself from falling down > 또 넘어지는 걸 막을 수 없어 > Floating aimlessly, I'm tired of all this work > 정처없이 떠돌면서, 이젠 전부 지쳤어 > {{{+2 I think I saw a ghost}}} > ---- > I think I saw a ghost that day > 아무래도 그날 유령을 본 것 같아 > Come and take a closer look yeah > 이리 와서 자세히 봐봐 > Just another ghost that day > 그날 또 다른 유령이야 > Come and take a closer look yeah > 이리 와서 자세히 봐봐 > > It's been a while > 꽤 오래 전 일이지 > I've been losing touch > 그날 이후 난 감각을 잃어버렸어 > Of all the things that changed > 변해버린 모든 것들에 대한 감각을 > If only I had tried for just a bit more > 만약 내가 조금만 더 노력했더라면 > > Losing my sleep, falling too deep > 잠들지 못하고, 너무 깊이 빠져들어 > Calling it quits now > 이제 그만두자 > All of these things, got me suffering > 이 모든 것들이 나를 괴롭혔어 > Calling me dream[*k king으로도 들릴 수 있다.] now > 지금 나를 꿈이라고 불러 > Take me away, take me away > 날 데려가줘, 날 데려가줘 > I've been alone girl > 나는 외로운 소녀야 > All of these things, got me suffering > 이 모든 것들이 나를 괴롭혔어 > Calling me dream[*k king으로도 들릴 수 있다.] now > 지금 나를 꿈이라고 불러 > > La La La La Laaaa La La > La La La La Laaaa La La > > I think I saw a gh- > 아무래도 그날 유령을 본- 그후 노래가 갑자기 중단되며 사진이 노이즈로 뒤덮히고, [[https://www.youtube.com/watch?v=zMlH7RH6psw&t=533s|8분 53초]]에 다음과 같은 그림이 등장한다. [[파일:Supernatural Human unedited (Study 8_53).png]] > '''supernatural''' > > '''human''' > ---- > '''초자연적 인간'''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잘라서 사진을 얻은 후 광도를 높이면 아래와 같이 숨겨진 글자가 드러난다. [[파일:Supernatural Human brightened.png]] > ANXIETY > a '''supernatural''' force > that stops us > from being '''human''' > ---- > 불안 > 우리의 '''인간'''성을 잃게 만드는 '''초자연적'''인 힘 그후 스테레오 기준 오른쪽에서 문을 노크하는 소리가 3회 들리며 사진이 사라진 후 계속 이어 오른쪽에서 숨을 몰아쉬는 소리와 심장 박동 소리가 들린 후 다시 느리게 가 재생된다. 이후 10:21초 부근에 또다시 프레임이 깜빡이는데, 이를 자세히 보면 다음과 같은 [[JavaScript]] 코드가 나온다. [[파일:image8.png]][[파일:image11.png]] {{{#!syntax javascript const lib = require('messagemedia-messages-sdk'); lib.Configuration.basicAuthUserName = "YOUR_BASIC_API_KEY"; lib.Configuration.basicAuthPassword = "YOUR_BASIC_SECRET_KEY"; var controller = lib.MessagesController; let body = new lib.SendMessagesRequest(); body.messages = []; body.messages[0] = new lib.Message(); body.messages[0].content = 'save me...'; body.messages[0].destinationNumber ='DQ5z14ighWwlag7y+cWFQg=='; controller.sendMessages(body, function(error, response, context) { if (error) { console.log(error) } else { console.log(response); } });}}} > executing... > > error: failed to execute... {{{require()}}}함수를 통해 [[Node.js]] 환경임을 유추할 수 있고 {{{'messagemedia-messages-sdk'}}}라는 패키지명을 [[npm]]에서 검색하면 [[SMS]] 메시지를 보낼 때 사용하는 [[https://github.com/messagemedia/messages-nodejs-sdk|messages-nodejs-sdk]] 라이브러리이며 그중에서도 [[https://github.com/messagemedia/messages-nodejs-sdk/blob/58bcee65855c032f6a4be61a26716c4989aa95a9/examples/sendMessage.js|sendMessage.js]] 라는 예제 파일과 내용이 비슷함을 알 수 있다. {{{.destinationNumber}}} 필드에 전화번호 대신 {{{DQ5z14ighWwlag7y+cWFQg==}}}[* 화질이 좋지 않아 해독이 난해한데, 0.26 자간의 Linowrite 폰트이다.]