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오블라디 오블라다, other1=죠죠의 기묘한 모험 8부인 죠죠리온에 등장하는 바위생물, rd1=오블라디 오블라다(죠죠의 기묘한 모험))] [include(틀:The Beatles)] ||<#fff> '''Ob-La-Di, Ob-La-Da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인디펜던트 선정 화이트 앨범 명곡 순위)]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6794)] ---- }}} || ||<-2><#fff> {{{+1 '''Ob-La-Di, Ob-La-Da'''}}}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YEY5Jmz3pU, height=250, width=100%)]}}} || || '''앨범 발매일''' ||[[1968년]] [[11월 22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9D9B9C; background: #FFFFFF; font-size: .9em" [[The Beatles|{{{#9D9B9C '''The Beatles'''}}}]]}}} || || '''장르''' ||[[팝]], [[스카(음악)|스카]] || || '''재생 시간''' ||3:07 || || '''작사/작곡''' ||[[폴 매카트니]] {{{-1 ([[레논-매카트니]] 명의)}}} || || '''프로듀서''' ||[[조지 마틴]] || || '''스튜디오''' ||[[애비 로드 스튜디오|EMI]] || || '''레이블''' ||[[애플 레코드|애플]] || [목차] [clearfix] == 개요 == [[1968년]]에 발매된 [[비틀즈]]의 정규 앨범인 [[The Beatles]]에 수록된 곡이다. == 상세 == 제목이자 후렴구에 등장하는 오블라디 오블라다라는 말은 'life goes on'(삶은 진행된다, 삶은 계속 된다)'라는 뜻으로 [[나이지리아]]에 주로 사는 민족인 [[요루바]] 인들 말인 [[요루바어]]라고 알려져 있다.[* 사실 후술할 지미 스콧의 [[가족]]끼리 공유하던 농담성의 어구였다고 한다.] 이 노래로 인하여 [[라이온킹]]에 나오는 [[하쿠나 마타타#s-1]]란 말과 더불어 아프리카어로 세계적인 인지도를 가지게 되었다. 폴 매카트니와 알던 [[콩가]] 연주자인 지미 스콧이 이 말을 자주 중얼거려서 그 유래를 물어본 매카트니가 이걸 쓰게되었다고 알려졌다. 영국의 한 잡지에서 실시한 '최악의 노래' 설문조사에서 1위를 하는 굴욕을 당하기도 했지만,''' [[폴 매카트니]]의 음악답게 대중적으로는 널리 사랑받는 곡이다.''' 영국과 미국에서는 싱글로 나오지 않았지만 다른 국가에서는 싱글로 발매되어 '''여러 국가의 음반 차트에서 1위를 했다.''' 1976년에 미국에서도 싱글로 발매되었다. [[존 레논]]과 대비되는 폴 매카트니의 특징인 '대중성'이 가장 잘 나타난 곡 중 하나. 지금까지도 수많은 사람들이 흥얼거리고 있는 인기곡이지만 평론가들 사이에서는 '당시 비틀즈의 분위기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곡', '음반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흐린다'는 평도 있다. 이 때문에 존 레논이 이 곡을 대차게 깠다는 말도 있었다. [youtube(vyh3WLTO82E)] 그런데 [[2018년]] 폴의 인터뷰에 따르면 존은 이 노래를 좋아했다 한다. 진행자가 '존이 이 곡을 싫어했다던데요 맞나요? 라고 하니 '누가 그래요? 라며 정색했다. 또한 이 곡의 도입부는 존의 아이디어라고 한다. 곡을 녹음할 때 지각한 존을 빼고 나머지 멤버가 스튜디오에 모여서 곡의 도입부 코드 진행에 대해 논의 하고 있는데 마땅한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고 있을 때 존이 '다들 뭐하고 있어?' 하며 들어왔단다, 폴이 '오블라디..' 라고 하자 존은 '아 그거' 라고 하더니 피아노에 앉아서 도입부를 연주했다고 한다. 멤버들은 '바로 그거야' 라며 좋아했다고 폴은 아주 좋은 기억이었다고 그때를 회상했다.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존이 깠던 건 곡의 초기 버전이다. 폴이 처음에 곡을 완성해 느린 템포의 반주와 함께 선보이자 존은 대놓고 "폴이 또 엿 같은 할망구 음악(Granny music shit) 만들었네"라며 비꼬았고 심지어 곡에 [[자메이카]] 리듬이 쓰인 것을 비꼬려는듯 자메이카식 영어의 발음과 억양을 희화화하듯 내뱉으며 놀리고 비꼬았다고 한다. 이 때문에 도입부와 전반적인 템포가 지금의 버전으로 수정되었다고 한다. 비틀즈의 모든 레코딩 세션에 참석했던 엔지니어 제프 에머릭(Geof Emmerick)은 녹음 초반에 공개적으로 깠던 부분을 묘사한 거고, 폴의 이야기까지 종합하자면 초기 데모 버전은 싫어했으나 완성된 트랙은 마음에 들어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재미있는 사실은 존 레논은 처음에 느린 템포의 소울 풍으로 [[Help!