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ODESZA]] [include(틀:상위 문서, top1=ODESZA)] [목차] === 앨범 === ==== Summer's Gone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ummersgone.jpg|width=100%]]}}} || ||<-4> '''{{{#000 Summer's Gone(2012)}}}''' || ||<-4> {{{#000 릴리즈 : 2012년 9월 2일}}} || ||<-4> {{{#000 레이블 : 없음(Self-Released)}}} || || '''{{{#000 트랙}}}''' || '''{{{#000 이름}}}''' || || 1 ||Intro|| || 2 ||How Did I Get Here|| || 3 ||I Want You|| || 4 ||Above The Middle|| || 5 ||We Were Young|| || 6 ||Today|| || 7 ||Tuytus|| || 8 ||Rely|| || 9 ||Hey Now|| || 10 ||If You Don't (ft.Cumulus)|| || 11 ||Don't Stop|| || 12 ||IPlayYouListen|| ODESZA의 아마추어 시절 스타일이 그대로 녹아 있는 앨범이다. 샘플링 기반의 곡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디지털적인 느낌이 강하다. 2014년 In Return 앨범 출시 이후의 ODESZA의 아이덴티티는 강렬한 킥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현란한 퍼커션과 샘플 리듬이지만, 이 앨범은 그와 정반대로 킥의 존재감이 거의 없다. 몇몇 곡들은 사이드체인이 걸리지 않았다면 킥이 있는지도 모를 정도이다. 이후 ODESZA가 투어를 돌며 몇몇 곡들을 리메이크하여 라이브에 썼는데, 그 퀄리티가 장난이 아니다. 그냥 곡을 새로 썼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 [*IPlayYouListen라이브ver. [[https://youtu.be/ZkCdfa9TZGc]]] [*Intro+AlwaysThisLate라이브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Z9XwSGS-A6I&ab_channel=ODESZA]]] ==== [[In Return]]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nreturn.jpg|width=100%]]}}} || ||<-4> '''{{{#000 In Return(2014)}}}''' || ||<-4> {{{#000 릴리즈 : 2014년 9월 9일}}} || ||<-4> {{{#000 레이블 : Ninja Tune}}} || || '''{{{#000 트랙}}}''' || '''{{{#000 이름}}}''' || || 1 ||Always This Late|| || 2 ||Say My Name(ft.Zyra)|| || 3 ||Bloom|| || 4 ||All We Need(ft.Shy Girls)|| || 5 ||Sundara|| || 6 ||White Lies(ft.Jennie Potts)|| || 7 ||Kusanagi|| || 8 ||Echoes(ft.Py)|| || 9 ||It's Only(ft.zyra)|| || 10 ||Koto|| || 11 ||Memories That You Call(ft.Monsoonsiren)|| || 12 ||Sun Models(ft.Madelyn Grant)|| || 13 ||For Us||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In Return)] ==== [[A Moment Apart]]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momentapart.jpg|width=100%]]}}} || ||<-4> '''{{{#000 A Moment Apart (2017)}}}''' || ||<-4> {{{#000 릴리즈 : 2017년 9월 8일}}} || ||<-4> {{{#000 레이블 : Ninja Tune}}} || || '''{{{#000 트랙}}}''' || '''{{{#000 이름}}}''' || || 1 ||Intro|| || 2 ||A Moment Apart|| || 3 ||Higher Ground(ft.Noami wild)|| || 4 ||Boy|| || 5 ||Line Of Sight(ft.Mansionair)|| || 6 ||Late Night|| || 7 ||Across The Room(ft.Leon Bridges)|| || 8 ||Meridian|| || 9 ||Everything At Your Feet(ft.The Chamanas)|| || 10 ||Just A Memory(ft.Regina Spektor)|| || 11 ||Divide(ft.Kelsey Bulkin)|| || 12 ||Thin Floors And Tall Ceilings|| || 13 ||La Ciudad|| || 14 ||Falls|| || 15 ||Show me|| || 16 ||Corners Of The Earth(ft.RY