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Oxygen Not Included/자원)] [include(틀:Oxygen Not Included/관련 문서)] [include(틀:Oxygen Not Included/자원)] [목차] == 제조된 재료(Manufactured Material) == === 유리(Glass) === ||<-2>
'''{{{#white 유리(Glass)}}}'''|| ||<-2> [[파일:Oxygen_Glass.png|width=60]] || ||'''{{{#white 획득 방법}}}'''||유리 제조소[br]프린팅 포드[br]위성 탐사|| ||'''{{{#white 비열용량}}}'''||0.84(DTU/g)/℃|| ||'''{{{#white 열전도율}}}'''||1.110(DTU/(m*s))/℃|| ||'''{{{#white 녹는점}}}'''||1426.9℃|| ||'''{{{#white 녹은 물질}}}'''||녹은 유리|| ||'''{{{#white 빛 흡수율}}}'''||0.1|| ||'''{{{#white 방사선 흡수율}}}'''||0.65|| ||'''{{{#white 경도}}}'''||10|| ||'''{{{#white 기타 속성}}}'''||투명 재료|| ||<-2>|| ||<-2>유리는 모래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형성한[br]부서지기 쉬운 물질입니다.|| 유리 제조소에서 모래 100㎏을 녹여서 25㎏을 만들 수 있는 재료로 태양열 전지판이나 창타일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모래를 직접 녹일 경우 1713℃ 이상의 고온이 필요하다. === 절연(Insulation) === ||<-2>
'''{{{#white 절연(Insulation)}}}'''|| ||<-2> [[파일:Insulation.png]] || ||'''{{{#white 획득 방법}}}'''||분자 제조소|| ||'''{{{#white 비열용량}}}'''||5.57(DTU/g)/℃|| ||'''{{{#white 열전도율}}}'''||0.00001(DTU/(m*s))/℃|| ||'''{{{#white 녹는점}}}'''||3621.9℃|| ||'''{{{#white 녹은 물질}}}'''||텅스텐(액체), 사워가스|| ||'''{{{#white 방사선 흡수율}}}'''||0.6|| ||'''{{{#white 경도}}}'''||200|| ||'''{{{#white 기타 속성}}}'''||원료 광물|| ||<-2>|| ||<-2>절연은 열전달을 감소하고 재결정화 된[br]심성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분자 제조소에서 이소레진 15㎏ + 심성석 80㎏ + 갈대 섬유 5㎏을 합성해서 100㎏을 얻을 수 있다. 심성석은 그냥 사용할 수 없어서 남아돌지만 우주에서만 가져오는 이소레진이 필요하기 때문에 대량으로 수급하기는 어렵다. === 플라스틱(Plastic) === ||<-2>
'''{{{#white 플라스틱(Plastic)}}}'''|| ||<-2> [[파일:Oxygen_Plastic.png|width=60]] || ||'''{{{#white 획득 방법}}}'''||폴리머 프레스[br]번질한 기끌이 털 깎기[br]프린팅 팟|| ||'''{{{#white 비열용량}}}'''||1.92(DTU/g)/℃|| ||'''{{{#white 열전도율}}}'''||0.150(DTU/(m*s))/℃|| ||'''{{{#white 녹는점}}}'''||159.9℃|| ||'''{{{#white 녹은 물질}}}'''||나프타|| ||'''{{{#white 방사선 흡수율}}}'''||0.85|| ||'''{{{#white 경도}}}'''||1|| ||<-2>|| ||<-2>(C,,3,,H,,6,,),,n,,플라스틱은 열가소성 중합체입니다.[br]다양한 고급 건조물 및 장비를 만드는데[br]유용합니다.|| 폴리머 프레스에서 석유 50㎏을 정제해서 30㎏을, 번질한 기끌이의 털을 깎을 경우 150㎏의 플라스틱을 얻을 수 있다. 후반 건조물 건설에 대량 소모되는 자원이다. === 플라스튬() === ||<-2>
'''{{{#white 플라스튬()}}}'''|| ||<-2> [[파일:|width=60]] || ||'''{{{#white 획득 방법}}}'''||분자 제조소|| ||'''{{{#white 비열용량}}}'''||1.500(DTU/g)/℃|| ||'''{{{#white 열전도율}}}'''||0.250(DTU/(m*s))/℃|| ||'''{{{#white 녹는점}}}'''||1826.9℃|| ||'''{{{#white 녹은 물질}}}'''||사워 가스|| ||'''{{{#white 방사선 흡수율}}}'''|| || ||'''{{{#white 시설 효과}}}'''||과열 온도 +900℃[br]절연재[br]느린 가열|| ||'''{{{#white 경도}}}'''||1|| ||<-2>|| ||<-2>플라스튬은 서미움, 플라스틱, 코왁스로 만든 고급 열가소성 폴리머입니다.[br]내열성이 뛰어나 우주 건조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 강철(Steel) === ||<-2>
