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OTs-12}}}'''[br]''Образец ЦКИБ-12''}}}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ts-11.jpg|width=100%]]}}}|| || '''종류''' ||[[돌격소총]] || || '''원산지'''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3]] [[러시아]]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93년]]~현재 || || '''개발''' ||V. N. Telesh[br]U. V. Lebedev || || '''개발년도''' ||[[1990년대]] 초반 || || '''생산''' ||TsKIB SOO || || '''생산년도''' ||[[1993년]] || || '''생산수''' ||수백 정 || || '''사용국'''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3]] [[러시아]] || ||<-2> {{{#White '''기종'''}}} || || '''원형''' ||[[AKS-74U]] || ||<-2> {{{#White '''제원'''}}} || || '''탄약''' ||[[9×39 mm]] || || '''급탄''' ||20/25발들이 박스탄창 || || '''작동방식''' ||가스 작동식[br]회전 노리쇠 방식 || || '''총열길이''' ||206.5mm || || '''전장''' ||750mm || || '''중량''' ||2.5kg || || '''발사속도''' ||800RPM || || '''탄속''' ||270m/s || || '''유효사거리''' ||200m || || '''최대사거리''' ||4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9×39 mm]] 탄을 쓰는 러시아의 돌격소총. == 개발 과정 == 1990년대 초기에 V. N. Telesh와 U. V. Lebedev에 의해 개발이 시작되었는데, 사실상 '''[[AKS-74U]]의 개조판'''이다. 달라진 것들은 대부분 총열과 탄창, 노리쇠, 소염기, 추가된 가스튜브와 가스블록 등, 특성이 다른 탄종 때문에 바뀌게 된 것들이다. 생산은 TsKIB SOO(중앙 스포츠와 사냥화기 디자인 부)에서 맡았다. [[파일:external/i2.guns.ru/789402.jpg|width=550]] OTs-12의 초기형은 AKS-74U의 형태를 답습하는 모습과 달랐다. 더 긴 총열과 일반적인 AK 계열의 가스관 형태를 가져 사뭇 다른 느낌을 준다. 초기형 OTs-12는 Tiss란 정식 명칭이 알려지기 전, 칼라시니코프 잡지를 통해 러시아어로 꼬마를 뜻하는 малыш[* 영어론 Malysh]라 소개되었다. 1993년 러시아 내무군에 수백정이 전달되어 테스트를 받았는데 [[5.45×39 mm]]보다 우월한 화력만은 좋은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너무 짧은 길이로 인한 작동불량, 과한 총구 섬광이 문제로 지적되었고, 총기 관리도 어려웠기에 [[OTs-14]], [[SR-3]], [[9A-91]] 등이 이어받게 된다. 몇몇 OTs-12는 OTs-11 각인이 찍혀 있었기에 총기의 이름이 잘못 소개된 적이 있다. 하지만 툴라 조병창의 공식 문서나 여러 정보를 종합하면 OTs-12가 정확한 명칭이다. OTs-11은 별도의 리볼버 총기를 의미한다. ==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 [[소녀전선]] - 3성 돌격소총계열 [[전술인형]]으로 등장. 자세한 내용은 [[OTs-12(소녀전선)]] 문서 참조.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러시아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include(틀:칼라시니코프 계열 총기)]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OTs-11,version=8)] [[분류:돌격소총]][[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러시아군/장비]][[분류:AK-74]][[분류:KBP]][[분류:1993년 출시]][[분류:1993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