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사전적 의미 == '신경독'이라는 뜻의 영어 단어. == [[削除]]의 곡 == ||<-3> '''< BOF2011 우승팀 >''' || ||<-3> '''3ight''' || || '''Neurotoxin''' || {{{+1 [[VALLISTA]]}}} || [[Laplace]] || [youtube(Msfsal5EJqI)] BGA [[BMS OF FIGHTERS]] 2011에 투고되었던 [[削除]]의 세 곡 중 하나.[* 나머지 두 곡은 [[VALLISTA]], [[Laplace]].] 1을 모티브로 만들어진 곡답게 격렬한 전개와 삭제 특유의 서정적인 멜로디가 절묘한 조화를 이루는 곡으로, 石像くん[* Taiyo Yamamoto의 가명의, 그 다음해에 낸 앨범인 Selentia의 자켓 디자인을 담당했다.]이 만든 BGA와도 조화가 잘 맞는다. BGA는 뉴런, 즉 신경계를 표현한 듯하다. BOF2011에서는 개인으로 7위에 올랐으며 3ight 팀으로는 '''압도적인 점수 차로''' 1위를 찍어버렸다. 이후 BOF2011 Groundbreaking Edit 앨범에도 [[https://www.youtube.com/watch?v=PufnkiQTEGs|Full Length]]로 수록되었다. Full Length에서는 마지막에 기타 구간을 더 첨가했는데 '기타가 신의 한 수'라고 평가받을 정도로 평가가 좋다. 풀버전을 듣다가 BMS 버전을 들으면 제대로 끝난 느낌이 안 드는 수준. 삭제의 개인앨범 Selentia에도 수록되었는데, [[https://www.youtube.com/watch?v=-_zY83GT1nc|BMS 버전과 Full Length가 섞인 듯한 느낌이다.]] 삭제의 유명한 곡들 중 유독 상업 리듬게임에 이식이 안 되었던 곡이다.[* BMS가 아닌 곳에 아예 얼굴을 안 비추는 건 아닌데, [[스텝매니아]] 패키지인 [[http://d3mix.a-zeroproduce.net/|D3NEX MAXIMUM]]에도 수록되었다. 심지어 해당 패키지에서 削除의 유일한 수록곡이기도 하다.] 2020년 5월 24일 진행한 생방송에서 밝히길 아무도 요청하지 않아서라고 한다. === [[RAVON]] === 2020년 12월 24일, 최초 공개 후 '''9년 만에'''(...) 드디어 상업용 리듬게임에 진출, [[RAVON]]에 수록되었다. 리메이크를 거쳤다고 한다. [[https://youtu.be/TOa6pKvQImA|#]] [include(틀:RAVON채보, 제목=Neurotoxin, 파일=ravon Neurotoxin.png, 작곡=削除, 일러=Taiyo Yamamoto, EN=274, HA=468, CO=795, OV=1011, DEN=1.76, DHA=3.41, DCO=5.83, DOV=7.47, BPM=180, 길이=2:13, 특이=-)] ||
<#222244><-2> '''{{{#ffffff 해금 조건}}}''' || ||<-2> Asteriods || ||<#5555DD> '''{{{#fff ENJOY}}}''' ||<|3> Q.Chip으로 구매 || ||<#55DD55> '''{{{#fff HANDZUP}}}''' || ||<#FF4444> '''{{{#fff CORE}}}''' || ||<#842DCE> '''{{{#fff OVERNIGHT}}}''' || CORE 난이도 5번 플레이 또는 B랭크 달성 || ==== ENJOY ==== ==== HANDZUP ==== ==== CORE ==== ==== OVERNIGHT ==== [youtube(wQkFjRyi394)] SuperNova 영상. 플레이어는 eba. [[분류:BOF/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