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ili의 싱글)] [목차] == 개요 == [youtube(Le5nXTvNYJc)] 음악 프로젝트 그룹 [[Mili]]의 정규 1집 [[Mag Mell]]의 수록곡. BandCamp에 음원이 풀버전으로 업로드되어 있다. 구매하여 음원 파일로 소장할 수 있다. 가격은 자유이나 최소가 1달러다. 바로 아래에 가사도 포함되어 있다. [[http://project-mili.bandcamp.com/track/nine-point-eight|#]] 제목 'Nine Point Eight'을 숫자와 기호로 풀면 9.8인데, 이는 지구의 [[중력]] 가속도인 9.8m/s^^2^^을 의미한다. --이과 감성-- --실제로 이과들은 한목소리로 천재적인 작명 센스라고 한다.-- [[Utopiosphere]], [[Friction]]과 함께 [[Cytus]]에 [[COSMO]]가 수록되기 이전부터 [[DEEMO]]에 수록되기 위해 제작된 곡으로, 특별한 요구 사항 없이 추락이라는 모티브를 제공받아서 만들어졌다고 한다. 맑은 목소리의 보컬과 밝고 서정적인 멜로디, 은은하게 깔린 피아노가 돋보이는 곡으로, 유저들에게 많은 호평을 받고 있다. Mili의 상징곡이라면 상징곡으로 꼽힐 만큼 Mili의 개성이 잘 나타나 있는 곡이다. 또 인지도가 매우 높은 곡이기도 한데, 그 이유는 가사가 '''추락'''을 모티브로 하고 있으며, 소중한 사람이 죽은 슬픔을 견디지 못하고 '''투신 자살'''을 한다는 매우 비참한 이야기를 담고 있기 때문으로 제목이 Nine Point Eight인 것도 이 때문이다. 다만 작사가인 Momocashew는 자신의 ask.fm에서 노래의 가사와 내용이 그렇게 어두운 편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는 의견을 밝힌 바 있다. [[H△G]]가 편곡한 버전도 있다. [[https://youtu.be/INdzE1B6S3w|#]] 정규 3집 [[Millennium Mother]]에 Special edit 버전으로 어레인지 되어 수록되었다. 가사가 암울한 편이지만 유튜브 댓글을 보면, 시작 부분의 "You Ready?" 부분은 개그라는 평가가 자자하다. 여담으로 "You Ready?" 부분이 나오기 전 초반 간주를 잘 들어보면 자동차 소리가 들린다. 이것 때문에 연인의 사망이 차와 관련되어 있을 거라는 추측도 있다.[* 하필 곡을 헌정하는 게임이 '''[[DEEMO]]'''란 점이 이 가설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그도 그럴것이 '''[[디모(DEEMO)|스포일러]]'''의 사망 원인또한 트럭 교통사고다 보니...] == 가사 == [[https://www.youtube.com/watch?v=fgtwncI3RuM&ab|공식 채널 가사 영상]][* 영상에는 실제 가사와 조금 다르게 적혀있는 곳도 일부 있으며(예: held-hold), 실제 가사는 맞으나 줄임말로 적혀있거나(예: please-plz) 심볼로 표현(예: skull-해골 모양)되어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88lVaHY_GUU)]}}} || || '''(You Ready?)''' '''Calla lily, Carnation, Daisy''' [[칼라|칼라 릴리]], [[카네이션]], [[데이지|데이지]][* 꽃말은 각각 '열정, 청정', '모정, 사랑, 부인의 애정', '명랑, 아름다움, 천진난만']는 '''Silently chase away your worries''' 조용히 그대의 걱정을 쫓아내고 '''Chrysanthemum, Kalanchoe''' [[국화]], [[칼랑코에]][* 꽃말은 각각 '정소, 청순, 고결', '설렘, 인기']는 '''Become your shield whenever you fall asleep''' 당신이 잠들 때마다 당신을 지켜 줘요 '''I cried out''' 나는 울부짖었어요 '''Please don’t leave me behind, leave me behind''' 제발 날 두고 가지 마, 두고 가지 마 '''So you held me tight''' 그러자 당신은 나를 꼭 끌어안고선 '''And said I will be just fine, I will be just fine, I will be just fine''' 말했어요, 난 괜찮을 거야, 괜찮을 거야, 괜찮을 거야 '''Petals dance for our valediction''' 꽃잎들이 우리의 작별을 위해 춤을 추며 '''And synchronize to your frozen pulsation''' 그대의 얼어붙은 맥박에 맞추어 가요 '''Take me to where your soul may live in peace''' 당신의 영혼이 편히 머물 그 곳으로 날 데려가 줘요 '''Final destination''' 마지막 목적지로 '''Touch of your skin sympathetically brushed against''' 그대 피부의 감촉이 동정하는 듯이 '''The shoulders you used to embrace''' 당신이 껴안곤 했던 어깨를 스치고 '''Sparkling ashes drift along your flames''' 반짝이는 재가 당신의 불꽃을 따라 흘러가며 '''And softly merge into the sky''' 부드럽게 하늘로 섞여 가요 ---- {{{#!folding Deemo에서 잘린 가사 보기 '''Lisianthus''' [[리시안셔스]][* 꽃말은 '변치 않는 사랑'] '''Aroma drags me out of where I was''' 그 향기가 나를 있던 자리에서 끌어내고 '''Cream rose, Stargazer, Iris''' 크림 로즈[* 꽃말은 사려깊음], 스타게이저[* 백합과의 꽃으로, 색마다 꽃말이 다르다.[br]하얀 백합: 순수한 사랑, 순결. 분홍 백합: 핑크빛 사랑. 