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DJMAX의 수록곡]] [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z_reAqOqFY)]}}} || || {{{-1 '''수록 정보'''}}} ||{{{-1 [[DJMAX TECHNIKA 2]]}}} {{{-3 (2010)}}} || || {{{-1 '''장르'''}}} ||{{{-1 Nu Skool Breakz}}} || || {{{-1 '''BPM'''}}} ||{{{-1 130}}} || || {{{-1 '''작곡'''}}} ||{{{-1 [[CROOVE]]}}} || || {{{-1 '''작사/보컬'''}}} ||{{{-1 [[3rd Coast|JC]]}}} || || {{{-1 '''리믹스'''}}} ||{{{-1 [[Flash Finger|Mr.Funky]]}}} || || {{{-1 '''BGA'''}}} ||{{{-1 [[D(디자이너)|D]]}}} || [[https://www.youtube.com/watch?v=TcTex6GFlkI|구 BGA]] == 개요 == [[DJMAX TECHNIKA 2|테크니카 2]]에 Reborn이라는 부제가 달린 리믹스 버전이 수록되었다. 사운드가 상당히 쿨하고 거침없는 느낌으로 추가되어 전작에서와 마찬가지로 퀄리티가 상당히 높다. 마지막 'Stomp your feet just like an out law' 8연발 부분은 곡 길이 때문에 게임에서는 잘려서 나온다. 다만 기존 곡들이나 이후 후속작에서는 그것보다도 더 긴 곡들이 많이 등장했기 때문에 유저들에게 상당한 아쉬움을 샀었다. 그러다가 [[TAPSONIC WORLD CHAMPION]]에서 8연발 부분이 추가된 풀 버전으로 등장하면서 유저들의 숙원이 이루어졌고, [[DJMAX RESPECT]]에서도 정식 플레이어블로 만나볼 수 있게 되었다. 후반부의 BGA는 기존 장면들을 적절히 편집하였다. BGA 역시 리마스터 그 이상으로 심혈을 기울여 제작되었는데, BGA를 담당한 [[D]]의 말에 따르면 본래는 테크니카 2에 단순 원곡이 수록될 예정이었다고 한다. '''올드 유저들에게는 추억의 리마스터링의 감동을, 신규 유저에게는 구곡의 또다른 감동을!'''이라는 모토로 구곡들의 HD급 전면 리뉴얼을 강행하던 중, Out Law만큼은 유실된 소스를 손보려고 시작하던 작업이 '''90% 이상의 리소스를 새로 만드는''' 등의 리뉴얼 작업을 거쳤다고 한다. 이에 [[ponGlow]]가 작업을 보고 '''리믹스'''의 지원사격을 해 주었으나, BPM이 미묘하게 빨라지는 바람에 영상과의 싱크가 어긋나버려서 결국 재편집.[[http://web.archive.org/web/20230614214827/http://mustbee.egloos.com/5315799|D의 작업기]] 또한 BGA의 내용이 미묘하게 바뀌었다. 카드게임은 카드게임인데, 터치 스크린 방식의 카드게임[* 체스로 타협하기 싫었다고 한다.]이다. 그런데 게등위 심의를 통과했다. 카드도박을 통해 여자를 빼앗는다 라는 설정이 그대로인데 말이다. 종이를 그저 스크린형식으로 바꿨을 뿐인데... 시그니처 컬렉션에 이 곡의 아이캐치가 카드로 나왔는데, 특유의 멋이 출중한 덕인지 금카드마저 밀어내고 인기 1순위가 되었다. 하지만, 일반 카드 발매 이후 [[Cosmic Fantastic Lovesong]]이라든지 [[Dual Strikers]]등의 카드가 나오며 의외로 무난한 카드가 되었다. == [[DJMAX TECHNIKA 시리즈]] == ||<-6> [[DJMAX TECHNIKA 3|'''{{{#096df9 DJMAX TECHNIKA 3}}}''']] || || 패턴 || 랭크 || 가격 || 난이도 || 설명 || 비고 || ||<#00e0e0> Star || D || 100 || 5 || 4박 스크롤 || || || Normal || D || 150 || 5 || 4박 스크롤 || [[Raconteur|미션 - ButaG]] 수록 || ||<#0000FF> {{{#white Hard}}} || C || 200 || 7 || 4박 스크롤 || [[RemiXound Set]] 셀렉곡, [[Future Challenge|미션 - Mr.Funky Mix]] 수록 || || Maximum || B || 250 || 8 || 4박 스크롤 || [[Maximum Set]] 셀렉곡 || [youtube(oLhu1CfeG5o)] HD 패턴 [youtube(3JC8reFI5kA)] MX 패턴 참고로 MX 패턴 최후반 부분에 홀딩노트와 보라노트 두 줄과 분홍노트 몇 개가 나오는 부분에서 '''보라노트 인식 오류'''가 발생하여 미스가 자주 발생하는데, 이 경우 '''홀딩 노트를 왼쪽으로 많이 빼서''' 눌러주면 인식이 잘 된다. == [[DJMAX Portable 3]] == ||<-6>
