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OECD 회원국)] ||<-8> {{{#white {{{+1 '''경제협력개발기구'''}}}[br]經濟協力開發機構[br]{{{-2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프랑스, 스페인, 포르투갈과 같은 로망스어군 국가에서는 OCDE라고 부른다. 이탈리아에서는 WTO, NATO의 경우와 달리 OCSE라고 부른다.]}}}}}} || ||<-8>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ECD 가로 로고.svg|width=100%]]}}} || ||<-2> '''{{{#white 설립}}}''' ||<-6>[[1948년]] [[4월 16일]]{{{-2 (OEEC)}}}[br][[1961년]] [[9월 30일]]{{{-2 (OECD로 개편)}}} || ||<-2> '''{{{#white 본부}}}''' ||<-6>[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 [[https://maps.google.co.kr/maps?q=2,+rue+Andr%C3%A9+Pascal,+75775+Paris+Cedex+16+France&hl=ko&ie=UTF8&ll=48.861239,2.270705&spn=0.002061,0.005284&sll=59.436913,24.749522&sspn=0.051325,0.234489&t=h&brcurrent=3,0x0:0x0,0&hnear=2+Rue+Andr%C3%A9+Pascal,+75775+Paris,+%ED%94%84%EB%9E%91%EC%8A%A4&z=18|#]] || ||<-2> '''{{{#white 사무총장}}}''' ||<-6>[include(틀:국기, 국명=호주, 출력= )] 마티아스 콜먼 || ||<-2> '''{{{#white 가입국}}}''' ||<-6>38개국 || ||<-2> '''{{{#white 링크}}}''' ||<-6>[[http://www.oecd.org/|[[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www.youtube.com/oecd|[[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20]]]] | [[http://twitter.com/oecd|[[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0&theme=light]][[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width=20&theme=dark]]]] | [[http://www.facebook.com/theOECD|[[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the_OECD|[[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linkedin.com/company/organisation-eco-cooperation-development-organisation-cooperation-developpement-eco|[[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lickr.com/photos/oecd|[[파일:플리커 아이콘.svg|width=20]]]] || ||<-8> [[파일:OECD 회원국.svg|width=300]] || ||<-8> '''▲ OECD 전체 회원국 지도 '''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제협력개발기구'''는 1961년 9월에 창설된 국제 경제 기구로, 주로 영어 두문자를 따서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라 부른다. OECD는 유럽 경제 협력 기구(OEEC)에서 시작하여 오늘날에는 회원국 간의 정책적 협조나 조정을 통해 경제적 협력을 증진케 하고 세계 경제 질서를 논의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OECD의 사무총장은 2021년부터 [[오스트레일리아]]의 마티아스 콜먼이 맡고 있다. 기본적으로 경제 협의체지만 그 명칭과 달리 그 활동 범위는 [[경제]]에만 머무르지 않고 [[정치]], [[사회]], [[환경]] 등 다양한 분야를 망라하며, 이들을 종합으로 연구하고 논의하는 것이 특징이다. 2021년 5월 기준으로 총 38개 국가가 속해 있다. 