(노래)|Help!]]를 작곡했는데[[https://youtu.be/Fh8Q6RQ8cj0|(초기 편곡을 재현한 1970년 데모)]] 폴 매카트니의 제안을 [[조지 마틴]]이 받아들여 빠른 템포의 로큰롤 곡이 된 것을 뒤늦게 후회했다는 사실이다. 어찌 보면 서로의 곡을 최초 의도와 다른 방향으로 편곡시킨 셈이다.] 이 노래가 일부 평론가에게 악평을 듣고는 있다고는 하지만 이 음악이 대중성만 가지고 있는건 아니다. 레게로 유명한 [[자메이카]] 리듬을 도입하는 등 음악적 시도를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는 곡이기도 하다. 게다가 2019년, 독일 막스 플랑크 연구소에서 실시한 80,000개 이상의 다양한 화음을 포함하는 과학적 연구에서는 '''과학적으로 가장 완벽한 팝송'''으로 선정되기도 했다.[[https://consequence.net/2019/11/the-beatles-ob-la-di-ob-la-da-perfect-pop-song-science/|#]] 곡을 녹음할 때 재밌는 일화가 있다. 폴이 마지막 소절에서 가사를 헷갈려서 잘못 불렀는데[* 마지막 벌스에서 Molly stays at home and does her pretty face(몰리는 집에서 화장을 했다네.)에서 Molly(몰리, 여자 이름)를 Desmond(데즈먼드, 남자 이름)로 잘못 불렀다. 실수를 금방 알아챘는 지 her 부분도 his로 바꿔부른 건 덤.] 이미 폴의 반복적인 녹음에 지쳐있었던 비틀즈의 다른 멤버들이 다시 녹음하기 싫어해서 그대로 앨범에 수록했다고 한다. 이 때문에 당시 폴 매카트니가 사실 동성애자가 아니냐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The Beatles, version=133)] == 가사 == ||<-2><#fff> ---- {{{+2 '''Ob-La-Di, Ob-La-Da'''}}} ---- Desmond has a barrow in the market place 데스몬드는 시장에서 수레를 끌어요 Molly is the singer in a band 몰리는 밴드에서 노래를 하죠 Desmond says to Molly "girl I like your face" 데스몬드가 몰리에게 말해요, "아가씨 당신(의 얼굴)이 맘에 들어요" And Molly says this as she take him by the hand 그리고 몰리가 그의 손을 잡고 말하길 Ob-la-di ob-la-da life goes on bra 오블-라-디 오블-라-다 인생은 계속 흘러가요 La-la how the life goes on 라-라 인생은 계속 흘러가요 Ob-la-di ob-la-da life goes on bra 오블-라-디 오블-라-다 인생은 계속 흘러가요 La-la how the life goes on 라-라 인생은 계속 흘러가요 Desmond takes a trolley to the jewellers stores 데스몬드가 트롤리를 타고 보석상에 가요 Buys a twenty carat golden ring (Golden ring?) 20캐럿[* 단위이다.]짜리 금반지를 사는군요 (금반지?) Takes it back to Molly waiting at the door 반지를 들고 문 앞에서 기다리는 몰리에게로 가서 And as he gives it to her she begins to sing (Sing) 그가 반지를 주자, 그녀가 노래를 부르네요 (부르네요) Ob-la-di ob-la-da life goes on bra 오블-라-디 오블-라-다 인생은 계속 흘러가요 La-la how the life goes on 라-라 인생은 계속 흘러가요 Ob-la-di ob-la-da life goes on bra 오블-라-디 오블-라-다 인생은 계속 흘러가요 La-la how the life goes on, yeah (No) 라-라 인생은 계속 흘러가요 (아니) In a couple of years they have built 몇 년이 지났을까 둘은 가정을 꾸렸죠 A home sweet home 아늑한 그들만의 집에서 With a couple of kids running in the yard 두 아이들이 마당에서 뛰놀아요 Of Desmond and Molly Jones 데스몬드와 몰리 존스의 (Ah ha ha ha ha ha) (아하하하하하) Happy ever after in the market place 시장에는 행복이 넘쳐 흐르고 Desmond lets the children lend a hand (Arm! Leg!) 아이들은 데스몬드를 돕죠 (팔! 