X)||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 Moment Apart)] ==== [[The Last Goodbye]]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DESZA - The_Last_Goodbye.jpg|width=100%]]}}} || ||<-4> '''{{{#000 The Last Goodbye (2022)}}}''' || ||<-4> {{{#000 릴리즈 : 2022년 7월 22일}}} || ||<-4> {{{#000 레이블 : Ninja Tune, Foreign Family Collective}}} || || '''{{{#000 트랙}}}''' || '''{{{#000 이름}}}''' || || 1 ||This Version of You (Ft. Julianna Barwick)|| || 2 ||Wide Awake (Ft. Charlie Houston)|| || 3 ||Love Letter (Ft. The Knocks)|| || 4 ||Behind the Sun|| || 5 ||Forgive Me (Ft. Izzy Bizu)|| || 6 ||North Garden|| || 7 ||Better Now (Ft. MARO)|| || 8 ||The Last Goodbye (Ft. Bettye LaVette)|| || 9 ||All My Life|| || 10 ||Equal (Ft. Låpsley)|| || 11 ||Healing Grid|| || 12 ||I Can’t Sleep|| || 13 ||Light of Day (Ft. Ólafur Arnalds)||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The Last Goodbye)] === EP === ==== My Friends Never Die EP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y Friends Never Die.webp|width=100%]]}}} || ||<-4> '''{{{#000 My Friends Never Die EP (2013)}}}''' || ||<-4> {{{#000 릴리즈 : 2013년 9월 17일}}} || ||<-4> {{{#000 레이블 : 없음 (Self-Released)}}} || || '''{{{#000 트랙}}}''' || '''{{{#000 이름}}}''' || || 1 ||My Friends Never Die|| || 2 ||If There's Time|| || 3 ||Without You|| || 4 ||Home|| || 5 ||Keep Her Close|| ==== Flaws In Our Design EP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lawsinourdesign.jpg|width=100%]]}}} || ||<-4> '''{{{#000 Flaws In Our Design (2023)}}}''' || ||<-4> {{{#000 릴리즈 : 2023년 7월 21일}}} || ||<-4> {{{#000 레이블 : Ninja Tune, Foreign Family Collective }}} || || '''{{{#000 트랙}}}''' || '''{{{#000 이름}}}''' || || 1 ||Dissolved in a Daydream|| || 2 ||Easy Money|| || 3 ||Waiting Forever (feat. Preston.)|| || 4 ||Heavier[* 선공개]|| || 5 ||Undone|| || 6 ||Flaws in Our Design|| Yellow House[* 케이프타운 기반의 싱어송라이터, 본명은 Emile van Dango[[https://yellowhouseworld.com/|#]]]와 합작한 앨범이다. ODESZA의 서사적이고 교향곡적인 작곡기법과 Yellow House의 사이키델릭 얼터너티브 포크가 만나, 변형적인 융합을 이룬 앨범이다. Yellow House에 의하면, 이 앨범은 5년전부터 기획되었다고 한다. ODESZA가 [[사운드클라우드]]에서 Yellow House의 음악을 처음 접하고 특별한 느낌을 받아서 곧바로 그를 시카고의 작업실로 불러들어 데모작업에 들어갔다고 한다. Harrison Mills & Clayton Knight가 말하길, "'''그의 음악은 뭔가 특별한 것을 발견했다는 틀림없는 에너지를 가지고 있었다. 우리는 일렉음악 프로듀싱에서 독특한 혼합과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Emile의 멜로디와 스토리텔링 가사를 만드는 놀라운 능력에 끌리는 우리 자신을 발견했다. 거기서부터 우리는 많은 트랙을 만들고 두 아티스트 음악 간의 다양한 조합을 탐험했습니다.'''" === 싱글 === ==== [[Loyal]]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rtwork_5b992eef640f3_ZENDNLS498_PACKSHOT1_5b992eef923be.png|width=100%]]}}} || ||<-4> '''{{{#000 Loyal (2018)}}}''' || ||<-4> {{{#000 릴리즈 : 2018년 9월 12일}}} || ||<-4> {{{#000 레이블 : Warner Music Australia, Ninja Tune}}} || || '''{{{#000 트랙}}}''' || '''{{{#000 이름}}}''' || || 1 ||[[Loyal]]|| [[2018년]] 출시된 음원. 