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Oxygen Not Included/자원)] [include(틀:Oxygen Not Included/관련 문서)] [include(틀:Oxygen Not Included/자원)] [목차] == 숨쉴 수 없는 기체(Unbreathable Gas) == 호흡 불가능 기체에 음식을 두면 썩는 속도가 감소한다. 식품이 썩는 걸 완전히 막으려면 여기에 더해 -18도 이하의 공간 속에 넣어야 한다. ===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 ||<-2>
'''{{{#white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2> [[파일:Oxygen_Carbon_Dioxide.png|width=60]] || ||'''{{{#white 비열용량}}}'''||0.846(DTU/g)/℃|| ||'''{{{#white 열전도율}}}'''||0.015(DTU/(m*s))/℃|| ||'''{{{#white 응결점}}}'''||-48.1℃|| ||'''{{{#white 액화한 물질}}}'''||이산화탄소(액체)|| ||'''{{{#white 빛 흡수율}}}'''||0.1|| ||'''{{{#white 방사선 흡수율}}}'''||0.08|| ||'''{{{#white 밀도}}}'''||44g/㏖|| ||<-2>|| ||<-2>(CO,,2,,)기체 상태인 이산화탄소는 독성이 있고 원자가 무거운 화합물입니다[br]다른 기체 아래로 가라앉는 경향이 있습니다.|| 복제체들이 생활할때 주로 생성되고, 전력을 생성하는 대부분의 건조물에서 부산물로 생성된다. 여러 기체들 중 가장 무거워 여러 기체가 섞였을 때 맨아래로 가라앉는다. 탄소 스키머, 미끌이, 조류 배양기, 산고사리로 제거 할 수 있다. 어째선지 낮은 기압에서도 고체가 아닌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 수소(Hydrogen) === ||<-2>
'''{{{#white 수소(Hydrogen)}}}'''|| ||<-2> [[파일:Oxygen_Hydrogen.png|width=60]] || ||'''{{{#white 비열용량}}}'''||2.4(DTU/g)/℃|| ||'''{{{#white 열전도율}}}'''||0.168(DTU/(m*s))/℃|| ||'''{{{#white 응결점}}}'''||-252.2℃|| ||'''{{{#white 액화한 물질}}}'''||수소(액체)|| ||'''{{{#white 빛 흡수율}}}'''||0.1|| ||'''{{{#white 방사선 흡수율}}}'''||0.09|| ||'''{{{#white 밀도}}}'''||1g/㏖|| ||<-2>|| ||<-2>(H)수소는 우주에서 가장 흔하고 원자가[br]가벼운 원소로 기체 상태입니다.|| 수소 발전기의 연료이다. 가장 가벼워 여러 기체가 섞였을 때 가장 위로 뜬다. 전해조와 정글, 해양 지역에서 얻을 수 있다. 기체 중에 비열이 가장 높아서 씨근풀을 이용한 냉각에 주로 쓰인다. === 천연 가스(Natural gas) === ||<-2>
'''{{{#white 천연 가스(Natural gas)}}}'''|| ||<-2> [[파일:Natural_Gas.png|width=60]] || ||'''{{{#white 비열용량}}}'''||2.191(DTU/g)/℃|| ||'''{{{#white 열전도율}}}'''||0.035(DTU/(m*s))/℃|| ||'''{{{#white 응결점}}}'''||-161.5℃|| ||'''{{{#white 액화한 물질}}}'''||메탄(액체)|| ||'''{{{#white 빛 흡수율}}}'''||0.25|| ||'''{{{#white 방사선 흡수율}}}'''||0.07|| ||'''{{{#white 밀도}}}'''||16.04g/㏖|| ||'''{{{#white 기타 속성}}}'''||가연성 기체|| ||<-2>|| ||<-2>천연 가스는 기체 상태의 다양한 알칸의 혼합물입니다.[br]전력 생성에 유용합니다.|| 천연가스 발전기와 가스레인지의 연료이다. 천연가스 간헐천이나 --[[Oxygen Not Included/복제체#s-5.2|헛배부름 복제체를 고르거나]]--비료 합성기, 석유 정제소, 유정을 통하여 생산이 가능하다. 또는 원유->석유->사워 가스->메탄->천연가스로 정제하여 만들수도 있다 이렇게 생긴 천연가스를 소비하는 방법은 가스레인지를 돌리는 방법이 있지만 복제체 사기가 밑바닥이 아니라면 발전기를 돌리는게 좋다. === 사워 가스(Sour Gas) === ||<-2>
