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그래픽 툴)] ||<-2>
[[파일:TheFoundry_Nuke_icon.png|width=80px]] || || '''개발사''' || [[https://www.foundry.com/|The Foundry]] || || '''출시 연도''' || [[2007년]] || || '''라이선스''' || '''프리웨어'''[br]'''상업 소프트웨어''' || || '''최신 버전''' || 13.2 [* (2022년 5월 기준)] || || '''용도''' || [[컴퓨터 그래픽스]] || || '''운영체제'''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white; border-radius: 4px; padding: 2px" [[Microsoft Windows|[[파일:Windows 로고.svg|height=16]]]]}}}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white; border-radius: 4px; padding: 2px" [[macOS|[[파일:macOS 로고.svg|height=16]]]]}}}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white; border-radius: 4px; padding: 2px" [[Linux|[[파일:Linux 로고.svg|height=16]]]]}}} || || '''한국어 지원''' || 미지원 [* 문서는 국문을 지원하지만, 기계 번역의 티를 감출 수 없다.] || || '''웹페이지''' || [[https://www.foundry.com/products/nuke-family|공식 사이트]]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소프트웨어]] 제작사 '''더 파운드리(The Foundry)'''에서 개발한 디지털 모션 그래픽 및 합성 소프트웨어이다. 영화 [[타이타닉(영화)|타이타닉]], [[스타 트렉/시리즈|스타트렉 시리즈]], [[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트랜스포머 시리즈]] 등의 CG를 맡은 [[미국]]의 CGI 회사 디지털 도메인의 [[인하우스]] 영상 합성 프로그램이었다가 [[2007년]]에 더 파운드리가 인수하면서 상용화가 되었다. [[할리우드]]의 [[슈퍼히어로]] 장르나 [[블록버스터]]는 물론 국내외의 영화, 광고,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 영상매체에서 필수적으로 활용되는 툴이다. ||
{{{#!wiki style="margin: -5px -7px" [[파일:TheFoundry_Nuke_v13_screenshot.png|width=100%]]}}}|| || '''Nuke 13 화면''' || [[어도비 애프터 이펙트]]와 종종 비교되고 개발사 역시 애프터 이펙트 사용자를 위한 이주(Migration) 매뉴얼을 공개하곤 하지만, 합성 작업 규모와 체계적인 관리에 있어 아예 체급이 다른 무거운 툴이다. 둘 다 합성 도구로써 기능이 겹치는 것일뿐 애초에 지향성이 다른 툴이라고 보는 게 마땅하다. == 상세 == [youtube(EgvUcGlNhOw)] 기본적인 사용 목적은 비슷한 종류의 컴포지팅, DI 툴과 맥락을 같이한다. 단지 태생적으로 스테레오스코픽, 3D 편집 등의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진 터라 관련된 기능들이 다른 업체의 프로그램들에 비해 뛰어난 편이다. 애프터 이펙트의 [[레이어]] 지향과는 다르게, 주 목적이 3D 컴포지션이다보니 이쪽은 [[3ds Max]]나 [[Autodesk Maya|마야]]처럼 [[하이어라키]] 구조로 돼 있어 각종 이펙트의 순서를 목록화하는 레이어 방식과는 다르게 작업 플로우가 [[그래프]], [[노드]] 의 형식으로 되어있다는 게 특징이다. 장점은 처음 배우는 사람이라면 작업이 어떤 식으로 이루어 지는지 빠르게 익힐 수 있다는 점이고(처음 배우는 사람이라면 애프터 이펙트의 레이어 방식보다 하이어라키 방식이 작업을 더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단점은 그 동안 레이어 기반 툴을 사용했다면 노드 기반 구조에 익숙해져야 한다는 점이다. 기본 3,000달러가 넘어가는 미친듯이 비싼 상용 소프트웨어지만, [[2015년]]부터 개인, 학생들을 위한 비상업용 무료 라이선스를 제공한다. 대신 무료 버전은 아래의 제약점이 존재한다. * '''[[H.264]] 코덱과 [[MPEG#s-3.2.4|MP4]] 컨터이너로 된 영상 사용 불가능''' [[Apple ProRes|ProRes]], DNxHR 등의 코덱은 잘 된다. * '''출력 시 영상 해상도가 HD(1920 * 1080)로 제한됨''' * '''일부 노드를 사용할 수 없음''' WriteGeo, Primatte, Ultimate, BlinkScript, GenerateLUT. MatchGrade 노드에서 활용한 LUT 역시 출력할 수 없다. * '''외부 플러그인 사용 불가능''' 내장된 플러그인만 사용할 수 있다. * '''EDL, XML 파일로 시퀀스 출력 불가능''' * '''저장장치 데이터 암호화''' 비상업용 라이선스로 만든 프로젝트를 상용 라이선스에서 열람할 수 없다. * '''파이선 스크립트 제한됨''' 스크립트당 처리할 수 있는 노드의 개수가 제한받을 수 있다. * '''터미널 모드 사용 불가능''' [[Python|파이선]]이나 nknc 스크립트 파일을 [[일괄처리]] 할 수 있는 터미널 모드가 사용 불가능하다. * '''고객 지원을 받을 수 없음''' == 제품군 분류 == * '''Nuke''' 가장 기본적인 제품군. 2020년 5월 기준 가격은 5,518달러, 1분기/1,919달러 * '''NukeX''' 기본판에 3D 카메라 트래킹 등의 추가 기능을 넣은 제품군. 가격은 10,268달러, 1분기/3,539달러 * '''Nuke Studio''' NukeX에 비선형 편집 기능까지 추가한 제품군. [[https://youtu.be/jJ22Gy7d9dg|관련 영상]] 가격은 11,868달러, 1분기/4,089달러 * '''Nuke Render''' 렌더팜 용 Nuke(GUI 미포함) 가격은 622달러 == 기타 == 저렴한 대안 소프트웨어로 호주의 기업 [[블랙매직 디자인]]에서 개발한 블랙매직 퓨전이 있다. [[DaVinci Resolve|다빈치 리졸브]]에 포함되어 있다. [* 블랙매직은 가성비 방송카메라 및 [[컬러 그레이딩]] 분야에서 표준처럼 쓰이는 [[DaVinci Resolve|다빈치 리졸브]]를 개발하는 곳으로 유명하다. 2010년대 중반부터 다빈치 리졸브가 컬러 그레이딩 전문 툴에서 포스트 프로덕션 종합 솔루션 툴로 발전되어 퓨전의 기본적인 기능은 다빈치 리졸브로 통합되었다.] 가격은 평생 소장에 겨우 300달러 정도이지만, 이쪽도 [[2012(영화)|2012]]와 [[그래비티(영화)|그래비티]], [[인디펜던스 데이]], [[킹콩(2005)]] 등등에서 사용되는 등 생각보다 어마무시하고 유서깊은 툴이다. [[분류:그래픽 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