다리!) Molly stays at home and does her pretty face 몰리는 집에서 화장을 하고 And in the evening she still sings it with the band 여전히 저녁엔 밴드에서 노래를 불러요 Yes, ob-la-di ob-la-da life goes on bra 오블-라-디 오블-라-다 인생은 계속 흘러가요 La-la how the life goes on (Ha ha ha) 라-라 인생은 계속 흘러가요 (하하하) Hey, ob-la-di ob-la-da life goes on bra 오블-라-디 오블-라-다 인생은 계속 흘러가요 La-la how the life goes on 라-라 인생은 계속 흘러가요 In a couple of years they have built 몇 년이 지났을까 둘은 가정을 꾸렸죠 A home sweet home 아늑한 그들만의 집에서 With a couple of kids running in the yard 두 아이들이 마당에서 뛰놀아요 Of Desmond and Molly Jones 데스먼드와 몰리 존스의 (Ha ha ha ha ha ha ha ha ha ha) (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 Yeah, happy ever after in the market place 시장에는 행복이 넘쳐 흐르고 Molly lets the children lend a hand (Foot!) 아이들은 몰리~~데스먼드~~[* 윗 문단에 언급된 그 실수]를 돕죠 (발) Desmond stays at home and does his pretty face 데스먼드~~몰리~~는 집에서 화장을 하고 And in the evening she's a singer with the band 저녁에는 밴드에서 노래를 불러요 Yeah, ob-la-di ob-la-da life goes on bra 오블-라-디 오블-라-다 인생은 계속 흘러가요 La-la how the life goes on 라-라 인생은 계속 흘러가요 Yeah, ob-la-di ob-la-da life goes on bra 오블-라-디 오블-라-다 인생은 계속 흘러가요 La-la how the life goes on 라-라 인생은 계속 흘러가요 And if you want some fun 당신도 즐거움을 찾는다면 Take ob-la-di ob-la-da 따라해 봐요, 오블-라-디 오블-라-다 (Thank you, uh, ha ha ha!) (감사합니다, 어, 하하하!) ---- [[파일:비틀즈 로고.svg|width=100]] || == 기타 == * 1960년대 후반 영국에서 인기를 끈 [[스카(음악)|스카]], 하이라이프, [[레게]] 같은 [[자메이카]] 음악의 영향을 받은 곡이다. [youtube(LlVXwB4ELh8, start=12)] * [[마멀레이드]]의 1969년 뮤직비디오 영상. [[1968]]년에 [[마멀레이드]]라는 스코틀랜드 밴드가 리메이크 한 적 있는데, 이들의 유일한 차트 1위 곡이다. 영국과 [[노르웨이]], [[오스트리아]]의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 오스트리아에서는 원곡과 이 커버곡이 둘 다 1위를 차지했다. * 전 [[삼성 라이온즈]] 선수 [[야마이코 나바로]]의 응원가의 원곡이기도 하며, [[수원 삼성 블루윙즈]]의 응원가로도 쓰인다.[* 골을 넣으면 부른다.] * [[기아 쏘울]]과 [[혼다 스텝왜건]]의 광고 음악으로도 사용되었다. [youtube(MQM8z2oBY7w)] * [[무한도전 식객 특집]]에서 정준하의 김치전 사건, 길의 담배맛 아귀찜, 소금 테러, 무리수 개그 등의 논란이 불거지면서 시청자 게시판이 뜨겁게 달아올랐다. 해당 멤버들에 대한 비난이 쇄도했고 결국 무한도전은 이 패러디를 통해 사과하면서 시청자 게시판을 겨우 가라앉힐 수 있었다. 이 곡을 재현할 때 [[바가지 머리]]를 흉내냈는데, 이 곡이 나온 시기는 비틀즈 후반 시절에 나온 곡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이 곡이 실린 화이트 앨범은 [[페퍼 상사]] 이후에 나온 곡인데 페퍼 상사 시절부터 비틀즈는 바가지 머리를 하지 않았다. 바가지 머리 시절은 비틀즈의 초기 시절이기 때문에 엄밀히 따지면 [[창작물의 반영 오류|재현 오류]]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어차피 웃자고 패러디한 예능 프로그램에서 재현 운운하며 진지하게 접근할 필요가 없으며 일반적으로 비틀즈 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이미지 중 하나가 바가지 머리에 정장 차림이기 때문에 바가지 가발을 씌워서 비주얼적으로 웃음을 주기위한 연출에 가깝다. 무한도전에 BGM으로 비틀즈의 노래가 자주 나오는데 제작진이 굳이 그 사실을 몰라서 그랬을 것으로 보기도 어렵다. 식객 특집 3년 전인 [[2006년]]에는 ~~재현에 맞게~~ [[I Want To Hold Your Hand]]를 [[https://youtu.be/7WKGb5cJpPM|패러디]]하기도 했다. [youtube(pdG6wOytKN0)] * [[1990년대]] 초반에 방송된 [[빙그레(기업)|빙그레]] 맛보면 [[광고]]의 배경음악으로도 쓰였다. --[[남주희(배우)|모델]]의 행동과 대사를 보면 [[약 빨다#s-3|약을 한 사발 들이켜고]] [[무슨 마약하시길래 이런생각을 했어요?|만든 것처럼 보인다.]]-- * [[죠죠의 기묘한 모험]]에 등장하는 [[바위 생물]]인 [[오블라디 오블라다(죠죠의 기묘한 모험)|오블라디 오블라다]]의 유래가 되었다. [[분류:The Beatles]][[분류:팝]][[분류:1968년 노래]][[분류:비틀즈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