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Oxygen Not Included/자원)] [include(틀:Oxygen Not Included/관련 문서)] [include(틀:Oxygen Not Included/자원)] [목차] == 유기물 (Organic) == === 조류(Algae) === ||<-2>
'''{{{#white 조류(Algae)}}}'''|| ||<-2> [[파일:Oxygen_Algae.png|width=60]] || ||'''{{{#white 등장 지역}}}'''||사암 지역[br]늪 지역[br]정글 지역[br]프린팅 포드[br]유기물 덩어리 탐사[br]지구형 행성 탐사|| ||'''{{{#white 비열용량}}}'''||0.200(DTU/g)/℃|| ||'''{{{#white 열전도율}}}'''||2.0(DTU/(m*s))/℃|| ||'''{{{#white 녹는점}}}'''||125℃|| ||'''{{{#white 녹은 물질}}}'''||흙|| ||'''{{{#white 방사선 흡수율}}}'''||0.65|| ||'''{{{#white 경도}}}'''||2|| ||<-2>|| ||<-2>조류는 비운동성, 단세포 생명체의 집단입니다.[br]산소 확산기에서 사용하면 산소를 생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경도 2로 매우 부드럽다. 산소 확산기와 조류 배양기에서 사용 가능하며 주로 산소를 생성하는데 사용한다. 조류 추출기로 는지렁이를 정제해서 얻을 수 있다. 녹는점은 125도이며 녹을 경우 흙으로 변한다. 초중반에 매우 중요한 자원으로 산소를 대량으로 뽑아내는데 꼭 필요하다. 초반 전해조를 만들기 전에는 물보다 1순위로 용량을 지속적으로 체크해주어야 하는 자원. 상변이해서 흙이 될 때 양이 충분히 많으면 타일이 되는데, 이를 이용해서 인공적으로 자연 타일을 만들 수 있다. 오염된 흙이나 물도 가능하지만 이건 오염된 산소를 뿜어대지 않으니 사용하기 더 편하다. === 는지렁이(Slime) === ||<-2>
'''{{{#white 는지렁이(Slime)}}}'''|| ||<-2> [[파일:Oxygen_Slime.png|width=60]] || ||'''{{{#white 등장 지역}}}'''||늪 지역[br]유기물 덩어리 탐사|| ||'''{{{#white 비열용량}}}'''||0.200(DTU/g)/℃|| ||'''{{{#white 열전도율}}}'''||2.0(DTU/(m*s))/℃|| ||'''{{{#white 녹는점}}}'''||125℃|| ||'''{{{#white 녹은 물질}}}'''||흙|| ||'''{{{#white 방사선 흡수율}}}'''||0.65|| ||'''{{{#white 경도}}}'''||2|| ||<-2>|| ||<-2>는지렁이는 조류, 균류 및 점액 다당류의[br]두꺼운 혼합물입니다.[br]는지렁이는 조류로 정제되고, 파내면 오염된[br]산소를 방출합니다.|| 경도 2로 매우 부드럽다. 채굴된 상태에서는 오염된 산소를 내뿜는다. 헐떡이가 오염된 산소를 먹고 배출하는 부산물이 바로 는지렁이다. 조류 추출기로 정제하면 조류와 오염된 물로 분해할 수 있다. 125도에서 흙으로 변하므로 후반에 흙이 부족하거나 는지렁이 처리가 곤란하다면 125도~250도 사이로 가열하여 흙으로 바꿀 수 있다.(250도 이상일 경우 모래가 된다.) 다만 고온의 흙이 탄생하고, 이 마저도 소량이라 염소에 재워놓은 대량의 아물나리(씨앗, 풀 전부 퇴비화)와 소량의 오염된 흙을 퇴비로 활용하는 편이 더 쉽고 흙을 먹는 농작물의 열관리면에서도 더 낫다. 가장 좋은 는지렁이 소모처는 어스름 갓(버섯) 농사. 여담으로 정식 번역 중 가장 기묘한 번역으로 외래어를 그대로 사용한 번역도 많은데 뜬금 없이 순 우리말 단어로 번역되어 있다. 이 게임으로 는지렁이라는 단어를 처음 접한 사람들이 많다. === 오염된 흙(Polluted Dirt) === ||<-2>