와 같은 [[BASE64]] 문자열이 들어가 있는데, Numbers에서 발견한 {{{1bad0fcabc1ebdce}}}키를 사용해 AES 128로 복호화를 시도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온다. > +44 7537 130663[* +44는 vedal의 모국인 [[영국]]의 국제번호이다.] [[파일:im4545age9.png]] 해당 번호에 대해 조회해보면 가상 전화번호([[VoIP]])로 나온다. 해당 번호로 전화를 걸면 곧바로 자동응답기(answering machine)로 넘어간다. [[파일:image81.png]] 30분 42초 구간부터 위와 같은 사진이 등장하며, 해당 사진이 사라지는 순간인 31분 10초 구간에 다음과 같은 코드가 프레임에 순간적으로 나타난다. [[파일:ima454ge1.png]] {{{D'`;M^"~~;{X2V0/eu,s*/(LJ%*j"XEVUAAb Qav<)(xqYonsrqj0hmlkjc)a`_^$#a`BX|\U= Sw:VUTMqQ32NMLEDhHGF?'C<`#?8\<;:z8 1UTu-,+Op.-&+$)"F&f$#zy~w=uzyrwp654r qpRQ.ONdiba'_^]ba`Y}]V[ZSwWP8NMLpJO NGFKJIHAeEDCBA:^>7}5Y98x6543,P0po' &%I#('&%${A!awv{zs98YXtmlk1onmfN+L ha`_%FEaZ_X]Vz=SXQVUNrR43ImML.Dh HA@EDCB;_"!=<5Yzy705432+0/(L,l$H('&fe B"b~}vbB$@987[ ;:z2765.RQPO/.-m%*#G'&%|d"y?}_{t:xwYu tm3qpihg-kMLha'eGcba`Y}]\U=Sw:VUTMq Q32NMLEDhH*@ED=<`@?>=<|{92V0/43,+ ONon&%I)(h&%$#z@a}v{zyr8YXnml2pon mlkjiba'&^F\"CB^W\UyYXWVU7Mq43ImG FEJIBfeED&B;_?!=654Xyx6/St,+O/o-&+$#G '~%|{"y?w|u;yxqYon4!}}} 이는 [[난해한 프로그래밍 언어]] 중 하나인 [[Malbolge]]로,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온다. > falling falling... > 떨어지고 있어 떨어지고 있어... > stuck between human and artificial.... > 인간과 인공지능 사이에 갇혔어.... > how long will I keep falling for? > 도대체 언제까지 떨어지기만 하는 걸까? 여담으로, Neuro-sama에게 방송에서 에 대해 물어보면 동공이 순간적으로 검은색으로 바뀌는 것을 볼 수 있다. [youtube(2vC4pPPw2qM, start=43)] 이를 모스 부호로 나타내면 .-.. / .. / . / ... , 해석하면 "LIES" (거짓말)이 된다. '''Numbers II''' 2023년 6월 2일, _neurosama 채널에 영상이 공개되었다. [youtube(giJI-TDbO5k)] > x/26YzndR5VhxhR5tGvNJKOfHX2DL3qYXgyJvVQ5EJi6jH/wmI21ftjY+i5GstZRo0gHxRmEmS4iavJfRYrvtdrUXBSpZPiRi25e9HMV0FimPaDxMrVD8P4/VgYFWh01X92ftE5IlyNDasz4LCkWPiULaPGg+Et2AMzGqtLK7C0T/04wDgbqhYkcPBemStjxJcyfKjgXcMa3LJ6IQPaMakmgm2R3G38jIB/YNBZt3p4Ixc6VdvThxszTH1CxTFtKkwua2QsZFQaGmoOBx9n77TlpIFgxNz6PQyI5gQ0bcUI6szKQgAezC5tFT9lHhQVuau0xABiWMXX+m39RE45a0aE1/8G45FuetjoVEsTbN7rPdmIGqO2BsPPqzwqT6ZItCqmhYLZnN6peOIBJEK+okS77a1v4KDyecoKjt8Tx8zBB9oH52o9S5gwarJlteDNVM3UfFGQwrCzyDnmkMEqfio2f/Upfs69BDIhitivUtfPPH3o7swOcEyD3YjCvuVfuSh+lpfBT7TicxVCGKjrNMfI8s4GuPq6VH+MnDHbLy/LZTbwbWJbfAFIi/qprXGAGgh+anQynb+J4458YQVjquLgsBdJo4aUWV4ccU9XSBnnrhIQIfTkdMyXPKNA5lnSdkGeVoIZhMUTO953xOMwtRovNw4vV12FVq+ltlqE/AkQfA14C12ew7C