빨간 백합: 열정적, 깨끗함], [[붓꽃]][* 꽃말은 '좋은 소식']은 '''Construct the map that helps me trace your steps''' 그대 발자국을 따라갈 수 있도록 지도를 만들어요 '''Zipped my mouth''' 입을 굳게 다문 채로 '''I just keep climbing up, keep climbing up''' 난 그저 오르고 또 올라요 '''Justify our vows''' 우리의 맹세를 증명하겠어요 '''I know you are right above, you are right above, you are right above''' 난 당신이 이 위에 있다는 걸 알아요, 이 위에 있다는 걸, 이 위에 있다는 걸}}} ---- '''Look now''' 봐요, 지금 '''I’m on the top of your world, top of your world''' 나는 당신 세계의 꼭대기에 있어요, 꼭대기에 있어요 '''My darling''' 내 사랑 '''Here I come, I yell''' 지금 갈게, 나는 외치며 '''And take a leap to Hell''' [[투신자살|지옥을 향해 도약해요]] '''Swirling wind sings for our reunion''' 소용돌이치는 바람은 우리의 재회를 위해 노래하고 '''And nine point eight is my acceleration''' 나의 가속도는 [[중력가속도|9.8]]이에요 '''Take me to where our souls may live in peace''' 우리의 영혼이 편히 머물 그 곳으로 날 데려가 줘요 '''Our brand new commencement''' 우리의 새로운 시작 '''touch of your lips compassionately pressed against''' 그대 입술의 감촉이 사랑스럽게 '''The skull that you used to cherish''' 그대가 아끼던 머리뼈에 맞닿고 '''Delicate flesh decomposes off my rotten bones''' 여린 살점은 분해되어 내 썩은 뼈에서 떨어져 나가 '''And softly merge into the sky''' 부드럽게 하늘로 섞여가요 || == [[DEEMO]] == [include(틀:DEEMO/Deemo's Collection Vol. 1A)] [youtube(PjmJ8l9okTE)] === 채보 === ||<-4> '''Nine point eight''' || ||<-4><:>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Nine_Point_Eight.png|width=240]] || ||<:>작곡||<-3><:> [[Mili]] || ||<:>보컬||<-3><:>momocashew|| ||<:>BPM||<-3><:> 164 || ||<:>난이도||<#cf9><:>Easy||<#9cf><:>Normal||<#fea><:>Hard|| ||<:>레벨||<:>1||<:>5||<:>7|| ||<:>노트 수||<:>138||<:>468||<:>768|| ||<:><-4> '''나는 아름다운 꽃들과 함께 있어.'''[* 해당 곡을 클리어 후 SNS에 공유할 경우 결과와 함께 출력되는 대사.] '''시간을 되돌릴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해당 곡을 FC/AC로 클리어 후 SNS에 공유할 경우 결과와 함께 출력되는 대사.]|| * '''해금 방법''': 'Falling Girl' 스토리 영상을 보고 나면 해금. Deemo의 수록곡으로, 앞서 서술된 이유로 인하여 플레이어들 사이에서 엄청난 인지도와 인기를 받고 있다. ==== Easy ==== 딱히 발광이라든가 하는 까다로운 부분이 없으며 전형적인 튜토리얼로 평가받는다. [[Dream(Rayark)|Dream]] 이지보다도 올차밍이 더 쉽다. ==== Normal ==== ==== Hard ==== [youtube(prtFpOTYChM)]AC 영상. 플레이어는 헛똑(SmartIdiot). 피아노 선율의 비트가 큰 변화 없이 일정하기 때문에 특정 구간이 확 어려워지지 않고 난이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공백 없이 노트들이 계속 내려오기 때문에 초보자들은 손과 눈이 피로해질수도 있다. 또한 2-1-2 패턴이 쉴 새 없이 쏟아지는 만큼 이것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노트 미스가 나기 쉽다. 슬라이드 노트가 존재하지 않는 채보인 데다 규칙적으로 내려오는 노트들 때문에 튜토리얼에 가까운 채보로 평가 받는다. === 기타 === [youtube(0Fk1Ap-4GsQ)] * 모든 난이도의 채보에서 슬라이드 노트가 나오지 않는다. 유일하게 노트가 나오는 라인이 5개로 고정되어 있으며, 모든 난이도의 채보 노트 수가 8로 끝난다. * Nine point eight의 곡 선택 화면에는 가사에 등장하는 꽃들이 형상화되어 있다. 물론 붉은 꽃들이 흩날리는 모습은 피를 은유하기도 한다. * 의미심장한 가사 덕에 [[DEEMO]]의 메인 스토리와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추측이 계속 이루어졌다. 하지만 [[Mili]]는 "별다른 요구 사항 없이 추락이라는 모티브만 제공받고 만든 곡"이라고 밝혔고 [[Rayark]]도 수록곡의 가사는 메인 스토리와 관계가 없다고 밝혀서 전부 의미 없게 되어버렸다. 굳이 생각해보면 가사의 줄거리가 디모의 줄거리와 비슷한 부분이 있긴 하다. [[한스(Deemo)|스포일러]]와 소녀의 어떤 약속, 사랑하는 사람[* 이 경우에는 가족애지만]을 잃은 소녀, 위로 올라가려는 행동, 그와 헤어지기 싫어 그냥 혼수 상태에서 깨어나지 않고 이대로 죽으려 하는 [[가면 쓴 여자아이|스포일러]]. * 2017년 9월 8일을 맞아 HAMO가 이 곡명의 원곡명에 대해서 짧은 이야기를 [[https://twitter.com/HAMOloid/status/905812893257449473|풀어놨는데]], Nine Point Eight의 가제는 MY HERO였다고. * 2019년 11월 출시된 [[DEEMO -Reborn-]]의 수록곡 [[Faith, Hope & Love]]의 일러스트와 이어진다. == [anchor(D2)][[DEEMO II]] == [include(틀:DEEMO II/복각07 - 고목의 선율)] === 채보 === ||<-4>
'''Nine Point Eight''' || ||<-4> [[파일:DEEMO II Nine Point Eight.webp|width=240]] || || 작곡 ||<-3> [[Mili]] || || 보컬 ||<-3> momocashew || || BPM ||<-3> 164 || || 난이도 || '''{{{#fff,#333 Easy}}}''' || '''{{{#fff,#333 Normal}}}''' || '''{{{#fff,#333 Hard}}}''' || || 레벨 || 2 || 6 || 8 || || 노트 수 || 171 || 458 || 795 || ||<-2>