동년 11월에 출시된 앨범 A Moment Apart (Deluxe edition)의 수록곡으로도 포함됐다. Apple의 2018년 [[Apple 이벤트/2010년대#s-9.3|9월 이벤트]] 2분 요약 영상의 BGM으로 사용되었다. 같은 해 12월에는 [[엑스박스 시리즈|Microsoft Xbox]]의 광고 브금으로도 사용되었다. ==== The Last Goodbye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500x500bb.webp|width=100%]]}}} || ||<-4> '''{{{#000 The Last Goodbye (2022)}}}''' || ||<-4> {{{#000 릴리즈 : 2022년 2월 08일}}} || ||<-4> {{{#000 레이블 : Foreign Family Collective, Ninja Tune }}} || || '''{{{#000 트랙}}}''' || '''{{{#000 이름}}}''' || || 1 ||The Last Goodbye (feat. Bettye LaVette)|| 80년대 소울 가수인 [[Bettye LaVette]]의 [[Let Me Down Easy]]를 샘플링한 곡. 많은 사람들이 리메이크 곡이라고 알고 있지만 리메이크 곡이 아닌 샘플링 곡이다. 원곡과의 유사성이 거의 없을 뿐더러 메이킹필름에서도 곡을 다 완성시켜 놓고 더 큰 임팩트를 주기 위해 추가할 사운드를 찾다가 Let Me Down Easy 원곡을 발견하고 보컬을 샘플링해 집어넣은 것으로 나온다. 오피셜 비주얼라이즈 비디오는 한국인 강우성[* 미국의 The Mill사 소속의 모션 디자이너,아트 디렉터로 [[제이지]]의 'The Story of OJ' 뮤직 비디오에 참여하기도 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에미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씨가 아트 디렉터로 참여했다. [[WWDC 2022|WWDC22]]에서 발표된 신형 [[MacBook Air]]의 공개 영상 음악으로 사용되었다. ==== Better Now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deszabetternow.webp|width=100%]]}}} || ||<-4> '''{{{#000 Better Now (feat. MARO) (2022)}}}''' || ||<-4> {{{#000 릴리즈 : 2022년 3월 02일}}} || ||<-4> {{{#000 레이블 : Foreign Family Collective, Ninja Tune }}} || || '''{{{#000 트랙}}}''' || '''{{{#000 이름}}}''' || || 1 ||Better Now (feat. MARO)|| [[https://youtu.be/2wUO2657VWY|ODESZA - Better Now (feat. MARO) - Official Video]] ==== Love Letter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oveletterodesza.jpg|width=100%]]}}} || ||<-4> '''{{{#000 Love Letter (feat. The Knocks) (2022)}}}''' || ||<-4> {{{#000 릴리즈 : 2022년 3월 23일}}} || ||<-4> {{{#000 레이블 : Foreign Family Collective, Ninja Tune}}} || || '''{{{#000 트랙}}}''' || '''{{{#000 이름}}}''' || || 1 ||Love Letter (feat. The Knocks)|| 드랍에서 The Knocks의 시그니처 사운드가 돋보이는 곡이다. ==== Behind The Sun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ehindthesunodesza.webp|width=100%]]}}} || ||<-4> '''{{{#000 Behind The Sun (2022)}}}''' || ||<-4> {{{#000 릴리즈 : 2022년 4월 27일}}} || ||<-4> {{{#000 레이블 : Foreign Family Collective, Ninja Tune}}} || || '''{{{#000 트랙}}}''' || '''{{{#000 이름}}}''' || || 1 ||Behind The Sun|| 여러모로 전 앨범 수록곡인 Loyal이 떠오르는 곡이다. [[WWDC 2022|WWDC22]]의 인트로 BGM으로 사용되었다. ==== Wide Awake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ide Awake (feat. Charlie Houston).jpg|width=100%]]}}} || ||<-4> '''{{{#ffffff Wide Awake (feat. Charlie Houston) (2022)}}}''' || ||<-4> {{{#ffffff 릴리즈 : 2022년 6월 09일}}} || ||<-4> {{{#ffffff 레이블 : Foreign Family Collective, Ninja Tune }}} || || '''{{{#000 트랙}}}''' || '''{{{#000 이름}}}''' || || 1 ||Wide Awake (feat. Charlie Houston)|| ==== Light Of Day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desza-light-of-day.jpg|width=100%]]}}} || ||<-4> '''{{{#000 Light Of Day (feat. Ólafur Arnalds) (2022)}}}''' || ||<-4> {{{#000 릴리즈 : 2022년 7월 14일}}} || ||<-4> {{{#000 레이블 : Foreign Family Collective, Ninja Tune }}} || || '''{{{#000 트랙}}}''' || '''{{{#000 이름}}}''' || || 1 ||Light Of Day (feat. Ólafur Arnalds)|| Òlafur Arnalds와 ODESZA의 합작이자 둘의 아이덴티티를 모두 완벽히 살려낸 역작. 앰비언트풍으로 나아가다가 드랍에서 어두운 분위기의 하우스로 반전시키는 진행이 예술이다. ==== Hopeful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opeful.jpg|width=100%]]}}} || ||<-4> '''{{{#000 Hopeful (2023)}}}''' || ||<-4> {{{#000 릴리즈 : 2023년 2월 22일}}} || ||<-4> {{{#000 레이블 : Foreign Family Collective, Ninja Tune }}} || || '''{{{#000 트랙}}}''' || '''{{{#000 이름}}}''' || || 1 ||Hopeful|| 2023년 첫 싱글이다. 앨범에는 빠진 곡이지만 아끼던 곡이라 싱글로 냈다고 한다. ==== To Be Yours(feat.Claud)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obeyours.jpg|width=100%]]}}} || ||<-4> '''{{{#000 To Be Yours(feat.Claud) (2023)}}}''' || ||<-4> {{{#000 릴리즈 : 2023년 3월 15일}}} || ||<-4> {{{#000 레이블 : Foreign Family Collective, Ninja Tune }}} || || '''{{{#000 트랙}}}''' || '''{{{#000 이름}}}''' || || 1 ||To Be Yours(feat.Claud)|| === 합작 프로젝트 === ==== BRONSON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ronson.jpg|width=100%]]}}} || ||<-4> '''{{{#ffffff BRONSON(2020)}}}''' || ||<-4> {{{#ffffff 릴리즈 : 2020년 8월 7일}}} || ||<-4> {{{#ffffff 레이블 : Ninja Tune}}} || || '''{{{#ffffff 트랙}}}''' || '''{{{#ffffff 이름}}}''' || || 1 ||FOUNDATION|| || 2 ||HEART ATTACK (feat. lau_ra)|| || 3 ||BLINE|| || 4 ||KNOW ME (feat. Gallant)|| || 5 ||VAULTS|| || 6 ||TENSE|| || 7 ||CALL OUT|| || 8 ||CONTACT|| || 9 ||KEEP MOVING|| || 10 ||DAWN (feat. Totally Enormous Extinct Dinosaurs)|| ODESZA와 Golden Features의 합작 프로젝트. === Remix === ==== NO.SLEEP Mix.12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osleep12.jpg|width=100%]]}}} || ||<-4> '''{{{#63c3c6 NO.SLEEP Mix.12 (2020)}}}''' || ||<-4> {{{#63c3c6 릴리즈 : 2020년 3월 26일}}} || ||<-4> {{{#63c3c6 레이블 : Foreign Family Collective }}} || || '''{{{#63c3c6 듣기}}}''' ||[[https://youtu.be/ljPDtDIrfr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NO.SLEEP Mix.13 ====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osleep.jpg|width=100%]]}}} || ||<-4> '''{{{#000 NO.SLEEP Mix.13 (2022)}}}''' || ||<-4> {{{#000 릴리즈 : 2022년 6월 30일}}} || ||<-4> {{{#000 레이블 : Foreign Family Collective, Ninja Tune }}} || || '''{{{#000 듣기}}}''' ||[[https://www.youtube.com/watch?v=Lb3oGU78Gc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13곡의 노래를 믹싱해서 만든 플레이리스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