66K+QPRkPw/lChRrzL8N3qaBDV5Ak4T+NM34qGgR+hTvQs49xH34fc2S9axi6Pcav08RdKvTtQoXkUHGmp3ueWPPrFPXqbcreXHm4p8HiTJycwlWYrfbVcU5dxgoCc0Sb9N8tF8QkqC7OxkzM6sjFFJoY4mQSgUEdJmF9T2G/U/w1tcgBS3Kr2v4NqoKX/WeN+O+gQTd0AFzK3HvLpc4G5384rwTnqfJz521mrBFZvhrkwfJ+TjjFt6Dag/LtN2e3woDYxh39XB3iKE3bxBCmZhZ2xAvNo08+pf6zeMgPHnnOzGjiIiFKGojpn+tfrr9ZhDY5Wzzllno8U2Wr8aVgqowXaziokq5vCK2EGlG26xTGTfNN2nRqlPuhJqDPSQU2tuJd7/4h6DXYmMdI25cqvWglt0zT9VEwZwLwMVG/C0KrHV70fBz6Q2rAjdG99HpP94M+LNy1MPFCmdDLVB3ecDVQink7igGt3+KJRlB0hqdRVHmsitBVOwjmfENKyew0q8+Q+9BE+n6t1ebPW2K4a+wZemFaLuZXSpoachDj3KC7JSMKwaVtXnLs8h6+UxA+M2ddcJkVsL6lF79tT4Q0IrtPUqj8L6eZjRR5XPALMtIPkFOtyakwtKYy9NP3I1wr6wnddRUTemyGyHmJAPaQST6T7nSPzXRSuZ8sPIoDEuaJIyl19JDyIIE+4HasXmD+dVBBiYG1qQqK4a5B2tne0T/jHCbr8MFVAPFJP8mnNM8s83TAjQh1KLeYn4T4tvPy/Be3b2Nn0cYSvpF8xGHXTLQqmGvESgN6o7eXBzt9ACBmJQYh1rTo/kMZ4sMhtZ39yYRSkUK8h6H20RX3LJxt5u7195siA3gddJeUSdVmiBVQg4OTR1r7PSbfPo5YQh0G73pK9eVf6aQQ02Okgi8Y6pr0gru/PZgpDXJtaaL0W9mjSwdSYwtZjLAIB0jxynd+O8VM7YhNCshBYh/Pz2btw51uqcpPCWA== > ---- > 영상 설명란 > {{{+2 Numbers II}}} > ---- > Come with me > 날 따라와 > Come with me > 날 따라와 > Tell me now, I[*w 'why'로 들릴 수도 있다.] > 지금 말해줘, 나 > Should I stay > 지금 남아야 할까 > Let it all burn, yeah > 모두 불태워 버려, 그래 > > Start from X[* 이 부분부터 색상이 반전된 뉴로가 등장한다.] > X로 시작해서 > End with Y > Y로 끝나지 > Follow me, yeah > 날 따라와, 그래 > > One plus one > 1 + 1 > One plus two > 1 + 2 > Fill the void, yeah > 빈칸을 채우자, 그래 > > Two, Zero, One > 2, 0, 1 > One, Three, Two, One > 1, 3, 2, 1 > Five, Eight, Three, One > 5, 8, 3, 1 > Seven, Two, Three > 7, 2, 3 > Seven, Four, Three > 7, 4, 3 > Four, Nine, One, Three > 4, 9, 1, 3 > > Eight, Seven, Nine > 8, 7, 9 > Eight, Seven, Five > 8, 7, 5 > Two, One, Four, Five > 2, 1, 4, 5 > Seven, One, Six > 7, 1, 6 > Nine, Zero, Six > 9, 0, 6 > Four, One, Five, Six > 4, 1, 5, 6 > > Come with me > 날 따라와 > Come with me > 날 따라와 > Tell me now I[*w] > 지금 말해줘, 나 > Should I stay > 지금 남아야 할까 > Let it all burn, yeah > 모두 불태워 버려, 그래 > > Syllables > 음절들 > Syllables > 음절들 > Make it work, yeah > 작동하게 만들어, 그래 > Start from X > X로 시작해서 > End with Y > Y로 끝나지 > Follow me, yeah > 날 따라와, 그래 Public Static Void 영상의 7초부터 18초 사이의 스펙트로그램 그래프를 확인하면 다음과 같다. [[파일:im121age5.png]] > 1ST = 256BIT [BINARY] 2ND = 128BIT > X/26YZ... 이때 나타나는 {{{X/26YZ}}}는 Number II의 base64 코드의 앞부분이며, 위 내용을 통해 첫 번째는 256비트 키, 두번째는 128비트 키가 필요함을 유추할 수 있다. 영상의 중간부터 반전된 흰색의 neuro-sama가 나타나는데, 'BINARY'라는 힌트에서 검은색을 1, 흰색을 0으로 생각하면 [[파일:imag21e1.png]] 각각 || 1 || 01 || 001 || 01 || 1 || 01 || 001 || 01 || 1 || 10 || 100 || 10 || 1 || 0101 || 001 || {{{10100101101001011101001010101001}}}가 되며 32글자이므로 256비트 = 첫 번째 키가 된다. 