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여자)아이들의 노래, rd1=Nxde)] [include(틀:라디오헤드)] [include(틀:In Rainbows)]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4910)] [Include(틀:Rate Your Music,항목=전체 싱글 차트,순위=266)] ||<#000><-2> '''{{{+1 {{{#F6EC5A N}}}{{{#447EB8 u}}}{{{#F26635 d}}}{{{#3F9C4B 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4-aiSnnghQk, width=100%, height=200)]}}} || || '''{{{#F6EC5A 싱글 발매일}}}''' ||[[2008년]] [[5월 31일]] || || '''{{{#447EB8 녹음일}}}''' ||[[2005년]] [[5월]] - [[2007년]] [[6월]] || || '''{{{#F26635 장르}}}''' ||[[아트 팝]], [[드림 팝]] || || '''{{{#3F9C4B 러닝 타임}}}''' ||4:15 || || '''{{{#EAB334 프로듀서}}}''' ||나이젤 고드리치 || || '''{{{#EB2730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9em" [[In Rainbows|'''{{{#F6EC5A In }}} {{{#447EB8 Ra}}}{{{#F26635 in}}}{{{#3F9C4B b}}}{{{#EAB334 o}}}{{{#EB2730 w}}}{{{#A2DAEA s}}}''']]}}} || || '''{{{#A2DAEA 레이블}}}''' ||[[파일:1200px-XL_Recordings_Logo.svg.png|width=28]] [[XL 레코딩스]]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영국]]),,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라헤누드.jpg|width=100%]]}}}|| }}}}}}}}} || [목차] [clearfix] == 개요 == ||<#000>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BbWBRnDK_AE, height=200)]}}}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b_jj9r4b5i4, height=200)]}}} || || '''뮤직 비디오''' || '''From the Basement 버전''' || ||<#000>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rG4ItJINzQs, height=200)]}}} ||<#fff>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IB_zqFlYxuA, height=200)]}}} || || '''1998년 샌프란시스코 라이브'''[* 당시 제목은 Big Ideas] || '''2018년 칠레 산티아고 SUE 페스티벌 라이브''' || 2007년 발표된 [[라디오헤드]]의 7집 [[In Rainbows]]의 세 번째 트랙으로 후에 싱글로도 발매되었다. == 상세 == [[빌보드 핫 100]]에서 37위를 기록한 곡으로 이는 라디오헤드 노래 중 Creep 다음으로 가장 높은 순위이다. [[간통]]과 [[사기죄|사기]]로 인한 죄책감에 대한 노래라 한다. 원래 [[OK Computer]] 제작 당시에 작곡한 Big Ideas라는 노래였으며[* 실제로 앨범 당시의 제작 과정을 녹음한 [[MiniDiscs [Hacked]|MiniDiscs (Hacked)]]에도 수록되어 있다.], 종종 라이브로 불러서 라디오헤드빠들은 이미 알고 있던 곡이었다. 10년 동안 이 곡을 작업했는데 콜린 그린우드가 작곡한 새로운 베이스 라인으로 노래를 재구성하여 편곡했다. 콜린의 베이스 라인은 훨씬 더 리듬감 있는 노래로 변형시켰다. 톰은 이 노래에 대해 "10년 전 우리가 처음 이 노래를 불렀을 때, 저는 이 노래가 너무 여성스럽고, 너무 높아서 즐겨 부르지 않았습니다. 그런 점이 너무나 불편한 점이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바로 그 이유로 즐기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 노래는 그보단 덜 불편하고, 제 범위를 벗어나고, 정말로 부르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나에게 뭔가를 가져다 줍니다."라고 했다. 직설적인 가사를 지닌 Big ideas에서 조금 더 간접적인 느낌으로 개사된 것과 사운드가 조금 더 다채로워진 것이 톰의 마음에 더 들었던 모양. == 가사 == ||<#000000> ---- '''{{{+2 {{{#F6EC5A N}}}{{{#447EB8 u}}}{{{#F26635 d}}}{{{#3F9C4B e}}}}}}''' ---- Don't get any big ideas 헛된 망상 따위 갖지 마 They're not gonna happen 어차피 일어나지 않을 거니까 You paint yourself white 넌 네 자신을 하얗게 칠하고 And fill up with noise 소음을 채워 넣었지 But there'll be something missing 하지만 뭔가 빠진 게 있을 거야 Now that you've found it, it's gone 네가 그걸 찾아내자, 사라져 버렸어 Now that you feel it, you don't 그걸 느끼게 되자, 느낄 수 없지 You've gone off the rails 넌 선을 넘어 버린 거야 So don't get any big ideas 그러니 헛된 망상 따위 갖지 마 They're not gonna happen 어차피 일어나지 않을 거니까 You'll go to hell 넌 지옥에 가게 될 거야 For what your dirty mind is thinking 네 더러운 내면의 생각 때문에 ---- [[라디오헤드|[[파일:Radiohead Cyan.png|height=30]]]] || == 여담 == * 곡의 처음에 들리는 부분은 노래의 마지막 부분을 역재생 한것이다. ([[http://www.youtube.com/watch?v=ija6NAoR9dI|#]]) * 제임스 휴스턴이라는 사람이 만든 스캐너(베이스), 프린터(드럼), 하드드라이브(보컬)를 이용해 연주한 영상이 있다.([[https://youtu.be/pmfHHLfbjNQ?t=1m2s|#]]) * Big Ideas 당시에는 엔딩을 에드 오 브라이언의 기타 리프로 마무리를 지었으나, 이는 톰 요크의 허밍으로 대체되었다. 다만 최근 라이브에서는 다시금 해당 [[https://youtu.be/IB_zqFlYxuA?t=258|기타 리프를 살리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노래의 분위기를 생각해 다소 락킹했던 Big Ideas 시절과 달리 앰비언트 느낌의 기타 사운드가 특징이다. * 라디오헤드가 10여년이 걸려 녹음한 곡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postrockgallery&no=639502|#]]이라고 한다. 앞서 서술했듯 콜린이 재즈로 부터 영향을 받은듯한 특유의 베이스라인이 만들어지기 전 까지는 앨범 수록을 할 만한 퀄리티가 아니였다는 것이 멤버들의 평이였던 것으로 보인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누드(동음이의어), version=18)][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In Rainbows, version=262)] [[분류:In Rainbows]][[분류:라디오헤드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