대륙별로는 [[유럽]] 27개, [[아시아]] 2개, [[오세아니아]] 2개, [[북아메리카]] 4개, [[남아메리카]] 2개가 속해 있으며 [[아프리카]]의 국가는 속해 있지 않다. == 선진국의 모임? == 언론에서 OECD의 통계를 기준으로 사용하는 이상 OECD 가입국 전체가 다 [[선진국]]이라고 오해하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OECD의 38개 회원국 모두 선진국이라고 할 수는 없다. OECD 국가 중 보통 선진국으로 간주되는 국가는 [[프랑스]]와 [[독일]] 등 서유럽 국가와 [[영국]], [[미국]], [[캐나다]]나 [[호주]] 등 몇몇 영미권 국가, 그리고 [[아시아]]의 [[한국]], [[일본]], [[이스라엘]] 정도가 꼽힌다. [[체코]]와 같은 몇몇 동구권 국가는 [[http://www.imf.org/external/pubs/ft/weo/2016/01/pdf/text.pdf|IMF]]와 같은 국제기관에 경제상 선진국으로 꼽기도 하지만, 경제지표가 선진국 문턱 수준에 막 진입한 수준이고 아직 서구권과의 격차가 커서 선진국이라는 이미지는 옅은 편이다. 즉 '''선진국 대다수가 OECD에 속하나 OECD 회원국 전부가 선진국은 아니다.''' 국제기구에서 선진국으로 분류되지 않는 OECD 회원국 중 [[폴란드]], [[헝가리]] 등 2개국은 정치 체제, 신용등급, 치안 등 각종 지표에서 선진국에 근접하는 수준까지 도달한 것으로 평가된다. 반면 [[칠레]], [[튀르키예]], [[멕시코]],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등은 [[선진국]] 문턱은 커녕 아예 [[개발도상국]]이나 [[신흥공업국]]으로 분류되며, 그 중 튀르키예, 멕시코, 코스타리카, 콜롬비아는 아직 세계은행 기준 고소득 국가에 들지 못할 정도로 질적 경제력이 여전히 취약하다. 통계를 보다보면 특히 '''[[멕시코]]'''가 문제인 경우가 정말 많다. 멕시코의 경우에는 최저임금이 [[중남미]] 국가에서도 하위권을 차지하는 국가로서 악명이 높고, 치안도 막장이며 내부 사정이 상당히 열악하다.[* 이는 극심한 빈부격차 때문이다. 멕시코의 경제규모는 대한민국 경제규모의 약 70%에 육박할 정도로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부 사정이 열악한 가장 큰 이유는 부가 특정 계층에만 몰려있어서 혜택이 대부분 사람들에게 돌아가지 않기 때문.] 멕시코보단 낫지만 [[콜롬비아]]도 잘해 봐야 중위권 수준이다.[* 그런데 아르헨티나만큼은(PPP 기준으로) 최저임금이 매우 높은데 무려 최저임금이 매우 높은 국가 중 하나인 캐나다보다도 더한다!][* 이런 면에서는 [[G20]]의 회원국들도 비슷하게 오해받곤 한다. [[G20]] 문서의 제12 번 '덧붙임' 문단 참고.] 따라서 '선진국 클럽'이란 별칭은 단면만을 보고 만들어진 크나큰 오해다. 심지어 [[튀르키예]]는 OECD가 처음 생기자마자 가입한 나라이지만 지금도 딱히 [[선진국]]이라고 보긴 힘들다. 그리고 현재의 가입 초청국들이나 가입 신청국들도 모두 [[동유럽]] 아니면 [[중남미]] 국가들이다. 알다시피 이런 국가들도 대부분 [[신흥공업국]] 혹은 [[개발도상국]]이다. 이런 국가 중 [[러시아]]와 [[브라질]]은 아예 대놓고 [[개발도상국]]을 대표할 만큼 전형답거나 특징다운 모임인 [[BRICS]]의 회원국이기도 하다. 물론 이 정도만 되어도 개발도상국 대부분보단 양호한 상태긴 하지만 이런 국가도 강대국은 몰라도 선진국이라고 보긴 힘들다. 오히려 가입 국가들의 목록을 보면 알겠지만, 선진국 클럽이 아니라 [[제1세계]] 국가들, 즉 친미 친서방 국가들의 모임이라고 보는 게 더 어울린다. 비록 OECD가 1964년에 공산권 국가들도 가입을 할 수 있게 했지만, 냉전이 끝나기 전까지 [[일본]]과 [[호주]], [[뉴질랜드]] 정도만 추가로 가입했고 동유럽 국가들은 냉전이 끝나고 [[제2세계]]에서 이탈을 하고 나서야 가입했다. 현재도 가입 국가들 목록을 보면 [[NATO]] + MNNA[* Major non-NATO Ally(주요 비NATO 동맹국). 친미 국가들 중에서 북대서양에 접해있지 않기에 NATO에는 속하지 않지만, NATO 국가들 급의 동맹을 미국과 맺고 있는 나라들이다.] 와 얼추 비슷하다. [* 물론 꼭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칠레]]는 OECD에는 포함됐지만 MNNA에는 포함 안 되어 있고, 반대로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는 MNNA에 속해있지만 OECD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 러시아가 OECD에 가입할 뻔 했지만 결국 무산되었다. 