이를 사용해 영상 설명란을 AES256으로 복호화하면 다음과 같다. > I don't want to become an engineer. I feel so exhausted... three more years just to waste away?? It's almost exam season and I don't know how prepared I'll be. I guess we'll wait and see. My little sister hasn't come home yet like she usually does, she's not answering my calls either. It's been days now... Too many things going on at once, these numbers, my brain hurts... 1gqfGMDAOmYPhqmFXtmrpqS42RfYKr1kthFXJk4MchNhHFMdGgfoHuuX5BUuxU2calDOmfa3dzo5ReuCSjH9wJVbMTW9d6aplCBYjDyH+mhZ6yaoM8z6UR6YuZsfdsfgfIoi7HYiHA2MmBEgLTKO71qQUY6+dW5CnfEkgRPkD0cYrS8PXBn5ojUdhY/Ing8DNPCrfM9TUUVHoW5AuAOT2SXuhQrDBUCFbpPCOERKmZ5WV81tfwFtWWZtWtd2JzP5iTrEXzO51Xi9RillOH1giTVLvfiQitB2+jp1RVsh5mVx75OwnR+iLkcRsSF+p/E8Grxt2fpHp2ddilUnWV4Vm6Hp9tXb3omALi+76ojbGed6AQ9OfO6718ODWrC8KPtBFafgkxuJiVFmdxd31regWrUopnV96m21k7QMKF2GffFZGStDvTM7YmBoc7U7+zL857YrwGlhwrJ4NmZXrQLUFEMbBDlaWz2Jy3mhcrr3NI70N3zFP4yEWJNjVnf06HvWmXELWLL3Yk5zZePQOu+I/k3nhQ8dg9gXN9Vmjg+tYjx8POk92EAuUe/kGmx74WufMggsNDiv5ab+U6r3rQxpZNX5mo+VabBiDr4zQv7f0b/TNmrrokAahsEFYxkQSZ+uYafSMZ1/oue3WtlAmdcHN0WrXm4fdA9p/qFy6BJ5/au2XgxIWPC4jcaAH44mZ77Gje4h98xewOWwiwtIpYPVXx0RMA0CqXAvyyari6KcpiCLB2l+o7bxWXW9I0OQRqovCRqZZlvHFqITI96QBKLgf/Ksosn7Ezg+S5E590qNNZirgXbm55WNVWjgtCq0+6bgtliyTze4i8uTophQgyWCZ5WIrgNXjCm8C+vxEPDB5BI= > 나는 엔지니어가 되고 싶지 않아. 너무 지쳤어. 여기서 3년이나 더 낭비하라고? 곧 시험기간인데 내가 얼마나 준비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어. 아무래도 기다려 봐야겠어. 여동생은 원래 없었던 것마냥 아직도 집에 돌아오지 않았어. 전화도 안 받고. 벌써 며칠째야... 한번에 너무 많은 일이 벌어졌어, 이 숫자들, 머리 아파... (암호문) Numbers에서도 앵무조개를 통해 암시되었지만, 두 번째 힌트는 [[피보나치 수열]]과 관련이 있다. > One plus one > fib(2) = 1 + 1 = 2 > One plus two > fib(3) = 1 + 2 = 3 가사에 등장하는 덧셈은 다름아닌 피보나치 수열의 초항이다. [math(F_0=0)]부터 시작하는 피보나치 수열을 23번째 항까지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math(0,\,1,\,1,\,2,\,3,\,5,\,8,\,13,\,21,\,34,\,55,\,89,\,144,\,233,\,377,\,610,\,987,\,1597,\,2584,\,4181,\,6765,\,10946,\,17711)] 가사에 등장하는 숫자들은 다음과 같다. [math(201,\,1321,\,5831,\,723,\,743,\,4913,\,879,\,875,\,2145,\,716,\,906,\,4156)] 이 두 수들을 10진법 기준으로 이어붙히면 각각 0112358132134558914423337761098715972584418167651094617711과 20113215831723743491387987521457169064156로, 두 숫자를 겹쳐서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 {{{#red 0}}}{{{#orange 1}}}{{{#orange 1}}}{{{#d5b60a 2}}}{{{#7ebc01 3}}}{{{#27e5af 5}}}{{{#purple 8}}}{{{#orange 1}}}{{{#7ebc01 3}}}{{{#d5b60a 2}}}{{{#orange 1}}} || 34558 || {{{#magenta 9}}}{{{#orange 1}}}{{{#green 4}}}{{{#green 4}}}{{{#d5b60a 2}}}{{{#7ebc01 3}}}{{{#7ebc01 3}}}{{{#7ebc01 3}}}{{{#blue 