'''{{{#white 강철(Steel)}}}'''|| ||<-2> [[파일:Oxygen_Steel.png]] || ||'''{{{#white 획득 방법}}}'''||금속 제련소[br]프린팅 포드[br]위성 탐사|| ||'''{{{#white 비열용량}}}'''||0.49(DTU/g)/℃|| ||'''{{{#white 열전도율}}}'''||54(DTU/(m*s))/℃|| ||'''{{{#white 녹는점}}}'''||2426.9℃|| ||'''{{{#white 녹은 물질}}}'''||강철(액체)|| ||'''{{{#white 방사선 흡수율}}}'''||0.74|| ||'''{{{#white 시설 효과}}}'''||'''과열 온도 + 200℃'''[br]높은 열전도도 || ||'''{{{#white 경도}}}'''||50|| ||'''{{{#white 기타 속성}}}'''||금속 광석, 제련된 금속|| ||<-2>|| ||<-2>강철은 철과 탄소로 구성된 금속 합금입니다.|| 금속 제련소에서 철 70㎏ + 정제 탄소 20㎏ + 석회 10㎏으로 강철 100㎏을 제작할 수 있다. 재료는 둘째치고 제련하고 나오는 엄청난 액체 가열에 대비하는 것이 강철 제작의 가장 큰 걸림돌이다. 제련된 금속이지만 '''금속 광석으로 제작하는 건조물에도 사용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유용한 건조물은 액체 펌프와 기체 펌프.''' 원유를 끌어올리기 위해 제작하는 액체 펌프나 150℃로 뿜어져 나오는 천연가스 간헐천 옆에 설치할 기체 펌프 등등 활용 구석이 많다. === 서미움(Thermium) === ||<-2>
'''{{{#white 서미움(Thermium)}}}'''|| ||<-2> [[파일:Oxygen_Thermium.png|width=60]] || ||'''{{{#white 획득 방법}}}'''||분자 제조소|| ||'''{{{#white 비열용량}}}'''||0.622(DTU/g)/℃|| ||'''{{{#white 열전도율}}}'''||220(DTU/(m*s))/℃|| ||'''{{{#white 녹는점}}}'''||2676.9℃|| ||'''{{{#white 녹은 물질}}}'''||나이오븀(액체)|| ||'''{{{#white 방사선 흡수율}}}'''||0.6|| ||'''{{{#white 시설 효과}}}'''||'''과열 온도 +900℃'''[br]높은 열전도도[br]열 반응성 || ||'''{{{#white 경도}}}'''||80|| ||'''{{{#white 기타 속성}}}'''||금속 광석, 제련된 금속[br]배관 가능|| ||<-2>|| ||<-2>서미움은 열전달과 열분산을 극대화하기[br]위해 고안된 산업용 금속 합금입니다.|| 분자제조소에서 나이오븀 5㎏과 텅스텐 95㎏을 합성해서 100㎏을 얻을 수 있다. 열전도가 가장 높은 금속이며 과열온도를 900℃ 높여주는 현재 가장 고급 금속재료에 속한다. 강철과 동일하게 금속 광석 대신에 사용할 수 있고 큰 의미는 없지만 원료 광물으로만 지을 수 있는 일반, 단열 액체관을 만드는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완성된 서미움을 금속 제련소에 넣고 녹이면 동일양의 나이오븀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나이오븀 뻥튀기 효과가 있지만(제작시 나이오븀 5%, 분해시 나이오븀 100%) 그만큼의 텅스텐이 사라진다. 텅스텐 역시 구하기 힘든 재료이므로 추천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DLC에서 텅스텐 화산은 다루기 별로 어렵지 않지만 나이오븀 화산은 다루기 매우 어렵기 때문에 유용하게 쓸수도 있다. === 농축 우라늄(Enriched Uranium){{{#orange ⓢ}}} === ||<-2>
'''{{{#white 농축 우라늄(Enriched Uranium)}}}'''{{{#orange ⓢ}}}|| ||<-2> [[파일:Oxygen_Enriched_Uranium.png]] || ||'''{{{#white 획득 방법}}}'''||우라늄 원심 분리기[br]벌타 통|| ||'''{{{#white 비열용량}}}'''||1(DTU/g)/℃|| ||'''{{{#white 열전도율}}}'''||20(DTU/(m*s))/℃|| ||'''{{{#white 녹는점}}}'''||858.9℃|| ||'''{{{#white 녹은 물질}}}'''||우라늄(액체)|| ||'''{{{#white 방사선 흡수율}}}'''||0.3|| ||'''{{{#white 방사선 방출/1000㎏}}}'''||275라드/주기|| ||'''{{{#white 경도}}}'''||250|| ||<-2>|| ||<-2>(U)농축 우라늄은 고도로 방사성인 정제된[br]물질입니다.[br]주로 강력한 연구용 반응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됩니다.|| 연구용반응로(일명 쿠쿠밥솥)에 연료로 사용된다. 그리고 수동 래드볼트 생성기에 넣어서 래드볼트 25개를 얻을수 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Oxygen Not Included/자원, version=443 , paragraph=17)] [[분류:Oxygen Not Included/자원]]