다만, 가입 국가들 목록을 보면 대강 [[제1세계]]와 일치한다는 것이지 그렇다고 OECD가 [[NATO]]와 같은 서방권의 군사적, 정치적 국제기구는 아니다. 다만 한국이 가입하기 전의 시점에서 이야기를 하자면 분명 선진국 클럽으로 인식되던 것은 사실이다. 90년대 동구권 붕괴로 신흥국들을 대거 가입시키기 전까지 회원국들을 보면 거의다 선진국이었다. 물론 튀르키예가 걸리긴 하지만 튀르키예조차 처음 OECD가 설립되던 시기에는 2차대전의 전화를 피한 덕에 유럽의 주요국이었으며 상태도 나쁘다고 할 순 없었다. 지금에서야 중진국 수준이지만 그 시기라면 튀르키예보다 훨씬 낫다고 볼만한 국가가 몇이나 있었는지 생각해보자. == 목적 == * 경제성장 - 경제성장과 고용 증대와 생활수준의 향상을 도모한다. 경제정책위원회(EPC)에서 담당한다. * 개발 협력 - 경제발전이 진행되는 여러 지역의 건전한 경제 확대에 기여한다. [[DAC#s-2|개발원조위원회(DAC)]]에서 담당한다. * 무역 확대 - 차별 없는 세계무역의 확대에 기여한다. 무역위원회(TC)에서 담당한다. == 역사 == * 1948년 - 제 2차 세계대전 종전 후 피폐해진 유럽 경제를 활성화하고자 [[미국]]이 진행했던 [[마셜 플랜|유럽 부흥 계획]]의 일환으로서 유럽 16개국이 참가 유럽경제협력기구(OEEC)가 설립되었다. * 1950년 - OEEC에 [[미국]]과 [[캐나다]]가 준회원국으로 참가하였다. * 1961년 - 유럽 경제가 살아나면서 유럽과 북아메리카가 자유무역 및 경제에서 대등한 관계로 발전·협력할 목적으로 개편되어 현재의 OECD가 설립되었다. * 1964년 - 유럽(비공산권)과 북아메리카에 한정된 회원 자격을 폐지하고 [[아시아]]와 유럽의 공산권까지 가입할 수 있도록 확대했다. * [[1990년대]] - [[냉전]]이 붕괴하면서 [[한국]](1996년에 가입)을 비롯한 신흥공업국과 동유럽의 국가들이 일부 가입하면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 * [[2010년대]] - [[중남미]] 국가들이 서서히 가입하고 있다. 기존하는 OECD에 가입된 중남미 국가는 [[멕시코]]밖에 없었지만, 2010년대 들어 [[칠레]]와 [[콜롬비아]]가 가입했다. * [[2020년대]] - 2021년 중남미 국가인 [[코스타리카]]가 가입했다.[[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005164095Y|#]] == 회원국 == === OECD 창립 회원국 (1948년) ===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24]] [[오스트리아]] *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4]] [[벨기에]]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4]] [[덴마크]]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프랑스]] * [[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24]] [[그리스]] *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width=24]] [[아이슬란드]]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4]] [[아일랜드]]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이탈리아]] *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width=24]] [[룩셈부르크]]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4]] [[네덜란드]]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24]] [[노르웨이]]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4]] [[포르투갈]] *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4]] [[스웨덴]] * [[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24]] [[스위스]] * [[파일:트리에스테 자유 지구 국기.svg|width=24]] --[[트리에스테 자유 지구]]-- (1954년에 소멸)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4]] [[튀르키예]] *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영국]] === 창립국 이외의 OECD 