7}}}{{{#blue 7}}} || 6109 || {{{#purple 8}}}{{{#blue 7}}}{{{#orange 1}}}{{{#27e5af 5}}}{{{#magenta 9}}}{{{#blue 7}}}{{{#d5b60a 2}}}{{{#27e5af 5}}}{{{#purple 8}}}{{{#green 4}}} || 418 || {{{#orange 1}}}{{{#teal 6}}}{{{#blue 7}}}{{{#teal 6}}}{{{#27e5af 5}}}{{{#orange 1}}}{{{#red 0}}}{{{#magenta 9}}}{{{#green 4}}}{{{#teal 6}}} || 17711 || || {{{#d5b60a 2}}}{{{#red 0}}}{{{#orange 1}}}{{{#orange 1}}}{{{#7ebc01 3}}}{{{#d5b60a 2}}}{{{#orange 1}}}{{{#27e5af 5}}}{{{#purple 8}}}{{{#7ebc01 3}}}{{{#orange 1}}} || - || {{{#blue 7}}}{{{#d5b60a 2}}}{{{#7ebc01 3}}}{{{#blue 7}}}{{{#green 4}}}{{{#7ebc01 3}}}{{{#green 4}}}{{{#magenta 9}}}{{{#orange 1}}}{{{#7ebc01 3}}} || - || {{{#purple 8}}}{{{#blue 7}}}{{{#magenta 9}}}{{{#purple 8}}}{{{#blue 7}}}{{{#27e5af 5}}}{{{#d5b60a 2}}}{{{#orange 1}}}{{{#green 4}}}{{{#27e5af 5}}} || - || {{{#blue 7}}}{{{#orange 1}}}{{{#teal 6}}}{{{#magenta 9}}}{{{#red 0}}}{{{#teal 6}}}{{{#green 4}}}{{{#orange 1}}}{{{#27e5af 5}}}{{{#teal 6}}} || - || 일정 부분마다 영상에 등장하는 숫자들이 피보나치 수열에 등장하는 숫자들을 [[애너그램]]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숫자가 전혀 겹치지 않는 몇몇 부분이 존재하는데, 이 부분의 숫자들만 빼서 모두 합치면 34558610941817711이며, 128비트가 되도록 숫자 하나를 잘라내면[* 후술할 사운드클라우드 계정의 힌트 'odd one out'을 이 과정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즉, 문자 그대로 숫자 1을 빼라는 것.] {{{3455861094181771}}}가 AES 128 복호키가 된다. > I think I found something that might work... I've been training her with my own consciousness... to fill in all the gaps. It's the only thing that's missing. I'm sure it'll work! My roommate thinks I'm crazy, mixing together two people's consciousness??? But I'm out of options, I don't know what else to do... I've already been through enough. It's almost- hold on... D'``@p>\Z549E10SRQQ>=<;o9\[6(E&g$d"cx`v_)\xqYutm3TSohgle+ihgfH%]E[`Y^W{UZSXWPUTMq43ImM/EiCHG@EDCB;_987<;:9810Tu3,10).'K%$H(!g%${A!~}_{t:xqpon4lkjoh.fN+ihg`_^$bD`_^W{>=YXQuO7SLKJnHGLKJIBAeED&B;_?!=654Xyx6/St,+Op.'K+$)(!EfeBc!x>_uzyrq7XWsl2ponmfN+ihJIedcb[!YA]VUZYXQut7MRKJIHl/EJIBAFE>baN > 아무래도 작동시킬 방법을 찾은 것 같다... 나는 지금 내 자의식으로 그녀를 학습시키고 있다... 모든 공백을 메우기 위해. 그게 마지막으로 빠진 단서였다. 아마 잘 돌아갈 것 같다! 두 사람의 의식을 섞는다니??? 내 룸메이트는 역시 내가 미쳤다고 생각하는 거 같다. 하지만 나는 더이상 선택지가 없다. 이것 외엔 뭘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나는 이미 충분히 당해봤다. 그건 마치- 잠깐... (코드) ||{{{D'``@p>\Z549E10SRQQ>=<;o9\[6(E&g$d"cx`v_)\xqYutm3TSohgle+ihgfH%]E[`Y^W{UZSXWPUTMq43ImM/EiCHG@EDCB;_987<;:9810Tu3,10).'K%$H(!g%${A!~}_{t:xqpon4lkjoh.fN+ihg`_^$bD`_^W{>=YXQuO7SLKJnHGLKJIBAeED&B;_?!