[[DJMAX Portable 3|{{{#gold '''DJMAX Portable 3'''}}}]] || |||| '''해금 레벨''' ||<-4> (기본곡) || ||<|2> '''트랙''' |||| '''CLASSIC xT''' ||<-3> '''REMIX x.2T''' || ||<#ffd> NM ||<#8df> HD ||<#ffd> TS ||<#8df> SS || {{{#white WS}}} || || '''3T''' |||| - || 5 || - || - || || '''4T''' || 6 || 10 || 6 || 7 || - || || '''6T''' || 7 || 13 || - || 9 || 14 || [youtube(L1HNbCvgZMQ)] 클래식 모드 6T HD [youtube(raNCXfLd9L4)] 리믹스 모드 6.2T SS 포인트는 "예 요 뻑 뻑". [[DJMAX Portable 3]]에도 수록되었으며 DJ 아이콘 해금으로 캐릭터 이름도 밝혀졌는데 여자들은 소개되는 순서대로 '''죽'''. '''난''', '''국''', '''매''' [* 흔히 매 난 국 죽 순으로 오해할 수 있지만, 여자들의 몸에 그려진 문양들을 보면 이 순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자를 빼앗는 남자는 '''제레미'''[* 사실 이 캐릭터의 이름은 DMP2에서도 나왔다.], 제레미에게 관광당하는 남자는 '''겜블러'''. 난이도는 전체적으로 중간 난이도에 노트 자체도 치는맛도 좋게 나오지만 6T HD 13, 6.2T WS 14 등등의 고난이도에서는 ○키 롱놋을 누른 채로 △키를 연타하는 패턴이 난감하다. == [[DJMAX TECHNIKA Q]] == ||<-4> DJMAX TECHNIKA Q의 뮤직팩 4 수록곡 || || [[영원(DJMAX)|영원]] || '''Out Law : Reborn''' || [[Gone Astray]] || [[Mr.Lonely]] || ||<-4>
<#000> [[DJMAX TECHNIKA Q|{{{#7df12a '''DJMAX TECHNIKA Q'''}}}]] || ||<#000> '''라인/난이도''' ||<#fff344> '''NM''' ||<#058cf4> '''HD''' ||<#e64119> '''EX''' || || '''2 LINE''' || 3 || 5 || 6 || || '''3 LINE''' || 4 || 5 || 8 || == [[TAPSONIC WORLD CHAMPION]] == |||| [[TAPSONIC WORLD CHAMPION|{{{#gold '''TAPSONIC WORLD CHAMPION'''}}}]] || || '''BASIC''' || - || || '''PRO''' || - || || '''LEGEND''' || - || 8연발 부분이 추가된 OST버전으로 등장. 8연발 부분이 나오는 뮤비 부분은 하이라이트 부분을 적절히 편집했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PORTABLE 3)]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Out Law Reborn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000 0%, #000 40%, #79797a 40%, #79797a 40.8%, #d4a000 40.5%, #d4a000 42%, #b77a30 42%, #b77a30 43.3%, #8f5c17 43.3%, #6f4102 50%, #6d6d6d 50%, #6d6d6d 52.6%, #2c1f00 52.6%, #0f0b00 56%, #474640 56%, #474640 56.5%, #000 56.2%, #000 63%, #8f8f8f 63%, #8f8f8f 65%, #9d9d9d 65%, #9d9d9d 67.5%, #000 67.5%, #000 68.7%, #0f0f0f 68.7%, #0f0f0f 68.9%, #000 68.9%, #000 72.3%, #222 72.3%, #222 72.7%, #000 72.6%, #000 73.8%, #1c1c1c 73.8%, #1c1c1c 77.2%, #000 77.2%, #000 77.35%, #1c1c1c 77.35%, #333 78.5%, #000 78.5%, #000 100%)" '''{{{#8f5a21 PORTABLE 3}}}'''}}} || ||<-4>'''{{{+5 Out Law : Reborn}}}'''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42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669}}}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910}}} || [[파일:djmaxsc10.pn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018}}}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390}}}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674}}}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947}}} || -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49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702}}}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853}}}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2'''}}} [br] {{{-5 