가입국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독일]] (1955년)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4]] [[스페인]] (1959년) === OEEC에서 OECD 변경 후 가입국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캐나다]] (1961년)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미국]] (1961년) === 1961년 이후 OECD 가입국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일본]] (1964년 4월 28일)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4]] [[핀란드]] (1969년 1월 28일)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4]] [[호주]] (1971년 6월 7일)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4]] [[뉴질랜드]] (1973년 5월 29일) *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4]] [[멕시코]] (1994년 5월 18일) * [[파일:체코 국기.svg|width=24]] [[체코]] (1995년 12월 21일) *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24]] [[헝가리]] (1996년 5월 7일) *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4]] [[폴란드]] (1996년 11월 22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대한민국]] (1996년 12월 12일) *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width=24]] [[슬로바키아]] (2000년 12월 14일) * [[파일:칠레 국기.svg|width=24]] [[칠레]] (2010년 5월 7일) *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width=24]] [[슬로베니아]] (2010년 7월 21일)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4]] [[이스라엘]] (2010년 9월 7일) *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width=24]] [[에스토니아]] (2010년 12월 9일) * [[파일:라트비아 국기.svg|width=24]] [[라트비아]] (2016년 7월 1일)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width=24]] [[리투아니아]] (2018년 5월 30일) * [[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24]] [[콜롬비아]] (2018년 5월 30일)[* 이 나라는 위의 나라들과 달리 선진화에 있어서 한참 모자란 [[개발도상국]] 수준에 불과하기 때문에 남미 국가중 거의 유일하게 꾸준히 친미 외교 정책을 펴서 [[진영논리|이에 대한 포상격으로 가입시켜준 게 아니냐는 시각이 있다.]][[https://m.sedaily.com/NewsView/1VGNWUO4N8/GA01|롤모델 만난 보우소나루…트럼프와 '애정' 과시]]] *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width=24]] [[코스타리카]] (2021년 5월 25일) === 가입초청국 및 가입신청국[* [[https://www.oecd.org/newsroom/oecd-takes-first-step-in-accession-discussions-with-argentina-brazil-bulgaria-croatia-peru-and-romania.htm|2022년 1월 25일 기준]] ] ===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4]] [[루마니아]]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24]] [[불가리아]]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4]] [[우크라이나]] *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24]] [[크로아티아]]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4]] [[브라질]]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4]] [[아르헨티나]] * [[파일:페루 국기.svg|width=24]] [[페루]] * [[파일:몰타 국기.svg|width=24]] [[몰타]] == 구조 == === 이사회와 회의 === * 각료이사회: 최고의결기구. 