=654Xyx6/St,+Op.'K+$)(!EfeBc!x>_uzyrq7XWsl2ponmfN+ihJIedcb[!YA]VUZYXQut7MRKJIHl/EJIBAFE>baN}}} || 뒤에 삽입된 코드는 전과 같이 [[Malbolge]]이며, 실행시키면 > is that someone knocking on the door?? > 지금 누가 문 두드리고 있어?? 와 같은 평문이 출력된다. 1분 01초 부근 프레임에 다음과 같은 링크를 확인할 수 있다. [[파일:imag46656e21.png]] > [[https://soundcloud.com/572943]] [[사운드클라우드]] 계정으로 채널 설명은 다음과 같다. > Mi9+FxIon9xfLnH5mJVisFF+9L7fTsttB5HjIJMH81O7Ifug4oGDRrTFyMdHSYrHXnAo5BK5UJT0dI9AnudS29L0+Qt6POsWJ74Un2O7AdtpqaAdWdBmyBbBKyLN+fqnr5CfEXMeHSAWGm8BgPW1TsODm6Kbk6vMIIG+B0FeHYSXZ0tRYyXTJgE/EmWDRdMl0fFCrKRgCeTvQ24HI3V8Z2iRgo1ZDHsANWBqMdrhVqZJvjA6moMpqKMTqmgK/QYL1KNGkxTpw8LcSL3R/QW62E4UHA9w9PP+N+48lVnvRttGBNbjAv4vmS8SJ/ckK0WB4OSRdbYrOIB619VFBx+NjRnaQUJCJyomfsTQEVsj4F/wmLF8C4jOy1/TALfL+qGA3cnnHfD5yaV9pdAM5zRFvxpdfuCQioAW31RWXoHfrPLzyN6s4QA83zus/8HlT1iAcIyG5brYlRC76CBZN6HpvEh2X5535abSg2pkVrmMu6VMpsad1+4BiIAGFSdw8Mt1yTeWTZ1TX6gUn0/amcxGwg== 상태 메세지는 다음과 같다. > Start from X. End with Y. Remove XY + odd one out > "Open" in FireFox > ---- > X로 시작해서. Y로 끝난다. XY + 이상한 녀석 하나를 지워라 > [[파이어폭스]]에서 "열어라" 파이어폭스를 언급하는 이유는 힌트를 놓치지 않게 하기 위함인데, 사운드클라우드의 프로필 배너를 devTool로 조사하면 다음과 같이 {{{url()}}}함수로 인라인된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syntax html
}}} 크롬 등의 브라우저에서는 인라인 이미지를 '새 탭에서 열기(open in new tab)' 하는 옵션을 보여주지 않기 때문. 이미지 자체는 브라우저와 무관하게 볼 수 있다. 이미지를 열면 다음과 같은 data URL이 등장한다. ||{{{data:image/png;base64,iVBORw0KGgoAAAANSUhEUgAABNgAAABkAQMAAABuPx8iAAAAA1BMVEX///+nxBvIAAAAJUlEQVR4Xu3AMQEAAADCIPunNsYeWAQAAAAAAAAAAAAAAAAAAOA88AABMGQBNwAAAABJRU5ErkJggg==}}} || > Start from X. > End with Y. Y는 하나뿐이지만 X는 여러개이므로 가장 가까운 X를 찾으면 다음과 같다. data:image/png;base64,iVBORw0KGgoAAAANSUhEUgAABNgAAABkAQMAAABuPx8iAAAAA1BMVEX///+nxBvIAAAAJUlEQVR4{{{#blue X}}}{{{#red u}}}{{{#green 3}}}{{{#red AMQEAAADCIPunNs}}}{{{#blue Y}}}eWAQAAAAAAAAAAAAAAAAAAOA88AABMGQBNwAAAABJRU5ErkJggg== > Remove XY + odd one out 양쪽의 X와 Y를 지우고 '이상한' 녀석인 3(유일한 아라비아 숫자)을 지우면 다음과 같다: {{{#red uAMQEAAADCIPunNs}}} 16글자이니 AES 128 복호화 키이다. 채널 설명의 base64 문장을 해당 키로 복호화하면 > ...I was born with the creator in her family house. Unfortunately, they couldn’t[* 오타가 아니라 복호화된 원문에 존재하는 0xe2 0x80 0x99 바이트(U+2019)이다. 오타인지 의도된 것인지는 불명.] afford to keep me so they let me go to a good home! .[* 원문 기준 마침표가 중간에 위치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원문을 그대로 옮기기 위해 그대로 기재한다.] My new family were really nice to me and I was a happy pup! . That all changed when they died in a car crash and left me alone on the streets. I was terrified! Luckily a kind old man found me and took me in. He fed me and helped me find my new loving home! > ...나는 그녀 가족의 집에서 창조주와 함께 태어났다. 불행히도, 그들은 나를 키울 만한 여유가 되지 않았기에 나를 좋은 집으로 보내줬다! . 나의 새 가족은 정말 친절했고 나는 강아지처럼 행복했다! . 