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9a855 30%, #c3c9df)" '''{{{#!html Odelay의 주요 수상·기록}}}'''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연도별 1위 앨범(1980년~1999년))] ---- [include(틀:NME/올해의 앨범(1990~1999))] ---- [include(틀:롤링 스톤/올해의 앨범(1978~1999))]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90년대의 100대 명반)]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12,순위=306,연도2=2020,순위2=424)]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항목=올타임 명반,순위=50)]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레코딩 1000)]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54, 연도=1998, 순위2=54, 연도2=2000)]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 순위=371)] ---- [include(틀:멜로디 메이커 선정 100대 명반,순위=89)]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항목=1990년대 최고의 앨범,순위=93)] ---- [include(틀:Popkultur 선정 1990년대 100대 명반, 순위=14)] ---- [include(틀:100BEAT 선정 90년대 베스트 앨범, 순위=12)] ---- [include(틀:Mast Media 선정 1990년대 50대 명반, 순위=14)] ---- [include(틀:Indiehoy 선정 1990년대 50대 명반, 순위=6)] ---- [include(틀: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200대 앨범, 순위=106)]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207)] ---- [include(틀:VPRO 선정 299대 명반)] ---- ||||<-5> [[파일:Grammys.svg|width=20]] {{{+1 '''그래미 베스트 얼터너티브 앨범'''}}} || || 1996 || || 1997 || || 1998 || || ''[[MTV Unplugged in New York]]'' [[너바나(밴드)|{{{-2 {{{#8086a0 Nirvana}}}}}}]] || {{{+1 →}}} || ''' ''Odelay''[br]{{{-2 [[벡 한센|{{{#8086a0 Beck}}}]]}}}''' || {{{+1 →}}} || ''[[OK Computer]]'' [[라디오헤드|{{{-2 {{{#8086a0 Radiohead}}}}}}]] || }}} || ||<-2><#c3c9df> '''{{{#d12324 {{{+1 Odela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static.stereogum.com/Odelay.jpg|width=100%]]}}} || || '''발매일''' ||[[1996년]] [[6월 18일]]|| || '''녹음일''' ||[[1994년]] – [[1996년]] || || '''장르''' ||[[얼터너티브 록]], [[네오 사이키델리아]] || || '''재생 시간''' ||54:13 || || '''곡 수''' ||13곡 || || '''프로듀서''' ||[[벡 한센]] || || '''레이블''' ||[[Geffen Records]], Bong Load Records || [목차][clearfix] == 개요 == 1996년 발매된 [[벡 한센|벡]]의 5집 앨범. [[앨범 아트|재킷]]에는 어질리티를 하는 [[코몬도르]]의 사진이 삽화되어 있다. American Kennel Club의 Gazette 잡지 1977년 7월호에 실린 사진을 [* 촬영자는 조안 루드윅] 썼다고 한다. 제목은 멕시코어로 '잘 들어', '무슨 일이야'를 뜻하는 속어 órale의 발음에서 따왔다고 한다. [[페이브먼트]] 리더 스테판 말크머스는 2011년 인터뷰에서 벡이 본작 녹음하는게 오래 걸려서 [* 실제로 본작은 당시 벡 기준으로 오래 작업한 앨범이었다.] 너무 늘어져Oh Delay라고 입버릇처럼 말하던게 굳어졌다고 밝혔다. 본인에게서 직접 들은 얘기라고. [* 말크머스와 벡은 절친까지는 아니더라도 자주 어울리던 사이었다고 한다.] [[https://www.spin.com/2011/07/qa-stephen-malkmus-new-lp-beck-more/|출처]] == 평가 == [include(틀:피치포크, 링크=https://pitchfork.com/reviews/albums/11104-odelay-deluxe-edition/, 점수=8.5)] [include(틀:RYM, 링크=https://rateyourmusic.com/release/album/beck/odelay/, 점수=3.73)]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링크=http://www.acclaimedmusic.net/album/A962.htm, 순위=1996년 1위 / 1990년대 5위 / 올타임 50위)] '''벡 특유의 온갖 장르를 해체하고 재조립하는 음악적 성향이 정점에 달한 명반'''으로, 그의 음반들 중 비평적, 상업적으로 가장 큰 성공을 거둔 음반 중 하나이다.[* 당장 이 앨범 안에는 [[락]], [[블루스]] 뿐 아니라 벡 음악의 기반을 이루고 있는 [[포크]], [[컨트리]]는 물론 당대 유행하던 [[펑크]], [[힙합 음악|힙합]], [[빅 비트]] 등의 장르가 한데 섞여 있다.] 당대 평론가들은 "[[커트 코베인]] 이후 미국 락 씬의 새로운 스타", "락 방법론에 대한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이라며 엄청난 호평 세례를 내렸다. 음반은 벡이 혼자 작업을 하였는데, 기타,베이스,드럼,키보드와 하모니카,클라리넷을 직접 연주하였다. 이 음반이 발표되었을 당시 그의 나이는 26세 였으니 가히 천재적이라 할 만하다. == 트랙 리스트 == === Devils Haircut – 3:14 === [youtube(aa3rBVb3v4g)] === Hotwax – 3:49 === [youtube(BNIR2AkpObs)] === Lord Only Knows – 4:14 === [youtube(-3C1IXLf25k)] - 비명소리로 인트로를 시작하는 독특한 곡. [[무릎팍도사]]의 그 비명소리 맞다. === The New Pollution – 3:39 === [youtube(uxugaMpt1vU)] - [[얼터너티브 록]]과 [[사이키델릭 록]]을 버무려 놓은 곡이다. === Derelict – 4:12 === [youtube(j5ffYxco6jI)] === Novacane – 4:37 === [youtube(MpoQ7Zr-QTI)] === Jack-Ass – 4:11 === [youtube(YwlgCj6z-Ds)] === Where It's At - 5:30 === [youtube(EPfmNxKLDG4)] - [[그란 투리스모 2]]의 OST다. === Minus – 2:32 === [youtube(E557fELkFFs)] === Sissyneck – 3:52 === [youtube(33ZFr3Z-YT4)] === Readymade – 2:37 === [youtube(yYRWN7rVJ50)] === High 5 (Rock the Catskills) – 4:10 === [youtube(KBCYoDgTPLM)] === Ramshackle – 7:29 === [youtube(emJabEX9o4A)] === [[히든 트랙]] === ==== Computer Rock – 0:44 ==== [youtube(ZLRCGQynMOE)] - 미국 한정으로 들어가 있는 히든 트랙. ==== Diskobox – 3:35 ==== [youtube(JufY6bGkI1o)] - '존 스펜서 블루스 익스플로젼'의 존 스펜서가 참여한 트랙으로, 미국 이외의 국가에서 발매되는 버전에 히든 트랙으로 들어가있다. [[분류:미국의 록 음반]][[분류:1996년 음반]][[분류:얼터너티브 록]][[분류:네오 사이키델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