연 1회 개최되며, 각국의 경제 관련 각료들이 모인다. * 상주대표이사회: 주OECD 대사가 참석하는 월 1회 열리는 회의다. * OECD 세계포럼: 각국의 정상급 인사, 각료, 국제기구의 대표, 석학 등의 전문가들이 모이는 OECD 최대 규모의 회의다. === 직속기구 === * [[국제에너지기구]] (IEA) * 핵에너지기구 (NEA). 여기는 국제원자력기구(Nuclear Energy Agency [[IAEA]])와 다른 곳이다. * 개발센터 (DEV) * 교육연구혁신센터 (CERI) * 사헬 서아프리카 클럽 (SWAC) === 위원회 === 이사회 산하에 예산위원회, 특별집행위원회, 경제산업자문기구, 노동조합자문기구, 집행위원회가 있다. 집행위원회 산하에는 분야별로 다시 26개의 위원회가 구성되어 있다. == 규범 == OECD의 규범은, 그 효력의 강도와 범위에 따라 결정, 권고, 선언, 협정으로 분류할 수 있다. * 결정: 모든 회원국에 대해 적용되며, 결정 사항은 의무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 권고: 모든 회원국에 대해 적용되는 것은 결정과 같지만, 강제성은 없다. * 선언: 일부 회원국과 비회원국 사이에 정한 규범. * 협정: 일부 회원국만을 구속하는 강제적 규범. == 채용 == [[대한민국]] 국가공무원의 경우, [[인사혁신처]]의 '''국제기구 고용휴직 공무원 선발'''을 통해 지원할 수 있다. 지원자격으로는 외국어검정시험 성적과 어학능력적격성 성적이 요구된다. 기준은 아래와 같다. * [[국립외교원]] 외국어능력시험 4급 이상 * [[FLEX]] 775점 이상 * [[G-TELP]] Level 2의 88점 이상 * [[IELTS]] 6.5점 이상 * [[TEPS]] 775점, New 435점 이상 * [[TOEFL]] PBT 590점, IBT 96점 이상 * [[TOEIC]] 850점 이상 == OECD 통계 == [include(틀:OECD의 통계 목록)] 한 네티즌이 제작한 "TV 뉴스로 본 OECD 통계"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0201194340017688&set=pcb.10201194351497975&type=3&theater/|링크]] === 한국의 OECD 통계 === ==== [[기레기|나쁜 점만 부각시키는 언론 보도]] ==== 악성 [[국까]]들이 [[한국]] 사회의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할 때, 허구한 날 들고오는 게 바로 OECD의 다른 회원국이나 OECD 평균과의 비교 자료이다. 예컨대 한국의 [[자살률]]이 '''OECD 평균의 두 배 반'''이라는 식이다. 한국의 자살률이 높은 가장 큰 이유는 '''[[노인]] 자살률이 중용을 잃고''' 한쪽으로 크게 치우쳐서 높기 때문이다.[* 국가지표체계를 보면 70대 자살률은 '''83.5''', 80세 이상의 자살률이 '''123.3'''이라는 정신나간 수치임을 알 수 있다. 이후 10년 간 복지와 농약 단속 등에 신경 쓴 덕분에 현재는 둘 다 반절 정도의 수치로 내렸지만 여전히 높은 편인 건 여전하다. 청년 자살률은 16.4, 24.5 정도로 제법 줄였다가 다시 원상복귀되는 추세.] 정작 이들이 그렇게 호들갑을 떠는 청소년 ~ 청년층의 자살률은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26740|평균보다 약간 높은 정도이다.]][* 참고로 청소년 자살률 1위는 '''북유럽의 최선진국인 [[핀란드]]'''다.] 특히 대한민국 [[언론]]에서 이런 바람직하지 않은 면을 자주 언급하는데 이들이 말하는 것만 들어보면 대한민국이 OECD에서 좋은 건 다 꼴찌나 그 근처이며 나쁜 건 다 1등, 2등인 듯하다. OECD 회원국은 38개인데 [[가짜 뉴스|통계를 낼 때는 220개 국가에서 217....]] 이것 때문에 대한민국이 OECD에서 제명될 수도 있다는 [[헛소리]]도 나돌았다. 실제로 2016년 [[경향신문]]은 경향의 눈에서 대한민국의 OECD 가입 20주년이 되는 날에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6222203015&code=990503|바람직하지 않은 통계만 나오는데 이럴 거면 왜 OECD에 들어 왔냐. 