'''{{{#white 사워 가스(Sour Gas)}}}'''|| ||<-2> [[파일:Sour_Gas.png|width=60]] || ||'''{{{#white 비열용량}}}'''||1.898(DTU/g)/℃|| ||'''{{{#white 열전도율}}}'''||0.018(DTU/(m*s))/℃|| ||'''{{{#white 응결점}}}'''||-161.5℃|| ||'''{{{#white 액화한 물질}}}'''||메탄(액체), 황(고체)|| ||'''{{{#white 빛 흡수율}}}'''||0.25|| ||'''{{{#white 방사선 흡수율}}}'''||0.05|| ||'''{{{#white 밀도}}}'''||19g/㏖|| ||<-2>|| ||<-2>사워 가스는 고농도의 황화수소를 함유한[br]탄화수소 기체입니다.[br]높게 가열된 석유의 부산물 입니다.|| 석유를 540℃이상으로 가열하면 변환되는 기체로 액화시킬 경우 석유로 돌아가지 않고 질량의 67%는 메탄으로 33%는 황으로 전환된다. === 염소(Chlorine) === ||<-2>
'''{{{#white 염소(Chlorine)}}}'''|| ||<-2> [[파일:Oxygen_Chlorine.png|width=60]] || ||'''{{{#white 비열용량}}}'''||0.48(DTU/g)/℃|| ||'''{{{#white 열전도율}}}'''||0.008(DTU/(m*s))/℃|| ||'''{{{#white 응결점}}}'''||-34.6℃|| ||'''{{{#white 액화한 물질}}}'''||염소(액체)|| ||'''{{{#white 빛 흡수율}}}'''||0.2|| ||'''{{{#white 방사선 흡수율}}}'''||0.07|| ||'''{{{#white 밀도}}}'''||34.5g/㏖|| ||<-2>|| ||<-2>(Cl)염소는 기체 상태이며 자연스럽게 세균을 죽이는 원소입니다.|| 병균을 천천히 소독하며 아이템, 액체를 소독[* 1타일 1원소 대원칙 때문에 필드에 고여 있는 물은 소독 불가능하며 액체가 병 형태로 담겨 있거나 액체 저장소에 들어 있어야 염소 기체로 소독 가능하다.]할 때에도 쓰인다. 정글, 녹 지역과 표백석, 염소 간헐천에서 얻을 수 있다. 진공과 심성석을 제외하고 열전도율이 가장 낮다. 염소기체로 둘러싸인 상황에서 열발생량이 높은 기계를 돌리면 과열피해를 받을 수도 있다. === 증기(Steam) === ||<-2>
'''{{{#white 증기(Steam)}}}'''|| ||<-2> [[파일:Oxygen_Steam.png|width=60]] || ||'''{{{#white 비열용량}}}'''||4.179(DTU/g)/℃|| ||'''{{{#white 열전도율}}}'''||0.184(DTU/(m*s))/℃|| ||'''{{{#white 응결점}}}'''||99.4℃|| ||'''{{{#white 액화한 물질}}}'''||물|| ||'''{{{#white 빛 흡수율}}}'''||0.1|| ||'''{{{#white 방사선 흡수율}}}'''||0.08|| ||'''{{{#white 밀도}}}'''||18g/㏖|| ||<-2>|| ||<-2>(H,,2,,O)증기는 데는 기체로 가열된 물입니다.|| 말 그대로 물계통 액체를 가열시켜서 만든 기체로 증기 벤트에서 자연적으로 나오기도 하며 125℃ 이상으로 가열된 증기는 증기 터빈을 통해서 전력과 95℃의 물로 바꿀 수 있다. 비열이 수소보다 좋아 100도가 넘는 지역에서의 열전달 매체로 사용할 수 있기는 하다. === 핵 낙진(Nuclear Fallout){{{#orange ⓢ}}} === ||<-2>
'''{{{#white 핵 낙진(Nuclear Fallout)}}}'''{{{#orange ⓢ}}}|| ||<-2> [[파일:Oxygen_Nuclear_Fallout.png]] || ||'''{{{#white 비열용량}}}'''||0.265(DTU/g)/℃|| ||'''{{{#white 열전도율}}}'''||1(DTU/(m*s))/℃|| ||'''{{{#white 응결점}}}'''||66.9℃|| ||'''{{{#white 액화한 물질}}}'''||핵 폐기물|| ||'''{{{#white 빛 흡수율}}}'''||0.5|| ||'''{{{#white 방사선 흡수율}}}'''||0.03|| ||'''{{{#white 방사선 방출/1000㎏}}}'''||17 라드/주기|| ||'''{{{#white 밀도}}}'''||92.9/㏖|| ||<-2>|| ||<-2>핵 낙진은 방사성 오염 물질로 가득 찬 매우[br]유독한 기체입니다.[br]반응로 붕괴로 형성되었습니다.|| 핵 폐기물을 526.9℃ 이상으로 가열하면 상변하는 물질로 비열이 핵 폐기물의 7.44에 비해 0.265로 매우 낮기 때문에 엄청난 열 삭제가 일어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Oxygen Not Included/자원, version=443 , paragraph=9)] [[분류:Oxygen Not Included/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