1212}}}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48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71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008}}}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2'''}}} [br] {{{-5 1255}}} || ||<-5> 특수 패턴 || || {{{-1 RS SP}}} ||<-4> [[DJMAX RESPECT V/미션/DLC#s-10.2.5|Neowiz Awards]]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b15a10, #ca7514, #24190e)"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2021년 4월 19일 DMP3 DLC로 등장, TWC에서만 볼 수 있었던 '''마지막 8연발 구간을 드디어 디맥에서도 만날 수 있게 되었다!''' 거기에 난이도 또한 PORTABLE 3 DLC 내에서 상당한 고난도 곡으로 등장해 고인물들의 니즈도 충족하게 되었다.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3m2fhWSVYQ)]}}}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GVbwNpKsD8)]}}}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nbMAGClF1Q)]}}}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DGvX6hE588)]}}}|| 4B SC는 최후반부 [[D2(DJMAX)|D2]]와 유사한 16비트 8연타나 규칙성 없는 따닥이 연타를 제외하면 롱노트나 사이드를 적극 활용했다는 점 외에 크게 눈에 띄는 패턴은 없다. 중반부 롱잡 박자가 6,8버튼과 좀 다르기 때문에 거슬릴 수는 있다.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0L3eHPsvKo)]}}}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d4edQJsfdI)]}}} || || {{{#white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OkW63qD4gE)]}}} || ||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obA7vlZ0hw)]}}}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kTtnR-5wmE)]}}}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1lVgLRzsII)]}}}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9fmi3rGX_U)]}}}|| 6B MX는 6번-5,6번 롱 노트 연타 외에 어려운 구간이 하나도 없다. 14레벨 최하위권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6B SC의 경우 왕복 겹계단, 롱잡, 이중 겹폭타, 양손 16비트 동시치기 등등 각종 까다로운 패턴이 나오며, BPM이 느려 끊어치기까지 요구해 난이도가 높다. 특히 후반부에는 정확한 처리를 위해선 끊어치기가 거의 필수적인 수준. 왕복 겹계단이나 이중 겹폭타 배치를 풀어 보겠다고 랜덤을 걸면 배치가 잘 풀릴수록 롱잡이 꼬인다. 다만 황배 기준으로 배치 자체는 8B SC와 비슷해지기 때문에 8B SC를 처리할 수 있는 수준의 노트 리딩 능력을 갖췄다면 오히려 랜덤을 거는 것도 나쁘지는 않다.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dHI2awxxos)]}}}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QbFb_c5oaw)]}}}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vnGvixEZ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YXWnEDT-fw)]}}}|| 8B SC는 곡이 후반부에 이를수록 롱잡 구성이 점점 더 복잡해지는 양상을 띠는데, 초반부터 기존에 등장한 적이 거의 없었던 노트 배치의 롱잡이 등장하는가 하면,[* 13-46 동시치기로 시작해서 14 롱노트 잡고 잡노트를 처리해야 하는 패턴이 나오는데, 랜덤을 걸었을 때 배치가 꼬이면 매우 흔하게 볼 수 있는 패턴이기 때문에 랜덤 이펙트 활용 여부에 따라 체감 난이도가 크게 갈린다.] 후반에는 한 손으로 트리거 롱 노트와 일반 숏 노트를 처리하는 동안 다른 손으로는 트리거 숏 노트와 일반 롱 노트를 교대로 처리하는 식의 복합 롱잡 패턴이 등장하기 때문에 초견에 파악하기 굉장히 까다롭다. 여기에 최후반에는 트리거 노트가 섞인 이중 폭타 패턴과 동시치기 4연타까지 등장하기 때문에 마지막까지 방심할 수 없는 패턴. 패턴 리딩 능력이 높다면 무난하게 넘어갈 수 있으나 아예 패턴 자체를 파악하지 못해 제대로 칠수조차 없는 불상사가 일어날 수 있는 패턴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Out Law, version=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