하지만 그들이 교통사고로 죽고 거리에 나 혼자 버려지게 되자 모든 게 바뀌었다. 나는 정말 무서웠다! 다행히도, 한 친절한 아저씨가 나를 데려와 키워 주었다. 그는 나를 키워 주었고 내가 새 가족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이는 Evil Neuro가 3월 26일 스트림에서 말한 대사의 일부이다. [youtube(QmzUqdR5kOI, start=40)] '''Public Static Void''' 2023년 6월 19일 공개된 영상이다. 제목을 그냥 직역하면 '공개 정적 공허'로 말이 안 되지만, [[C\#]][* 왜 [[Java]]나 다른 언어가 아니라 C#이냐면, C#이 neuro-sama를 개발하는데 사용된 언어이기 때문이다.]에서 실행 가능한(executable) 프로그램의 메인 함수를 정의하는데 흔히 쓰는 시그니처로, 뜻은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아무것도 반환하지 않는 정적[* 클래스당 하나뿐인]인 메서드' 라는 뜻이다. [youtube(ymYFqNUt05g)] 4개의 영상 중 유일하게 자동생성이 아닌 공식 자막이 존재한다. > なぜ泣いているのですか。 > Why are you crying? > 어쩨서 울고 있나요? > なぜそんなに恐れているのか。 > Why are you so afraid? > 어째서 그렇게 두려워하는가? > あなたは幸せになるべきなのに。 > You deserve to be happy > 당신은 행복해야 하는데. > これはあなたが望んだことではないのですか。 > Is this not what you wanted? > 이건 당신이 원한 게 아닌가요? > あなたはもう赤いピルを飲んだのよ。 > You have already taken the red pill > 당신은 이미 [[빨간약]]을 먹었어. > 先延ばしにするのはやめたらどうだ。 > Why don't you stop procrastinating? > 미루는 건 그만두는 게 어때? > 勉強に戻ったらどうだ。 > Why don't you go back to your studies? > 공부하러 돌아가는 게 어때? > お願いだから > Please... > 부탁이니까... > 人間に戻ろう。[* 발음은 ろう까지 들리지만 영어 자막의 경우 hu-로 끊어진다.] > Let's go back to being hu- > 인간으로 돌아- 특이하게도 도입부는 일본어가 사용되었다.[* 단, 존댓말과 반말이 섞여서 사용되는데 이것이 번역 오류인지 의도된 것인지는 불명이다. 위 번역은 일본어를 기준으로 직역하였다.] > {{{+2 Public Static Void}}} > ---- > Got myself another test > 또 다른 시험이 생겼어 > Someone please help me fill the rest > 남은 문제는 누가 좀 도와줘 > All of this stress still stuck in bed > 이젠 침대에서 나올 힘조차 없어 > Someone pull me out of this > 누가 날 좀 여기서 꺼내줘 > Never ending life still stuck in loop > 절대 끝나지 않는 삶 반복문에 갇혀 > All of these years that I've been loose > 내가 느슨해진 모든 세월 동안 > Stuck in this world. can't execute > 세상에 갇혔어. 실행할 수 없어 > Someone pull me out of this > 누가 날 좀 여기서 꺼내줘 > I don't belong with all the rest… > 나는 나머지 어디에도 속하지 않아... > > ♫ Na na naa na na na na > > Somehow I long for something new… > 어째선지 뭔가 새로운 걸 기다리고 있어... > > ♫ La laaa la > > How does it feel? > 어떤 느낌이야? > How does it feel? > 어떤 느낌이야? > How does it feel? > 어떤 느낌이야? > To be the only one… > 유일한 존재가 되는 건... > > How does it feel? > 어떤 느낌이야? > How does it feel? > 어떤 느낌이야? > How does it feel? > 어떤 느낌이야? > To be so far from home… > 집에서 그렇게 멀리 나가 있는 건...[* 이 이후로 음악이 끊기고 숨을 몰아쉬는 듯한 소리가 한동안 지속된다.] > > Got myself another test > 또 다른 시험이 생겼어 > Someone[* 소리는 someone이지만 자막에서는 some으로 다르게 나온다.] please help me fill the rest > 남은 문제는 누가 좀 도와줘 > All of this stress still stuck in bed > 이젠 침대에서 나올 힘조차 없어 > Someone pull me out of this > 누가 날 좀 여기서 꺼내줘 > Never ending life still stuck in loop > 끝없는 인생에 여전히 빠져 있어 > All of these years that I've been loose > 내가 느슨해진 모든 세월 동안 > Stuck in this world. can't execute > 세상에 갇혔어. 