'''{{{#white 오염된 흙(Polluted Dirt)}}}'''|| ||<-2> [[파일:Oxygen_Polluted_Dirt.png|width=60]] || ||'''{{{#white 등장 지역}}}'''||없음|| ||'''{{{#white 비열용량}}}'''||0.830(DTU/g)/℃|| ||'''{{{#white 열전도율}}}'''||2.0(DTU/(m*s))/℃|| ||'''{{{#white 녹는점}}}'''||1712.9℃|| ||'''{{{#white 녹은 물질}}}'''||녹은 유리|| ||'''{{{#white 방사선 흡수율}}}'''||0.7|| ||'''{{{#white 경도}}}'''||10|| ||<-2>|| ||<-2>오염된 흙은 처리되지 않은 유기 폐기물[br]입니다.[br]시간이 흐름에 따라 오염된 산소를 방출합니다.|| 오염된 산소를 내뿜으며, 퇴비를 통해 흙으로 만들 수 있다. 과거에는 물 체와 뒷간에서만 소량 얻는 다소 귀한(...)자원이었지만 수목나무와 에탄올 증류기의 추가로 대량생산이 가능해졌다. === 썩은 더미(Rot Pile) === ||<-2>
'''{{{#white 썩은 더미(Rot Pile)}}}'''|| ||<-2> [[파일:Oxygen_Rot_Pile.png|width=60]] || ||'''{{{#white 획득 방법}}}'''||식량 부패|| ||<-2>|| ||<-2>식품이었지만 먹을 수 없는 질척한 덩어리가 되었습니다.[br]썩은 더미는 시간이 흐르면 오염된 흙으로 분해됩니다.|| 음식이 썩으면 생성된다. 시간이 지나면 오염된 흙으로 바뀌며, 퇴비에서 흙로 만들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오염된 산소를 내뿜는데, 식량창고에서 생성되면 바로바로 처리해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썩은 것에서 나오는 오염된 산소가 식량창고를 오염된 산소에 닿게 하고, 식량창고가 오염된 산소에 닿아 부패가 빨라지는 악순환이 이어진다. === 알 껍질(Egg Shell) === ||<-2>
'''{{{#white 알 껍질(Egg Shell)}}}'''|| ||<-2> [[파일:Oxygen_Egg_Shells.png|width=80]] || ||'''{{{#white 획득 방법}}}'''||크리터 알|| ||<-2>|| ||<-2>분쇄하여 석회를 만들 수 있습니다.|| 유일하게 석회를 지속적으로 수급할 수 있는 재료로 크리터의 알이 어떤 형태로든 부숴지면 얻을 수 있다. === 진흙(Mud){{{#orange ⓢ}}} === ||<-2>
'''{{{#white 진흙(Mud)}}}'''{{{#orange ⓢ}}}|| ||<-2> [[파일:Oxygen_Mud.png]] || ||'''{{{#white 비열용량}}}'''||0.830(DTU/g)/℃|| ||'''{{{#white 열전도율}}}'''||2.0(DTU/(m*s))/℃|| ||'''{{{#white 녹는점}}}'''||99.7℃|| ||'''{{{#white 녹은 물질}}}'''||증기|| ||'''{{{#white 방사선 흡수율}}}'''||0.7|| ||'''{{{#white 경도}}}'''||10|| ||<-2>|| ||<-2>흙과 물의 혼합물.[br]슬러지 프레스를 사용하여 기본 원소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 오염된 진흙(Polluted Mud){{{#orange ⓢ}}} === ||<-2>
'''{{{#white 오염된 진흙(Polluted Mud)}}}'''{{{#orange ⓢ}}}|| ||<-2> [[파일:Oxygen_Polluted_Mud.png]] || ||'''{{{#white 비열용량}}}'''||0.830(DTU/g)/℃|| ||'''{{{#white 열전도율}}}'''||2.0(DTU/(m*s))/℃|| ||'''{{{#white 녹는점}}}'''||99.7℃|| ||'''{{{#white 녹은 물질}}}'''||증기|| ||'''{{{#white 방사선 흡수율}}}'''||0.7|| ||'''{{{#white 경도}}}'''||10|| ||<-2>|| ||<-2>오염된 흙과 오염된 물의 혼합물.[br]슬러지 프레스를 사용하여 기본 원소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Oxygen Not Included/자원, version=443 , paragraph=14)] [[분류:Oxygen Not Included/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