'''해금 조건''' || || '''Easy''' ||<|3> [[DEEMO II/상점#곡팩 상점|상점 - 곡팩 상점]]에서 [[DEEMO II/수록곡#복각07 - 고목의 선율|복각07 - 고목의 선율]] 구매 || || '''Normal''' || || '''Hard''' || ==== Easy ==== ==== Normal ==== ==== Hard ==== [youtube(_1Th3MZM834)] AC 영상. 플레이어는 Deemo II 譜面まとめ ykhr1.07. 전작 [[DEEMO]]의 단조로웠던 채보에서 홀드 노트와 슬라이드 노트가 추가되면서 채보가 좀더 풍성해졌고, 중후반부에 트릴이 추가되면서 난이도가 소폭 상승하였다. === 기타 === == 타사 리듬게임 수록 ==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DEEMO)]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ine Point Eight_1.png|width=100%]]}}} ||<-4>'''{{{#E4E4E4 COLLABORATION}}}''' [[파일:djmax_collaboration_deemo.png|height=14]]|| ||<-4>'''{{{+5 Nine Point Eight}}}'''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6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682}}}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877}}} || -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61}}}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758}}}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1076}}} || [[파일:djmaxsc5.png|width=16]] {{{#purple,#f21cc7 '''5'''}}} [br] {{{-5 1303}}}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07}}}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74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1082}}} || -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46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1104}}} || -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8'''}}} [br] {{{-5 1191}}}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9295, #B7B5B7)"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2019년 7월 29일 DEEMO 콜라보레이션 DLC를 통해 수록되었다.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5v0k1RElOE)]}}}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OBW5XMpEjI)]}}} || || {{{#white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4EDn9__pr0)]}}} || ||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ldvrvuGUt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D06L1CBdFM)]}}}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PLjFxCNs2M)]}}}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UJEDtgzGU4)]}}} || 5B SC는 [[Mind Control(DJMAX)|Mind Control]] SC의 하위호환. 마컨에서 나오던 3번 축 동시치기가 거의 그대로 나오기 때문에 사전 정보가 없다면 실수하기 쉽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xauR5IlYsQ)]}}}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S__Vpl0-Gs)]}}} || || {{{#white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C1JZ-rByZ0)]}}} || ||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MCKON91two)]}}}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aY9NjLsEQk)]}}} ||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N45DH2I5vA)]}}} || || 8B SC는 [[Good Night, Bad Luck.]] SC의 하위호환. 8비트 456 와 트리거를 같이 처리해야 하는 복합 동시치기 등 조금 지저분한 동시치기를 자주 쓰는 패턴이기 때문에 8버튼 기본기가 없다면 상당히 고전할 수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Mag Mell)] [include(틀:Millennium Mother)] == 관련 문서 == * [[Mili]] * [[Mag Mell]] * [[Millennium Mother]] [[분류:DEEMO/수록곡]][[분류:DEEMO II/수록곡]][[분류:DJMAX의 수록곡]][[분류:Mili]][[분류:자살을 소재로 한 노래]][[분류:2013년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