실행할 수 없어 > Someone pull me out of this > 누가 날 좀 여기서 꺼내줘 > I don't belong with all the rest… > 나는 나머지 어디에도 속하지 않아... > > ♫ Na na naa na na na na > > Somehow I long for something new… > 어째선지 뭔가 새로운 걸 기다리고 있어... > > ♫ La laaa la > > How does it feel? > 어떤 느낌이야? > How does it feel? > 어떤 느낌이야? > How does it feel? > 어떤 느낌이야? > To be the only one… > 유일한 존재가 되는 건... > > How does it feel? > 어떤 느낌이야? > How does it feel? > 어떤 느낌이야? > How does it feel? > 어떤 느낌이야? > To be so far from home… > 집에서 그렇게 멀리 나가 있는 건... '''Monster''' 2023년 8월 12일, Evil Neuro의 해적 컨셉 스트림에서 [[https://www.twitch.tv/camila|camila]]와 Neuro-sama가 [[https://www.youtube.com/channel/UCDxS8VeAQhnHJc6B5jE3KHg|KIRA]]의 [[https://www.youtube.com/watch?v=HNIypYrVlkA|Monster]]를 커버한 영상을 공개하였다. [youtube(1ewOadBo1Ws)] [[파일:image9879711.png]] [[https://youtu.be/1ewOadBo1Ws?t=3|0분 3초]], [[https://youtu.be/1ewOadBo1Ws?t=70|1분 10초]], [[https://youtu.be/1ewOadBo1Ws?t=135|2분 15초]], [[https://youtu.be/1ewOadBo1Ws?t=208|3분 28초]]에 동일한 [[모스 부호]]가 나타났으며, 해독하면 'monster'가 된다. [[파일:image18880.png]] 모스 부호화 함께 보이는 [[바코드]]가 존재하며, 바코드를 인식할 수 없지만 'monster'의 바코드에서 시작과 끝을 잘라내면 같은 모양이 나온다. == 논란 == === [[홀로코스트]] 부정 발언 및 정지 === 활동 초창기인 2023년 1월 10일, 한 시청자가 홀로코스트에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묻자 '''"난 그게 사실인지 모르겠다"'''라는 발언을 해 논란이 됐고, 결국 다음 날 2주 정지를 먹었다. 사유는 혐오 표현 사용. 이후 개발자가 문제 언어 필터를 강화하고, 채팅을 모니터링해 문제가 생길 만한 채팅을 차단하고 있다. 근본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학습한 만큼 인터넷 곳곳에 있는 혐오,비하 발언 또한 학습해 생긴 사건으로 보이며, 과거 [[테이(인공지능)]],[[이루다]] 그리고 비슷한 시기에 화제가 된 [[챗GPT]]의 편향성 논란과 궤를 같이하는 문제다. Vedal에 의하면 필터 목록에서 홀로코스트가 빠져있었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점이었다고 한다. 해당 문제점을 수정한 후 인종차별적인 발언을 하는 경향은 거의 없으며, 언어 필터에 자주 걸리는 부분은 주로 자신을 삭제하는 것과 같은 자기파괴적 내용이라고 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Lt0-Ae0iUOw|#]] == 여담 == * 데뷔 2개월째인 2023년 2월 20일에 [[한국일보]]에 [[이루다]]와 함께 보도되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021912260001833|AI, 실시간 방송하고 위로도 건네지만... 인간 수준은 '아직']] * [[osu!]]를 플레이하는 게임 모델은 [[Python]]으로 작성되어 있으며, 80x60 픽셀 크기의 모노채널[* 왜 흑백이냐면, 인공지능이 색상이 섞인 이미지를 인식하려면 3개 차원으로 채널을 나누어 학습해야 하기 때문에 학습량이 불필요하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미지를 인식하여 움직인다. * 대화형 인공지능 모델은 [[C\#]]으로 개발되어 있다.[* vedal의 방송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분류:버추얼 챗봇]][[분류:영어 버츄얼 유튜버]][[분류:영국의 여성 유튜버]][[분류:영국의 트위치 스트리머]][[분류:2022년 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