한국은 당장 탈퇴하라]]는 칼럼을 내기도 했다. 아울러 한편 나쁜 통계라는 결과만 부각하게 하고 해당 원인에 관한 고찰과 [[성찰]]이 적다는 것도 한몫한다. 자살률에 대한 통계를 세부에 걸쳐 본다면 노년 인구의 자살률과 10대 청소년 인구의 자살률로도 구분이 가능하다. 그런데 대한민국과는 반대로 북유럽 국가(핀란드, 노르웨이), 뉴질랜드, 미국, 오스트리아 등은 청소년 자살률이 한국보다 어마어마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내는데 노령 인구의 자살률은 [[http://hahahohoko1.blog.me/220292443649|대한민국이 1위로서 2위인 헝가리와 비교했을 때도 아주 높기 때문에 전체 자살률이 1위~2위를 기록했다.]] 한국의 언론에서는 한국이 전체 자살률 1위라는 것만 보고 자극스러운 기사만 냈으며 원인을 파악하고 문제점과 원인을 비판하는 기사는 적다. 전체 자살률에서 청소년 자살률은 OECD 회원국 중에서 한국이 중위권을 나타내지만 노인 자살률의 수치가 높아서 전체 자살률을 제고하는 역할을 했다는 것과 같은 세부적인 기사는 적다. [[저출산]] 부분도 대한민국이 가장 출산율이 낮으면 OECD나 언론을 고분고분 들어 대한민국이 [[멸망]]한다는 등 [[망언]]을 한다. '''OECD는 보고서에 불과하며 절대 예언을 담은 내용은 없다.''' 그리고 저출산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는 [[외국인]] 이민이나 [[다문화]]를 써서라도 해결할 것이다. 이런 식의 기삿거리를 생산하고 재생산하는 언론인도 문제이지만, 더욱 큰 문제는 정부 관료를 중심으로 한 기득권과 국민의 태도다. [[개돼지|자극스러운 범죄 기사들에 매우 높게 관심하지만 정작 그런 범죄가 일어난 배경이나 가해자의 성장 배경 등 사회문제 개선에는 소극스러운 상류층의 태도나 이런 문제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기에 어려운 국민]] 등의 이유로 문제가 쉽게 해결되지 않는 것이다. === 인권 지수 === 2016 Human Rights Index, 인권지수 [[파일:external/pbs.twimg.com/CzPPdinWEAQfXm_.jpg]] [[사형]] 제도와 관련한 OECD 통계는 사형제 폐지 쪽이 유리하다. 2010년대 기준 OECD 국가 중에선 미국 30개주와 [[일본]]만이 사형제를 실시하고 있고, 그 외 모든 OECD 국가는 '''사형제 완전 폐지이거나 실질적 폐지 상태'''다. 한국은 완전 폐지는 아니고 1997년 이후 실질적 폐지 상태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33&aid=0000026751|주간경향]]. [[http://me2.do/xk46EvBy|영문위키]] 항목도 참조.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 관련 문서)] [include(틀:미국 관련 문서)] [include(틀:영국 관련 문서)] [include(틀:프랑스 관련 문서)] [include(틀:일본 관련 문서)] [include(틀:독일 관련 문서)] [include(틀:이탈리아 관련 문서)] [include(틀:스페인 관련 문서)] [include(틀:캐나다 관련 문서)] [include(틀:호주 관련 문서)] [include(틀:뉴질랜드 관련 문서)] [include(틀:아일랜드 관련 문서)] [include(틀:스웨덴 관련 문서)] [include(틀:네덜란드 관련 문서)] [include(틀:벨기에 관련 문서)] [include(틀:덴마크 관련 문서)] [include(틀:노르웨이 관련 문서)] [include(틀:스위스 관련 문서)] [include(틀:오스트리아 관련 문서)] [include(틀:핀란드 관련 문서)] [include(틀:룩셈부르크 관련 문서)] [include(틀:아이슬란드 관련 문서)] [include(틀:포르투갈 관련 문서)] [include(틀:그리스 관련 문서)] [include(틀:튀르키예 관련 문서)] [include(틀:폴란드 관련 문서)] [include(틀:헝가리 관련 문서)] [include(틀:체코 관련 문서)] [include(틀:슬로바키아 관련 문서)] [include(틀:슬로베니아 관련 문서)] [include(틀:에스토니아 관련 문서)] [include(틀:라트비아 관련 문서)] [include(틀:리투아니아 관련 문서)] [include(틀:이스라엘 관련 문서)] [include(틀:멕시코 관련 문서)] [include(틀:칠레 관련 문서)] [[분류:OEC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