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zQ-0SeBjWI)]}}} || ||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EXTENSION (2020)}}} || || {{{-1 '''장르'''}}} ||{{{-1 Drum'n Bass}}} || || {{{-1 '''BPM'''}}} ||{{{-1 172}}} || || {{{-1 '''작곡'''}}} ||{{{-1 [[Paul Bazooka]]}}} || || {{{-1 '''BGA'''}}} ||{{{-1 S.in(원화) / [[Lepusnette|RK]](모션)}}} || > 이번 신곡 Never Die는 Don't die의 후속곡으로 80년대부터 게임을 해온 올드게임유저(고인물)에 관한 이야기 입니다. 올드유저들을 존경하는 의미로 곡을 썼습니다. 중간에 브레이크비트는 그룹 [[The Prodigy|프로디지]] 오마주로 고인이 된 맴버 Keith Flint를 추모하는 의미를 담았습니다.[br]- [[Paul Bazooka]][[https://twitter.com/PaulBazooka/status/1237990935583064066|#]] == 개요 == >'''[[너는 이미 죽어 있다|너는 이미 고여 있다]].''' >---- >유튜브에 업로드된 BGA에 적힌 Paul Bazooka의 댓글 [[DJMAX RESPECT V]] 정식 발매와 함께 V EXTENSION DLC로 추가된 신곡. 제목이나 작곡가 코멘트에서도 알 수 있듯이 [[Don't Die]]의 후속곡으로, 이를 증명하듯이 전체적인 곡의 형태가 전작과 유사한 편이며 BGA 또한 게임과 관련되어 있다. 중간에 [[브레이크비트]]가 들어간 것이 특이점인데, 브레이크비트가 들어간 것은 영국의 일렉트로니카 그룹이자 브레이크비트 하드코어 장르로 유명한 [[The Prodigy]]의 오마쥬이며, 2019년 3월 4일에 사망한 전 멤버 키스 플린트를 추모하는 의도에서 넣었다고 한다. BGA는 전작에 나온 게이머가 오락실에 가서 격투 게임[* 체력바나 움직임으로 보아 [[스트리트 파이터 2]]의 패러디로 추정된다.]을 즐기던 중 다른 유저가 도전을 걸어와 맞붙은 끝에, 마침내 처음에 온 게이머 쪽이 이기지만[* 곡 후반 하이라이트 구간은 우메하라 다이고가 EVO2004 스트리트파이터3 서드 스트라이크 부문에서 보여준 [[https://youtu.be/PsJfM-Gx58Q?t=26|전설의 명장면]]을 오마쥬한 듯하다.] 상대가 컨티뉴가 끝나기 직전 코인을 넣어 재도전하려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EXTENSION)]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ever Die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6f1b 15%, #3b89b6 85%)" '''{{{#2E3A42 V EXTENSION}}}'''}}} || ||<-4>'''{{{+5 Never Die}}}'''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417}}}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879}}}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148}}}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1'''}}} [br] {{{-5 1173}}}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464}}}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87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120}}}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2'''}}} [br] {{{-5 1220}}}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65}}}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876}}}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161}}}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2'''}}} [br] {{{-5 1524}}}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6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861}}}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210}}}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1'''}}} [br] {{{-5 1224}}}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8d4b, #6ac0f1)"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AjqRFeI_9Y)]}}}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mseHTVooDQ)]}}}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UJ1AVdxACI)]}}}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oxveaJwfKw)]}}} ||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RFZTWrPkaM)]}}}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3jGTLywhoE)]}}}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eFgmZFtyZI)]}}}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mXVJ10QyFE)]}}} || 5B SC는 전반적으로 Don't Die 5B MX 패턴의 상위 호환으로, 8비트 동시치기와 짧은 롱노트를 동반한 롱잡이 주를 이룬다. 후반부에는 잡노트가 섞인 계단이 나오다 순간적으로 밀도 높은 겹폭타가 나와 콤보가 끊길 수 있으므로 주의. 최후반부 55442211 따닥이 계단 또한 콤보를 끊어먹기가 매우 쉬운 패턴.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ad-jPDqzlc)]}}}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hPBr2qmOX4)]}}}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l3EscfzC2s)]}}}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7hUysTCSrS4)]}}} || 6B MX의 경우 전체적으로 Don't Die와 비슷하지만, 동시치기 섞인 따닥이가 주가 되는 Don't Die와는 달리 후반부 폭타에 좀 더 난이도를 실었다. [[Kensei]]나 [[WONDER $LOT 777]] 등 같은 DLC에 비슷한 패턴이 존재하며, 상대적 난이도도 셋 다 고만고만한 수준. 시즌 6 업데이트에서 추가된 6B SC의 경우 초반은 무난하나 중반 빌드업 구간에서 겹계단-알약 패턴이 등장하면서부터 이후 클라이맥스까지의 난이도가 꽤나 올라간다. 롱노트가 섞여있는데다 46-5라는 불편한 배치가 끼어있는 밀도 높은 폭타 세례부터 시작해서, 1:48초부터는 이 패턴의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는 '''알약 폭타'''가 등장한다. 기존 패턴 중에서 잘 볼 수 없던 유형이기도 하고, BPM이 172로 빠른 편이라 꽤나 빠르게 내려오기 때문에 숙련이 필요하다.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zR__iXA62o)]}}}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YbA7t6fHZ0)]}}}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ioOxi4XSyM)]}}}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wR7P4UKkWo)]}}} || 8B MX는 2-5LR이나 26-LR 등 손 꼬이기 쉬운 까다로운 패턴이 많이 나온다. 특히 후반부에 나오는 트리거 복합 트릴은 실수하기 매우 쉬워 조심해야 한다. 8B SC는 트리거 복합 대신 일반 노트로 난이도를 끌어올렸다. 그렇기 때문에 6버튼 실력이 좋다면 어렵지 않게 칠 수 있는 패턴이지만, 난해한 후살과 최후반부의 66552211은 주의. 전체적으로 [[Attack(DJMAX)|Attack]] 8B SC와 패턴의 방향성이 비슷하다. [[분류:DJMA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